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054B1 -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054B1
KR101442054B1 KR1020130076296A KR20130076296A KR101442054B1 KR 101442054 B1 KR101442054 B1 KR 101442054B1 KR 1020130076296 A KR1020130076296 A KR 1020130076296A KR 20130076296 A KR20130076296 A KR 20130076296A KR 101442054 B1 KR101442054 B1 KR 101442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riving
drive shaft
backward
floor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이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호 filed Critical 이중호
Priority to KR1020130076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0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of previously fixed floor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1/14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means of cranks, eccentrics, or like members fixed to one rotary member and guided along tracks on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거날의 동작에 맞추어 몸체가 소정간격 전방으로 이동되어져 바닥재 제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구동축과 바퀴의 양측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좌,우 방향 전환이 용이한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Removal machine of the floor materials}
본 발명은 바닥재 철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바닥재 철거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큰힘을 들이지 않고도 손쉽게 바닥재 제거작업을 수행함과 아울러 철거장치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뛰어남과 아울러 사용상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출원된 실용신안 등록 제20-0452783호 " 바닥재 철거장치 " 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측에 돌출되어 바닥재를 철거하는 바닥날을 포함하는 제거수단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거수단이 전후로 왕복운동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및 전달수단과, 상기 제거수단과 구동 및 전달수단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에 의한 동력을 가중시켜 상기 제거수단으로 전달하는 중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체는 가이드레일 또는 롤러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 상에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바닥날을 포함하는 제거수단이 구동 및 전달수단에 의해 전후로 왕복운동됨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과 구동 및 전달수단 사이에는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된 중량체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거수단의 바닥날이 바닥재를 타격할 때에 상기 구동 및 전달수단의 구동력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같은 구동력을 갖는 구동 및 전달수단이 구비되더라도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력을 발휘하여 바닥재의 철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작업효율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닥재 철거장치는 구동 및 전달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은 제거수단의 바닥날이 전,후진되면서 작업자가 바닥날의 동작에 따라 손잡이를 잡고 전방으로 밀면서 바닥재의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다보니, 바닥날의 동작에 따라 작업자가 타이밍에 맞추어 전방으로 밀어줘야 하기 때문에 그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추지 않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바닥재 철거장치의 자체 무게가 무겁다보니, 전,후방으로 이동에 많은 어려운 점이 있으며, 특히 철거장치를 좌,우로 회전시켜야 하는 경우, 보다 큰힘이 요구되어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거날의 동작에 맞추어 구동수단에 의해 몸체가 소정간격 전방으로 이동되어져 바닥재 제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구동축과 바퀴의 양측에 베어링을 구비하여 좌,우 방향 전환이 용이한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는 몸체와;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바퀴를 전,후진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좌,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몸체에는 제거날을 전,후진시켜 바닥재를 제거하는 제1구동수단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거날의 동작에 따라 상기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 및 차단하는 클러치장치가 구비된 제2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는 제거날의 동작에 맞추어 구동수단에 의해 몸체가 소정간격 전방으로 이동되어져 바닥재 제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구동축과 바퀴의 양측에 어드져스트 베어링을 구비하여 좌우 방향 전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를 보인 평단면도,
도 2,3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의 클러치장치를 보인 일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의 구동축과 제2모터를 보인 일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철거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닥재 철거장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바퀴(30)를 전,후진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좌,우 회전가능하게 유도하는 구동축(20)과, 상기 몸체(10)에는 제거날(51)을 전,후진시켜 바닥재를 제거하는 제1구동수단(40)과, 상기 구동축(20)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20)의 회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장치(80)가 포함된 제2구동수단(70)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10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의 전면에는 엘이디(11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축(20)은 몸체(1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면에 바퀴(30)가 구비되고, 일측에 키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20)과 바퀴(30) 사이에 어드져스트 베어링(21)이 설치되고, 이에 상응하는 대양한 베어링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 어드져스트 베어링(Adjust bearing)(21)은 구동축(20)의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구동축(20)과 함께 회전되면서 정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구동축(2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축(20)이 공회전됨에 따라 철거장치의 후진이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어드져스트 베어링(21)은 구동축(20)이 정지된 상태에서 손잡이(100)를 잡고 좌,우 일방향으로 상기 몸체(10)를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축(20)에 설치된 일측 어드져스트 베이링(21)은 구동축(20)에 맞물려 회동되고, 이때 타측 어드져스트 베어링(21)을 따라 구동축(20)이 공회전됨에 따라 상기 몸체(10)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구동수단(40)은 몸체(10)에 설치되는 제1모터(41)와, 상기 제1모터(41)에 연동되는 편심회전부(42)와, 상기 편심회전부(42)에 연동되는 동력전달부(45)와, 상기 동력전달부(45)에 설치되며 바닥재를 제거하는 제거날(51)이 구비된 날고정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모터(41)와 편심회전부(42)는 서로 체인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편심회전부(42)는 연결돌기(43)가 구비된 디스크(44)에 의해 제1모터(41)의 회전력을 동력전달부(45)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45)는 아암(46)과, 상기 아암(46)에 연결되며 양측에 구비된 연결부재(47)와, 상기 연결부재(47) 사이에 구비된 이송바(48)와, 상기 몸체(10)와 이송바(48)에 설치되는 가이드부(49)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암(46)의 일측은 연결돌기(4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연결부재(47)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49)는 바닥면이 몸체(10)에 설치되고, 양측 이송바(48)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바(48)의 전,후진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날고정부(50)는 일측 연결부재(47)에 설치되고, 전방에 제거날(51)이 구비된다.
상기 제2구동수단(70)은 몸체내에 설치되는 제2모터(71)와, 상기 구동축(2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2모터(71)에 연동되는 회동유도부(75)와, 상기 구동축(20)과 회동유도부(75)에 설치되며, 상기 제2모터(71)에 의해 상기 구동축(20)의 회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장치(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모터(71)에는 체인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가능하게 제1스플라인기어(72)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유도부(75)는 구동축(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은 제2모터(71)의 제1스플라인기어(72)에 연결되는 제2스플라인기어(76)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평기어(77)와 가이드편(7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편(78)은 2개 또는 그 이상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장치(80)는 회동유도부(75)의 평기어(77)와 가이드편(78)을 따라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81)와, 상기 구동축(20)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부(81)의 전,후진을 유도하여 상기 제2모터(71)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20)에 절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동작부(85)와, 상기 접촉부(81)와 클러치동작부(85)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8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부(8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유도부(75)의 평기어(77)에 맞물려지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유도부(75)의 가이드편(78)을 따라 전,후진가능하게 가이드공(82)이 관통되며,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나사형상으로 요철부(8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81)와 평기어(77)는 서로 맞물려진 상태에서 상기 평기어(77)를 중심으로 접촉부(81)가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동작부(85)는 접촉부(81)의 요철부(83)에 대응되게 요철부(86)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구동축(20)의 키홈(22)에 결합되는 고정키(87)가 형성되며, 내부에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전자코일(8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동작부(85)는 구동축(20)에 스냅링 등에 의해 고정되며, 이에 상응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공됨은 물론이다.
상기 스프링(89)은 접촉부(81)와 클러치동작부(8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동작부(85)의 동작이 끝나면 상기 클러치동작부(85)와 접촉부(81)의 요철부(83,86)가 서로 분리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손잡이(100)에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제1,2모터 및 클러치장치(80)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복수의 스위치부(101)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1구동수단(40)의 동작은 손잡이(100)의 스위치부(101)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제1모터(4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편심회전부(42)의 디스크(44)가 회전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45)가 전,후진가능하게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디스크(44)의 연결돌기(43)에 연결된 상기 아암(46)의 일측이 편심회전되면서 상기 아암(46)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47) 및 이송바(48)가 전,후진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부(49)를 따라 상기 이송바(48)가 전,후진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동력전달부(45)에 연결된 상기 날고정부(50)의 제거날(51)이 바닥재의 밑면을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바닥재가 바닥면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손잡이(100)를 잡고 상기 제1구동수단(40)의 동작에 따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수동방식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수단(40)의 동작시 상기 제2구동수단(70)을 구동시킬 수 있는데, 먼저 상기 스위치부(101)에 의해 상기 클러치장치(80)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클러치동작부(85)의 전자코일(89)에 의해 상기 회동유도부(75)의 평기어(77)와 가이드편(78)을 따라 상기 접촉부(81)가 후진되어 상기 접촉부(81)와 클러치동작부(85)의 요철부(83,86)가 서로 맞물려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스위치부(101)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2구동수단(70)의 제2모터(71)를 구동시키면, 상기 제2모터(71)의 구동력이 상기 제1,2스플라인기어에 연결된 체인에 의해 상기 회동유도부(75)에 전달되고, 이어 상기 회동유도부(75)의 평기어(77)와 접촉부(81)가 맞물려진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81)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접촉부(81)에 맞물려진 상기 클러치동작부(85)가 상기 구동축(20)을 회동시켜 상기 구동축(20)에 의해 바퀴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89)은 접촉부(81)와 클러치동작부(85) 사이에 탄성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상기 제1구동수단(40)의 동작과 동시에 상기 바퀴(3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구동수단(7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작업의 향상효과를 기대함과 아울러 사용자는 큰힘을 들이지 않고도 바닥재 제거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재 제거작업 중에 본 발명의 철거장치를 후진해야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제1,2구동수단(70) 및 클러치장치(80)을 정지시키면, 상기 클러치장치(80)의 스프링(89)에 의해 상기 회동유도부(75)의 평기어(77)와 가이드편(78)을 따라 상기 접촉부(81)가 전진되어 상기 접촉부(81)와 클러치동작부(85)의 요철부(83,86)가 서로 분리된다.
이처럼 상기 접촉부(81)와 클러치동작부(85)가 분리되어 상기 제2모터(71)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손잡이(100)를 잡고 상기 바퀴를 손쉽게 후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재 제거작업 중에 본 발명 철거장치의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구동축(20)과 바퀴(30) 사이에 어드져스트 베어링(21)이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100)를 잡고 큰힘을 들이지 않고도 방향전환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와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10: 몸체 20: 구동축
30: 바퀴 40: 제1구동수단
70: 제2구동수단 80: 클러치장치
100: 손잡이

Claims (3)

  1.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바퀴(30)를 전,후진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몸체를 좌,우 회전가능하게 유도하는 구동축(20)과;
    상기 몸체(10)에는 제거날(51)을 전,후진시켜 바닥재를 제거하는 제1구동수단(40)과;
    상기 몸체(10)내에 설치되며 제1스플라인기어(72)가 구비된 제2모터(71)와, 상기 구동축(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은 제2모터(71)의 제1스플라인기어(72)에 연결되는 제2스플라인기어(76)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평기어(77)와 가이드편(78)이 형성된 회동유도부(75)와, 상기 회동유도부(75)의 평기어(77)와 가이드편(78)을 따라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81)와, 상기 구동축(20)에 설치되며 상기 접촉부(81)의 전,후진을 유도하여 상기 제2모터(71)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20)에 절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동작부(85)를 갖는 클러치장치(80)가 포함된 제2구동수단(70)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수단(40)은 제1모터(41)와, 상기 제1모터(41)에 의해 연동되는 편심회전부(42)와, 상기 편심회전부(4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후진을 유도하는 동력전달부(45)와, 상기 동력전달부(45)에 설치되며 바닥재를 제거하는 제거날(51)이 구비된 날고정부(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0)과 바퀴(30) 사이에는 어드져스트 베어링(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KR1020130076296A 2013-07-01 2013-07-01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KR101442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296A KR101442054B1 (ko) 2013-07-01 2013-07-01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296A KR101442054B1 (ko) 2013-07-01 2013-07-01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054B1 true KR101442054B1 (ko) 2014-09-18

Family

ID=5176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296A KR101442054B1 (ko) 2013-07-01 2013-07-01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2171A (zh) * 2016-06-23 2016-09-21 台州八鑫工贸有限公司 刨墙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83Y1 (ko) 2008-08-19 2011-03-21 이복진 바닥재 철거장치
KR101239592B1 (ko) 2011-05-11 2013-03-05 박성일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바닥재 철거장치
KR20130027181A (ko) * 2011-09-07 2013-03-15 김정훈 바닥재 철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83Y1 (ko) 2008-08-19 2011-03-21 이복진 바닥재 철거장치
KR101239592B1 (ko) 2011-05-11 2013-03-05 박성일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바닥재 철거장치
KR20130027181A (ko) * 2011-09-07 2013-03-15 김정훈 바닥재 철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2171A (zh) * 2016-06-23 2016-09-21 台州八鑫工贸有限公司 刨墙机
CN107700861A (zh) * 2016-06-23 2018-02-16 台州八鑫工贸股份有限公司 刨墙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37443U (zh) 一种横向进给切割机
KR100953503B1 (ko) 양면 에지 가공 포터블 장치
JP2016128257A (ja) ワークピースのツーリング用装置
CN103042726B (zh) 纸箱提手穿带机用传动装置
JP6814357B1 (ja) ステンレスの固定式プラズマ切断装置
KR101442054B1 (ko)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CN112024782A (zh) 一种钢筋等长剪断及切口处理装置
KR101239592B1 (ko) 클러치 기구를 구비한 바닥재 철거장치
CN202114543U (zh) 一种对刀仪
KR101489925B1 (ko)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CN103480913A (zh) 全自动磨链机
KR200452783Y1 (ko) 바닥재 철거장치
CN202356958U (zh) 铣床三向操纵装置
CN203331177U (zh) 一种回转状木件加工设备
WO2014077672A1 (en) Motorized cutting tool
CN203737918U (zh) 半自动车门铰链卧式铆钉机
CN203356749U (zh) 全自动磨链机
KR200450545Y1 (ko) 바닥 제거 장치
CN215845931U (zh) 一种加工轴键槽的铣床用废屑防飞溅装置
WO2017104380A1 (ja) 往復動工具
FR2932949B1 (fr) Tailleuse de haies perfectionnee
JP2016087725A (ja) 往復動工具
KR200403061Y1 (ko) 건물의 평면부착물 제거장치
CN105459029B (zh) 手持式电动工具
CN104511964B (zh) 刮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