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025Y1 -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 Google Patents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025Y1
KR200457025Y1 KR2020100004402U KR20100004402U KR200457025Y1 KR 200457025 Y1 KR200457025 Y1 KR 200457025Y1 KR 2020100004402 U KR2020100004402 U KR 2020100004402U KR 20100004402 U KR20100004402 U KR 20100004402U KR 200457025 Y1 KR200457025 Y1 KR 200457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double
cap
v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324U (ko
Inventor
오창복
Original Assignee
오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복 filed Critical 오창복
Priority to KR2020100004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02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2External devices or 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hats, caps or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6Transformable, convertible or reversible ha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챙이 형성된 모자의 챙을 이중으로 형성하되, 제1챙으로부터 제2챙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상태의 제2챙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고정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에 의하면 이중 챙으로 형성되어도 고정수단에 의해서 하나의 챙처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 시에는 이중 챙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풍구의 크기를 원하는 대로 조절함으로 그늘을 형성하여 눈으로 들어오는 태양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DOUBLE SUNSHADE CAP}
본 고안은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챙이 형성된 모자의 챙을 이중으로 형성하되, 제1챙으로부터 제2챙이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상태의 제2챙의 높이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조절된 높이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는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보온을 위해 머리에 쓰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방 혹은 사방으로 챙이 형성되거나, 챙이 없이 형성되는 것 등으로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멋을 창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는 등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챙이 형성된 모자는 챙이 형성되어 있어서 바람이 불 때 쉽게 벗겨지거나, 챙의 아래쪽에 열기가 모이게 되므로 오랫동안 모자를 쓰고 있게 되면 이마 쪽이 더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일반적인 모자의 챙에 바람구멍을 내거나 이중 챙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개선되어오고 있다.
종래의 챙이 형성된 모자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34240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챙이 형성된 모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는 평상 시에도 상단에 형성된 챙이 항상 떨어져 있으므로, 너덜너덜한 느낌을 준다.
(2) 챙에 형성된 통풍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서 항상 일정한 정도의 바람이 유입된다.
(3) 채광을 조절할 수 없어서 운동 등을 할 때 활동이 극히 제한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몸체와 챙이 형성되고, 상기 챙에는 통풍구가 형성되는 일반적인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은 통풍구가 형성된 제1챙과 통풍구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 제2챙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챙의 상단에는 몸체의 내부전방과 연결된 조절끈이 연결되되,
상기 제1챙과 제2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가능하고, 상기 조절끈은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이중 챙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고정수단에 의해서 하나의 챙처럼 고정할 수 있으므로 필요 시에만 이중 챙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통풍구의 크기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3) 제2챙의 높이를 조절하여 그늘을 형성함으로써 눈으로 들어오는 태양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의 저면도.
본 고안은 몸체(100)와 챙(200)이 형성되고, 상기 챙에는 통풍구(214)가 형성되는 일반적인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200)은 통풍구(214)가 형성된 제1챙(210)과 통풍구(214)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 제2챙(22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챙(220)의 상단에는 몸체(100)의 내부전방과 연결된 조절끈(250)이 연결되되,
상기 제1챙(210)과 제2챙(220)은 고정수단(222)으로 서로 고정가능하고, 상기 조절끈(250)은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몸체(100)는 천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머리를 감쌀 수 있도록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챙(200)은 내부에 지지할 수 있는 부재가 삽입되고, 외부는 천 등으로 감사져서 형성되며, 후방 끝단은 몸체(100)의 전방끝단에 재봉으로 결합된다.
상기 챙(200)은 제1챙(210)과 제2챙(220)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챙(210)은 가운데에 개방된 통풍구(21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챙(210)은 제1챙(210)의 통풍구(214)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챙(210)과 일부 외주연이 겹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챙(210)과 제2챙(220)이 겹치는 부분에는 고정수단(222)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수단(222)는 단추, 똑딱이 단추 등으로 적용가능하다.
상기 제2챙(220)의 후방끝단은 몸체(100)의 전방끝단과 함께 재봉된다.
상기 제2챙(220)의 전방가운데에는 일측이 결합되는 조절끈(250)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끈(250)의 타측은 몸체(100)의 전방에 형성된 관통홀(110)을 관통하여 내부전방에 고정된다.
상기 조절끈(250)이 몸체(100)의 내부전방에 고정되는 타측에는 단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길이조절구(252)가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구(252)는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멈춤단턱이 나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멈춤단턱을 따라서 탄성체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면서 이동가능한 고정단턱으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조절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구(252)는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수단(222) 및 조절끈(250)은 모자를 만드는 형태에 따라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의 사용방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모자를 착용함에 있어서 먼저, 제1챙(210)과 제2챙(220)을 고정수단(222)을 활용하여 하나의 챙처럼 고정하여 사용한다.
이때, 바람에 의해서 모자가 날아갈 것 같으면, 고정수단(222)을 분리하여 제2챙(220)을 상단으로 들어올려서 제1챙(210)에 형성된 통풍구(214)를 개방한다.
상기 제2챙(220)을 상단으로 들어올릴 때에는 원하는 높이만큼 조절끈(250)의 길이조절구(252)를 활용하여 몸체(100)의 방향으로 당겨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2챙(220)의 높이를 고정한 후 몸체(100)를 사용하여 착용한다.
상기와 같이 제2챙(220)을 고정하면, 적당한 채광으로 인해서 밝고, 통풍구(214)에 의해서 공기의 유통이 좋으므로 바람에 날아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원하게 착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0 : 몸체 110 : 관통홀
200 : 챙 210 : 제1챙
214 : 통풍구 220 : 제2챙
222 : 고정수단 250 : 조절끈
252 : 길이조절구

Claims (3)

  1. 몸체(100)와 챙(200)이 형성되고, 상기 챙에는 통풍구(214)가 형성되는 일반적인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200)은 통풍구(214)가 형성된 제1챙(210)과 통풍구(214)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 제2챙(22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챙(220)의 상단에는 몸체(100)의 내부전방과 연결된 조절끈(250)이 연결되되,
    상기 제1챙(210)과 제2챙(220)은 고정수단(222)으로 서로 고정가능하고, 상기 조절끈(250)은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끈(250)은 몸체(100)의 내부전방에 고정될 때 길이조절구(25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챙(220)은 통풍구(214)의 크기보다 커서 제1챙(210)과 겹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KR2020100004402U 2010-04-27 2010-04-27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KR200457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02U KR200457025Y1 (ko) 2010-04-27 2010-04-27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02U KR200457025Y1 (ko) 2010-04-27 2010-04-27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24U KR20110010324U (ko) 2011-11-02
KR200457025Y1 true KR200457025Y1 (ko) 2011-12-02

Family

ID=4556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402U KR200457025Y1 (ko) 2010-04-27 2010-04-27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0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238A1 (ko) * 2011-12-29 2013-07-04 Oh Chang Pok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KR101975148B1 (ko) * 2018-09-04 2019-05-03 표동옥 벙거지 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240Y1 (ko) 2000-10-25 2001-10-25 최병도 바람구멍이 형성된 이중 모자챙
KR200251948Y1 (ko) 2001-07-31 2001-11-22 최상근 이중 차양 모자
KR200430688Y1 (ko) 2006-08-24 2006-11-13 이순한 모자용 햇빛가리개.
KR200440784Y1 (ko) 2007-04-13 2008-07-02 김덕진 공간부가 형성된 양면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240Y1 (ko) 2000-10-25 2001-10-25 최병도 바람구멍이 형성된 이중 모자챙
KR200251948Y1 (ko) 2001-07-31 2001-11-22 최상근 이중 차양 모자
KR200430688Y1 (ko) 2006-08-24 2006-11-13 이순한 모자용 햇빛가리개.
KR200440784Y1 (ko) 2007-04-13 2008-07-02 김덕진 공간부가 형성된 양면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24U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096B1 (en) Size adjustment mechanism for headwear
US7398560B1 (en) Hat/visor with brim vent
KR200433255Y1 (ko) 모자용 보조 햇볕 가리개
US10905184B2 (en) Winged visor stiffener for hat's brim
US10085511B2 (en) Hat ventilated through brim
US20220330643A1 (en) Topless Bucket Hat
US20150150328A1 (en) Winged Visor
KR200457025Y1 (ko)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US20180352889A1 (en) Removable chin strap for a hat's brim
JP6233939B1 (ja) 通気性帽子
US9615617B2 (en) Baseball style cap with interchangeable bill or crown portion
KR20130077747A (ko) 기능성 모자
KR200452301Y1 (ko) 모자용 차양막
US20190098951A1 (en) Stiffener for a hat's brim
KR200471010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200457080Y1 (ko) 모자용 햇빛 가리개
KR101230375B1 (ko)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KR200260781Y1 (ko) 모자
KR20120000506U (ko)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CN215837303U (zh) 一种防摔帽
JP7299661B2 (ja) コンバーチブル帽子
KR20130124776A (ko) 조임부로 된 모자
KR200440757Y1 (ko) 차광용 모자
KR20120062402A (ko) 크기 조절형 모자
KR200201167Y1 (ko) 통풍구와썬 글라스를 포함한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