KR200315019Y1 - 모자용 차양 - Google Patents

모자용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019Y1
KR200315019Y1 KR20-2003-0006033U KR20030006033U KR200315019Y1 KR 200315019 Y1 KR200315019 Y1 KR 200315019Y1 KR 20030006033 U KR20030006033 U KR 20030006033U KR 200315019 Y1 KR200315019 Y1 KR 200315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hat
cap
present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20-2003-0006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0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차양을 모자의 캡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외관이 미려하고 차양의 봉제작업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용시 머리가 아프지 않으므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자용 차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져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100)에 있어서, 상기 차양(100)의 후방 가장자리에 상부로 절곡되는 연결부(110)를 성형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자용 차양{VISOR FOR CAPS}
본 고안은 모자의 전방에 연결되어 햇볕을 가리는 모자용 차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차양을 모자의 캡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모자용 차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는 햇빛이나 비 또는 눈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그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형태로 분류되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개성에 따라 멋을 연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자(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에 씌워지는 캡(2)과, 상기 캡(2)의 전방에 연결되는 챙(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챙(3)은 두껍고 불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챙심(3a)을 캡(2)에 직접 봉제로 연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상기 챙심(3a)에 내피(3b)와 외피(3c)를 씌운 후, 이 내피(3b)와 외피(3c)를 모자(1)의 캡(2)에 봉제로 연결하였다.
이러한 기존의 챙(3)은 불투명하기 때문에 착용시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므로 답답할 뿐만 아니라 시야가 좁아지고 시원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디자인이 둔탁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챙심(3a)이 두껍기 때문에 무겁고 별도의 내피(3b)와 외피(3c)가 사용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져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을 모자의 캡에 연결한 구조의 모자가 제시되었으며, 이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므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은 시야확보가 용이하여 답답하지 않고 시원하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또한 두께가 매우 얇아 무게가 가벼우며 내피와 외피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차양(10)을 캡(2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차양(10)에 별도의 직물(30)(31)을 봉제로 연결한 후 이 직물(30)(31)을 캡(20)과 땀받이(40) 사이에 끼워 봉제로 연결하거나,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차양(10)을 캡(20)과 땀받이(40) 사이에 끼워 직접 봉제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연결된 차양(10)의 경우 별도로 직물(30)(31)을 덧대어 연결하였기 때문에 직물(30)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또한 봉제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연결된 차양(10)의 경우에는 모자 착용시 캡(20)에 봉제로 직접 연결된 차양(10)의 끝단부가 머리를 압박하기 때문에 머리가 아프고 착용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차양(10)이 수평상태로 평탄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특히 봉제작업시 캡(20)의 형상에 맞추어 차양(10)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만곡되게 구부려서 봉제하므로 인해 봉제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불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진 차양을 모자의 캡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외관이 미려하고 차양의 봉제작업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용시 머리가 아프지 않으므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자용 차양을 제공하는데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져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의 후방 가장자리에 상부로 절곡되는 연결부를 성형하여, 상기 상부로 절곡된 차양의 연결부를 모자의 캡과 땀받이 사이에 끼워 직접 봉제로 연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기존의 챙이 달린 모자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모자용 차양의 연결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 모자용 차양의 연결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모자용 차양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연결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차양 110 : 연결부
120 : 절개부 200 : 캡
300 : 땀받이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모자용 차양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져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100)에 있어서, 상기 차양(100)의 후방 가장자리에 상부로 절곡되는 연결부(110)를 성형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양(10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자외선을 차단하는 투명 또는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차양(100)은 모자의 캡의 전방에 봉제로 연결되며, 한편 본 고안의 차양(100)은 모자뿐만 아니라 차양모(선캡)의 헤어밴드에 직접 봉제로 연결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차양(100)의 후방 가장자리에는 캡(200)에 봉제로 연결되는 연결부(110)가 상부로 절곡성형되고, 이러한 연결부(110)에 의해 차양(100)을 캡(200)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10)의 두께는 차양(100)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양(100)의 연결부(11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형 절개부(1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110)에 다수개의 절개부(120)가 형성되면 차양(100)의 연결부(110) 성형시 연결부(110)가 일정곡률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양(100)은 도 5에서와 같이 일정곡률을 가지는 만곡형으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차양(100)이 만곡형으로 성형되면 봉제작업시 작업자가 차양(100)을 구부리지 않고 쉽게 봉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모자용 차양(100)도 모자의 캡(200)의 전방에 연결되어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차양(100)의 후방 가장자리에 연결부(110)가 상부로 절곡성형되어 이 연결부(110)가 도 6에서와 같이 캡(200)과 땀받이(300) 사이로 끼워져 직접 봉제로 연결되므로 차양(100)을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연결부(110)를 통해 차양(100)을 모자의 캡(200)에 한층 더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5에서와 같이 차양(100)이 일정곡률을 가지는 만곡형으로 성형되었기 때문에 작업자가 차양(100)을 별도로 구부리지 않고 쉽게 봉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리고 본 고안의 차양(100)은 별도의 직물을 사용하지 않고 연결부(110)를 직접 캡(200)에 봉제작업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차양(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로 절곡성형된 연결부(110)가 캡(200)과 땀받이(300)에 면접촉되기 때문에, 즉 착용시 차양(100)의 연결부(110)가 머리를 압박하지 않아 머리가 아프지 않으므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조적으로 연결부가 성형된 차양을 모자의 캡에 한층 더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외관이 미려하고 차양의 봉제작업이 용이하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용시 머리가 아프지 않기 때문에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필름으로 이루어져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양(100)에 있어서, 상기 차양(100)의 후방 가장자리에 상부로 절곡되는 연결부(110)를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용 차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100)의 연결부(110)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절개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용 차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100)은 일정곡률을 가지는 만곡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용 차양.
KR20-2003-0006033U 2003-02-28 2003-02-28 모자용 차양 KR200315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33U KR200315019Y1 (ko) 2003-02-28 2003-02-28 모자용 차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33U KR200315019Y1 (ko) 2003-02-28 2003-02-28 모자용 차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019Y1 true KR200315019Y1 (ko) 2003-06-02

Family

ID=4940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033U KR200315019Y1 (ko) 2003-02-28 2003-02-28 모자용 차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0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23Y1 (ko) 2008-10-18 2012-04-16 문성흠 모자
KR200465472Y1 (ko) 2011-05-30 2013-02-20 신갑선 투시부가 형성된 벙거지
KR200480507Y1 (ko) * 2015-06-02 2016-06-01 김인환 챙을 갖는 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23Y1 (ko) 2008-10-18 2012-04-16 문성흠 모자
KR200465472Y1 (ko) 2011-05-30 2013-02-20 신갑선 투시부가 형성된 벙거지
KR200480507Y1 (ko) * 2015-06-02 2016-06-01 김인환 챙을 갖는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3049A1 (en) Multi use head cover
KR100566488B1 (ko) 모자
US20040194192A1 (en) Headgear with an adjustable visor
KR101334931B1 (ko) 기능성 모자
KR200315019Y1 (ko) 모자용 차양
KR100660680B1 (ko) 꺽여지는 챙을 가진 모자
US5704062A (en) Sun visor
JP3217834U (ja) 日除け帽子
KR200390351Y1 (ko) 두건겸용 모자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US20080276351A1 (en) Accessory for a Peak
KR100708953B1 (ko) 다른 형상물이 결합된 모자
KR100525131B1 (ko) 모자
CN209846232U (zh) 一种多功能帽子
CN215936343U (zh) 一种双面罩式防护雨具
KR200323644Y1 (ko) 투시창이 형성된 망모자의 차양
CN211092082U (zh) 一种遮阳帽
KR200301364Y1 (ko) 보조 챙이 있는 모자
KR200474537Y1 (ko) 착용감이 우수한 밀리터리 모자
KR200426405Y1 (ko) 앞챙이 구비된 니트 모자
KR200451660Y1 (ko) 썬캡
KR200491376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KR200239209Y1 (ko) 이중챙을 갖는 차양모
KR20100104128A (ko) 다기능 모자
JP3105808U (ja) サンバイザー付き帽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