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095U - 바닥재 철거장치 - Google Patents

바닥재 철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095U
KR20100002095U KR2020080011016U KR20080011016U KR20100002095U KR 20100002095 U KR20100002095 U KR 20100002095U KR 2020080011016 U KR2020080011016 U KR 2020080011016U KR 20080011016 U KR20080011016 U KR 20080011016U KR 20100002095 U KR20100002095 U KR 201000020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main body
drive
removal means
transmis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2783Y1 (ko
Inventor
이복진
Original Assignee
이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진 filed Critical 이복진
Priority to KR2020080011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78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0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7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of previously fixed floor coverings

Abstract

본 고안은 같은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더라도 상대적으로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닥재의 철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바닥재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31)와, 이 본체의 선단측에 돌출되어 바닥재를 철거하는 바닥날(43)을 포함하는 제거수단(40)과, 상기 본체(31)에 구비되어 상기 제거수단(40)이 전후로 왕복운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및 전달수단(50)과, 상기 제거수단(40)과 구동 및 전달수단(50)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50)에 의한 동력을 가중시켜 상기 제거수단(40)으로 전달하는 중량체(60)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체(60)는 가이드레일(61) 또는 롤러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31) 상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바닥재 철거장치가 제공된다.
바닥재, 철거장치, 바닥날, 중량체, 가이드레일

Description

바닥재 철거장치{Remover of the floor materials}
본 고안은 바닥재 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같은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더라도 상대적으로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닥재의 철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바닥재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바닥면은 합판, 원목 또는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통상의 온돌마루 또는 데코타일과 같은 바닥재에 의해 마감 처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바닥재는 대개 패널 또는 타일 형태로 이루어져 접착제에 의해 건물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접착되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바닥재의 훼손이나 마모 또는 용도변경 등을 위해 다른 바닥재로 교체하기 위해 재시공할 때에는 기존의 바닥재를 뜯어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바닥면에 강력하게 접착된 바닥재를 수작업에 제거하게 되면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길게 소요되므로 별도의 장치에 의해 바닥재를 제거하는 작업을 행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바닥재 철거장치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구비된 구동수단(12)과 이 구동수단(12)에 의해 바닥재를 철거하도록 바닥날(16)을 포함하는 제거수단(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11)에는 이동 가능한 바퀴(22)와 작업이 용이하도록 손잡이(23)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구동수단(12)의 상부 측에 소정의 무게를 갖는 웨이트(14)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거수단(13)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각도조절수단(15)이 더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수단(12)은 구동모터(17)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크(18)와 이 디스크(18)에 편심되도록 결합되어 전후로 왕복운동되도록 아암(19)에 의해 상호 결합된 제1 및 제2 로드(20,21)로 이루어진 링크체로 구비되고, 또한 상기 제거수단(13)은 상기 제2 로드(21)에 연결되는 연결바아(24)와 이 연결바아(24)에 결합된 마운트(25) 및 이 마운트(25)의 선단에 구비된 바닥날(16)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거수단(13)은 상기 구동수단(12)에 의해 전후로 왕복운동되면서 바닥재를 철거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는 웨이트(14)는 바닥날(16)이 바닥재를 타격할 때에 반발력에 의해 장치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1) 자체에 중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15)은 상기 바닥날(16)의 마모에 따라 그 길이가 짧아져 바닥재로부터의 이격되는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1)의 후방측을 들어 올려 상기 바닥 날(16)이 바닥재가 접착된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바닥재 철거장치(10)에 있어서, 전술된 웨이트(14)가 구비되는 것은 상기 제거수단(13)이 바닥재를 타격할 때에 상기 구동수단(12) 자체의 구동력만으로 상기 제거수단(13)으로 충분한 힘을 실어주지 못하기 때문에 약한 타격력에 의해 상기 본체(11)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단순히 본체(11) 자체의 중량을 증가시켜 그 구조적 취약성을 보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웨이트(14)에 의해서는 상기 제거수단(13)의 타격력을 증가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거수단(13)의 타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웨이트(14)와는 별도로 상대적으로 용량이 큰 구동수단(12)을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며, 이에 의해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작동상의 어려움 및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바닥재 철거장치(10)는 그 본체(11)의 저면 전후에 바퀴(22)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바닥날(16)이 마모가 되어 그 길이가 짧아지면 바닥재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철거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게 되고, 또한 바닥날(16)의 수명이 짧음으로 인해 교체주기가 빈번하여 교체작업 상의 번거로움이 따르며,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각도조절수단(15)가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으로 인해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같은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더라도 상대적으로 강력한 힘(타격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바닥재의 철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바닥재를 철거하는 바닥날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구비되어 날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바닥재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체(31)와, 이 본체의 선단측에 돌출되어 바닥재를 철거하는 바닥날(43)을 포함하는 제거수단(40)과, 상기 본체(31)에 구비되어 상기 제거수단(40)이 전후로 왕복운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및 전달수단(50)과, 상기 제거수단(40)과 구동 및 전달수단(50)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50)에 의한 동력을 가중시켜 상기 제거수단(40)으로 전달하는 중량체(60)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체(60)는 가이드레일(61) 또는 롤러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31) 상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31)에는 그 중앙부 저면에 좌우로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32)가 구비되고, 이 바퀴(32)에 의해 상기 본체(31)는 상기 바닥날(43)이 바닥재가 접착된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거수단(40)은 그 일부가 착탈 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의해 상기 바닥날(43)은 상호 상하로 반전되어 양면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날(43)을 포함하는 제거수단(40)이 구동 및 전달수단(50)에 의해 전후로 왕복운동됨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40)과 구동 및 전달수단(50) 사이에는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된 중량체(6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거수단(40)의 바닥날(43)이 바닥재를 타격할 때에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50)의 구동력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같은 구동력을 갖는 구동 및 전달수단(50)이 구비되더라도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력을 발휘하여 바닥재의 철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작업효율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중량체(60)는 본체(31)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 인해, 전술된 바와 같이 구동 및 전달수단(50)의 구동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본체(31)의 중량 자체를 가중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종래처럼 타격력을 증대시 키기 위해 구동 및 전달수단(50)의 용량을 늘릴 필요가 없어 컴팩트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31)의 중앙부에 좌우로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32)에 의해 기울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닥날(43)이 마모되더라도 지속적으로 바닥재가 접착된 바닥면에 접촉 가능하여 바닥재 철거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날(43)을 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거수단(40)은 그 일부가 착탈 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바닥날(43)은 상호 상하로 반전되어 양면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마모에 따른 날의 교체주기를 더욱 연장시켜 바닥재의 철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로움 및 교체로 인한 작업시간의 연장을 방지하고, 바닥날(43) 자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과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닥재 철거장치(30)는 이동 가능한 바퀴(32)와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33)를 갖는 본 체(31)가 구비되고, 이 본체(31)에는 선단부 측으로 돌출되어 바닥재를 철거하는 바닥날(43)을 포함하는 제거수단(4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거수단(40)은 구동력을 발생시켜 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 구동 및 전달수단(50)에 의해 전후로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때에 상기 제거수단(40)과 구동 및 전달수단(50) 사이에는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50)에 의한 구동력을 더욱 가중하여 상기 제거수단(4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중량체(60)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31)는 그 중앙부 저면에 좌우로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32)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되는데, 특히 작업자가 상기 본체(31)의 후방 측에 구비된 손잡이(33)를 잡고 바닥재 철거작업을 행할 때에 상기 본체(31)는 바닥날(43)이 바닥재에 접착된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바닥날(43)은 그 마모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바닥재의 접착면을 타격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바닥날(43)에 의한 바닥재의 타격력은 상기 중량체(60)의 중량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미는 힘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50)은 구동모터(51)와 이 구동모터(51)의 회전축에 직결되는 디스크(52)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52)에는 일단이 편심된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중량체(60)에 결합되도록 연장 형성된 로드(53)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구동 및 전달수단(50)은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통상적인 수단과 유사한 구성이며, 이때에 상기 구동모터(51)는 대략 230~240rpm/min 정도의 감속모터를 사용하여 대략 40~50kg 정도의 중량체(60)를 작동시키는 데에 충 분한 힘을 갖도록 하고, 상기 로드(53)는 디스크(52) 중심으로부터 20mm 정도 편심되도록 결합되어 대략 40mm 정도의 스트로크(stroke)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체(60)는 블록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50)의 동력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제거수단(40)의 바닥날(43)이 바닥재를 타격할 때에 그 타격력을 더욱 강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중량체(60)는 가이드레일(61) 또는 롤러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31) 상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에 의해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50)은 상대적으로 적은 동력을 가하더라도 상기 중량체(60)의 작동을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은 용량을 갖는 것을 구비한다 하더라도 바닥재를 타격하는 타격력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부호(54)는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50)의 로드(53) 또는 상기 제거수단(40)의 연결바아(41)가 결합되는 힌지(54)를 나타낸 것으로, 이 힌지(54)에 의해 상기 로드(53)와 연결바아(41)는 상기 중량체(60)에 고정 결합되는 것보다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수단(40)은 상기 바닥날(43)이 결합되는 마운트(42)와 이 마운트(42)를 상기 중량체(60) 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연결바아(41) 및 이 연결바아(41)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마운트(42)를 볼트(46)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연결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바닥날(43)은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운트(42)의 선단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라인더에 의해 선단부를 연마하여 날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마운트(42)는 볼트(46)에 의해 상기 연결구(45)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바닥날(43)를 상호 상하로 반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상기 바닥날(43)의 마모의 정도에 따라 양면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중량체(60)는 본체(31)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50)의 구동력을 가중시켜 상기 제거수단(40)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본체(31) 자체의 중량을 가중시키도록 구비된 것으로, 이에 의해 바닥날(43)에 의해 바닥재의 타격력을 증가시켜 철거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타격시의 반발력을 반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31)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철거작업을 행하도록 구비되어 종래와 같은 각도조절수단(15)이 불필요하여 장치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하면서도 바닥날(43)은 마모정도에 관계없이 항상 바닥재의 접착면을 타격할 수 있어 철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날(43)은 그 마모정도에 따라 양면을 교대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날이 바닥재에 삽입되는 각도를 적절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날의 교체주기 및 수명을 연장하여 작업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바닥재 철거장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3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요부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Claims (3)

  1. 본체(31)와, 이 본체의 선단측에 돌출되어 바닥재를 철거하는 바닥날(43)을 포함하는 제거수단(40)과, 상기 본체(31)에 구비되어 상기 제거수단(40)이 전후로 왕복운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및 전달수단(50)과, 상기 제거수단(40)과 구동 및 전달수단(50)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50)에 의한 동력을 가중시켜 상기 제거수단(40)으로 전달하는 중량체(60)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체(60)는 가이드레일(61) 또는 롤러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31) 상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1)에는 그 중앙부 저면에 좌우로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32)가 구비되고, 이 바퀴(32)에 의해 상기 본체(31)는 상기 바닥날(43)이 바닥재가 접착된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40)은 그 일부가 착탈 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의해 상기 바닥날(43)은 상호 상하로 반전되어 양면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철거장치.
KR2020080011016U 2008-08-19 2008-08-19 바닥재 철거장치 KR200452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016U KR200452783Y1 (ko) 2008-08-19 2008-08-19 바닥재 철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016U KR200452783Y1 (ko) 2008-08-19 2008-08-19 바닥재 철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095U true KR20100002095U (ko) 2010-03-02
KR200452783Y1 KR200452783Y1 (ko) 2011-03-21

Family

ID=4419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016U KR200452783Y1 (ko) 2008-08-19 2008-08-19 바닥재 철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7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49Y1 (ko) 2012-08-14 2014-01-29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스티커 제거용 치구
KR101442054B1 (ko) 2013-07-01 2014-09-18 이중호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KR101489925B1 (ko) 2013-07-01 2015-02-06 이중호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KR102237675B1 (ko) 2018-12-06 2021-04-07 박우영 바닥재 철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676Y2 (ja) * 1989-08-10 1995-10-11 株式会社日本技術センター 床材▲剥▼離機
JP2608829B2 (ja) * 1992-01-24 1997-05-14 極東産機株式会社 床材剥離装置
KR200403061Y1 (ko) 2005-09-23 2005-12-07 최득수 건물의 평면부착물 제거장치
KR100794396B1 (ko) 2007-07-09 2008-01-15 (주)엠앤에스시스템 바닥재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783Y1 (ko) 201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783Y1 (ko) 바닥재 철거장치
CN207204672U (zh) 一种剑栅除渣机
US7398835B2 (en) Rotary hammer having both a reciprocating hammer mechanism and a ratcheting hammer mechanism
JP2010531744A5 (ko)
KR102237675B1 (ko) 바닥재 철거장치
CN209665942U (zh) 一种新型凿墙机
CN216637919U (zh) 用于刮板机的刮板快速清洗装置
CN112643614B (zh) 一种手持式多功能电锤
CN203346842U (zh) 一种汽油引擎清雪机
JP3706992B2 (ja) アスベスト床タイル除去装置
CN114871168A (zh) 加气块制备用侧板清理机
CN201848827U (zh) 电动钉枪
KR101314182B1 (ko) 바닥재 탈거 장치.
CN201848828U (zh) 电动钉枪
CN109822730B (zh) 边模清理机及其清理机构
CN106743354A (zh) 皮带清扫器和皮带输送机
CN201372117Y (zh) 带式输送机清扫器
CN112296945A (zh) 一种粘贴瓷砖用的高效率机械锤
CN219857089U (zh) 一种新型混凝土运输车死角清理机
CN203160104U (zh) 水泥砼路面纹理化处理装置
CN217538004U (zh) 一种地面装修材料拆除装置
KR200403061Y1 (ko) 건물의 평면부착물 제거장치
CN208067987U (zh) 锤打式木材水泥清理机
CN214184239U (zh) 锻件氧化皮清理装置
CN202220328U (zh) 一种混凝土箱梁端头和翼板凿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