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873U -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 Google Patents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873U
KR20100000873U KR2020080009525U KR20080009525U KR20100000873U KR 20100000873 U KR20100000873 U KR 20100000873U KR 2020080009525 U KR2020080009525 U KR 2020080009525U KR 20080009525 U KR20080009525 U KR 20080009525U KR 20100000873 U KR20100000873 U KR 201000008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vacuum
cooking vessel
l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215Y1 (ko
Inventor
서월식
Original Assignee
서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1964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00873(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서월식 filed Critical 서월식
Priority to KR2020080009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21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8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 후 온도저하에 따른 공기수축을 이용하여 조리용기 내부가 자동으로 진공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음식물이 장시간 부패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는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의 뚜껑에 구비되어져 진공시 수축되면서 보다 완벽한 실링이 가능하도록 된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킹의 단면 구조를 개량하여 진공 해제시 쉽게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재사용시에 보다 유리하여 사용이 편리한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에 의하면, 일면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축 작용에 의해 보다 완벽한 실링이 가능하므로 진공 상태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밀착편 사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진공시 밀착되었던 제1,2밀착편은 진공 해제시 쉽게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떼는 종래의 폐단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패킹, 용기본체, 뚜껑, 돌기

Description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A packing for the cooker having the vacuum function}
본 고안은 가열 후 온도저하에 따른 공기수축을 이용하여 조리용기 내부가 자동으로 진공 상태로 전환함에 따라 음식물이 장시간 부패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는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의 뚜껑에 구비되어져 진공시 수축되면서 보다 완벽한 실링이 가능하도록 된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킹의 단면 구조를 개량하여 진공 해제시 쉽게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재사용시에 보다 유리하여 사용이 편리한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면에 결합되어 뚜껑과 용기본체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패킹 및 상기 뚜껑의 상면에 구비되어 진공을 해제하는 진공해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조리용기는 조리된 음식물이 식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자동으로 진공 상태로 전환되도록 해 조리된 음식물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외부 공기 유입을 얼마나 완벽하게 차단하느냐에 따라 성능이 결정된다 하여도 무방할 것이며, 이 작용에 있어 무엇보다 패킹의 구조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서, 패킹의 구조도 여러 형태가 제안되어 있으나, 그 중에서도 국내특허공개번호 제10-1999-0004727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대표적인 패킹의 구조인데, 이를 참조로 하여 하기에서는 종래의 패킹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1은 종래의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패킹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의 "가"와 "나"는 종래 패킹의 작동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하면, 종래의 패킹(10)은 전체적으로 대략 링 형상을 가지되 외측면에 형성된 절개부(12)를 매개로 상하부에 제1,2밀착편(14,16)이 각각 형성된 구조인데, 상기 절개부(12)는 후술하겠지만 조리용기가 진공 상태로 전환될 때 수축되면서 밀착력을 향상시켜 기밀을 유지토록 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패킹(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22)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24)의 하면에 장착되어져 용기본체(22)의 상부에 밀착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뚜껑(24)에는 패킹(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외향된 플랜지부(25)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5) 하부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환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4)의 가운데 부분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27)가 구비되며, 그 일측에는 진공해제밸브(28)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용기본체(22) 내부에 조리할 음식물을 넣고 뚜껑(24)을 매개로 상부를 밀폐한 후 용기본체(22)를 가열하여 조리를 하게 된다. 그러면, 용기본체(22) 내부의 고기압은 진공해제밸브(28)나 뚜껑(24)을 상승시켜 발생되는 틈새로 배출되며, 조리가 완료되어 용기본체(22)를 더 이상 가열하지 않게 되면 용기본체(22) 내부 온도가 점차적으로 냉각되어 저기압으로 변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뚜껑(24)은 하면에 장착된 패킹(10)을 매개로 용기본체(22)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용기본체(22) 내부는 진공상태로 전환되는데, 이 작동과정에서 상기 패킹(10)은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즉, 도 3의 "가"를 참조로 하면, 조리 완료 후 용기본체(22) 내부 온도가 냉각되어져 저기압으로 변함에 따라 뚜껑(24)이 밀착되는 과정에서 패킹(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절개부(12)는 수축 즉, 제1밀착편(14)의 하면이 제2밀착편(16) 상면에 단단히 밀착되면서 외부 공기유입을 차단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토록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패킹(10)은 절개부(12)의 수축 작용에 의해 밀착력이 향상되므로 기밀 향상에는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진공 상태 해제 후의 작동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나"를 참조로 하면, 진공을 해제하여 뚜껑(24)을 열게 되어도 수축되었던 패킹(10)의 절개부(12)는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으로 인해 패킹(10)의 제1,2밀착편(14,16)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서로 닿는 표면적이 넓은 두 밀착편은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되며, 이 상태로 재사용하게 되면 다음 진공 작동에서는 수축 작용에 의한 밀착력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서로 부착된 두 밀착편(14,16)을 손으로 직접 떼어 원상태로 복원시키곤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패킹의 단면 구조를 개량하여 진공 해제시 쉽게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재사용시에 보다 유리하여 사용이 편리한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 진공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의 용기본체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의 하면에 장착되는 패킹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일면에는 패킹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제1,2밀착편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2밀착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밀착편에는 절개부의 수축 작용시 서로 닿는 표면적을 줄여 쉽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환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에 의하면, 일면에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축 작용에 의해 보다 완벽한 실링이 가능하므로 진공 상태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밀착편 사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진공시 밀착되었던 제1,2밀착편은 진공 해제시 쉽게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떼는 종래의 폐단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 킹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조리용기용 패킹(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가지되 외면에는 패킹(10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절개부(110)에 의해 제1,2밀착편(120,122)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밀착편(12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기(130)가 환배열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110)는 하기에서도 후술하겠지만 패킹(100)의 외면은 물론이고 내면 혹은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형성되는 위치를 어느 한곳으로 한정 짓기에는 무리가 있음을 인정해야 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130)는 상기 절개부(110)의 수축 작용시 두 밀착편(120,122)이 닿는 표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제2밀착편(122)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밀착편(120)의 하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그 크기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돌기(130)는 그 형상이 어떠하던 제1,2밀착편(120,122) 사이에만 형성되면 상관없다.
앞서 언급하였지만, 상기 절개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 형성된 절개부(110)와 그 방향은 다르나 부분 확대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절개부(110)를 매개로 제1,2밀착편(120,122)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 즉, 제2밀착편(122)의 상면에는 돌기(130)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패킹(100)의 상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돌출편(140)을 간헐적으로 환배열할 수도 있는데, 이는 패킹(100)과 미도시된 조리용기(20)의 뚜껑(24)과의 결합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구현하기 위함이다. 이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패킹(100)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편(140)이 삽착될 삽착홈을 뚜껑(24)의 하면에 형성하여 결합하게 되면 결속력이 우수하여 패킹(100)이 쉽게 뚜껑(24)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패킹(100)의 사용 상태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도 9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작동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패킹(100) 역시 종래와 마찬가지로 조리용기(20)의 용기본체(22)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24)의 하면 가장자리 즉, 뚜껑(24)에 형성된 플랜지부(25)의 하측과 그 하부 내측에 형성된 환돌기(26)의 외주연에 장착되어져 용기본체(22)의 상부에 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뚜껑(24)의 구조와 용기본체(22)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에서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부과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이 상태에서, 용기본체(22)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가열하게 되면 용기본체(22) 내부의 고기압은 진공해제밸브(28)나 뚜껑(24)을 상승시켜 발생되는 틈새로 배출되며, 조리가 완료되어 용기본체(22)를 더 이상 가열하지 않게 되면 용기본체(22) 내부 온도가 점차적으로 냉각되어 저기압으로 변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뚜껑(24)은 하면에 장착된 패킹(100)을 매개로 용기본체(22)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용기본체(22) 내부는 진공상태로 전환되는데, 이 작동과정에서 상기 패킹(100)은 하기와 같이 작동된다.
도 9의 "가"를 참조로 하면, 조리 완료 후 용기본체(22) 내부 온도가 냉각되 어져 저기압으로 변함에 따라 뚜껑(24)이 밀착되는 과정에서 패킹(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절개부(110)는 수축되면서 외부 공기유입을 차단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토록 하게 된다. 즉, 절개부(110)의 수축에 의해 제1밀착편(120)과 제2밀착편(122)이 서로 부착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여기까지의 작동은 종래와 동일하나 조리가 완료 된 후의 작동에서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즉, 용기본체(22) 내부에서 조리된 음식물을 취식하고자 하면 진공해제밸브(28)를 통해 진공상태를 먼저 해제한 뒤 "나"와 같이 뚜껑(24)을 열게 된다. 그러면, 절개부(110)의 수축 작용으로 인해 서로 부착되었던 제1,2밀착편(120,122)은 종래와 달리 자동으로 떨어져 원 상태로 복원되어 있다. 즉, 상기 제1,2밀착편(120,122) 사이에 형성된 돌기(130)에 의해 두 밀착편은 서로 닿는 표면적이 크게 줄어 자연스럽게 복원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패킹(100)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시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신속하게 복원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100)에 의하면, 일면에 절개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축 작용에 의해 보다 완벽한 실링이 가능하므로 진공 상태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밀착편(120,122) 사이에 형성된 돌기(130)에 의해 진공시 밀착되었던 제1,2밀착편(120,122)은 진공 해제시 쉽게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떼는 종래의 폐단을 방지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패킹의 사용 상태도.
도 3의 "가"와 "나"는 종래 패킹의 작동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9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패킹의 작동을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패킹 12 : 절개부
14 : 제1밀착편 16 : 제2밀착편
20 : 조리용기 22 : 용기본체
24 : 뚜껑 25 : 플랜지부
26 : 환돌기 27 : 손잡이
28 : 진공해제밸브 100 : 본 고안의 패킹
110 : 절개부 120 : 제1밀착편
122 : 제2밀착편 130 : 돌기
140 : 돌출편

Claims (1)

  1. 자동 진공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의 용기본체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의 하면에 장착되는 패킹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일면에는 패킹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제1,2밀착편이 상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2밀착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밀착편에는 절개부의 수축 작용시 서로 닿는 표면적을 줄여 쉽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환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KR2020080009525U 2008-07-17 2008-07-17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KR200451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525U KR200451215Y1 (ko) 2008-07-17 2008-07-17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525U KR200451215Y1 (ko) 2008-07-17 2008-07-17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873U true KR20100000873U (ko) 2010-01-27
KR200451215Y1 KR200451215Y1 (ko) 2010-12-02

Family

ID=4419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525U KR200451215Y1 (ko) 2008-07-17 2008-07-17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21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075B1 (ko) * 2013-03-20 2015-01-13 주식회사 실바트 조리용기의 뚜껑
KR101597152B1 (ko) * 2014-08-27 2016-03-07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856B1 (ko) 2012-08-16 2014-10-02 오재탁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
KR101616073B1 (ko) 2014-11-28 2016-04-27 주식회사 해피콜 패킹, 이 패킹을 이용한 진공냄비용 뚜껑 및 진공냄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08Y1 (ko) 2001-08-18 2001-12-01 주식회사 부영실업 압력밥솥용 패킹
KR100487064B1 (ko) 2002-11-13 2005-05-03 임필권 압력솥의 뚜껑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075B1 (ko) * 2013-03-20 2015-01-13 주식회사 실바트 조리용기의 뚜껑
KR101597152B1 (ko) * 2014-08-27 2016-03-07 주식회사 해피콜 진공 가능한 냄비용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215Y1 (ko)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429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JP4646387B2 (ja) 食品保存用容器
WO2008154774A1 (fr) Capuchon de scellement
KR200451215Y1 (ko)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JP2012056587A (ja) 加熱容器用弁及びこの弁を取り付けた加熱容器
KR101435756B1 (ko)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KR102506105B1 (ko) 밸브를 구비하는 음식 저장 및 조리 용기
JP2009190783A (ja) 蓋付容器
KR100856469B1 (ko) 밀폐용기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KR200437807Y1 (ko) 밀폐형 용기 뚜껑
KR101462838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JP5824422B2 (ja) 食品保存容器
KR20090012204U (ko) 자동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JP2022016596A (ja) 中皿付き食品用容器
JP2011115489A (ja) 真空機能付き調理容器用パッキン
KR102249852B1 (ko) 수증기 밀폐용기
TWI441608B (zh) Built-in universal pressure cooker lid
JP6983620B2 (ja) 中皿付き食品用容器
KR101685441B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가지는 저장용기용 밀폐 덮개
KR20080004792U (ko) 조리용기용 뚜껑의 패킹구조
KR20040081086A (ko) 음식물 보관용기
KR101650283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KR100526358B1 (ko) 용기의 뚜껑
KR101432964B1 (ko) 진공 가능한 조리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