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462B1 -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 Google Patents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462B1
KR100773462B1 KR1020060102828A KR20060102828A KR100773462B1 KR 100773462 B1 KR100773462 B1 KR 100773462B1 KR 1020060102828 A KR1020060102828 A KR 1020060102828A KR 20060102828 A KR20060102828 A KR 20060102828A KR 100773462 B1 KR100773462 B1 KR 100773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sweat band
band
sweat
se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945A (ko
Inventor
이종구
이승일
Original Assignee
이종구
이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구, 이승일 filed Critical 이종구
Priority to KR102006010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4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4Straw hats;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땀을 흡수하는 흡수성 소재로 구성되며 착용자의 이마 부위와 맞닿도록 모자의 내측 둘레면에 재봉된 땀밴드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과 타측단 간의 폭 간격은 동일하면서 일측단과 타측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곡선 형태를 갖는다. 또한, 이 발명의 모자는 땀밴드의 폭방향의 일지점을 기준으로 상향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일측단이 모자의 내측 둘레면에 재봉된다. 따라서, 이 발명은 땀밴드의 길이방향 양측단이 각각 곡선 형태를 가짐에 따라 일측단을 모자의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재봉할 경우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땀밴드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모자의 미관성이 향상되고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CAP HAVING CURVILINEAR SWEAT BAN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평행한 형태의 땀밴드를 쿨맥스 원단으로 제작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땀밴드의 일측단을 벙거지 모자의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에 재봉한 상태를 촬영한 배면 사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벙거지 모자의 챙을 뒤집은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쿨맥스 원단으로 제작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땀밴드의 일측단을 벙거지 모자의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에 재봉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벙거지 모자의 챙을 뒤집은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땀밴드 210 : 일측단
220 : 타측단
이 발명은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재봉되어 착용자의 이마 부위와 맞닿는 모자용 땀밴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땀밴드의 일측단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할 경우 주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곡선형태를 갖는 모자용 땀밴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가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재봉된 모자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모자는 형상, 모양 및 기능 등과 같은 그 쓰임새에 따라 멋을 부리는 패션소품 또는 야외에서 햇빛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햇빛 가리개 용도로 대중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자는 크라운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머리 전체를 덮는 형태와, 크라운이 없고 챙이 넓은 형태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들 모자에는 착용자의 이마 등에 맞닿아 모자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거나 땀을 흡수하는 머리띠나 땀밴드(sweat band)를 갖도록 구성된다. 땀밴드는 땀을 흡수하는 흡수성 소재로 구성되는데, 흡수성 소재로는 부드러운 면 종류나 쿨맥스 또는 쿨에버라는 상표명을 갖는 원단을 사용한다. 이러한 땀밴드는 착용자의 이마 부위와 맞닿도록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재봉된 다.
그런데, 종래의 땀밴드(100)는 도 1과 바와 같이 일정폭과 길이를 갖되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110)과 타측단(120)이 서로 평행한 형태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평행한 형태의 땀밴드를 쿨맥스 원단으로 제작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러한 땀밴드(100)는 도 2와 같이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110)이 모자의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에 재봉되어 땀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땀밴드의 일측단을 벙거지 모자의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에 재봉한 상태를 촬영한 배면 사진이다.
그런데,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땀밴드(100)의 길이방향 일측단(110)을 벙거지 모자의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에 재봉할 경우, 재봉되지 않은 땀밴드(100)의 타측단(120) 부분이 파도치듯이 울퉁불퉁한 주름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부드러우면서 평행한 형태의 땀밴드(100)를 이용함에 따라 도 2 및 도 3과 같이 땀밴드(100)의 직립성(수직하게 위치하려는 힘)이 약하기 때문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벙거지 모자에 도 1과 같은 평행한 형태의 땀밴드(100)를 재봉할 경우, 이상적으로는 일측단(110)과 타측단(120)의 직경이 동일한 원통을 형성해야 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벙거지 모자의 챙을 뒤집은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그러나, 땀밴드(100) 소재의 특성상 직립성이 약하기 때문에 재봉되지 않은 타측단(120) 부분이 이상적인 원통의 안쪽방향으로 휘어지려는 성질을 갖는다. 그로 인해, 땀밴드(100)의 타측단(120) 부분에 파도치듯이 울퉁불퉁한 주름이 형성된 다. 이러한 현상은 크라운에 대해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챙을 갖는 모자와 같이 내측 둘레면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 종래의 땀밴드(100)를 재봉하더라도 동일한 주름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모자의 미관성이 떨어져 제품성이 양호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모자는 땀밴드(100)의 일측단(110)이 재봉되는 부위에 비해 타측단(120)이 위치하는 크라운의 내측이 작은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평행한 형태의 땀밴드(100)를 이용할 경우 재봉되지 않는 땀밴드(100)의 타측단(120) 부분이 타측단이 위치하는 크라운의 내측보다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미미하게나마 땀밴드(100)의 타측단(120) 일부분이 접히게 되고, 그 접힌 부분이 사용자의 이마에 맞닿게 된다. 그로 인해, 이러한 모자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땀밴드(100)의 접힌 부위로 인해 사용자의 이마에 자국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땀밴드의 일측단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모자의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재봉할 경우 주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곡선형태를 갖는 모자용 땀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가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재봉되어 미관성이 향상되고 착용감이 우수한 모자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땀을 흡수하는 흡수성 소재로 구성되며 착용자의 이마 부위와 맞닿도록 모자의 내측 둘레면에 재봉된 땀밴드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과 타측단 간의 폭 간격은 동일하면서 일측단과 타측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곡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흡수성 소재로는 쿨맥스 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은 땀을 흡수하는 흡수성 소재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과 타측단 간의 폭 간격은 동일하면서 일측단과 타측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곡선 형태를 갖는 땀밴드가 착용자의 이마 부위와 맞닿도록 내측 둘레면에 재봉된 모자로서, 땀밴드의 폭방향의 일지점을 기준으로 상향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일측단이 모자의 내측 둘레면에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 및 이를 구비한 모자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쿨맥스 원단으로 제작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땀밴드의 일측단을 벙거지 모자의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에 재봉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벙거지 모자의 챙을 뒤집은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200)는 일정폭과 길이를 갖되 그 길이방향의 일측단(210)과 타측단(220)이 각각 곡선 형태를 갖는다. 즉, 이 실시예의 땀밴드(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210)과 타측단(220) 간의 폭 간격은 동일하면서 그 길이방향의 양측단이 각각 곡선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일측단(210)은 땀밴드(200)의 폭방향의 일지점을 기준으로 상향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땀밴드(200)의 하단을 나타내고, 타측단(220)은 일측단(210)과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땀밴드(200)의 상단을 나타낸다. 도 4의 땀밴드(200)는 쿨맥스 원단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일측단(210)과 타측단(220)이 각각 곡선 형태를 갖도록 직조하면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땀밴드(200)를 도 5와 같이 그 일측단(210)을 길이방향을 따라 벙거지 모자의 크라운과 챙의 재봉라인 내측 둘레면에 재봉한 후, 길이방향의 양단부를 서로 재봉함으로써 모자가 완성된다. 이렇게 이 실시예의 땀밴드(200)를 모자에 재봉할 경우, 땀밴드(200)가 곡선형태를 갖기 때문에 모자에 재봉되는 땀밴드(200)의 일측단(210)이 타측단(220) 보다 그 길이가 길게 된다. 즉, 일측단(210)이 타측단(220) 보다 그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도 6과 같이 모자의 챙을 뒤집어 가상선을 그을 경우, 땀밴드(200)의 하단(일측단) 보다 상단(타측단)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땀밴드(200)를 모자에 재봉할 경우, 재봉되지 않은 땀밴드(200)의 타측단(220) 부분이 울퉁불퉁한 주름이 없 이 말끔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부드럽지만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200)를 이용함에 따라 종래의 평행한 형태의 땀밴드(100)에 비해 직립성(수직하게 위치하려는 힘)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벙거지 모자에 도 4와 같은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200)를 재봉할 경우, 일측단(210)이 타측단(220) 보다 그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땀밴드(200)의 일측단(210) 보다 타측단(220)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게 된다.
즉, 이 실시예의 땀밴드(200)를 모자에 재봉할 경우, 땀밴드(200)의 일측단(210) 보다 타측단(220)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기 때문에, 종래의 평행한 형태의 땀밴드(100)를 이용함에 따라 원통 형상을 갖는 땀밴드 보다 원추 형상의 안쪽방향으로 휘어지려는 성질을 적게 갖는다. 즉, 이 실시예의 땀밴드(200)를 이용할 경우 종래의 땀밴드(100)에 비해 직립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되지 않은 땀밴드(200)의 타측단(220) 부분이 울퉁불퉁한 주름이 없이 말끔해 진다. 이러한 현상은 크라운에 대해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챙을 갖는 모자와 같이 내측 둘레면 전체가 아닌 일부분에 이 실시예의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200)를 재봉하더라도 울퉁불퉁한 주름이 없이 말끔해 진다. 따라서, 모자의 미관성이 향상되어 제품성이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모자는 땀밴드(200)의 일측단(210)이 재봉되는 부위에 비해 타측단(220)이 위치하는 크라운의 내측이 작은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따른 땀밴드(200)를 모자에 재봉할 경우 일측단(210)에 비해 타측단(220)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땀밴드(200)의 타측단(220)이 접힐 염려가 전혀 없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모자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사용자의 이마에 자국이 발생하거나 착용감이 떨어질 염려가 전혀 없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땀밴드의 일측단만을 재봉하고 타측단은 재봉하지 않은 모자를 그 일례로 설명했으나, 상술한 동일개념의 땀밴드의 양측단을 모두 재봉하는 모자에도 모두 적용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은 땀밴드의 길이방향 양측단이 각각 곡선 형태를 가짐에 따라 일측단을 모자의 내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재봉할 경우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땀밴드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모자의 미관성이 향상되고 착용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 및 이를 구비한 모자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땀을 흡수하는 부드러운 흡수성 소재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과 타측단 간의 폭 간격은 동일하면서 상기 일측단과 상기 타측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곡선 형태를 갖는 땀밴드가 착용자의 이마 부위와 맞닿도록 내측 둘레면에 재봉된 모자로서,
    상기 땀밴드의 폭방향의 일지점을 기준으로 상향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상기 일측단이 상기 모자의 내측 둘레면에 재봉되어 상기 땀밴드의 상기 일측단보다 상기 타측단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원추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KR1020060102828A 2006-10-23 2006-10-23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KR10077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828A KR100773462B1 (ko) 2006-10-23 2006-10-23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828A KR100773462B1 (ko) 2006-10-23 2006-10-23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945A KR20070055945A (ko) 2007-05-31
KR100773462B1 true KR100773462B1 (ko) 2007-11-05

Family

ID=3827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828A KR100773462B1 (ko) 2006-10-23 2006-10-23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12U (ko) 2016-03-23 2017-10-12 이인지 보호커버가 구비된 모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9808A (en) * 1993-06-04 1994-12-06 Brewer; Dale A. Hat with snug fitting arcuate hat band
KR200421709Y1 (ko) 2006-04-19 2006-07-14 주식회사 유신모자 통풍 및 장식기능을 겸하는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9808A (en) * 1993-06-04 1994-12-06 Brewer; Dale A. Hat with snug fitting arcuate hat band
KR200421709Y1 (ko) 2006-04-19 2006-07-14 주식회사 유신모자 통풍 및 장식기능을 겸하는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12U (ko) 2016-03-23 2017-10-12 이인지 보호커버가 구비된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945A (ko)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713B2 (en) Length-ways stretchable elastic band
KR100566488B1 (ko) 모자
KR101334931B1 (ko) 기능성 모자
KR100773462B1 (ko) 곡선형태의 모자용 땀밴드를 구비한 모자
KR100660680B1 (ko) 꺽여지는 챙을 가진 모자
US20120227159A1 (en) Sweatband with convertible visor
US20060207297A1 (en) Length-ways stretchable elastic band
KR200268747Y1 (ko) 톱니 모양 밴드를 가진 모자
KR200291898Y1 (ko) 신축성을 갖는 모자
KR200272650Y1 (ko) 이중 구조의 챙을 가진 모자
KR100702715B1 (ko) 탈부착 가능한 땀 흡수밴드가 부착된 모자
KR20160004260U (ko) 신축성을 높인 모자
KR20130024510A (ko) 차광부재를 갖는 모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53273B1 (ko) 수납공간을 갖는 모자
KR200453098Y1 (ko) 모양 변경이 가능한 장치를 갖춘 바이저
KR200292768Y1 (ko) 사이즈조절 밴드가 숨겨진 모자
KR100702716B1 (ko) 보조 땀흡수밴드가 부착된 모자
KR200278936Y1 (ko) 자연스러운 주름이 있는 모자
KR20160093297A (ko) 선바이저를 구비한 손수건
KR200282340Y1 (ko) 챙 곡선 조절이 자유로운 모자
KR200462856Y1 (ko) 메쉬를 이용한 자수 모자
KR200457707Y1 (ko) 변형 탑버튼을 가진 모자
KR200309927Y1 (ko) 모자용 코팅 헤드밴드
KR200251966Y1 (ko) 통기성이 향상된 모자
KR200379222Y1 (ko) 형상 복원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