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000U -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000U
KR20100002000U KR2020097000020U KR20097000020U KR20100002000U KR 20100002000 U KR20100002000 U KR 20100002000U KR 2020097000020 U KR2020097000020 U KR 2020097000020U KR 20097000020 U KR20097000020 U KR 20097000020U KR 20100002000 U KR20100002000 U KR 201000020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sition limiting
leg stretching
movemen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7000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966Y1 (ko
Inventor
자오 싱 짜이
Original Assignee
자오 싱 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오 싱 짜이 filed Critical 자오 싱 짜이
Publication of KR20100002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0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9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25Particular aspects relating to the orientation of movement paths of the limbs relative to the body;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limbs
    • A63B2022/0028Particular aspects relating to the orientation of movement paths of the limbs relative to the body;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limbs the movement path being non-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e.g. support elements moving at an angle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3B2022/003Particular aspects relating to the orientation of movement paths of the limbs relative to the body;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limbs the movement path being non-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e.g. support elements moving at an angle to the body-symmetrical-plane the movement path being perpendicular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25Particular aspects relating to the orientation of movement paths of the limbs relative to the body;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limbs
    • A63B2022/0038One foot moving independently from the other, i.e. there is no link between the movements of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베이스부(10)의 전단에는 확장가능형핸들(13)이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부(10) 양측으로는 풀리셋(122)과 힌지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121)에는 제 1, 제 2 측면프레임(20, 30)이 각각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 1, 제 2 측면프레임(20,30)에는 발판(23,33)이 장착되고, 상기 발판(23,33)은 저부의 롤링부(62)에 의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제1, 제 2 측면프레임(20,30) 상에 결합된다. 발판(23,33)의 하부에 형성된 고리(63)에는 이동제한부(40)의 일단이 걸려지고, 상기 이동제한부(40)의 타단은 베이스부(10) 측변의 풀리셋(122)을 경유하고 제1, 제 2 측면프레임(20,30)의 고정단 상의 고리(64)에 걸려진다. 이를 통하여, 두 발을 각각 발판(23,33) 위에 올려놓고, 두 발의 힘에 의해 발판(23,33)이 각기 다른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운동기구, 베이스부, 확장가능형핸들, 풀리셋, 힌지부

Description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Leg Stretching Exercise Apparatus}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리부 내외측이 충분히 운동이 되도록 하여, 근육 및 인대 스트레칭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운동기구는, 대부분 신체 각 부위의 근육을 훈련시키도록 설계된 것이다. 다리부분에 대한 운동방식은 크게 달리기, 다리 조이기, 걷기, 이너타이 등이 있는데, 두 다리 내외측의 근육과 인장을 스트레칭 할 수 있는 운동기구는 비교적 드물다.
이에 따라, 본 고안자는 종래 운동기구가 구비하지 못한 기능에 주목하고, 다년간 당해 업계에 종사하면서 행한 연구와 개발 경험을 살려, 상세하게 설계하고 평가한 후 전술한 종래 기술의 기능상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창작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운동기구가 가지고 있는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양한 운동방식의 선택성을 증가시킨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제공하는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베이스부, 절첩 가능한 2개의 측면 프레임 및 2개의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횡방향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확장가능형핸들이 고정 창작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중간 프레임 양측으로는 각각 풀리셋 및 힌지부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절첩 가능한 2개의 측면 프레임은, 고정단, 받침대 및 상기 고정단과 받침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2개의 측면프레임의 고정단은 각각 베이스부 중간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2개의 발판은, 그 저부에 장착되는 지지부, 상기 발판의 슬라이딩 이동범위를 제한해주는 위치제한부 및 고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롤링부 및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끼움부와 롤링부에 의해 상기 발판의 슬라이딩 이동이 연결부 상으로 위치가 제한된다. 상기 발판의 저부에 형성된 고리에 일단이 끼워지는 이동제한부는, 그 타단이 중간 프레임 일측에 형성된 풀링셋을 통과하여 받침대 측변의 대응고리에 걸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가능형핸들은 연결프레임, 높이조절프레임, 고정부재 및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베이스부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의 내부로 높이조절프레임이 삽입 슬라이딩 되며,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상단부에는 핸들이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하단부에는 다수 개의 조절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프레임 상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공 및 다수 개의 조절공 중 어느 하나를 끼워 고정 결합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탄성부재가 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고정단과 받침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아래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호 형상을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위치제한로드 및 위치제한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위치제한로드는 상기 발판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체는 연결부 내측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위치제한로드의 위치를 제한시킨다.
상술한 구조를 통하여, 두 발을 발판 위에 올려놓고, 두 발의 힘에 의해 발판이 각기 다른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동제한부의 작용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겨지게 되어, 두 다리의 운동시 저항력이 생기게 한다. 이를 통해 대퇴 내외부측에 양호한 운동효과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운동기구가 가지는 운동방식은 크게 달리기, 다리 조이기, 걷기, 이너타이, 다리 들어올리기 등이 있는데, 두 다리 내외측의 근육과 인장을 스트레칭 할 수 있는 운동기구는 비교적 드물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리를 훈련하는 방식은, 대부분 비교적 장시간의 달리기와 단시간의 근육운동을 조합한다. 이 경우 일반적인 다리부 근육 운동의 효과는 일부분에 집중되고 불균등한 상황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베이스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베이스부 양측으로는 제 1 측면프레임과 제 2 측면프레임이 장착되고, 이들에는 모두 제 1 발판과 제 2 발판이 형성된다. 상기 발판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데, 발판 저부에는 모두 이동제한부가 장착된다(도 3에 도시됨). 사용시, 두 발을 발판 위에 올려놓고 힘을 가해 각기 다른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데, 이동제한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저항력이 생기게 된다. 이를 통해 대퇴 내외부측의 근육 운동 및 인장 스프레칭에 도움이 되며, 대퇴부 근육 형성에도 좋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리 운동 기구의 구조에 따르면, 제 1 측면프레임과 제 2 측면프레임은 힌지결합 방식에 의해 베이스부와 연결되는데, 이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되거나(도 4에 도시됨), 또는 수평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구조를 통해 제 1 측면프레임과 제 2 측면프레임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접철하여, 점유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어, 수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독창성과 상업성을 겸비하게 된다.
본 고안이 채용하고 있는 기술, 구성수단 및 그 작용효과에 대하여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전술한 목적, 구조 및 특성이 구체적으로 이해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의 입체 분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공하는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베이스부(10), 제 1 측면프레임(20), 제 1 발판(23), 제 2 측면프레임(30), 제 2 발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횡방향 프레임(11) 및 중간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 프레임(12)은 상기 횡방향 프레임(11)의 중간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12)의 양측으로는 각각 풀리셋(122) 및 한 쌍의 힌지부(12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0) 횡방향 프레임(11) 상면의 중간부분에서 수직방향으로 확장가능형핸들(13)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확장가능형핸들(13)은 연결프레임(131) 및 높이조절프레임(14)을 포함한다. 연결프레임(131)의 상부에 관통공(13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31) 내부로 높이조절프레임(14)이 슬라이딩 삽입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14)에는 조절공(14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부재(132)는 관통공(133) 및 다수 개의 조절공(141) 중 어느 하나에 끼워져 고정 결합된다. 높이조절프레임(14)의 상단에는 핸들(142)이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이를 잡고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확장가능형핸들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제 1 측면프레임(20)은, 한 쌍의 제 1 고정단(21) 및 제 1 받침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정단(21)과 제 1 받침대(22) 사이에는 연결부(50)가 장착되는데, 상기 연결부(50)는 아래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호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제 1 측면프레임(20)의 제 1 고정단(21)은 베이스부(10) 상의 힌지부(121)와 힌 지 결합 된다.
상기 제 1 발판(23)은, 그 저부에 지지부(60)와 위치제한부(7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발판(23)의 저부에는 고리(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롤링부(62) 및 끼움부(61)를 포함한다. 제 1 발판(23)은 지지부(60) 상에 형성된 끼움부(61)가 연결부(5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상기 제 1 발판(23)은 연결부(50) 상으로 위치가 제한된다. 이동제한부(40)는, 그 일단이 제 1 발판(23)의 고리(63)에 고정되고, 중간프레임(12)의 풀리셋(122)을 경유하는데, 상기 이동제한부(40)의 타단은 제 1 받침대(22) 측변에 형성된 대응고리(64)에 고정된다. 이동제한부(40)는 탄력성있는 스트링이 되는데, 상기 이동제한부(40)에 의해 제 1 발판(23)의 횡방향 이동이 제한을 받게 된다. 위치제한부(70)는, 위치제한로드(71) 및 위치제한체(72)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제한로드(71)는 제 1 발판(23)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체(72)는 연결부(50) 내측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위치제한로드(71)의 위치를 제한시킨다. 상기 위치제한부(70)는 제 1 발판(23)이 설계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측면프레임(30)은, 한 쌍의 제 2 고정단(31) 및 제 2 받침대(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고정단(31)과 제 2 받침대(32) 사이에는 연결부(50)가 장착되는데, 상기 연결부(50)는 아래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호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제 2 측면프레임(30)의 제 2 고정단(31)은 베이스부(10) 상의 힌지부(121)과 힌지 결합 된다.
상기 제 2 발판(33)은, 그 저부에 지지부(60)와 위치제한부(7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발판(33)의 저부에는 고리(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롤링부(62) 및 끼움부(61)를 포함한다. 제 2 발판(33)은 지지부(60) 상에 형성된 끼움부(61)가 연결부(5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상기 제 2 발판(33)은 연결부(50) 상으로 위치가 제한된다. 이동제한부(40)는, 그 일단이 제 2 발판(33)의 고리(63)에 고정되고, 중간프레임(12)의 풀리셋(122)을 경유하는데, 상기 이동제한부(40)의 타단은 제 2 받침대(32) 측변에 형성된 대응고리(64)에 고정된다. 이동제한부(40)는 탄력성있는 스트링이 되는데, 상기 이동제한부(40)에 의해 제 2 발판(33)의 횡방향 이동이 제한을 받게 된다. 위치제한부(70)는, 위치제한로드(71) 및 위치제한체(72)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제한로드(71)는 제 2 발판(33)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체(72)는 연결부(50) 내측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위치제한로드(71)의 위치를 제한시킨다. 상기 위치제한부(70)는 제 2 발판(33)이 설계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된 힌지부(121)는 그 목적이 힌지 결합 방식에 의해 제 1 측면프레임(20)과 제 2 측면프레임(30)을 중간프레임(12)에 연결시키는 것인데, 이에 의해 제 1, 제 2 측면프레임(20, 30)이 작동시에는 수평상태로 벌어지고, 접철된 후에는 수직상태로 접혀져 저장시 점유공간을 감소시키게 된다.
전술한 이동제한부(40)는 탄성부재가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는, 그 베이스부(10)의 전단에는 확장가능형핸들(13)이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부(10) 양측으로는 각각 제 1, 제 2 측면프레임(20, 30)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데, 상기 제 1, 제 2 측 면프레임(20,30)은 제 1, 제 2 고정단(21,31) 및 제 1, 제 2 받침대(22,32)를 포함하고 있는데, 제 1, 제2 고정단(21,31)과 제 1, 제 2 받침대(22,32) 사이에는 연결부(5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50)는 아래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호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제 1, 제 2 측면프레임(20,30)의 제 1, 제 2 고정단(21,31)은 베이스부(10)의 힌지부(121) 상에 힌지 결합된다. 제 1, 제 2 발판(23,33)은, 그 저부에 지지부(60)와 위치제한부(70)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 1, 제 2 발판(23,33)의 저부에는 또한 고리(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롤링부(62)와 끼움부(61)를 포함하는데, 제 1, 제 2 발판(23,33)은 지지부(60) 상에 형성된 끼움부(61)가 연결부(5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상기 제 1, 제 2 발판(23, 33)은 연결부(50) 상으로 위치가 제한된다. 이동제한부(40)는, 그 일단이 제 1, 제 2 발판(23,33)의 고리(63)에 고정되고, 중간프레임(12)의 풀리셋(122)을 경유하는데, 상기 이동제한부(40)의 타단은 제 1, 제 2 받침대(22,32) 측변에 형성된 대응고리(64)에 고정된다. 이동제한부(40)는 탄력성있는 스트링이 되는데, 상기 이동제한부(40)에 의해 제 1, 제 2 발판(23,33)의 횡방향 이동이 제한을 받게 된다. 위치제한부(70)는, 위치제한로드(71) 및 위치제한체(72)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제한로드(71)는 제 1, 제 2 발판(23,33)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체(72)는 연결부(50) 내측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위치제한로드(71)의 위치를 제한시킨다. 상기 위치제한부(70)는 제 1, 제 2 발판(23,33)이 설계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 밖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면프레임(20)의 제 1 고정단(21) 과 제 2 측면프레임(30)의 제 2 고정단(31)은 힌지 결합 방식에 의해 베이스부(10)의 힌지부(121)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제 1 측면프레임(20)과 제 2 측면프레임(30)은 베이스부(10)와 힌지 결합된 곳에서 접철 가능하게 접혀질 수 있는데, 그 목적은 보관의 편리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가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확장가능형핸들(13)의 핸들(142)을 손으로 잡고, 발을 각각 제 1, 제 2 발판(23,33) 위에 올려놓고, 양 발에 힘을 가해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 제 2 발판(23,33)은 제 1, 제 2 프레임(20,30)에서 연결부(50)를 따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때 제 1, 제 2 발판(23,33)은 동시에 이동제한부(40)에 의한 끌어당기는 힘을 받게 되는데, 사용자의 미는 힘이 상기 이동제한부(40)의 끌어당기는 힘보다 커야 비로소 제 1, 제 2 발판(23,33)이 순조롭게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힘을 풀어 줄 경우 이동제한부(40)는 제 1, 제 2 발판(23,33)을 시작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다리부가 반복적으로 힘을 가하고 힘을 풀어주는 동작을 하게 될 경우, 내외부측의 근육 운동 및 인장 스프레칭에 도움이 되며, 대퇴부 근육 형성에도 좋으며, 대퇴부 내외측에 양호한 운동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많은 운동 효과와 실용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경제적인 효익을 제고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창작성이 우수한 고안으로서, 해당 기술분야에서 동일하거나 이와 유사한 어떠한 제품이 공개적으로 실시된 적이 없기 때문에, 실용신안등록요건을 갖추었고, 이에 따라 해당법에 근거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을 한 것이다.

Claims (5)

  1. 횡방향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을 포함하되, 확장가능형핸들이 고정 창작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프레임의 양측으로는 각각 풀리셋 및 힌지부가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부;
    고정단, 받침대, 및 상기 고정단과 받침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단은 베이스부의 중간 프레임에 형성된 힌지부에 힌지 결합되는 절첩 가능한 2개의 측면 프레임; 및
    발판의 저부에 장착되는 지지부, 발판의 슬라이딩 이동의 이동범위를 제한해주는 위치제한부 및 고리를 포함하는 2개의 발판으로서, 상기 지지부는 롤링부 및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끼움부와 롤링부에 의해 상기 발판의 슬라이딩 이동이 연결부 상으로 위치가 제한되며, 상기 발판의 저부에 형성된 고리에 일단이 끼워지는 이동제한부는 그 타단이 중간 프레임 풀링셋을 경유하여 받침대의 대응고리에 걸려지게 되는 2개의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가능형핸들은 연결프레임, 높이조절프레임, 고정부재 및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베이스부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의 내부로 높이조절프레임이 삽입 슬라이딩 되며,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상단부에는 핸들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하단부에는 다수 개의 조절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프레임 상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공 및 다수 개의 조절공 중 어느 하나를 끼워 고정 결합시키는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탄성부재가 되는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고정단과 받침대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는 아래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호 형상을 하고 있는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위치제한로드 및 위치제한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위치제한로드는 발판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위치제한체는 연결부 내측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위치제한로드의 위치를 제한시키게 되는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20097000020U 2007-11-09 2007-11-09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46096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7/071045 WO2009059483A1 (fr) 2007-11-09 2007-11-09 Appareil pour exercices d'étirement des jamb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000U true KR20100002000U (ko) 2010-02-24
KR200460966Y1 KR200460966Y1 (ko) 2012-06-13

Family

ID=40625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7000020U KR200460966Y1 (ko) 2007-11-09 2007-11-09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261588A1 (ko)
JP (1) JP3166304U (ko)
KR (1) KR200460966Y1 (ko)
WO (1) WO200905948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14Y1 (ko) * 2010-03-22 2010-09-06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KR101019203B1 (ko) * 2010-09-16 2011-03-04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운동기구
KR200460267Y1 (ko) * 2012-03-02 2012-05-16 장경원 슬라이딩 운동기구용 롤링 장치
KR200464458Y1 (ko) * 2010-03-30 2013-01-02 추 청 캉 저항력 크기의 조정이 가능한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55B1 (ko) 2009-06-01 2011-04-28 김재영 다목적 운동기구
CN104759055A (zh) * 2014-12-27 2015-07-08 刘长胜 张迭升降对翘瑜珈健身器
CN105105972A (zh) * 2015-09-29 2015-12-02 南京康龙威康复医学工程有限公司 儿童康复器用脚踏板
CN107469285B (zh) * 2017-07-07 2019-11-29 温岭市八哥鞋业有限公司 一种防止受伤的压腿器材运行方法
CN109646882B (zh) * 2019-01-16 2023-05-30 李作坤 一种多功能健身器材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884A (en) * 1983-03-03 1985-03-26 Hankin Stuart M Body stretcher system
US5108093A (en) * 1986-05-08 1992-04-28 Weslo, Inc. Multipurpose exerciser
US5147266A (en) * 1991-03-11 1992-09-15 Ricard Roger W Leg stretching machine
EP0553536A1 (en) * 1992-01-27 1993-08-04 Yu-Jun Wang Gymnastic apparatus
US5322493A (en) * 1993-02-09 1994-06-21 Venner Frederic S F Leg muscle conditioning device
US5328427A (en) * 1993-11-15 1994-07-12 Sleamaker Robert H Skating/skiing simulator with ergometric input-responsive resistance
US5520598A (en) * 1994-11-25 1996-05-28 Little; Oscar L. Leg exercising device and method
US6071217A (en) * 1996-10-24 2000-06-06 Barnett; Larry W. Prone torso exerciser
US6368254B1 (en) * 1999-10-14 2002-04-09 Robert A. Wall Hybrid stretching and exercising machine
DE29922904U1 (de) * 1999-12-28 2000-02-17 Hsieh Jung Pao Mehrzweckgleitgerät
JP3911688B2 (ja) * 2000-03-22 2007-05-09 順一 鍋谷 下半身強化装置
JP2002028260A (ja) * 2000-07-14 2002-01-29 Kiyoshige Nakamura 脚部開閉筋力増強運動器具
US6565491B1 (en) * 2000-08-11 2003-05-20 I.K.E. Systems, Llc Inertial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7115073B2 (en) * 2000-10-04 2006-10-03 Skatestrider Inc. Exercise apparatus for simulating skating movement
US6786850B2 (en) * 2000-10-04 2004-09-07 Skatestrider Inc. Exercise apparatus for simulating skating movement
US6837838B2 (en) * 2001-04-17 2005-01-04 Karl A. List Exercise device
CN2495323Y (zh) * 2001-07-25 2002-06-19 陈晋祥 健身器
US7125367B1 (en) * 2002-11-08 2006-10-24 Stearns Kenneth W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USD512111S1 (en) * 2003-03-19 2005-11-29 Neil Summers Exerciser
WO2005044393A1 (en) * 2003-11-03 2005-05-19 Tommy Bull Stretching and exercise apparatus
JP2005177405A (ja) * 2003-12-18 2005-07-07 Summers Neil 筋肉鍛錬用運動用具
US20050148448A1 (en) * 2004-01-02 2005-07-07 Mersch Frederic S. Push-up board exercise device
US7108643B2 (en) * 2004-03-24 2006-09-19 Jeffrey Dale Wilson Push-up device
TWM256201U (en) * 2004-04-05 2005-02-01 Wei-Tz Wen Auxiliary machine for push-up exercise
US7134987B2 (en) * 2004-05-07 2006-11-14 Magenav Inc. Prone fly exercise apparatus
KR200396625Y1 (ko) * 2005-07-05 2005-09-23 심명숙 슬라이딩 운동기구
US20070117693A1 (en) * 2005-11-23 2007-05-24 Mihai Ilioi Method and apparatus for lateral exercise
USD550312S1 (en) * 2006-01-20 2007-09-04 Enanef Ltd. Exerciser
US7419459B2 (en) * 2006-01-31 2008-09-02 Willem Johannes Van Straaten Exercise machine
USD589573S1 (en) * 2006-08-01 2009-03-31 Enanef, Ltd Exercise device
CA124549S (en) * 2008-02-07 2009-01-07 Refinement Canada Inc Combined exercise and massage machine
US7641603B2 (en) * 2008-05-28 2010-01-05 Natural Fitness, Inc. Stretching device
WO2009146353A2 (en) * 2008-05-31 2009-12-03 Potok Paul S Exercise apparatus for performing an armless push-up and method of using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114Y1 (ko) * 2010-03-22 2010-09-06 주식회사 에스이씨오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KR200464458Y1 (ko) * 2010-03-30 2013-01-02 추 청 캉 저항력 크기의 조정이 가능한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019203B1 (ko) * 2010-09-16 2011-03-04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운동기구
KR200460267Y1 (ko) * 2012-03-02 2012-05-16 장경원 슬라이딩 운동기구용 롤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66304U (ja) 2011-03-03
WO2009059483A1 (fr) 2009-05-14
KR200460966Y1 (ko) 2012-06-13
US20100261588A1 (en)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966Y1 (ko) 다리 스트레칭 운동기구
US8641582B2 (en) Leg-stretching exercise apparatus
JP3168541U (ja) 開脚運動器
US881476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CN205235293U (zh) 一种折叠式下腰、压腿训练架
RU2301098C2 (ru) Тренажер для ягодичной мышцы
KR200481799Y1 (ko) 턱걸이 운동기구
CN201186128Y (zh) 连动式劈腿机
CN206852991U (zh) 一种健身座椅
CN107050767A (zh) 一种可调节高度的俯卧撑支架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CN202876231U (zh) 一种手拉式开胯辅助健身器
CN210963712U (zh) 户外扩胸训练器
CN201115765Y (zh) 腿部伸展健身器
KR200415322Y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CN108721829B (zh) 阻力训练用的折叠式运动椅
CN210448034U (zh) 一种啦啦操训练用韧带拉伸器
JP6197161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JP2006239395A (ja) 筋力訓練機
CN110559599A (zh) 户外扩胸训练器
CN205913720U (zh) 折叠式综合健身器
CN211611452U (zh) 箱体折叠锻炼器
KR102533017B1 (ko) 스트레칭 및 근력 운동 기구
KR20080004920U (ko) 전신 운동기구
CN219681580U (zh) 臀部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