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856B1 -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856B1
KR101445856B1 KR1020120089711A KR20120089711A KR101445856B1 KR 101445856 B1 KR101445856 B1 KR 101445856B1 KR 1020120089711 A KR1020120089711 A KR 1020120089711A KR 20120089711 A KR20120089711 A KR 20120089711A KR 101445856 B1 KR101445856 B1 KR 10144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astening ring
ring
lid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623A (ko
Inventor
오재탁
Original Assignee
오재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탁 filed Critical 오재탁
Priority to KR102012008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8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체결링과; 저장 용기의 상단 개구 내측면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체결링의 외측면부에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 테두리가 상기 체결링의 상단 및 하단부에 에워싸여 고정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팽창되는 용기 밀폐부; 및 상기 체결링의 상단에 고정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용기 뚜껑을 제공하여, 가열시, 용기 뚜껑과 저장 용기 사이를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COOKING VESSEL CAP}
본 발명은 조리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시, 용기 뚜껑과 저장 용기 사이를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용기는 조리 음식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와, 용기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을 갖는다.
통상, 용기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용기의 내면과 밀착되는 뚜껑의 테두리에는 고무 재질의 패킹을 채용한다.
종래에는 상기의 패킹을 뚜껑의 태두리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하면서, 자체의 탄성을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패킹과 용기의 내면 사이에는 일정의 미세 갭이 형성되어, 음식을 가열 조리하기 위해 용기에 열을 가하는 경우, 저장 용기의 내부 음식이 가열되면서, 음식물이 끓고, 이 끓는 음식물이 상기 갭을 통해 외부로 흘러 넘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음식물의 보관 및 밀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무 패킹의 형상 및 고정의 다양한 실시를 구현하였으나, 이는 보관 용도일 뿐, 이 용기를 가영하는 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이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대한민국 실용공고 공고 번호 제20-1980-0000041호(공고일: 1980년 01월 24일)에는 고압솥의 뚜껑 밀폐 패킹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시 열전달로 인해, 용기 뚜껑과 저장 용기 사이의 갭을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외측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체결링과; 저장 용기의 상단 개구 내측면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체결링의 외측면부에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 테두리가 상기 체결링의 상단 및 하단부에 에워싸여 고정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팽창되는 용기 밀폐부; 및 상기 체결링의 상단에 고정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을 제공한다.
상기 체결링은, 상기 용기 밀폐부가 배치되는 체결링 몸체와, 상기 체결링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외측 하방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기 용기 밀폐부의 상단의 유동을 규제하는 상단 고리부와, 상기 체결링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며, 외측 상방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기 용기 밀폐부의 하단의 유동을 규제하는 하단 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 고리부는, 상기 하단 고리부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밀폐부는, 내열성의 러버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 몸체의 외측면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링 형상의 밀폐부 몸체와, 상기 밀폐부 몸체의 외측 둘레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보조 돌기 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밀폐부 몸체와 상기 체결링 몸체의 외측면부 사이에는, 일정의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의 하단에 고정되며, 외측 테두리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의 걸림부에 밀착되도록 걸려 고정되며,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일정의 팽창 공간이 저장 용기의 상단 개구 내측면에 면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용기 밀폐부를 포함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을 제공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체결링의 하부 내측으로 휘어지는 걸림 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밀폐부는, 내열성의 러버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 밀폐부는 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 1고정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하방을 따라 'U' 형상으로 벤딩되는 벤딩 몸체와, 상기 벤딩 몸체의 타단에서 꺽이도록 벤딩되며, 상기 걸림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 1고정 몸체와 밀착되는 제 2고정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팽창 공간은, 상기 벤딩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고정 몸체는, 상기 벤딩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걸림 고리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ㄱ' 으로 벤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열시 열전달로 인해, 용기 뚜껑과 저장 용기 사이의 갭을 효율적으로 밀폐시켜, 조리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결링과 용기 밀폐부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조리 용기 뚜껑과 저장 용기와 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가열전,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밀폐부와 저장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가열후,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밀폐부와 저장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링과 용기 밀폐부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조리 용기 뚜껑과 저장 용기와 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가열전,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밀폐부와 저장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가열후,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밀폐부와 저장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체결링과 용기 밀폐부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따르는 조리 용기 뚜껑과 저장 용기와 의 결합 상태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조리 용기 뚜껑은, 체결링(100)과, 용기 밀폐부(200)와, 뚜껑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링(100)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식성을 포함하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링(100)은 링 형상의 체결링 몸체(110)와, 상단 고리부(120)와 하단 고리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링 몸체(1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면부가 평평한 형상의 면을 형성한다.
상기 상단 고리부(120)는 상기 체결링 몸체(1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 고리부(120)는 하방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고리부(130)는 상기 체결링 몸체(11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단 고리부(130)는 상방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링(100)의 외측면부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고리부(120)는 하단 고리부(130)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체결링(100)의 외측면부의 오목한 부분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밀폐부(200)가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용기 밀폐부(20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러버로 형성된다. 상기 러버는 내열성을 갖는 러버인 것이 좋다.
상기 용기 밀폐부(200)는 링 형상의 밀폐부 몸체(210)와, 상기 밀폐부 몸체(210)의 외측 둘레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보조 돌기 라인(220)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돌기 라인(220)의 단면은 끝단이 둥근 엠보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는 1개의 라인으로 형성되지만, 1개 이상으로 일정 간격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돌기 라인(220)은 열에 의해 밀폐부 몸체(210)가 팽창되어 늘어나는 경우 끊어짐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기 밀폐부(200)는 체결링(100)의 외측면부에 일정의 탄성을 형성하면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밀폐부(200)는 체결링(100)의 외측면부를 감쌀 수 있다.
특히, 상기 용기 밀폐부(200)의 내측면과 상기 체결링(100)의 외측면부의 사이에는 미세의 공기층(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체결링(100)의 상단 고리부(120)에는 외측링(30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링(300)의 하단은 상기 상단 고리부(120)와 결합된다. 이때, 외측링(300)의 하단은 상기 상단 고리부(120)에 위치되는 용기 밀폐부(200)의 상단을 추가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링(300)에는 돔 형상의 뚜??부(40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뚜껑부(400)는 강화 유리와 같은 내열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가열전,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밀폐부와 저장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리 용기 뚜껑은 저장 용기(10)의 상단 개구를 밀폐할 수 있다.
이때, 체결링(100) 및 그 외측 면부에 설치된 용기 밀폐부(200)는 저장 용기(10)의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단 개구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리를 위해, 저장 용기(10)를 가열하는 경우, 가열되는 열은 조리 용기(10)로 전달되고, 본 발명의 조리 용기 뚜껑에 이르기 까지 전달된다.
도 4는 가열후,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밀폐부와 저장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전달되는 열은 체결링(100) 및 용기 밀폐부(200)에 전달되고, 체결링(100)과 용기 밀폐부(200)는 일정 온도로 가열된다.
특히, 용기 밀폐부(200)와 체결링(100)의 외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 공기층(a)에 포함되는 공기는 가열되는 열로 인해, 외측으로 부피가 팽창된다.
이에 따라, 용기 밀폐부(200)는 체결링(100)에 고정되는 상태로 공기층(a)의 부피 증가로 인해 방사방향을 따라 늘어난다.
그리고, 늘어나는 용기 밀폐부(200)의 외측 둘레는 저장 용기(10)의 내측면에 일정의 가압력을 형성하면서 밀착된다.
이에 따라, 용기 밀폐부(200)는 저장 용기(10)의 상단 내측면을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반면에, 전달되는 열이 하강되면, 공기층(a)의 부피는 원래의 부피로 복귀되고, 용기 밀폐부(200)는 원형으로 복귀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실시예는, 가열시 열전달로 인해, 용기 뚜껑과 저장 용기 사이의 갭을 효율적으로 밀폐시켜, 조리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링과 용기 밀폐부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조리 용기 뚜껑과 저장 용기와 의 결합 상태를 보여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조리 용기 뚜껑은, 뚜껑부(401)와, 체결링(101)과, 용기 밀폐부(201)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링(10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링 몸체(150)와, 상기 체결링 몸체(150)의 내측 테두리에 하방으로 벤딩되어 외측 상단으로 휘어진 걸림부(1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160)는 상기와 같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 밀폐부(201)는 상기 걸림부(160)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용기 밀폐부(201)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용기 밀폐부(201)는 내열성의 러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기 밀폐부(201)는 'ㄷ' 형상으로 벤딩되는 벤딩 몸체(240)와, 제 1,2고정 몸체(230,25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고정 몸체(230)는 상기 벤딩 몸체(240)의 일단에 형성되며, 'ㄱ'형상으로 벤딩된다.
상기 제 2고정 몸체(250)는 상기 벤딩 몸체(240)에서 직각으로 벤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고정 몸체(250)는 상기 제 1고정 몸체(23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 2고정 몸체(250)는 상기 제 1고정 몸체(230)의 수평 방향을 따르는 부분과 일정의 갭을 형성하여 나란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벤딩 몸체(240)의 내부에는 일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팽창 공간(P)이다. 이 내부에 일정의 공기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기 밀폐부(201)는 체결링(101)의 걸림부(160)에 걸려 고정된다.
먼저, 제 1고정 몸체(230)는 걸림부(160)의 사이를 통해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고, 이어, 제 2고정 몸체(250) 역시 걸림부(160)의 사이를 통해 내측으로 끼워진다.
이에 따라, 제 1고정 몸체(230)는 역으로 휘어지면서 걸림부(16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제 2고정 몸체(250)는 걸림부(160)의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제 1고정 몸체(230)의 단부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2고정 몸체(230,250)가 걸림부(160)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벤딩 몸체(240)는 직립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걸림부(160)의 입구 근방에서, 제 1,2고정 몸체(230,250)가 서로 밀착되면서, 벤딩 몸체(240)의 내부에 형성된 팽창 공간(P)은 외부와 격리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 몸체(240)의 내부에는 일정의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체결링(101)의 외측 테두리에는 외측링(301)이 결합되어 설치되고, 외측링(301)에는 뚜껑부(401)의 테두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은 가열전,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밀폐부와 저장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준다.
도 7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리 용기 뚜껑은 저장 용기의 상단 개구를 밀폐할 수 있다.
벤딩 몸체(240)는 내부에 팽창 공간(P)을 형성한 상태로, 직립되어 저장 용기(10)의 상단 내측면에 일정의 갭을 이루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리를 위해, 저장 용기(10)를 가열하는 경우, 가열되는 열은 조리 용기(10)로 전달되고, 본 발명의 조리 용기 뚜껑에 이르기 까지 전달된다.
도 8은 가열후,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밀폐부와 저장용기와의 결합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전달되는 열은 체결링(101) 및 용기 밀폐부(201)에 전달되고, 체결링(101)과 용기 밀폐부(201)는 일정 온도로 가열된다.
특히, 벤딩 몸체(240)의 내부에 형성된 팽창 공간(P)의 부피는 상기 열로 인해, 일정 부피 이상으로 팽창된다.
상기와 같이 팽창되면서, 벤딩 몸체(240)는 늘어나고, 그 외측면은 저장 용기(10)의 상단 내측면에 일정의 가압력을 형성하면서 밀착된다.
이에 따라, 용기 밀폐부(201)는 저장 용기(10)의 상단 내측면을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반면에, 전달되는 열이 하강되면, 팽창 공간(P)의 부피는 원래의 부피로 복귀되고, 용기 밀폐부(201)는 원형으로 복귀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실시예는, 가열시 열전달로 인해, 용기 뚜껑과 저장 용기 사이의 갭을 효율적으로 밀폐시켜, 조리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1 : 체결링 110, 150 : 체결링 몸체
120 : 상단 고리부 130 : 하단 고리부
160 : 걸림부 200, 201 : 용기 밀폐부
210 : 밀폐부 몸체 220 : 보조 돌기 라인
230 : 제 1고정 몸체 240 : 벤딩 몸체
250 : 제 2고정 몸체 300, 301 : 외측링
400, 401 : 뚜껑부 a : 공기층
P : 팽창 공간

Claims (8)

  1. 외측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체결링;
    저장 용기의 상단 개구 내측면에 면접촉되도록 상기 체결링의 외측면부에 배치되며, 상단 및 하단 테두리가 상기 체결링의 상단 및 하단부에 에워싸여 고정되는 용기 밀폐부; 및
    상기 체결링의 상단에 고정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밀폐부와 상기 체결링의 외측면부 사이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팽창되는 공기층에 의하여 상기 용기 밀폐부의 외측 둘레가 늘어나 상기 저장 용기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용기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은,
    상기 용기 밀폐부가 배치되는 체결링 몸체와,
    상기 체결링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외측 하방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기 용기 밀폐부의 상단의 유동을 규제하는 상단 고리부와,
    상기 체결링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며, 외측 상방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기 용기 밀폐부의 하단의 유동을 규제하는 하단 고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용기 뚜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리부는, 상기 하단 고리부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용기 뚜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밀폐부는, 내열성의 러버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 몸체의 외측면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링 형상의 밀폐부 몸체와,
    상기 밀폐부 몸체의 외측 둘레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보조 돌기 라인을 구비하되,
    상기 밀폐부 몸체와 상기 체결링 몸체의 외측면부 사이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팽창되는 일정의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용기 뚜껑.
  5. 뚜껑부;
    상기 뚜껑부의 하단에 고정되며, 외측 테두리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의 걸림부에 밀착되도록 걸려 고정되며,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일정의 팽창 공간이 저장 용기의 상단 개구 내측면에 면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용기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용기 뚜껑.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체결링의 하부 내측으로 휘어지는 걸림 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용기 뚜껑.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밀폐부는, 내열성의 러버로 형성되고,
    단부가 상기 걸림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 1고정 몸체와,
    상기 제 1고정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하방을 따라 'U' 형상으로 벤딩되는 벤딩 몸체와,
    상기 벤딩 몸체의 타단에서 꺽이도록 벤딩되며, 상기 걸림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 1고정 몸체와 밀착되는 제 2고정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팽창 공간은, 상기 벤딩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용기 뚜껑.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 몸체는,
    상기 벤딩 몸체의 일단에서 상기 걸림 고리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ㄱ' 으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폐부를 갖는 용기 뚜껑.

KR1020120089711A 2012-08-16 2012-08-16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 KR10144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711A KR101445856B1 (ko) 2012-08-16 2012-08-16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711A KR101445856B1 (ko) 2012-08-16 2012-08-16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23A KR20140023623A (ko) 2014-02-27
KR101445856B1 true KR101445856B1 (ko) 2014-10-02

Family

ID=5026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711A KR101445856B1 (ko) 2012-08-16 2012-08-16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4649B (zh) * 2019-10-07 2023-12-19 Lg电子株式会社 料理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119Y1 (ko) 2003-04-23 2003-07-04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
KR200343559Y1 (ko) 2003-12-11 2004-03-02 이신근 가마솥의 뚜껑
KR200451215Y1 (ko) 2008-07-17 2010-12-02 서월식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KR20120060568A (ko) * 2010-12-02 2012-06-12 (주)그린킵스 밀폐용기용 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119Y1 (ko) 2003-04-23 2003-07-04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
KR200343559Y1 (ko) 2003-12-11 2004-03-02 이신근 가마솥의 뚜껑
KR200451215Y1 (ko) 2008-07-17 2010-12-02 서월식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KR20120060568A (ko) * 2010-12-02 2012-06-12 (주)그린킵스 밀폐용기용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23A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734B1 (ko) 음료용 용기
US8205768B2 (en) Container lid and associated assembly
US20030209551A1 (en) Heat-keeping cover for a cooking vessel
KR101272819B1 (ko) 음식 용기용 진공 패킹
KR20090047821A (ko) 발열제로 가열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JP2013542892A (ja) 充填式および再密封可能な圧力容器を製造する方法
AU2013210995B2 (en) Cover unit with adapter, cover, and sealing film for a container
US20140103025A1 (en) Seal for use in an electrically heated vessel
KR101445856B1 (ko) 용기 밀폐부를 갖는 조리 용기 뚜껑
KR102376066B1 (ko) 단열 용기용 진공 밀봉 리드 인서트
KR20120060568A (ko) 밀폐용기용 뚜껑
KR101244277B1 (ko) 중탕기
CA3111065C (en) Seal ring for foil-sealing a container
KR200437807Y1 (ko) 밀폐형 용기 뚜껑
KR200476549Y1 (ko) 압력밥솥용 진공 패킹
KR101458458B1 (ko) 휴대용 압력조리용기세트
KR102057938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20110011636U (ko) 휴대용 가열조리용기
KR20080004792U (ko) 조리용기용 뚜껑의 패킹구조
JPH0335738Y2 (ko)
KR20210079814A (ko) 가스 조리와 인덕션을 겸비한 이중조리용기
KR101617193B1 (ko) 조리용기용 덮개의 밀폐구조
KR101482075B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20160116259A (ko) 조리용기용 패킹
KR101720428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