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10Y1 -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 Google Patents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10Y1
KR200481610Y1 KR2020150005022U KR20150005022U KR200481610Y1 KR 200481610 Y1 KR200481610 Y1 KR 200481610Y1 KR 2020150005022 U KR2020150005022 U KR 2020150005022U KR 20150005022 U KR20150005022 U KR 20150005022U KR 200481610 Y1 KR200481610 Y1 KR 200481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re
rim
supporting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훈
Original Assignee
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훈 filed Critical 장훈
Priority to KR2020150005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8Hat-finishing, e.g. polishing, ironing, smoothing, brushing, impregnating, stiffening, deco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연성과 탄성을 지닌 일체형 모자심을 이용해 다양한 모자를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동시에 양면으로 사용가능한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의 챙을 형성하기 위한 챙심부를 형성하고, 상기 챙심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모자의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심부를 형성하며, 상기 챙심부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모자의 크라운을 지지하거나 착용자의 이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심부를 형성하는 모자심을 형성하고, 상기 모자심을 패턴지로 감싸 봉제 후 테두리심부와 지지심부를 연결하여, 모자 제작을 위한 소재비용의 절감과 제작 시간이 절약되어 저렴하게 모자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Parent hat to make using the magnetic core}
본 고안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체화 형태의 모자심을 이용하여 패턴지 개수를 절감하는 동시에 제작 공정 단순화를 통해 다양한 모자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강한 햇빛에 의한 자외선이 눈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게 되지만 현대에는 외출시 자신의 패션을 위한 패션아이템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이러한, 모자는 운동이나 레저활동시 착용하거나 또는 야간에 외출시 또는 산책을 할 경우나 먼지가 떨어지는 곳에서 작업시나 비, 눈이 내릴 경우에도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자 중 챙이 달린 모자의 경우 머리에 착용되는 부분으로 모자본체를 이루는 크라운과, 상기 크라운과 봉제연결되어 햇빛을 가릴 수 있도록 된 챙과, 사람이 모자를 착용시 이마부를 포함하는 머리둘레에 접촉되어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크라운의 안쪽 전면에 봉제연결되는 땀받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모자를 제조시에, 크라운에 있어서는 머리의 형상과 동일하게 둥근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해 상단부를 4등분 또는 6~8등분으로 부분절개한 후, 각 꼭지부분을 모아서 중첩되는 부분 없이 둥근형상으로 형성한 다음 절개부를 각각 봉제(이하 절개부 봉제 공정이라 함)하여 제조하게 되고, 챙부분에 있어서는 반원형 또는 초생달 형상으로 된 원단에 챙심을 삽입한 후에, 상기 크라운의 전면부와 챙을 봉제하여 챙이 달린 모자의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크라운의 하부 가장자리 즉 모자를 착용시 머리둘레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이마의 땀을 흡수할 수 있는 띠 형태의 땀받이를 크라운의 안쪽면에 봉제함으로써 모자가 완성되어진다.
이렇게, 모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크라운과 챙 자체를 형성하기 위한 봉제공정뿐만 아니라, 이들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봉제도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봉제공정이 필요함으로 해서 원가상승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시간당 생산수량을 증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모자를 제작하는 종래 기술 중 특허출원 제10-2006-0031660호는 탄성밴드가 둥글게 말리는 썬캡에 대한 출원으로서, 머리에 착용하는 착용밴드
부와, 그 착용밴드부에 연결되어 햇빛을 가려주는 차양판을 구비한 썬캡에 있어서, 착용밴드부는 전, 후면 원단과 그 전, 후면 원단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 부재들의 적층체를 포함하며, 적층체는, 쿠션용 스펀지 및 10수의 면사를 이용하여 제작된 원단과 형상 유지 및 탄성을 주기 위한 탄성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술의 썬캡은 착용밴드부와 차양판이 서로 별개로 형성되고, 착용밴드부에는 적층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시에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허출원 제10-2002-0017304호는 일체형 차양모자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부인 탄성 클립과 차광부인 바이져를 인서트 몰딩 또는 초음파 접착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한 일체형 차양모자와 이 모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의 문제점도 착용부와 차광부를 별도로 형성하고, 초음파 또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일체로 만드는 것이므로 비용 및 제조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특허출원 제10-2005-0027872호는 텐션력을 가지는 차양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차양부와 외측밴드부로 구성되며, 외측밴드부의 후방으로는 내측밴드부가연결되고, 외측밴드부와 내측밴드부의 사이에는 텐션구멍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는 차양모자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서 차양부와 외측밴드부, 내측밴드부 및 텐션구멍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차양부를 힌지를 형성하여 외측밴드부에 부착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문제점은 머리에 착용시 곡률반경이 서로 달라 텐션구멍이 있는 쪽에서 찌그러짐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외측밴드부 및 내측밴드부와 텐션구멍을 각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면에서 증가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머리에 착용시 두상에 의해 밴드의 끝부분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외측밴드부는 외측으로 내측밴드부는 내측으로 변형되어 차양판 및 모자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유연성 및 탄성을 지녀 장시간 사용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모자심과 소수의 패턴지를 이용하는 단순화와 간단한 공정으로 모자를 쉽게 제작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모자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299378호 2. 대한민국등록번호 제20-0292688호 3.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524175호 4.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333159호 5.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350107호 6.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2010-0002361호 7. 대한민국공개번호 제20-2012-0001807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개량된 경량화 일체형 모자심을 공통으로 이용하여 캡 형태나 바이져 형태의 모자를 간단히 제작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턴지로 모자심을 감싸 봉제하여 모자를 완성함으로써 모자 제작을 위한 소재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부분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모자심의 경량화 및 크라운부분을 봉제나 탈부착 방식으로 적용함으로써 모자가 가벼워지며 단순화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자심을 이용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할 모자의 크기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지지심부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에 따른 모자 제작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의 정도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어 야외활동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모자심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모자를 간단히 뒤집어 양면 모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모자에 있어서, 모자의 챙을 형성하기 위한 챙심부를 형성하고, 상기 챙심부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모자의 테두리를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심부를 형성하며, 상기 챙심부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모자의 크라운을 지지하거나 착용자의 이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심부를 형성하는 모자심을 형성하고, 상기 모자심을 패턴지로 감싸 봉제 후 테두리심부와 지지심부를 연결하여, 상기 테두리심부와 지지심부의 사이에 크라운패턴지를 봉제하거나, 상기 모자심을 패턴지로 감싸고 봉제 후 테두리심부와 지지심부를 연결시켜 모자를 제작함으로써 공정 단순화 및 패턴지 개수가 절감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개량된 경량화 일체형 모자심을 공통으로 이용하여 캡 형태나 바이져 형태의 모자를 간단히 제작하도록 패턴지로 모자심을 감싸 봉제하여 모자를 완성함으로써 모자 제작을 위한 소재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불필요한 부분에는 공간을 형성하여 모자심을 경량화 및 크라운부분을 봉제나 탈부착 방식으로 가볍고 단순화된 모자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자심 자체를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제작할 모자의 크기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지지심부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제작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날씨 정보 취득이 가능하며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모자심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모자를 간단히 뒤집어 양면 모두를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의 모자심과 모자 제작 개념도,
도 2에서 도면 a는 모자심에서 테두리심재 보다 지지심재의 길이가 짧은 경우 평면도, 도면 b는 모자심에서 테두리심재와 지지심재의 길이가 동일한 평면도, 도면 c는 모자심에서 테두리심재 보다 지지심재의 길이가 긴 경우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모자심의 테두리심재가 챙심부와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 개념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모자심의 테두리심재에 길이 조절을 위한 돌기와 돌기홀이 형성된 사시도,
도 4b는 모자심의 테두리심재에 길이 조절을 위한 길이 별도 조절부가 형성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모자심에 크라운패턴지를 단추로 연결 가능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에서 도면 a는 지지심재에 둥근 형태의 절단선이 형성된 평면도, 도면 b는 지지심재에 일자 형태의 절단선이 형성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모자심의 챙심재와 테두리심재나 지지심재의 두께 차이를 표현한 표시도,
도 8은 자외선감지패드가 적용된 것으로 도면 a는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된 캡 형태의 모자의 사시도, 도면 b는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된 바이져 형태의 모자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캡 형태와 바이져 형태의 모자의 제작 순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에 관한 것으로, 챙심부(21)와 테두리심부(22) 및 지지심부(23)가 일체로 형성된 모자심(20)을 패턴지(30)로 감싸고 크라운패턴지(31)를 설치하여 캡 형태로 제작하거나, 상기 모자심(20)을 패턴지(30)로 감싸 바이져 형태로 제작하여 모자(10)를 구성한다.
우선, 상기 모자심(20)은 모자(10)의 챙(11)을 형성하기 위한 챙심부(21)를 형성한다.
상기 챙심부(21)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모자(10)의 테두리(12)를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심부(22)를 형성한다.
상기 챙심부(21)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모자(10)의 크라운(13)을 지지하거나 착용자의 이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심부(23)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심부(23)는 양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지지심부(23a)를 구성하여 캡모자(10A)에 적용시 크라운(13)의 지지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모자심(20)은 유연성 및 탄성력을 지니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유연성 및 탄성력이 없는 단단한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고, 챙심부(21)와 테두리심부(22), 지지심부(23)를 'W' 형태의 일체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의 사이에는 공간(24)을 형성시켜 경량화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모자심(20)은 소비자의 요구나 제작여건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 모자심(20)은 기본적으로 불투명한 것을 예시로 나타내고 있지만 투명하게 제작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테두리심부(22)는 양 끝단이 패턴지(30)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며, 챙심부(21)를 기준으로 43~49°범위로 경사지게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심부(22)의 경사 각도는 모자심(20)을 평면상으로 투영한 상태에서 챙심부(21)의 끝선에 접선되게 가로선을 그려 기준선(C1)을 임의로 정하고, 기준선(C1)을 기준으로 각도 측정시 테두리심부(22)의 중앙에 중심선(C2)를 형성시킨 다음 기울기각(θ1) 각도를 측정하여 산출된 값이다.
이때, 상기 테두리심부(22)의 경사지게 제작한 이유와 경사 각도를 한정하는 이유는 모자(10)를 제작하기 위하여 테두리심부(22)를 모자(10)의 테두리(12) 형태로 잘 휘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모자(10)를 제작했을 때 챙심부(21)가 테두리심부(22)의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시켜 착용자의 얼굴 쪽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수십 번의 모자심을 모의 제작 테스트한 시험 결과에서 돌출시킨 중요한 기술적 구성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심부(22)의 양 끝단 중 하나의 끝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25)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심부(22)의 다른 하나의 끝단에는 돌기(25)가 삽입되는 돌기홀(26)을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하여 착용자의 머리둘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테두리심부(22)의 양 끝단 중 하나의 끝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25)를 형성한 제1조절부(28)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심부(22)의 다른 하나의 끝단에는 돌기(25)가 삽입되는 돌기홀(26)을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한 제2조절부(29)를 설치하여 착용자의 머리둘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테두리심부(22)의 양 끝단에 각각 돌기(25)와 돌기홀(26)을 형성시키거나 제1,2조절부(28)(29)를 설치하는 이유는 모자(10)는 제작 당시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기준으로 표준 사이즈 약 58cm 둘레 길이로 제작되지만 사용자의 사용 여건에 따라 반드시 모자(10)의 크기를 조절해야함으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크기 조절을 위한 부품을 부착하는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일체의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테두리심부(22)에 돌기(25)와 돌기홀(26)을 형성시킨 경우에는 패턴지(30)에서 양 끝단을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본 고안에서는 기본적으로 테두리심부(22)를 분리시킨 형태로 예시하고 있지만 양 끝단이 서로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모자심(20)을 변경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심부(23)는 테두리심부(22)보다 긴 경우 야구 모자와 같은 캡모자(10A)에 적용하기 적당하며, 상기 지지심부(23)가 테두리심부(22)보다 짧거나 동일한 경우 바이져모자(10B)에 적용하기 적당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모자심(20)은 전면에 챙(11)이 형성되는 후방으로 크라운(13)이 형성되는 캡(Cap) 형태의 모자(10)를 제조시 모자심(20)을 제1,2패턴지(30a)(30b)로 감싸 테두리 끝단을 봉제한다.
상기 모자심(20)의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크라운패턴지(31)로 메움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라운패턴지(31)는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의 끝단에 봉재(재봉), 접착, 벨크로테입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크라운패턴지(31)와 테두리심부(22) 및 지지심부(23)의 끝단에 각각 단추(50)를 형성시켜 탈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추(50)는 똑딱이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 상기 모자심(20)은 전면에 챙(11)이 형성되는 후방으로 테두리(12)가 형성되는 바이져(Visor) 형태에 모자(10)를 제조시 모자심(20)을 제1,2패턴지(30a)(30b)로 감싸 테두리 끝단을 봉제한다.
그리고, 상기 모자심(20)의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를 연결하여 착용시 지지심부(23)가 착용자의 이마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심부(23)는 다수개의 절단선(27)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제작하는 모자(10)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절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상기 지지심부(23)에 모자심(20)의 제작 당시 절단선(27)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절단선(27)의 간격은 모자(10) 제작 작업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1cm간격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절단선(27)의 간격을 통해 정확한 치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절단선(27)은 일자 형태, 둥근 형태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는데, 둥근 형태로 형성할 경우 절단 끝단에 모서리가 발생하지 않아 패턴지(30)에 걸림 현상이 없으며 작업자의 손이 찔리거나 긁힘을 예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모자(10)의 챙(11) 상부면에는 자외선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자외선감지패드(40)를 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외선에 대한 정보를 육안을 통해 간단히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모자(10)는 뒤집는 작용으로 양면을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오염 등으로 인한 문제 발생시 간단히 뒤집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자심(20)의 전체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상기 모자심(20)의 챙심부(21)의 챙심두께(T1)가 테두리심부(22)나 지지심부(23)의 심부두께(T2)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챙심부(21)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스냅백 형태의 모자의 경우 챙을 구부려 사용하지 않는 점을 감안하여 적용성을 증대시키며 사용시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패턴지(30)는 직물, 비닐, 부직포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패턴지(30) 전체에 동일한 문양이나 색상을 띄도록 할 수도 있으며, 모자심(20)을 감쌀 때 외측이나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을 문양이나 색상을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자(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모자심(20)의 설계를 통해 모자심(20)의 기초가 되는 모자심 판소재에 작도 및 재단 작업을 통해 수작업으로 절단하는 방식이나 미리 제작된 커팅틀을 이용하여 절단하거나, 별도 자동화 기기를 이용하여 작도 및 재단하는 자동화 방식이나, 돌기(25)와 돌기홀(26)이 형성될 경우에는 사출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자심(20)의 지지심부(23)에 형성되는 절단선(27)은 제작이나 작도 당시에 표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자심(20)의 제작과 동시에 패턴지(30)의 제1,2패턴지(30a)(30b)를 모자심(20)의 상하부 면을 각각 감쌀 수 있는 면적으로 재단한 후 모자심(20)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시킨 후 제1,2패턴지(30a)(30b)의 테두리 끝단을 봉제작업 한다.
즉, 상기 제1,2패턴지(30a)(30b)는 우선적으로 외측으로 보여질 면을 서로 맞댄 후 일 끝단을 봉제하여 연결한 후 뒤집은 다음 모자심(20)을 감싸고 나머지 끝단을 봉제하는 것이다.
이후, 제작할 모자(20)가 캡 형태의 모자일 경우에는 모자심(20)을 그대로 이용하며, 바이져 형태의 모자일 경우에는 지지심부(23)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선(27)을 따라 절단하여 사용한다.
아울러, 제작할 모자(20)가 캡 형태의 모자일 경우에는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가 이루는 공간(24)을 메움할 크라운패턴지(31)를 별도로 재단하여 준비한다.
이후, 상기 캡 형태의 모자(10)는 제1,2패턴지(30a)(30b)로 감싸 봉제된 모자심(20)의 공간(24)에 크라운패턴지(31)를 위치시킨 후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에 재봉방식이나 부착방식, 벨크로테입 방식, 단추(50)를 이용하여 간단히 제작을 완료한다.
이때, 캡 형태의 모자(10)를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 지지심부(23)에 의해 크라운(13)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착용자에게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챙심부(21)와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지지심부(23)는 착용자의 이마 부분에 가볍게 접촉함으로써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바이져 형태의 모자(10)를 사용자가 착용할 경우 지지심부(23)의 길이를 짧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착용시 지지심부(23)는 착용자의 이마 부분에 가볍게 접촉함으로써 쉽게 벗겨짐을 방지하며 모자(10)의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적 특징이 있다.
이로써, 본 고안에서 제안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모자(10)와 기존 방식으로 제작되는 모자를 비교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종래 방식의 모자 본 고안의 모자 비고
모자의 소재(부품)수 : 외피 및 내피 별도로 파악 캡 형태 모자의 경우 : 모자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챙심재, 테두리심재, 크기조절부재, 챙 및 크라운 형성을 위한 패턴지, 땀받이, 크라운 연결띠를 포함여하 최소7~13장이 필요.
바이져 형태 모자의 경우 : 챙심재, 테두리심재, 챙 및 테두리 형성을 위한 패턴지가 최소2~3장이 필요.
캡 형태나 바이져 형태 모자의 경우 : 공통적으로 모자심(20), 두 장의 패턴지(30)만, 두 장의 크라운패턴진(31) 필요.
종래 방식에 따른 모자의 경우 모자 제작을 위한 소재의 수가 최소 3~10개가 필요한 반면,
본 고안의 모자(10)는 동일 형상의 2개의 소재만 소요되는 특징이 있다.
모자의 제작 공정 및 공정수 캡 형태 모자의 경우 : 모자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1. 챙심재를 패턴지로 감싸 봉제하여 모자챙 제작.
2. 테두리심재를 패턴지로 감싸 봉제한 하여 테두리 제작.
3. 모자챙과 테두리 봉제 연결.
4. 모자챙과 테두리에 크라운 소재를 낱장씩 연결띠를 이용하여 각각 서로 연결하여 봉제

바이져 형태 모자의 경우 :
1. 챙심재를 패턴지로 감싸 봉제하여 모자챙 제작.
2. 테두리심재를 패턴지로 감싸 봉제한 하여 테두리 제작.
3. 모자챙과 테두리 봉제 연결.
캡 형태나 바이져 형태 모자의 경우 : 공통적으로 모자심(20)의 상하면을 패턴지(30)로 감싸 모자(10)의 형태를 이루도록 당기면서 봉제 작업으로 마감. 종래 방식에 따른 모자 제작공정은 3공정에서 4공정을 거쳐 모자의 제작을 완료하는 반면,
본 고안의 모자(10)는 3공정을 통해 제작을 완료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시간이 현저히 짧아지는 특징이 있다.
모자의 제작 소요시간
캡 형태 모자의 경우 : 모자의 1개 제작시 약 23~27분 소요.
바이져 형태 모자의 경우 : 약 12~15분 소요.
캡 형태나 바이져 형태 모자의 경우 : 공통적으로 약 10~13분 소요. 종래 방식에 따른 모자 제작시간은 최소 8분에서 최대 약 30분 정도로 모자의 제작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본 고안의 모자(10)는 약 6분간의 시간을 통해 제작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모자의 제작비용 캡 형태 모자의 경우 : 5800~6000원
바이져 형태 모자의 경우 : 2500~3000원 소요.
캡 형태 모자의 경 우: 3500~3800원
바이져 형태 모자의 경우 : 1800~2000원 소요.
종래 방식에 따른 모자 제작비용은 약 2500~6000원 가량 소요되는 반면,
본 고안의 모자(10)는 약 1800~3800원 정도 소요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모자를 제작 가능한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모자 제작 방식은 모자를 제작하기 위한 소재의 수가 많이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소재의 수를 봉제하는 작업 공정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제작 단가가 상승하여 판매단가의 상승을 일으키는 효율성이 없는 방식인 반면, 본 고안에 따른 보자 제작 방식은 모자를 제작하기 위해 2개의 소재를 이용해 모자 제작을 완료함으로써 제작 단가가 저렴하여 판매단가의 하락시켜 소비자에게 구입에 따른 비용적 부담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모자 11 : 챙
12 : 테두리 13 : 크라운
20 : 모자심 21 : 챙심부
22 : 테두리심부 23 : 지지심부
24 : 공간 25 : 돌기
26 : 돌기홀 27 : 절단선
28 : 제1조절부 29 : 제2조절부
30 : 패턴지 30a : 제1패턴지
30b : 제2패턴지 31 : 크라운패턴지
40 : 자외선감지패드 50 : 단추
C 1: 기준선 C2 : 중심선
θ1 : 기울기각 T1 : 챙심두께
T2 : 심부두께

Claims (14)

  1. 모자에 있어서,
    모자(10)의 챙(11)을 형성하기 위한 챙심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챙심부(21)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모자(10)의 테두리(12)를 형성하기 위한 테두리심부(22)를 형성하며,
    상기 챙심부(21)의 중앙에서 연장되어 모자(10)의 크라운(13)을 지지하거나 착용자의 이마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심부(23)를 형성하는 모자심(20)을 형성하고,
    상기 모자심(20)을 패턴지(30)로 감싸 봉제 후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를 연결하여,
    상기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의 사이에 크라운패턴지(31)를 봉제하거나, 상기 모자심(20)을 패턴지(30)로 감싸고 봉제 후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를 연결시켜 모자(10)를 제작함으로써 공정 단순화 및 패턴지(30) 개수가 절감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심(20)은 유연성 및 탄성력을 지니는 합성수지재질로 챙심부(21)와 테두리심부(22), 지지심부(23)가 'W' 형태의 일체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의 사이에는 공간(24)을 형성시켜 경량화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심(20)의 테두리심부(22)는 챙심부(21)의 양측에 연장되는 연결지점을 기준으로 진행할수록 외측을 향하게 벌어지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심부(22)는 양 끝단이 패턴지(30)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며, 챙심부(21)를 기준으로 43~49°범위로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심부(22)의 양 끝단 중 하나의 끝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25)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심부(22)의 다른 하나의 끝단에는 돌기(25)가 삽입되는 돌기홀(26)을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하여 착용자의 머리둘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심부(22)의 양 끝단 중 하나의 끝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기(25)를 형성한 제1조절부(28)를 설치하고,
    상기 테두리심부(22)의 다른 하나의 끝단에는 돌기(25)가 삽입되는 돌기홀(26)을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한 제2조절부(29)를 설치하여 착용자의 머리둘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심부(23)는 테두리심부(22)의 길이보다 짧거나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하며,
    상기 지지심부(23)에는 양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지지심부(23a)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심부(23)는 다수개의 절단선(27)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제작하는 모자(10)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절단할 수 있도록 일자 형태, 둥근 형태 중 하나로 절단선(27)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10)의 챙(11) 상부면에는 자외선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자외선감지패드(4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심(20)은 전면에 챙(11)이 형성되는 후방으로 크라운(13)이 형성되는 캡(Cap) 형태의 모자(10)를 제조시 모자심(20)을 제1,2패턴지(30a)(30b)로 감싸 테두리 끝단을 봉제하고,
    상기 모자심(20)의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 크라운패턴지(31)로 메움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패턴지(31)는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의 끝단에 봉재(재봉), 접착, 벨크로테입 방식으로 부착하거나,
    상기 크라운패턴지(31)와 테두리심부(22) 및 지지심부(23)의 끝단에 각각 단추(50)를 형성시켜 탈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심(20)은 전면에 챙(11)이 형성되는 후방으로 테두리(12)가 형성되는 바이져(Visor) 형태에 모자(10)를 제조시 모자심(20)을 제1,2패턴지(30a)(30b)로 감싸 테두리 끝단을 봉제하고,
    상기 모자심(20)의 테두리심부(22)와 지지심부(23)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심부(23)가 착용자의 이마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심(20)의 전체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상기 모자심(20)의 챙심부(21)의 챙심두께(T1)가 테두리심부(22)나 지지심부(23)의 심부두께(T2)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지(30)나 크라운패턴지(31)는 직물, 비닐, 부직포 중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KR2020150005022U 2015-07-27 2015-07-27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KR200481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22U KR200481610Y1 (ko) 2015-07-27 2015-07-27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22U KR200481610Y1 (ko) 2015-07-27 2015-07-27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610Y1 true KR200481610Y1 (ko) 2016-10-20

Family

ID=5723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022U KR200481610Y1 (ko) 2015-07-27 2015-07-27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550B1 (ko) * 2018-11-02 2020-03-02 박종우 탈부착 가능한 모자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2905A (ja) * 1992-08-05 1994-07-12 C Sutatsufu:Kk 一体形成されたサンバイザーとうちわのセット
KR200243049Y1 (ko) * 2001-05-24 2001-10-15 조승현 차양이 회전 및 분리되는 모자
KR200260965Y1 (ko) * 2001-10-23 2002-01-17 김남현 모자
KR100333159B1 (ko) 2001-08-22 2002-04-18 이성택 챙 일체형 모자의 제조방법
KR100350107B1 (en) 2002-03-29 2002-08-24 Tae Kwak In Integrated broad-brimmed cap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ame
KR200292688Y1 (ko) 2002-07-15 2002-10-25 주식회사 다다실업 유선형 모자
KR200299378Y1 (ko) 2002-09-12 2003-01-03 송형숙 봉제선없는 성형모자
KR20100002361U (ko) 2008-08-26 2010-03-08 권승 모자
KR20110046774A (ko) * 2009-10-29 2011-05-06 노영진 자외선 유효선량 표시 모자
KR20120001807U (ko) 2010-09-01 2012-03-09 허동수 일체형 합성수지재 썬캡
KR101524175B1 (ko) 2013-09-05 2015-06-01 정용희 차양 모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2905A (ja) * 1992-08-05 1994-07-12 C Sutatsufu:Kk 一体形成されたサンバイザーとうちわのセット
KR200243049Y1 (ko) * 2001-05-24 2001-10-15 조승현 차양이 회전 및 분리되는 모자
KR100333159B1 (ko) 2001-08-22 2002-04-18 이성택 챙 일체형 모자의 제조방법
KR200260965Y1 (ko) * 2001-10-23 2002-01-17 김남현 모자
KR100350107B1 (en) 2002-03-29 2002-08-24 Tae Kwak In Integrated broad-brimmed cap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ame
KR200292688Y1 (ko) 2002-07-15 2002-10-25 주식회사 다다실업 유선형 모자
KR200299378Y1 (ko) 2002-09-12 2003-01-03 송형숙 봉제선없는 성형모자
KR20100002361U (ko) 2008-08-26 2010-03-08 권승 모자
KR20110046774A (ko) * 2009-10-29 2011-05-06 노영진 자외선 유효선량 표시 모자
KR20120001807U (ko) 2010-09-01 2012-03-09 허동수 일체형 합성수지재 썬캡
KR101524175B1 (ko) 2013-09-05 2015-06-01 정용희 차양 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550B1 (ko) * 2018-11-02 2020-03-02 박종우 탈부착 가능한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479B1 (ko)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US7278173B2 (en) Adjustable baseball cap
CA2353128C (en) Sweat-absorbing headgear
US5845338A (en) Multi use head cover
KR200450004Y1 (ko) 차양기능을 가지는 가면
US20020100107A1 (en) Detachable disposable sweatband
US7676849B2 (en) Free-size headwear
KR100566488B1 (ko) 모자
CA2470841A1 (en) Stretch band construction for caps
KR200481610Y1 (ko)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JP3219279U (ja) 日除け帽子
KR101369204B1 (ko) 착탈가능한 차양을 갖는 착용구
KR200471010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200366134Y1 (ko) 위생모자
KR101524175B1 (ko) 차양 모
KR100950078B1 (ko) 보조차양 출입형 차양을 갖는 모자
KR200390351Y1 (ko) 두건겸용 모자
US20130247274A1 (en) Headgear with stretchable headband
US20050235395A1 (en) Cap having a visor with soft inner edge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CN217791611U (zh) 可变形帽子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200297339Y1 (ko) 차양모의 헤어밴드
KR100853273B1 (ko)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KR200491376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