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268A - 렌즈 광학계 - Google Patents

렌즈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268A
KR20100001268A KR1020080061118A KR20080061118A KR20100001268A KR 20100001268 A KR20100001268 A KR 20100001268A KR 1020080061118 A KR1020080061118 A KR 1020080061118A KR 20080061118 A KR20080061118 A KR 20080061118A KR 20100001268 A KR20100001268 A KR 20100001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group
positive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415B1 (ko
Inventor
박영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415B1/ko
Priority to US12/488,788 priority patent/US7889444B2/en
Publication of KR2010000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1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one + and one - compon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6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 G02B15/177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interdependent non-linearly related movements between one lens or lens group, and another lens or lens group having a negative front lens or group of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광각 렌즈 광학계가 개시된다.
개시된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조리개 그리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며,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Figure 112008046202488-PAT00001
Figure 112008046202488-PAT00002
여기서, f는 전체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fII는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이며, fIa는 제1렌즈군의 전군의 초점거리, fIb는 제1렌즈군의 후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렌즈 광학계{Lens optical system}
본 발명은 주로 35mm 필름 또는 촬상 소자를 사용하는 일안 레프렉스 카메라 및 디지털 카메라등에 사용되는 광각렌즈에 적절한 레트로 포커스형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가진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나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메가 픽셀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요구되고,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에서도 500만 이상의 화소와 고화질의 성능을 가지는 카메라가 등장하고 있다.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상 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혹은 핸드폰 카메라와 같은 결상 광학 기기는 소형화, 경량화, 저 비용화가 요구된다.
그리고,카메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와 같은 단초점 렌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광각 렌즈로는 후초점 거리가 길고,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으로 구성된 소위 레트로포커스형(역망원형) 렌즈 구성이 제안되어 왔다. 그 런데, 일반적으로 레트로포커스형 렌즈는 제2 렌즈군에 의해 포커싱을 행하였으며, 이런 경우 렌즈계에 입사하는 축외 광속의 광선높이 변화가 크기 때문에 수차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레트로포커스형 렌즈의 경우 포커싱시의 수차 변동을 보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긴 후초점 거리를 확보하고, 수차 보정 성능을 향상시킨 렌즈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조리개 그리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며,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를 제공한다.
<조건식>
Figure 112008046202488-PAT00003
Figure 112008046202488-PAT00004
여기서, f는 전체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fII는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이며, fIa는 제1렌즈군의 전군의 초점거리, fIb는 제1렌즈군의 후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제1렌즈군의 전군은 적어도 하나의 정렌즈를 포함하며,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조건식>
1.80<nIa(p)
vIa(p)<35
여기서, nIa(p)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의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를, vIa(p)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의 정렌즈의 분산치 평균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이 이동되어 포커싱이 수행된다.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거나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조리개 그리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고, 상기 전군은 적어도 하나의 정렌즈를 포함하며, 무한대로부터 근거리 방향으로 포커싱을 행할 때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 간격이 줄어들도록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을 이동시키며,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렌즈 광학계를 제공한다.
<조건식>
1.80<nIa(p)
vIa(p)<35
여기서, nIa(p)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의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를, vIa(p)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의 정렌즈의 분산치 평균치를 나타낸다.
상기 제1렌즈군의 전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물체측으 로 볼록한 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니스커스형의 부렌즈와 양볼록의 정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제1렌즈군의 후군은 정렌즈 2매와 부렌즈 1매를 포함한다.
상기 제2렌즈군이 부렌즈 1매와 정렌즈 3매를 포함한다.
상기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 오목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형의 부렌즈와 상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형의 정렌즈를 접합한 접합렌즈와, 상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형의 정렌즈를 2매를 포함한다.
상기 제2렌즈군이 적어도 1매 이상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제1렌즈군의 전군과 후군 사이에 고정 조리개가 더 포함된다.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에 각각 1매 이상의 접합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개가 제2렌즈군과 연동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자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일안리플렉스 카메라 등에 이용되는 광각 대구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는 화각이 약 75도 정도이고, 구경비가 1:1.4 정도의 광각 대구경 렌즈에 적합하며,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포커싱을 행할 수 있는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군을 포함한다. 도 1, 도 3, 도 5에서는 제1 렌즈군이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예를 도시하였으며, 도 7에서는 제1 렌즈군이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예를 도시하였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물체측(O)으로부터 상측(I)으로 순차적으로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G1), 조리개(9) 그리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G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렌즈군(G1)은 물체측(O)으로부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G11)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G12)을 포함한다. 상기 전군(G11)과 후군(G12) 사이에는 고정 조리개(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조리개(5)는 광각 렌즈에서 발생하기 쉬운 플레어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축외 광선을 커팅하기 위해 구경이 고정된 조리개이다.
상기 제1 렌즈군(G1)의 전군(G11)은 충분한 후초점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물체측(O)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부렌즈와, 양볼록 형상의 정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군(G11)은 제1 접합 렌즈(C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군(G11)이 메니스커스형 부렌즈(1), 양볼록 렌즈(2), 제1렌즈(3)와 제2렌즈(4)가 접합된 제1 접합 렌즈(C1)를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한편, 도 3, 도 5, 도 7에서는 전군(G11)이 두 매의 메니스커스형 부렌즈, 양볼록 렌즈, 접합 렌즈를 포함하는 구성을 보여 준다. 전군(G11)을 이와 같이 배치하여 전군 전체적으로는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하였다. 제1 렌즈군(G2)의 후군(G12)은 강한 정렌즈 2매(6)(7)와 부렌즈 1매(8)를 포함하여 구면수차 및 코마수차를 보정한다. 여기서, 상기 정렌즈(7)와 부렌즈(8)가 제2 접합 렌즈(C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G2)은 부렌즈 1매와 정렌즈 3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렌즈군(G2)은 물체측(O)으로 오목한 면을 가지는 부의 메니스커스 렌즈(10)와 상면측(I)으로 볼록한 면을 향하는 정의 메니스커스 렌즈(11)를 접합한 제3 접합렌즈(C3), 그리고 상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정의 메니스커스 렌즈 2매(12)(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이 각각 1 매 이상의 접합 렌즈를 포함한다. 도면 부호 14는 필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물체가 무한대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할 경우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을 이동시켜 포커싱을 행한다. 이와 같이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을 같이 이동하여 포커싱을 수행함으로써 포커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G2)이 이동시 조리개(9)가 같이 연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다음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8046202488-PAT00005
Figure 112008046202488-PAT00006
여기서, f는 전체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fII는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이며, fIa는 제1렌즈군의 전군의 초점거리, fIb는 제1렌즈군의 후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은 전체 초점거리에 대한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의 비를 나타낸 것으로, 수학식 1의 값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렌즈 광학계가 레트로 포커스형태에서 벗어나게 되어 후초점거리 확보가 어려워지고, 포커싱에 따른 이동량이 증가하여 전체 렌즈 시스템의 사이즈가 커지게 된다. 수학식 1의 값이 하한치를 벗어나면 왜곡수차와 구면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지며, 포커싱에 따른 상면만곡의 변화가 커지게 된다.
수학식 2는 제1렌즈군 중 전군의 초점거리와 후군의 초점거리의 비를 나타낸 것으로, 이 값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후초점거리의 확보가 어려워지고 구면수차가 언더로 되기 쉽다. 한편, 수학식 2의 값이 하한치를 벗어나게 되면 전체 렌즈계의 비대칭성이 과도하게 되어 비점수차 및 코마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진다.
상기 제1렌즈군(G1)의 전군(G11)은 적어도 하나의 정렌즈를 포함하며, 하기의 수학식을 만족하도록 구성된다.
1.80<nIa(p)
vIa(p)<35
여기서, nIa(p)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의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를, vIa(p) 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의 정렌즈의 분산치 평균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3과 4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렌즈의 d-line(587.56nm)에 대한 굴절율과 분산치를 나타낸 것이다. 제1렌즈군이 상기 수학식 3,4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배율색수차가 과도하게 발생하며, 특히 제2렌즈군의 포커싱에 따른 배율색수차 변화를 보정하기가 어려워져 양호한 결상성능을 만족하기 어렵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비되는 비구면의 정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비구면 형상은 광축 방향을 X축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Y축으로 할 때, 광빔의 진행 방향을 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A,B,C,D는 비구면 계수를,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1/R)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112008046202488-PAT00007
이와 같이 비구면 렌즈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줌 렌즈의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 대량으로 양산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렌즈 데이터들을 기술한다. 이하, f는 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거리를, Fno는 F 넘버를, R은 곡률 반경을, D는 렌즈의 중심 두께 또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Nd는 굴절률을, Vd는 아베수를, ST는 조리개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며 도면 부호 14는 필터를 나타내고, 다음은 실시예 1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f ; 28.5 Fno ; 1.44 2ω ; 75.4°
R D Nd Vd
OBJ: INFINITY D0
S1: 106.00000 2.800000 1.83481 42.72
S2: 28.04000 8.770000
S3: 156.00000 4.560000 1.90366 31.32
S4: -200.00000 0.300000
S5: 93.96000 5.050000 1.84666 23.78
S6: -200.00000 1.500000 1.49700 81.61
S7: 27.37000 13.070000
S8: INFINITY 1.500000
S9: 42.45800 8.140000 1.83400 37.35
S10: -56.49000 0.200000
S11: 700.00000 6.930000 1.83481 42.72
S12: -23.74800 1.500000 1.84666 23.78
S13: 45.97000 D1
ST: INFINITY 9.160000
S15: -16.46000 1.500000 1.80518 25.46
S16: -71.62000 3.000000 1.80610 40.74
S17: -32.55400 0.200000
ASP:
K : 0.000000
A :0.191408E-04 B :0.175479E-07 C :0.227030E-10
D :-0.147017E-12
S18: -175.00000 7.440000 1.83481 42.72
S19: -25.21000 0.200000
S20: -51.22000 4.470000 1.77250 49.62
S21: -31.88000 D2
S22: INFINITY 3.000000 1.51680 64.20
S23: INFINITY 0.500000
IMG: INFINITY
다음은 포커싱시 가변 거리에 대한 데이터이다.
촬상배율 0 0.0199 0.0881
D0 INFINITY 1400 300
D1 5.06093 4.17179 3.50000
D2 34.99285 35.62332 37.59152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시스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상면만곡으로는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보여준다.
<실시예 2>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실시예 2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f ; 28.4 Fno ; 1.44 2ω ; 75.5°
R D Nd Vd
OBJ: INFINITY D0
S1: 80.80300 2.800000 1.77250 49.62
S2: 28.86600 7.060000
S3: 86.48000 2.300000 1.48749 70.44
S4: 44.00000 2.290000
S5: 63.06000 5.950000 1.90366 31.32
S6: -258.00000 0.300000
S7: 133.00000 2.770000 1.84666 23.78
S8: 529.00000 1.500000 1.49700 81.61
S9: 25.42800 8.530000
S10: INFINITY 6.330000
S11: 38.50000 7.450000 1.83481 42.72
S12: -59.41000 0.200000
S13: -572.00000 5.750000 1.77250 49.62
S14: -27.60000 1.500000 1.80518 25.46
S15: 46.28000 D1
ST: INFINITY 8.250000
S17: -18.38000 1.500000 1.72825 28.32
S18: -99.24000 3.000000 1.80610 40.74
S19: -38.58000 0.200000
ASP:
K : 0.000000
A :0.162518E-04 B :0.771306E-08 C :0.335377E-10
D :-0.113631E-12
S20: -258.00000 6.800000 1.77250 49.62
S21: -29.84000 0.200000
S22: -71.77000 5.620000 1.77250 49.62
S23: -31.82400 D2
S24: INFINITY 3.000000 1.51680 64.20
S25: INFINITY 0.500000
IMG: INFINITY
촬상배율 0 0.0199 0.0877
D0 INFINITY 1400 300
D1 5.00000 4.53862 3.40831
D2 35.06296 35.64778 37.60149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시스템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3>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실시예 3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f ; 28.4 Fno ; 1.44 2ω ; 75.5°
R D Nd Vd
OBJ: INFINITY D0
S1: 91.34000 2.800000 1.83481 42.72
S2: 28.86000 7.650000
S3: 111.80000 2.300000 1.48749 70.44
S4: 54.97000 6.660000 1.90366 31.32
S5: -267.00000 0.300000
S6: 142.00000 3.380000 1.84666 23.78
S7: -460.00000 1.500000 1.49700 81.61
S8: 23.72000 8.510000
S9: INFINITY 6.050000
S10: 38.57000 7.690000 1.80420 46.50
S11: -52.84000 0.200000
S12: -267.00000 6.150000 1.78590 43.93
S13: -24.35000 1.500000 1.80518 25.46
S14: 49.40000 D1
ST: INFINITY 8.250000
S16: -17.80000 1.500000 1.74077 27.76
S17: -96.60000 3.000000 1.80610 40.74
S18: -37.75000 0.200000
ASP:
K : 0.000000
A :0.168903E-04 B :0.756633E-08 C :0.333780E-10
D :-0.119476E-12
S19: -232.00000 7.000000 1.80420 46.50
S20: -28.72600 0.200000
S21: -70.52000 5.480000 1.77250 49.62
S22: -32.28000 D2
S23: INFINITY 3.000000 1.51680 64.20
S24: INFINITY 0.500000
IMG: INFINITY
촬상배율 0 0.0199 0.0877
D0 INFINITY 1400 300
D1 5.00000 4.42992 3.22931
D2 35.01039 35.59753 37.54887
도 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시스템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 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4>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실시예 4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f ; 28.5 Fno ; 1.44 2ω ; 75.4°
R D Nd Vd
OBJ: INFINITY D0
S1: 81.20000 2.800000 1.80420 46.50
S2: 28.00000 8.900000
S3: 329.00000 2.300000 1.69680 55.46
S4: 93.30000 5.630000 1.90366 31.32
S5: -135.00000 0.300000
S6: 92.50000 4.560000 1.84666 23.78
S7: -250.00000 1.500000 1.49700 81.61
S8: 23.52000 6.990000
S9: INFINITY 4.000000
S10: 33.23000 7.490000 1.73400 51.05
S11: -50.52000 0.200000
S12: -140.00000 4.190000 1.80420 46.50
S13: -39.62000 1.500000 1.84666 23.78
S14: 44.41000 D1
ST: INFINITY 8.770000
S16: -18.51000 1.500000 1.67270 32.17
S17: 137.00000 4.510000 1.77250 49.62
S18: -33.59500 0.200000
ASP:
K : 0.000000
A :0.135046E-04 B :0.168992E-07 C :0.299163E-11
D :-0.223557E-13
S19: -208.00000 6.280000 1.77250 49.62
S20: -29.89000 3.810000
S21: -64.66000 5.060000 1.71300 53.94
S22: -32.54000 D2
S23: INFINITY 3.000000 1.51680 64.20
S24: INFINITY 0.500001
IMG: INFINITY -0.001899
촬상배율 0 0.0201 0.0891
D0 INFINITY 1400 300
D1 5.08548 4.48744 3.17823
D2 36.92642 37.49936 39.47036
다음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가 수학식 1,2,3,4를 만족하는 것을 보여준다.
수학식 1 수학식 2 수학식 3 수학식 4
실시예 1 1.36 1.11 1.88 27.55
실시예 2 1.35 1.04 1.88 27.55
실시예 3 1.32 1.04 1.88 27.55
실시예 4 1.24 0.79 1.88 27.5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화각이 약 75 정도이고, 구경비가 1:1.4 정도의 광각 대구경 렌즈에 적합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충분히 긴 후초점거리를 확보하여 레트로 포커스형 렌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제4실시예에 따른 렌즈 광학계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G1...제1렌즈군, G11...제1렌즈군의 전군
G12...제1렌즈군의 후군, G2...제2렌즈군
C1,C2,C3...접합렌즈

Claims (12)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조리개 그리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며,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Figure 112008046202488-PAT00008
    Figure 112008046202488-PAT00009
    여기서, f는 전체 렌즈 광학계의 초점거리이고, fII는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이며, fIa는 제1렌즈군의 전군의 초점거리, fIb는 제1렌즈군의 후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의 전군은 적어도 하나의 정렌즈를 포함하며,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1.80<nIa(p)
    vIa(p)<35
    여기서, nIa(p)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의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를, vIa(p)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의 정렌즈의 분산치 평균치를 나타낸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이 이동되어 포커싱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4.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거나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조리개 그리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고, 상기 전군은 적어도 하나의 정렌즈를 포함하며, 무한대로부터 근거리 방향으로 포커싱을 행할 때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 간격이 줄어들도록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을 이동시키며,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조건식>
    1.80<nIa(p)
    vIa(p)<35
    여기서, nIa(p)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의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를, vIa(p)는 제1렌즈군의 전군 중의 정렌즈의 분산치 평균치를 나타낸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의 전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물체측으로 볼록한 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니스커스형의 부렌즈와 양볼록의 정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의 후군은 정렌즈 2매와 부렌즈 1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이 부렌즈 1매와 정렌즈 3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 오목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형의 부렌즈와 상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형의 정렌즈를 접합한 접합렌즈와, 상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형의 정렌즈를 2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이 적어도 1매 이상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의 전군과 후군 사이에 고정 조리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11.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에 각각 1매 이상의 접합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12.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가 제2렌즈군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광학계.
KR1020080061118A 2008-06-26 2008-06-26 렌즈 광학계 KR10145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118A KR101457415B1 (ko) 2008-06-26 2008-06-26 렌즈 광학계
US12/488,788 US7889444B2 (en) 2008-06-26 2009-06-22 Lens optic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118A KR101457415B1 (ko) 2008-06-26 2008-06-26 렌즈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268A true KR20100001268A (ko) 2010-01-06
KR101457415B1 KR101457415B1 (ko) 2014-11-03

Family

ID=4144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118A KR101457415B1 (ko) 2008-06-26 2008-06-26 렌즈 광학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89444B2 (ko)
KR (1) KR101457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145A (ko) 2018-11-14 2021-06-22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살충 조성물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1056B2 (ja) * 2007-10-30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5880365B2 (ja) * 2012-09-07 2016-03-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US10191254B2 (en) * 2014-10-09 2019-01-29 Sony Corporation Wide-angle lens and imaging unit
JP7183065B2 (ja) * 2019-02-08 2022-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光学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7337626B2 (ja) * 2019-09-20 202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およ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21086134A (ja) * 2019-11-29 2021-06-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7388A (en) * 1991-08-20 1995-12-19 Nikon Corporation Inverse telescopic wide angle lens
JP3261716B2 (ja) 1992-01-16 2002-03-04 株式会社ニコン 逆望遠型大口径広角レンズ
JPH0933801A (ja) 1995-07-17 1997-02-07 Canon Inc レトロフォーカス型レンズ
JP3510428B2 (ja) * 1996-08-12 2004-03-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バックフォーカスの長い広角レンズ
JPH1130743A (ja) 1997-07-11 1999-02-02 Canon Inc レトロフォーカス型レンズ
JP2000310733A (ja) * 1999-02-22 2000-11-07 Olympus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
JP3816726B2 (ja) 2000-05-22 2006-08-30 株式会社シグマ レトロフォーカス型広角レン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145A (ko) 2018-11-14 2021-06-22 미쓰이가가쿠 아그로 가부시키가이샤 살충 조성물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89444B2 (en) 2011-02-15
US20090323205A1 (en) 2009-12-31
KR101457415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332B1 (ko) 단초점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941248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KR101853808B1 (ko) 광각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2052124B1 (ko) 어안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950999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932722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30092846A (ko) 결상렌즈 시스템
KR101758622B1 (ko) 줌 렌즈계
KR101890304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10046119A (ko) 접사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10040463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40081317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706265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782994B1 (ko) 소형 줌 렌즈
KR101457415B1 (ko) 렌즈 광학계
KR20100128903A (ko) 줌 렌즈
KR102094508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582089B1 (ko) 광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결상 광학 장치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2013241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271733B1 (ko) 줌 렌즈계
KR101660839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10056104A (ko) 소형 줌 렌즈
KR101462957B1 (ko) 소형 줌 렌즈
KR101758680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