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375B1 -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 Google Patents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375B1
KR101230375B1 KR1020110002544A KR20110002544A KR101230375B1 KR 101230375 B1 KR101230375 B1 KR 101230375B1 KR 1020110002544 A KR1020110002544 A KR 1020110002544A KR 20110002544 A KR20110002544 A KR 20110002544A KR 101230375 B1 KR101230375 B1 KR 101230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window
opening
clos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398A (ko
Inventor
김태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Priority to KR1020110002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3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4Ventilating arrangements for hea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6Manipulation of hat-br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모자(100)의 전방부에 형성된 모자창(10)과 머리를 덮어씌우는 모자 본체(20)로 구성 된 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모자창(10)에는 통기공(14)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람이 상기 통기공(14)을 통해 인입되어 모자(100) 착용자의 안면에 닿게 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모자를 착용 했을 때 모자창이 햇빛을 가리는 동시에 통풍이 잘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시원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CAP WITH CAP VISOR HAVING VENT}
본 발명은 모자 창에 바람이 잘 통하도록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통풍성이 향상되어 머리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통풍이 잘되며 공기흐름의 방향을 조정하여 고글 및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창이 부착된 모자를 착용하게 되면 햇빛을 가리는 효과는 있으나 통풍성이 결여되어 이마 등에 땀이 나서 장시간 착용하기가 불편하다. 특히 여름에는 햇빛은 가릴 수는 있으나 바람이 잘 통하지 않아서 모자를 착용하게 되면 오히려 더울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통풍을 위해서 모자를 벗어서 다시 착용하거나 하여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코나 입을 통하여 내쉬는 김이 고글 및 안경에 서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모자를 착용 했을 때 모자창이 햇빛을 가리는 동시에 통풍이 잘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시원하게 할 수 있으며, 공기흐름의 방향을 조정하여 고글 및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모자(100)의 전방부에 형성된 모자창(10)과 머리를 덮어씌우는 모자 본체(20)로 구성 된 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모자창(10)에는 통기공(14)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람이 상기 통기공(14)을 통해 인입되어 모자(100) 착용자의 안면에 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은 모자를 착용 했을 때 모자창이 햇빛을 가리는 동시에 통풍이 잘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시원하게 할 수 있으며, 공기흐름의 방향을 조정하여 고글 및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발명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사시도
도 2 는 본발명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정면도
도 3은 본발명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의 다른 실시례 사시도
도 4는 본발명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의 다른 실시례 정면도
도 5는 본발명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의 다른 실시례에서 개폐창이 모자창 후부로 돌출된 상태의 사시도
본발명은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것으로, 모자(100)의 전방부에 형성된 모자창(10)과 머리를 덮어씌우는 모자 본체(20)로 구성 된 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모자창(10)에는 통기공(14)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람이 상기 통기공(14)을 통해 인입되어 모자(100) 착용자의 안면에 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기공에는 개폐가능한 개폐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은 개폐창(11)과, 상기 개폐창(11)의 측면을 이루며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이 가능한 양 측면부(12)와, 후방의 힌지부(13)로 구성되어 손으로 개폐창(11)을 누르면 닫기게 되고, 개폐창(11)을 잡아당기면 후방은 힌지부(13)가 힌지역할을 하고, 전방부위는 모자창(10) 표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바람이 상기 돌출되는 부위를 통과하여 모자창(10)에 형성된 통기공(14)을 거쳐 사용자의 안면에 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개폐창(11)과, 힌지부(13)로 구성되어 평소에는 모자창(10)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손으로 개폐창(11)을 누르게 되면, 모자창(10)의 뒷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발명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사시도, 도 2 는 본발명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정면도, 도 3은 본발명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의 다른 실시례 사시도, 도 4는 본발명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의 다른 실시례 정면도, 도 5는 본발명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의 다른 실시례에서 개폐창이 모자창 후부로 돌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발명은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모자(100)의 전방부에 형성된 모자창(10)과 머리를 덮어씌우는 모자 본체(20)로 구성 된 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모자창(10)에는 통기공(14)이 형성된다. 통기공은 하나 또는 다수개 형성할 수 있으며 모양은 원형 또는 사각형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그리고 모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람이 상기 통기공(14)을 통해 인입되어 모자(100) 착용자의 안면에 직접 닿게 되는 것이다.
곧 종래의 모자창은 햇빛은 가릴 수 있으나 모자창 때문에 바람이 직접 안면에 닿지 않게 되므로 더위를 식힐 수 없었고 그렇다고 모자를 일부러 벗을 수 없었으나 본발명과 같이 모자창에 통기공을 형성하면 두가지 목적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편 상기 통기공에는 개폐가능한 개폐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개폐창(11)과, 상기 개폐창(11)의 측면을 이루며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이 가능한 양 측면부(12)와, 후방의 힌지부(13)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착용자가 손으로 개폐창(11)을 누르면 개폐창이 모자창 표면까지 하강하여 통기공이 개폐창에 의해 닫기게 된다.
한편, 개폐창(11)을 잡아당기면 후방은 힌지부(13)가 힌지역할을 하고, 전방부위는 모자창(10) 표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러므로 바람이 상기 돌출되는 부위를 통과하여 모자창(10)에 형성된 통기공(14)을 거쳐 사용자의 안면에 닿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창과 신축가능한 측면부는 모자 재질과 달리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례는 개폐수단을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제로 구현하여, 평소에는 모자창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손으로 개폐창을 누르게 되면, 모자창의 뒷면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 및 착용자의 호흡기로부터 발생하는 김의 흐르는 방향을 조절하여 고글 및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람이 내뿜는 김이 안경이나 고글에 닿아 서리게 되면 시야가 잘 보이지 않게 되나, 본발명은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공기흐름이 조정이 되어, 상대적으로 안경이나 고글으로 향하던 김이 다른 방향으로 흩어지게 되어 안경이나 고글에 김이 서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모자를 착용 했을 때 모자창이 햇빛을 가리는 동시에 통풍이 잘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시원하게 할 수 있으며, 공기흐름의 방향을 조정하여 고글 및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모자 10 : 모자창
11 : 개폐창 12 : 측면부
13 : 힌지부 14 : 통기공
20 : 본체

Claims (3)

  1. 삭제
  2. 모자(100)의 전방부에 형성된 모자창(10)과 머리를 덮어씌우는 모자 본체(20)로 구성 된 모자(100)에 있어서, 상기 모자창(10)에는 통기공(14)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자(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람이 상기 통기공(14)을 통해 인입되어 모자(100) 착용자의 안면에 닿게 되되,
    상기 통기공(14)에는 개폐가능한 개폐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개폐수단은 개폐창(11)과, 상기 개폐창(11)의 측면을 이루며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이 가능한 양 측면부(12)와, 후방의 힌지부(13)로 구성되어 손으로 개폐창(11)을 누르면 닫히게 되고, 개폐창(11)을 잡아당기면 후방은 힌지부(13)가 힌지역할을 하고, 전방부위는 모자창(10) 표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바람이 상기 돌출되는 부위를 통과하여 모자창(10)에 형성된 통기공(14)을 거쳐 사용자의 안면에 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개폐창(11)과, 힌지부(13)로 구성되어 평소에는 모자창(10)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손으로 개폐창(11)을 누르게 되면, 모자창(10)의 뒷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KR1020110002544A 2011-01-11 2011-01-11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KR101230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544A KR101230375B1 (ko) 2011-01-11 2011-01-11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544A KR101230375B1 (ko) 2011-01-11 2011-01-11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398A KR20110018398A (ko) 2011-02-23
KR101230375B1 true KR101230375B1 (ko) 2013-02-06

Family

ID=4377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544A KR101230375B1 (ko) 2011-01-11 2011-01-11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181B1 (ko) * 2018-08-30 2019-03-12 최은진 엘이디모듈이 구비된 패션모자
ES1260277Y (es) * 2020-10-15 2021-04-30 Ariza Ezequiel Cabello Gorra con perforaciones en la viser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584A (ko) * 1990-10-03 1992-05-27 에이다로오 가마다 승차용 헬멧
KR200272763Y1 (ko) 2002-01-29 2002-04-19 윤인서 자외선 차양모
KR200401249Y1 (ko) 2005-08-09 2005-11-15 심치규 모자 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584A (ko) * 1990-10-03 1992-05-27 에이다로오 가마다 승차용 헬멧
KR200272763Y1 (ko) 2002-01-29 2002-04-19 윤인서 자외선 차양모
KR200401249Y1 (ko) 2005-08-09 2005-11-15 심치규 모자 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398A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8560B1 (en) Hat/visor with brim vent
JP2013521854A (ja) 日差し除け機能付き仮面
HRP20161143T1 (hr) Zaštitna kaciga
KR20090091274A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101230375B1 (ko) 모자창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CN202800200U (zh) 保暖遮光面罩
CN105595496A (zh) 一种多功能连衣帽
CN205456327U (zh) 一种多功能连衣帽
EP2272389B1 (en) Visor for safety helmet
KR200426051Y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20100008129A (ko) 통기성이 좋은 차광 마스크
JP3178131U (ja) 日焼け防止フェイスマスク
CN202026889U (zh) 一种多功能防尘帽
KR100753489B1 (ko) 통풍모자
CN103462254A (zh) 保暖遮光面罩
KR200457025Y1 (ko) 이중 챙이 형성된 모자
US20140157474A1 (en) Ventilated eye shield for ski helmet
KR101843643B1 (ko) 통풍 절첩챙 모자
KR200442276Y1 (ko) 귀 가리개가 부착된 안면 햇볕가리개
JP6727679B1 (ja) 通気性帽子
TWM540523U (zh) 帽子結構
KR200479708Y1 (ko) 방한용 모자
KR20140003366U (ko) 가발 탈착 모자
KR200451809Y1 (ko) 차양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