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931B1 - 기능성 모자 - Google Patents

기능성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931B1
KR101334931B1 KR1020120044362A KR20120044362A KR101334931B1 KR 101334931 B1 KR101334931 B1 KR 101334931B1 KR 1020120044362 A KR1020120044362 A KR 1020120044362A KR 20120044362 A KR20120044362 A KR 20120044362A KR 101334931 B1 KR101334931 B1 KR 10133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brim
hat
core
cor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747A (ko
Inventor
오창복
Original Assignee
오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6976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349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창복 filed Critical 오창복
Priority to US14/364,07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304889A1/en
Priority to PCT/KR2012/003328 priority patent/WO2013100271A1/ko
Priority to JP2014549952A priority patent/JP2015506418A/ja
Priority to CN201280065595.8A priority patent/CN104080360A/zh
Publication of KR2013007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의 챙을 다단으로 꺽어서 상부로 올릴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과 미감을 높을 수 있고, 2중챙으로 형성할 때 제2챙을 다단으로 꺽을 수 있어서 제1챙에 형성된 통풍구에 직접적으로 햇볕이 투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통풍구를 형성할 때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착용감이 뛰어난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모자에 의하면 멋을 위해서 챙을 상단으로 꺾어 올릴 때 심재에 의해서 챙의 끝단과 몸체가 만나는 부분에서 모양이 변하지 않으므로 이마부분에 가해지는 압박이 최소화되고, 다단으로 꺾을 수 있어서 더욱 멋스럽게 멋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챙이 이중으로 형성된 이중챙이 형성된 모자일 경우에는 바람이 심하게 불어도 제2챙이 심재에 의해서 튼튼하게 지지되므로 흔들림이 적어서 착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제2챙을 제1챙과 수평하게 꺾어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통풍구를 통해서도 직사광선이 바로 비췰 수 없고, 제1챙의 통풍구가 전방은 물론 좌우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절개되어 착용자의 시야가 트여서 편리하며, 제2챙이 모자의 몸체의 전방에 심재와 함께 고정되므로, 제2챙을 꺾어서 올리더라도 심재에 의해서 몸체의 형태가 전혀 변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좋은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모자{FUNCTIONAL CAP}
본 발명은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의 챙을 다단으로 꺽어서 상부로 올릴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과 미감을 높을 수 있고, 2중챙으로 형성할 때 제2챙을 다단으로 꺽을 수 있어서 제1챙에 형성된 통풍구를 통해서 직사광선이 곧바로 비취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통풍구를 착용자의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착용감이 뛰어난 기능성 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는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보온을 위해 머리에 쓸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머리를 감싸는 크라운을 중심으로 사방 혹은 전방으로 챙이 형성되거나, 챙이 없이 형성되는 것 등으로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모자를 단순히 기능성을 위해서 착용하지 않고, 자신만의 멋을 창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챙이 형성된 모자(cap)는 바람이 불때 챙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힘 때문에 쉽게 벗겨지거나, 챙의 아래쪽에 얼굴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모여 이마부분이 더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모자의 챙에 통풍구를 형성하거나, 퉁풍구를 막기 위해 이중챙을 형성하는 등의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 종래의 이중챙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34240호 및 제0457025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최근에는 챙이 있는 모자를 멋있게 착용하기 위해서 챙을 상부로 꺾어서 착용하기도 하기도 하고, 챙의 하부에 글자나 로고를 새겨서 상부로 꺾었을 때 글자나 로고가 나타나도록 하여 착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챙이 형성된 모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멋을 위해서 챙을 상단으로 억지로 꺾어 올려서 착용하게되면 이마부분을 감싸는 몸체의 모양이 변하여 이마부분을 압박하게 되므로 착용감이 떨어진다.
또한, 모자의 챙이 이중으로 형성된 이중챙이 형성된 모자일 경우에는
(2) 바람이 심하게 불 때 제2챙이 펄럭이면서 착용감이 나빠진다.
(3) 제2챙을 사선으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통풍구를 통해서 직사광선이 비췰 수 있다.
(4) 제1챙 또는 제2챙이 착용자의 전방 및 좌우시야를 가리게 되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개를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5) 제2챙이 모자의 몸체의 전방에 직접닿아 형성되기 때문에 제2챙을 들어올릴 경우 몸체의 형태도 변하여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몸체와 챙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은 내부에 다수개의 절개부가 형성된 절곡판재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판재의 후방하단에 심재가 형성되며, 겉표면은 천으로 감싸 주연부와 절개부 부분에 박음질을 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와 챙이 형성되고, 상기 챙은 제1,2챙으로 나뉘어져서 형성되는 일반적인 모자에 있어서,
상기 제1챙은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챙은 통풍구를 덮을 수 있도록 제1챙의 상단끝단에 구성되되,
상기 제1챙은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몸체와 맞닿은 부분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타원형의 통풍구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챙은 내부에 다수개의 절곡선이 형성된 절곡판재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판재의 후방하단에는 심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모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멋을 위해서 챙을 상단으로 꺾어 올릴 때 심재에 의해서 챙의 후방끝단과 몸체가 만나는 부분에서 모양이 변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좋고, 다단으로 꺾을 수 있어서 더욱 멋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챙이 이중으로 형성된 이중챙이 형성된 모자일 경우에는
(2) 바람이 심하게 불어도 제2챙이 심재에 의해서 튼튼하게 지지되므로 흔들림이 적어서 착용감이 좋다.
(3) 제2챙을 제1챙과 수평하게 꺾을 수 있기 때문에 통풍구를 통해서도 직사광선이 바로 비췰 수 없다.
(4) 제1챙의 통풍구가 전방은 물론 좌우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절개므로 착용자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어 편리하다.
(5) 제2챙이 모자의 몸체의 전방에 심재와함께 고정되므로, 제2챙을 꺾어 올리더라도 심재에 의해서 몸체의 형태가 전혀 변하지 않으므로 착용감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모자를 착용한 상태의 측면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모자의 챙 또는 제2챙의 내부에 포함된 절곡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절곡선을 중심으로 챙을 절곡한 측면상태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모자 중 이중 챙으로 형성된 제2챙을 꺾은 상태의 착용상태사진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모자 중 썬바이저의 제1챙에 형성된 통풍구를 통한 시야확보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모자 중 썬바이저의 착용상태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모자의 챙의 개략단면도.
본 발명은 몸체(100)와 챙(200)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200)은 내부에 다수개의 절개선(310)이 형성된 절곡판재(30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판재(300)의 후방하단에 심재(320)가 형성되며, 겉표면은 천으로 감싸서 주연부와 절곡판재(300)의 절개선(310)의 부분에 외부에서 박음질을 한 절곡선(222)이 형성된다.
상기 챙(200)은 절곡판재(300)에 의해서 절곡선(222)의 위치에서 각부위를 꺾으면 절곡선(222)의 개수만큼 각도를 엇갈리게 하여 꺾을 수 있다.
상기 절곡판재(300)는 다수개의 절개선(3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선(310)은 전방으로 볼록한 유선형태로 절개된다.
상기 절개선(310)은 절곡판재(300)의 거의 끝단까지 형성되고, 천으로 겉표면을 감싼 후에 박음질할 때 절개선(310)을 관통하도록 박음질한다.
상기 절곡판재(300)의 A부분(도 2 참조)의 하단에는 심재(320)가 부착되는데, 상기 심재(320)는 합성수지재를 발포하여 두툼하게 형성하고, 절곡판재(300)에 비하여 두께가 적어도 2배 이상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심재(320)는 절곡판재(300)의 후방의 하단에 첫 번째 절개선(310)까지의 폭으로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심재(320)는 합성수지재를 발포하여 두껍게 형성한 것으로, 절곡판재(300)의 두께에 적어도 2배로 형성하여 챙(200)의 후방을 튼튼하게 지지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심재(320)에 의해서 챙(200)을 꺾어도 몸체(100)의 하단주연부에는 전혀 변화를 주지 않으므로, 착용자의 이마 부분을 압박하지 않아서 착용감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모자를 착용한 상태로 첫번째 절곡선(222)을 중심으로 상부로 꺾어서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제2챙(210)을 첫번째 절곡선(222)을 중심으로 상부로 꺾은 상태(도 4의 (2))와 두번째 절곡선(22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또 한번 꺾은 상태(도 3의 (3))를 나타내는 착용사진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100)와 챙(200)이 형성되고, 상기 챙(200)은 제1,2챙(210, 220)으로 나눠서 형성되는 일반적인 모자에 있어서,
상기 제1챙(210)에는 통풍구(2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챙(220)은 통풍구(215)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챙(210)은 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몸체(100)와 맞닿은 부분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통풍구(215)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챙(220)은 내부에 다수개의 절개선(310)이 형성된 절곡판재(30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판재(300)의 후방하단에는 심재(320)가 형성된다.
상기 심재(320)는 합성수지재를 발포하여 두껍게 형성한 것으로, 절곡판재(300)의 두께에 적어도 2배로 형성하여 제2챙(220)의 후방을 튼튼하게 지지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심재(320)에 의해서 제2챙(220)을 꺾어도 몸체(100)의 하단주연부에는 전혀 변화를 주지 않으므로, 착용자의 이마 부분을 압박하지 않아서 착용감이 좋다.
상기 몸체(100)는 머리를 완전히 감싸지 않고 띠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머리를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챙(200)은 제1챙(210)과 제2챙(220)으로 나눠서 형성되고, 제1챙(210)에는 통풍구(215)가 형성된다.
상기 제1챙(210)의 통풍구(210)는 도 5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안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면이 반원형상으로 절개되어 착용자의 좌우시야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만약, 몸체(100)가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차광을 위한 썬바이저(sun visor) 형태의 모자일 경우에, 상기 제1챙(210)의 통풍구(210)는 몸체(100)의 전방에서 최소 10mm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2챙(220)은 제1챙(100)의 상단에 위치하되, 통풍구(215)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통풍구(215)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심재(320)가 형성된 부분이 몸체(100)의 전방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챙(210)의 후방 끝단이 몸체(100)와 만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2챙(220)의 심재(320)의 측면이 제1챙(210)의 후방부분만큼 절단되어 몸체(100)의 전방과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통풍구(215)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측면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챙(210)은 심재(320)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방으로 돌출된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챙(220)은 적어도 2개의 절곡선(2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곡선(222)은 내부에 삽입되는 절곡패널(300)에 형성된 절개선(310)을 따라서 박음질 된 부분이다.
상기 제2챙(220)은 내부에 심재(320)가 부착된 절곡패널(300)을 삽입하고, 천으로 겉표면을 감싼 상태에서 주연부를 박음질하고, 절개선(310)을 따라서 박음질을 하여 절곡선(222)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기능성 모자의 작동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100)를 이용하여 모자를 머리에 쓰고, 챙(200)을 원하는 각도로 꺾는다.
이때, 첫번째 절곡선(222)을 중심으로 꺾으면 챙(200)의 나머지 넓은 면적이 전방으로 보이게 된다. 만약, 두번째 절곡선(22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꺾으면 기하학적 형상으로 꺾이게 되는 등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하게 꺾어서 착용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를 착용하고, 제2챙(210)을 도 4와 같이 첫번째 절곡선(222)을 상단으로 한번, 두 번째(222) 절곡선을 전방으로 또 한번 꺾으면 통풍구(215)를 통해서 착용자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모자에 의하면 멋을 위해서 챙을 상단으로 꺾어 올릴 때 심재에 의해서 챙의 끝단과 몸체가 만나는 부분에서 모양이 변하지 않으므로 착용이 편안하고, 다단으로 꺾을 수 있어서 더욱 멋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모자의 챙이 이중으로 형성된 이중챙이 형성된 모자일 경우에는 바람이 심하게 불어도 제2챙이 심재에 의해서 튼튼하게 지지되므로 흔들림이 적어서 착용감이 좋고, 제2챙을 제1챙과 수평하게 꺾어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통풍구를 통해서 직사광선이 바로 비췰 수 없으며, 제1챙의 통풍구가 전방은 물론 좌우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절개되어 착용자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어 편리하고, 제2챙이 모자의 몸체의 전방에 심재와 함께 고정되므로, 제2챙을 꺾어서 올리더라도 심재에 의해서 몸체의 형태가 전혀 변하지 않아서 착용감이 좋은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몸체 200 : 챙
210 : 제1챙 215 : 통풍구
220 : 제2챙 222 : 절곡선
223 : 중심선 224 : 지지부재
300 : 절곡패널 310 : 절개선
320 : 심재

Claims (6)

  1. 삭제
  2. 몸체와 챙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은 내부에 적어도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된 절곡판재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판재의 후방하단에 심재가 형성되며, 겉표면은 천으로 감싸서 형성되되,
    상기 심재는 합성수지재를 발포하여 두툼하게 형성하되, 절곡판재의 두께에 비하여 적어도 2배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모자.
  3. 삭제
  4. 몸체와 챙이 형성되고, 상기 챙은 제1,2챙으로 나눠서 형성되는 일반적인 모자에 있어서,
    상기 제1챙에는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챙은 통풍구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2챙은 내부에 적어도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된 절곡판재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판재의 후방하단에는 심재가 형성되며, 겉표면은 천으로 감싸서 형성되되,
    상기 심재는 합성수지재를 발포하여 두툼하게 형성하되, 절곡판재의 두께에 비하여 적어도 2배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모자.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절곡판재의 후방끝단의 첫번째 절개선의 부분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모자.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챙 또는 제2챙은 내부에 심재가 부착된 절곡패널을 삽입하고, 천으로 겉표면을 감싼 상태에서 주연부를 박음질하고, 절개선을 따라서 박음질을 하여 절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모자.
KR1020120044362A 2011-12-29 2012-04-27 기능성 모자 KR10133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64,075 US20140304889A1 (en) 2011-12-29 2012-04-28 Functional cap
PCT/KR2012/003328 WO2013100271A1 (ko) 2011-12-29 2012-04-28 기능성 모자
JP2014549952A JP2015506418A (ja) 2011-12-29 2012-04-28 機能性帽子
CN201280065595.8A CN104080360A (zh) 2011-12-29 2012-04-28 多功能帽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6594 2011-12-29
KR1020110146594 2011-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747A KR20130077747A (ko) 2013-07-09
KR101334931B1 true KR101334931B1 (ko) 2013-12-02

Family

ID=4869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362A KR101334931B1 (ko) 2011-12-29 2012-04-27 기능성 모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304889A1 (ko)
JP (1) JP2015506418A (ko)
KR (1) KR101334931B1 (ko)
CN (1) CN104080360A (ko)
WO (1) WO2013100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827B1 (ko) * 2015-03-05 2016-04-12 오창복 접이식 챙이 형성된 모자
JP6281043B1 (ja) * 2017-08-25 2018-02-21 株式会社安藤 鍔付き帽子、及び、鍔付き帽子の製造方法
US11076653B2 (en) * 2017-08-30 2021-08-03 Kenny HOUSTON Hat showing a message or a logo through a cutout
US11026463B2 (en) 2017-08-30 2021-06-08 Cover 22 Llc Hat brim technology
US11445776B2 (en) * 2020-10-26 2022-09-20 Lv Welborn Reconfigurable bri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240Y1 (ko) * 2000-10-25 2001-10-25 최병도 바람구멍이 형성된 이중 모자챙
KR100691904B1 (ko) * 2005-12-28 2007-03-09 주식회사 다다실업 부분 절개된 챙을 가진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8947A (en) * 1939-01-19 1940-10-22 Brunzell Victor Safety cap for ball players
US2874387A (en) * 1957-05-20 1959-02-24 Bannister Constance Visor cap
US4114201A (en) * 1977-05-12 1978-09-19 Garrison Harold K Ventilated head cover
JPS5526082U (ko) * 1978-08-09 1980-02-20
JPS6075423U (ja) * 1983-10-28 1985-05-27 ベルハツト株式会社 帽子
US4549316A (en) * 1983-10-31 1985-10-29 Capmakers, Ltd. Foldable hat
US5553325A (en) * 1994-12-12 1996-09-10 Gutierrez; Shelley S. Hat with adjustable dual visor
US5621915A (en) * 1995-04-28 1997-04-22 Gary N. Schneider Removable cap visor extension
US5724675A (en) * 1996-09-17 1998-03-10 Adcom Of Iowa Cap with crown formed of two segments
JP2000355815A (ja) * 1999-06-10 2000-12-26 Chuo Boshi Kk 帽 子
US6990692B1 (en) * 2000-02-23 2006-01-31 Dada Corp. Cap with curved visor
KR200236668Y1 (ko) * 2001-03-26 2001-10-10 박근자 모자
US6408443B1 (en) * 2001-04-18 2002-06-25 Dada Corp. Reversible visor
JP2005240207A (ja) * 2004-02-25 2005-09-08 Masaru Aimono 帽子
CN2710399Y (zh) * 2004-06-09 2005-07-20 青岛东友服饰有限公司 折叠帽
US7082618B1 (en) * 2004-06-21 2006-08-01 Mark Muso Cap with hinged vent flaps in visor
US20060090244A1 (en) * 2004-11-03 2006-05-04 Yupoong, Inc. Grooved visor stiffener and headwear using the same
KR200455916Y1 (ko) * 2010-01-30 2011-09-30 서춘미 이중 챙 모자
KR200457025Y1 (ko) * 2010-04-27 2011-12-02 오창복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US8640264B2 (en) * 2010-07-01 2014-02-04 Jon Ramer Cap which utilizes an airfoil effect for inducing cooling
KR101025536B1 (ko) * 2010-11-02 2011-04-04 김복규 말을 수 있는 선캡
USD658854S1 (en) * 2011-08-31 2012-05-08 Cobb John E Ventilated h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240Y1 (ko) * 2000-10-25 2001-10-25 최병도 바람구멍이 형성된 이중 모자챙
KR100691904B1 (ko) * 2005-12-28 2007-03-09 주식회사 다다실업 부분 절개된 챙을 가진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6418A (ja) 2015-03-02
KR20130077747A (ko) 2013-07-09
CN104080360A (zh) 2014-10-01
US20140304889A1 (en) 2014-10-16
WO2013100238A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931B1 (ko) 기능성 모자
US20140053316A1 (en) Sun hat
US20060168708A1 (en) Shade cap
EP2615935B1 (en) Hat systems
US20080028498A1 (en) Hat visor
US20050273906A1 (en) Visor using soft and hard materials
KR100660680B1 (ko) 꺽여지는 챙을 가진 모자
KR100691904B1 (ko) 부분 절개된 챙을 가진 모자
US20090106877A1 (en) Headwear appearing hidden pattern effect
US20170224040A1 (en) Cap having folding visor
KR100708953B1 (ko) 다른 형상물이 결합된 모자
CN217791611U (zh) 可变形帽子
KR200315019Y1 (ko) 모자용 차양
KR20130002206U (ko) 통풍효과를 높인 모자
KR200272650Y1 (ko) 이중 구조의 챙을 가진 모자
KR200401249Y1 (ko) 모자 챙
KR20150002992U (ko) 와이어가 장착된 비니 모자
KR200301364Y1 (ko) 보조 챙이 있는 모자
KR200482043Y1 (ko) 압박감이 적은 모자용 챙심
KR200454768Y1 (ko) 모자챙에 안경수용홈이 형성된 모자
KR200466448Y1 (ko) 크라운을 변형시킨 모자
KR200469573Y1 (ko) 회전된 가림부재가 구비된 차양모
KR20160003305U (ko) 휘어진 챙을 가지는 모자
KR200457707Y1 (ko) 변형 탑버튼을 가진 모자
KR200479093Y1 (ko) 주름밴드가 형성되는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420

Effective date: 201511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200008745;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230

Effective date: 201609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