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273B1 -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273B1
KR100853273B1 KR1020070046343A KR20070046343A KR100853273B1 KR 100853273 B1 KR100853273 B1 KR 100853273B1 KR 1020070046343 A KR1020070046343 A KR 1020070046343A KR 20070046343 A KR20070046343 A KR 20070046343A KR 100853273 B1 KR100853273 B1 KR 10085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brim
crown
bristle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신모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신모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신모자
Priority to KR1020070046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머리를 감싸도록 구성된 크라운과, 크라운의 일측에 결합되는 챙을 포함하는 모자(cap)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챙은 챙심과, 챙심의 상면 또는 하면을 덮으면서 챙심의 후방부를 제외한 전방부 및 좌우측부 가장자리에 재봉되고 후방부가 크라운에 재봉되어 챙심과 챙심의 상면 또는 하면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원단으로 구성된다. 이 발명의 모자는 챙의 챙심과 크라운을 분리 구성하되 챙의 하면원단 또는 상면원단을 크라운에 연결 재봉함으로써 챙심과 하면원단 또는 상면원단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이 발명의 모자는 챙의 챙심과 크라운을 분리 구성함에 따라 챙심의 딱딱한 느낌을 땀밴드를 통해 착용자의 이마부위에 전달하지 않고 부드러운 크라운의 느낌을 땀밴드를 통해 이마부위에 균일하게 전달함으로, 착용감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Cap with store spa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한 종류의 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자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자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자의 C-C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모자 210 : 챙
211 : 챙심 212 : 상면원단
213 : 하면원단 214 : 제1 테두리원단
215 : 제2 테두리원단 220 : 크라운
230 : 땀밴드
이 발명은 모자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챙의 챙심과 크라운을 분리 구성하되 챙의 상면원단 또는 하면원단을 크라운에 연결 재봉함으로써 챙심과 상면원단 또는 하면원단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모자는 형상, 모양 및 기능 등과 같은 그 쓰임새에 따라 멋을 부리는 패션소품 또는 야외에서 햇빛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햇빛 가리개 용도로 대중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자는 크라운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머리 전체를 덮는 형태와, 크라운이 없고 챙이 넓은 형태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들 모자에는 착용자의 이마 등에 맞닿아 모자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거나 땀을 흡수하는 머리띠나 땀밴드(sweat band)를 갖도록 구성된다. 머리띠는 모자의 종류에 따라 땀을 흡수하는 흡수성 소재 혹은 땀을 흡수하지 못하는 비흡수성 소재로 구성되고, 땀밴드는 땀을 흡수하는 흡수성 소재로 구성되는데, 흡수성 소재로는 부드러운 면 종류나 쿨맥스 또는 쿨에버라는 상표명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고, 비흡수성 소재로는 딱딱한 합성수지재료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한 종류의 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자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cap)(100)를 머리에 착용했을 때에 사람의 이마부위에는 전방으로 챙(110)이 위치하고, 이런 챙(110)에 의해 얼굴부위로 그늘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챙(110)은 모자(100)의 상부에서 내리쬐는 햇빛을 차단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한다.
한편, 이런 챙(110)의 중간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 딱딱한 챙심(111)이 위치하고, 이런 챙심(111)의 상하면에는 챙심(111)의 면적과 동일한 상면원단(112)과 하면원단(113)이 위치하며, 이런 상하면에 위치한 상면원단(112)과 하면원단(113)의 가장자리를 덮는 테두리원단(114)이 재봉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모자(100)를 착용하였을 때에 사람의 이마부위에 위치하는 챙(110)의 후방부는 모자의 본체인 크라운(120)에 재봉 고정된다. 즉, 챙심(111)을 감싸는 상하면원단(112, 113)의 끝부분과 크라운(120)의 끝부분을 서로 재봉함에 따라 챙(110)의 후방부가 크라운(120)에 재봉 고정된다. 이렇게 상하면원단(112, 113)의 끝부분과 크라운(120)의 끝부분을 서로 재봉하고 크라운(120)의 끝부분을 마감 처리할 때에 땀밴드(130)의 일단을 함께 재봉한다.
이렇듯, 종래기술의 모자(100)는 챙심(111)을 감싸는 상하면원단(112, 113)의 끝부분과 크라운(120)의 끝부분을 서로 재봉하기 때문에, 챙심(111)과 상하면원단(112, 113) 사이의 공간이 모자(100)의 외부에서 폐쇄되어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지 못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카드 등 작은 사물을 보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모자(100)는 챙심(111)을 감싸는 상하면원단(112, 113)의 끝부분과 크라운(120)의 끝부분 및 땀밴드(130)의 일단을 함께 재봉하여 구성함에 따라, 챙심(111)의 딱딱한 느낌이 땀밴드(130)를 통해 착용자의 이마부위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딱딱한 챙심(111)을 구부리거나 펼침에 따른 변형에 연동하여 크라운(120) 및 땀밴드(130)가 함께 변형되기 때문에, 딱딱한 챙심(111)을 구부리거나 펼쳐 착용자에게 적합한 변형 형태를 갖는다 하더라도 땀밴드(130)가 착용자의 이마부위에 균일하게 밀착하지 못함에 따라, 어느 부위는 이마부위를 압박하고 다른 부위는 이마부위에 밀착되지 못해 착용감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챙의 챙심과 크라운을 분리 구성하되 챙의 상면원단 또는 하면원단을 크라운에 연결 재봉함으로써 챙심과 상면원단 또는 하면원단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챙의 챙심과 크라운을 분리 구성함에 따라 챙심의 딱딱한 느낌을 땀밴드를 통해 착용자의 이마부위에 전달하지 않고 부드러운 크라운의 느낌을 부드러운 땀밴드를 통해 이마부위에 균일하게 전달함으로써, 착용감을 개선한 모자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르면, 머리를 감싸도록 구성된 크라운과, 크라운의 일측에 결합되는 챙을 포함하는 모자(cap)에 있어서, 챙은 챙심과, 챙심의 상면 또는 하면을 덮으면서 챙심의 후방부를 제외한 전방부 및 좌우측부 가장자리에 재봉되고 후방부가 크라운에 재봉되어 챙심과 챙심의 상면 또는 하면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원단은 챙심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덮는 상면원단 및 하면원단과, 상면원단과 하면원단의 전방부 및 좌우측부 가장자리를 함께 덮은 상태에서 챙심에 재봉하는 제1 테두리원단과, 상면원단의 후방부 가장자리를 덮은 상태에서 챙심에 재봉하는 제2 테두리원단을 포함하며, 하면원단 중에서 재봉되지 않은 후방부를 크라운에 재봉함으로써, 챙심과 하면원단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이 발명은 하면원단의 후방부와 크라운의 끝부분을 따라 그 일단이 재봉되어 크라운의 내측 일부분에 위치함으로써 착용자의 이마부위에 밀착되는 땀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땀밴드는 모자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신축성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챙심은 두 개로 분할되며, 챙심의 분할된 부위는 착용자의 이마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좌우 대칭되게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원단은 분할된 챙심의 상면을 각각 덮는 한 쌍의 상면원단과, 분할된 챙심의 하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하면원단과, 한 쌍의 상면원단과 하면원단의 전방부 및 좌우측부 가장자리를 함께 덮은 상태에서 분할된 챙심에 재봉하는 제1 테두리원단과, 한 쌍의 상면원단과 분할된 챙심의 분할면 가장자리를 함께 덮은 상태에서 분할된 챙심에 재봉하는 제3 테두리원단, 및 한 쌍의 상면원단의 후방부 가장자리를 덮은 상태에서 분할된 챙심에 재봉하는 제2 테두리원단을 포함하며, 하면원단 중에서 재봉되지 않은 후방부를 크라운에 재봉함으로써, 분할된 챙심과 하면원단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자의 B-B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모자(cap)(200)는 챙의 챙심과 크라운이 분리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모자(cap)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된다. 즉, 이 실시예의 모자(200)는 머리에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이마부위 전방에 위치하는 챙(210)과,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며 챙(210)의 후방부에 재봉 결합되는 모자 본체인 크라운(220), 및 크라운(220)의 내측 일부분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이마부위에 밀착되는 땀밴드(230)로 구성된다. 따라서 모자(200)를 머리에 착용할 경우 챙(210)에 의해 착용자의 얼굴부위로 그늘이 형성되어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챙(210)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딱딱한 챙심(211)이 중간에 위치하고, 이런 챙심(211)의 상하면에 챙심(211)의 면적에 상응하는 상면원단(212)과 하면원단(213)이 위치하며, 이런 상하면에 위치한 상면원단(212)과 하면원단(213)의 전방부 및 좌우측부 가장자리를 함께 덮는 제1 테두리원단(214)과, 상면원단(212)의 후방부 가장자리를 덮는 제2 테두리원단(215)을 챙심(211)에 각각 재봉하여 구성한다. 이때, 챙(210)을 구성함에 있어 제1, 제2 테두리원단(214, 215)을 사용하지 않고 상면원단(212)과 하면원단(213)을 챙심(211)에 직접 재봉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 실시예의 챙(210)은 하면원단(213)의 후방부를 챙심(211)에 재봉하지 않음에 따라, 챙심(210)과 하면원단(213)의 사이에 챙심(2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납공간에는 카드 등 작은 사물(P)을 수 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챙(210)은 그 후방부가 모자의 본체인 크라운(220)에 재봉 고정된다. 즉, 챙(210)의 하면원단(213)의 후방부를 크라운(220)에 재봉함으로써, 챙심(210)과 하면원단(213)의 사이에 챙심(2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모자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면원단(213)의 후방부와 크라운(220)의 끝부분을 서로 재봉하고 크라운(220)의 끝부분을 마감 처리할 때에 땀밴드(230)의 일단을 함께 재봉한다.
이 실시예의 땀밴드(230)는 땀을 흡수하는 흡수성 소재로 부드러운 면 종류나 쿨맥스 또는 쿨에버라는 상표명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거나, 비흡수성 소재로 딱딱한 합성수지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땀밴드(230)를 부드러운 소재를 이용할 경우, 이러한 땀밴드(230)는 딱딱한 챙심(211)에 전혀 연결되지 않고, 부드러운 하면원단(213)의 후방부와 크라운(220)의 끝부분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모자(200)를 착용할 경우, 부드러운 하면원단(213) 및 크라운(220)에 연결된 부드러운 땀밴드(230)가 착용자의 이마부위에 균일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모자(200)는 땀밴드(230)를 구성함에 있어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구현함으로써, 모자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별도의 조절부 없이도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땀밴드(230)의 전체를 신축성 소재로 구성하거나, 땀밴드(230)의 일부분을 신축성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신축성 소재의 땀밴드(230)가 부드러운 하면원단(213) 및 크라운(220)에 연결되기 때문에, 모자의 사 이즈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챙심(210)과 하면원단(213)의 사이에 챙심(2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였으나, 챙심(210)과 상면원단(212)의 사이에 챙심(2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실시예와 동일 개념을 갖되, 단지 상면원단(213)의 후방부를 챙심(211)에 재봉하지 않고 크라운(220)에 재봉함으로써, 챙심(210)과 상면원단(212)의 사이에 챙심(2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모자를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자의 C-C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모자(cap)(300)는 보관 및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챙을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모자(2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의 모자(300)는 머리에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이마부위 전방에 위치하는 챙(310)과,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며 챙(310)의 후방부에 재봉 결합되는 모자 본체인 크라운(320), 및 크라운(320)의 내측 일부분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이마부위에 밀착되는 땀밴드(도시안됨)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챙(310)을 구성하는 챙심(311)은 크라운(320)에 재봉되는 후방부의 중심에서 전방, 즉, 모자(300)를 썼을 때에 챙(310)이 사람의 이마에서 앞 쪽 방향으로 절단된다. 따라서 절단된 두 개의 챙심(311)은 형상이 동일하며, 두 개 의 챙심(311) 절단면이 상호 접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실시예의 챙심(211)과 같은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한편, 두 개의 챙심(311)의 상면에는 각각의 챙심(311)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상면원단(312)이 위치하고, 제3 테두리원단(316)이 챙심(311)의 절단면을 따라 챙심(311)과 상면원단(312)의 가장자리를 감싸며, 두 챙심(311)의 절단면에 위치한 제3 테두리원단(316)과 챙심(311) 및 상면원단(312)의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두 개의 챙심(311)에 재봉된 제3 테두리원단(316)이 상호 접한 상태에서 두 챙심(311)의 전체면적과 동일한 하면원단(313)이 두 챙심(311)의 하면에 위치하고, 제1 테두리원단(314)이 상면원단(312)과 두 챙심(311) 및 하면원단(313)의 가장자리를 감싼다. 이 때, 제1 테두리원단(314)은 챙심(311)의 전방부 및 좌우측부 가장자리를 감싼 후에 재봉된다.
그리고 제2 테두리원단(315)은 상면원단(312)의 후방부 가장자리를 덮고 챙심(311)에 각각 재봉된다. 이때, 챙(310)을 구성함에 있어 제1, 제2, 제3 테두리원단(314, 315, 316)을 사용하지 않고 상면원단(312)과 하면원단(313)을 직접 재봉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 실시예의 챙(310)은 하면원단(313)의 후방부를 챙심(311)에 재봉하지 않음에 따라, 챙심(310)과 하면원단(313)의 사이에 챙심(3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납공간에는 카드 등 작은 사물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챙심(311)을 두 개로 구성함에 따라 보관 및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챙(310)을 접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챙(310)은 그 후방부가 모자의 본체인 크라운(320)에 재봉 고정된다. 즉, 챙(310)의 하면원단(313)의 후방부를 크라운(320)에 재봉함으로써, 챙심(310)과 하면원단(313)의 사이에 챙심(3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모자가 형성된다. 이렇게 하면원단(313)의 후방부와 크라운(320)의 끝부분을 서로 재봉하고 크라운(320)의 끝부분을 마감 처리할 때에 땀밴드의 일단을 함께 재봉한다.
이 실시예의 땀밴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땀밴드(23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챙심(310)과 하면원단(313)의 사이에 챙심(3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였으나, 챙심(310)과 상면원단(312)의 사이에 챙심(3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실시예와 동일 개념을 갖되, 단지 상면원단(313)의 후방부를 챙심(311)에 재봉하지 않고 크라운(320)에 재봉함으로써, 챙심(310)과 상면원단(312)의 사이에 챙심(310)의 너비에 상응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모자를 제작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모자는 챙의 챙심과 크라운을 분리 구성하되 챙의 하면원단 또는 상면원단을 크라운에 연결 재봉함으로써 챙심과 하면원단 또는 상면원단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이 발명의 모자는 챙의 챙심과 크라운을 분리 구성함에 따라 챙심의 딱딱한 느낌을 땀밴드를 통해 착용자의 이마부위에 전달하지 않고 부드러운 크라운 의 느낌을 부드러운 땀밴드를 통해 이마부위에 균일하게 전달함으로, 착용감이 개선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머리를 감싸도록 구성된 크라운과, 상기 크라운의 일측에 결합되는 챙, 및 상기 크라운의 끝부분을 따라 그 일단이 재봉되어 상기 크라운의 내측 일부분에 위치함으로써 착용자의 이마부위에 밀착되는 땀밴드를 포함하는 모자(cap)에 있어서,
    상기 챙은 챙심과, 상기 챙심의 상면 또는 하면을 덮으면서 상기 챙심의 후방부를 제외한 전방부 및 좌우측부 가장자리에 재봉되고 후방부가 상기 크라운에 재봉되어 상기 챙심과 상기 챙심의 상면 또는 하면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원단을 포함하고,
    상기 땀밴드는 상기 원단의 후방부와 상기 크라운의 끝부분을 따라 그 일단이 재봉되는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상기 챙심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덮는 상면원단 및 하면원단과, 상기 상면원단과 상기 하면원단의 전방부 및 좌우측부 가장자리를 함께 덮은 상태에서 상기 챙심에 재봉하는 제1 테두리원단과, 상기 상면원단의 후방부 가장자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챙심에 재봉하는 제2 테두리원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원단 중에서 재봉되지 않은 후방부를 상기 크라운에 재봉함으로써, 상기 챙심과 상기 하면원단의 사이에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땀밴드는 모자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신축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챙심은 두 개로 분할되며, 상기 챙심의 분할된 부위는 착용자의 이마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좌우 대칭되게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분할된 상기 챙심의 상면을 각각 덮는 한 쌍의 상면원단과, 분할된 상기 챙심의 하면을 전체적으로 덮는 하면원단과, 상기 한 쌍의 상면원단과 상기 하면원단의 전방부 및 좌우측부 가장자리를 함께 덮은 상태에서 분할된 상기 챙심에 재봉하는 제1 테두리원단과, 상기 한 쌍의 상면원단과 분할된 상기 챙심의 분할면 가장자리를 함께 덮은 상태에서 분할된 상기 챙심에 재봉하는 제3 테두리원단, 및 상기 한 쌍의 상면원단의 후방부 가장자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분할된 챙심에 재봉하는 제2 테두리원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원단 중에서 재봉되지 않은 후방부를 상기 크라운에 재봉함으로써, 분할된 상기 챙심과 상기 하면원단의 사이에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KR1020070046343A 2007-05-14 2007-05-14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KR10085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343A KR100853273B1 (ko) 2007-05-14 2007-05-14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343A KR100853273B1 (ko) 2007-05-14 2007-05-14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273B1 true KR100853273B1 (ko) 2008-08-20

Family

ID=3987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343A KR100853273B1 (ko) 2007-05-14 2007-05-14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2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165Y1 (ko) * 2000-12-30 2001-07-03 유풍실업주식회사 포케트가 달린 모자 챙을 가진 운동모
KR20010069243A (ko) * 2000-09-08 2001-07-25 이승호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KR200327870Y1 (ko) 2003-06-21 2003-09-26 이오승 수납부가 있는 모자
KR20060116601A (ko) * 2005-05-11 2006-11-15 주식회사 다다실업 신축성 효과가 우수한 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243A (ko) * 2000-09-08 2001-07-25 이승호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KR200229165Y1 (ko) * 2000-12-30 2001-07-03 유풍실업주식회사 포케트가 달린 모자 챙을 가진 운동모
KR200327870Y1 (ko) 2003-06-21 2003-09-26 이오승 수납부가 있는 모자
KR20060116601A (ko) * 2005-05-11 2006-11-15 주식회사 다다실업 신축성 효과가 우수한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479B1 (ko)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US4821341A (en) Sun-visor and headpiece combination and package therefor
KR100587131B1 (ko) 이중구조 크라운을 가진 모자
US6564390B2 (en) Absorbent headband apparatus
KR20010041190A (ko) 프리 사이즈 캡
US7676849B2 (en) Free-size headwear
DK2615935T3 (en) HATS SYSTEMS
KR100566488B1 (ko) 모자
US6895601B2 (en) Headwear and sewing method therefor using rubber thread
KR200416125Y1 (ko) 모자용 챙
KR100853273B1 (ko)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KR101369204B1 (ko) 착탈가능한 차양을 갖는 착용구
KR200268747Y1 (ko) 톱니 모양 밴드를 가진 모자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481610Y1 (ko) 다용도 모자심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모자
US20050235395A1 (en) Cap having a visor with soft inner edge
US20130247274A1 (en) Headgear with stretchable headband
KR100773462B1 (ko)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KR200291898Y1 (ko) 신축성을 갖는 모자
KR20120127780A (ko) 모자용 챙
KR101102832B1 (ko) 보조챙을 구비한 모자
KR20030011968A (ko) 모자챙
CA2425962C (en) Elastically retained hat and band
KR200292768Y1 (ko) 사이즈조절 밴드가 숨겨진 모자
KR200203799Y1 (ko) 앞머리 눌림방지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