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739U - 절첩 의자 - Google Patents

절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739U
KR20100000739U KR2020080009362U KR20080009362U KR20100000739U KR 20100000739 U KR20100000739 U KR 20100000739U KR 2020080009362 U KR2020080009362 U KR 2020080009362U KR 20080009362 U KR20080009362 U KR 20080009362U KR 20100000739 U KR20100000739 U KR 201000007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air
seat
link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980Y1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2020080009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98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9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1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 A47C4/20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 A47C4/2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with cross leg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의 좌판은 물론 등판부분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해지도록 한 절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1힌지축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앞다리 및 뒷다리와, 상기 앞다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등판 프레임과. 상기 등판프레임에 일측이 연결되어 등판 프레임의 회전시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좌판 프레임과, 상기 좌판 프레임과 앞다리 및 좌판 프레임과 뒷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 프레임의 회전시 앞다리와 뒷다리가 좌판 프레임과 연동하면서 절첩되게 하여 주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로 이루어진 절첩 의자이다.
의자, 절첩 의자, 다리, 등판 프레임, 좌판 프레임, 링크

Description

절첩 의자{Collapse type chair}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의 좌판은 물론 등판부분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해지도록 한 절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여러 종류의 절첩식 의자가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대부분 좌판을 접어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도 1은 상기와 같이 좌판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절첩 의자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의자는 제1프레임(1)과 제2프레임(2) 및 좌판 프레임(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프레임(1)의 상부에는 등판(도시는 생략함)이 고정되고 상기 좌판 프레임(3)에는 좌판(도시는 생략함)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2)은 링크(4)에 의해 제1프레임(1)의 중간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좌판 프레임(3)은 힌지축에 의해 제1프레임(1) 및 제2프레임(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제1프레임(1)이 앞다리의 역할과 등판 프레임의 역할을 하고 제2프레임(2)이 뒷다리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좌판 프레임(3)을 접으면 좌판 프레임(3)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 2프레임(2)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혀지게 되므로 의자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의자는 좌판 프레임(3)과 제2프레임(2)을 제1프레임(1)에 대해 대략 직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절첩시키는 수단에 의해 의자의 부피를 어느 정도 줄일 수는 있으나, 길이가 긴 제1프레임(1)의 절첩이 불가능한 구조이어서 의자의 부피를 더욱 작게 줄이기 어려웠다.
상기와 같은 종래 의자는 등판 고정용 프레임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앞다리의 역할을 하는 길이가 긴 제1프레임을 접을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절첩시에도 의자의 폭만 줄일 수 있을 뿐 전체 길이(제1프레임의 길이)는 줄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좌판부분과 다리부분은 물론 등판부분도 절첩 가능하게 하여 그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의자를 접을 때나 펼칠 때 한번의 동작으로 등판과 좌판을 동시에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절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제1힌지축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앞다리 및 뒷다리와, 상기 앞다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등판 프레임과. 상기 등판프레임에 일측이 연결되어 등판 프레임의 회전시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좌판 프레임과, 상기 좌판 프레임과 앞다리 및 좌판 프레 임과 뒷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 프레임의 회전시 앞다리와 뒷다리가 좌판 프레임과 연동하면서 절첩되게 하여 주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로 이루어진 절첩 의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좌판만 절첩하는 종래의 의자와는 달리 좌판과 등판을 모두 절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의 전체 길이 및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의자의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해 진다.
또한 의자의 부피가 최소화 됨에 따라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며, 의자의 절첩 및 펼침이 한번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이 편리해진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절첩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좌판과 등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의자가 접어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의자는 크게 나누어 다리부를 구성하는 한쌍의 앞다리(11) 및 뒷다리(12)와, 상기 앞다리(1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판 프레임(15)과, 상기 등판 프레임(15)에 일측 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좌판 프레임(20)과, 상기 좌판 프레임(20)과 앞다리(11) 및 뒷다리(12) 사이에 연결되는 제1링크(22)와 제2링크(23)로 구성된다.
상기 앞다리(11)와 뒷다리(12)는 제1힌지축(13)에 의해 대략 X자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앞다리(11)와 뒷다리(12) 사이에는 이들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 고정 하여 주는 복수개의 연결봉(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앞다리(11)의 상단부분에는 이들 앞다리의 상단부를 일정 간격으로 지지 고정하는 앞다리 지지봉(18)이 설치되어 있으며, 등판프레임(15)은 상기 앞다리 지지봉(18)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판 프레임(15)에는 이 등판 프레임(15)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 고정하는 등판 지지봉(1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등판 지지봉(16)에는 좌판 프레임(20)의 후단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좌판 프레임(20)의 선단 부분에는 이 좌판 프레임(20)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 고정하는 좌판 지지봉(1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 지지봉(19)과 앞다리(11) 사이에는 제1링크(22)가 설치되고 좌판 지지봉(19)과 뒷다리(12) 사이에는 제2링크(23)가 설치된다.
상기 제1링크(22)는 그 일단이 제2힌지축(24)에 의해 앞다리(11)에 연결되고 반대측 일단은 좌판 지지봉(1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2링크(23)는 그 일단이 제3힌지축(25)에 의해 뒷다리(12)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반대측 일단은 좌판 지지봉(1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링크(22)와 제2링크(23)의 일단은 각각 앞다리(11)와 뒷다리(12)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각 링크(22)(23)의 반대측 일단은 좌판 지지봉(19)에 공통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각 다리(11)(12)와 좌판 프레임(20)은 그 사이에 연결된 두개의 링크(22)(23)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연동하게 되며, 좌판 프레임(20)의 후단부가 등 판 프레임(15)의 등판 지지봉(1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좌판 프레임(20)은 등판 프레임(15)과 서로 연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등판 프레임(15)에는 등판(17)이 고정되고 좌판 프레임(20)에는 좌판(21)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의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앞다리(11)와 뒷다리(12), 그리고 등판(17)과 좌판(21)이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 의자로 사용하게 되며, 필요시에는 각 다리(11)(12)와 등판(17) 및 좌판(21)을 접어 의자의 부피 및 크기가 축소된 상태에서 운반이나 보관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의자가 접혀지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등판 프레임(15)과 좌판 프레임(20)이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의자를 접기 시작하면 도 5와 같이 등판(17)과 등판 프레임(15)이 앞다리 지지봉(18)을 축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의 회전을 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등판 프레임(15)에 고정된 등판 지지봉(16)에 좌판 프레임(20)의 후단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 좌판 프레임(20)의 좌판 지지봉(19)과 각 다리(11)(12) 사이에 제1링크(22) 및 제2링크(23)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등판 프레임(15)이 회전하면 좌판 프레임(20)이 등판 지지봉(16)을 축으로 시계방향의 회전을 함과 동시에 제1링크(22)와 제2링크(23)도 각각 제2힌지축(24)과 제3힌지축(25)을 축으로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 링크(22)(23)에 도면상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면 각 링크(22)(23)가 각 힌지축(24)(25)을 축으로 시계방향의 회전운동을 함과 동시에 뒷다리(12)와 제2링크(23)의 연결점이 되는 제3힌지축(25) 부분에는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렇게 제3힌지축(25)에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힘이 작용하면 이 힘에 의해 뒷다리(12)가 제1힌지축(13)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하면서 접혀지기 시작한다.
도 5와 같은상태에서 등판(17)과 등판 프레임(15)을 더욱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과 같이 좌판 프레임(20)이 등판 지지봉(16)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링크(23)와 뒷다리(12)의 연결점이 되는 재3힌지축(25)부분은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링크(23)와 제2링크(23)가 거의 겹쳐지는 상태가 되며, 뒷다리(12)는 제1힌지축(1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회전하면서 접혀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등판 프레임(15)을 더욱 회전시키면 도 7과 같이 등판 프레임(15)의 상단 부분이 앞다리(11)의 하단에 근접하게 되고 앞다리(11)와 뒷다리(12)는 더욱 절첩되어 의자의 크기 및 부피가 최소화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의자를 편리하게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게 되며, 다시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등판(17) 및 등판 프레임(15)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의자가 펼쳐져 도 2와 같은 상태로 환원된다.
도 1은 종래 절첩 의자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 의자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 의자의 등판과 좌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 의자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 의자의 초기 절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의자가 조금 더 접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의자가 완전히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앞다리 12 : 뒷다리
13 : 제1힌지축 15 : 등판 프레임
16 : 등판 지지봉 18 : 앞다리 지지봉
19 : 좌판 지지봉 20 : 좌판 프레임
22 : 제1링크 23 : 제2링크
24 : 제2힌지축 25 : 제3힌지축

Claims (4)

  1. 제1힌지축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 앞다리 및 뒷다리와,
    상기 앞다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등판 프레임과.
    상기 등판프레임에 일측이 연결되어 등판 프레임의 회전시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좌판 프레임과,
    상기 좌판 프레임과 앞다리 및 좌판 프레임과 뒷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 프레임의 회전시 앞다리와 뒷다리가 좌판 프레임과 연동하면서 절첩되게 하여 주는 제1링크 및 제2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다리의 상단부에 앞다리 지지봉을 설치하여 이 앞다리 지지봉에 등판 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 등판 지지봉을 설치하고 상기 좌판 프레임의 후단부를 등판 지지봉에 결합하여 등판 프레임과 좌판 프레임이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 프레임에 좌판 지지봉을 설치하고 이 좌판 지지봉과 각 다리 사이에 제1링크와 제2링크를 연결하여 죄판의 회전시 각 다리가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의자.
KR2020080009362U 2008-07-15 2008-07-15 절첩 의자 KR200451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362U KR200451980Y1 (ko) 2008-07-15 2008-07-15 절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362U KR200451980Y1 (ko) 2008-07-15 2008-07-15 절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739U true KR20100000739U (ko) 2010-01-25
KR200451980Y1 KR200451980Y1 (ko) 2011-01-25

Family

ID=4419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362U KR200451980Y1 (ko) 2008-07-15 2008-07-15 절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9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24Y1 (ko) * 2013-02-21 2014-12-08 테-룽 첸 절첩 가능한 로킹 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134B1 (ko) * 2021-04-30 2021-08-24 (주)씨엠텍 구조 차량용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5358A (ko) 1974-06-07 1975-12-15
JPH0690981A (ja) * 1991-12-21 1994-04-05 Osamu Funahashi 折りたたみ式電動車椅子
KR20020082715A (ko) * 2001-04-25 2002-10-31 주식회사 넷마블 인터넷 게임구단 운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0282715Y1 (ko) 2002-04-29 2002-07-22 박상수 접철식 의자
KR20040027740A (ko) * 2004-02-27 2004-04-01 권광섭 인터넷을 통한 기업간 구매와 영업정보 교류 시스템
KR200427740Y1 (ko) 2006-06-30 2006-09-29 주식회사 대성기업 접이식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24Y1 (ko) * 2013-02-21 2014-12-08 테-룽 첸 절첩 가능한 로킹 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980Y1 (ko)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2576B1 (en) Sturdy, collapsible, folding mattress support having the appearance of a box spring
JP2020521669A (ja) ベビーカー
US11617448B2 (en) Bed frame
EP2727494A1 (en) Foldable table
KR20130038272A (ko) 폴딩 테이블 프레임
US20090283019A1 (en) Foldable frame structure for foldable table or bed
JP2014091517A (ja) ベビーカー
US7140308B2 (en) Foldable frame structure for foldable table
US3788696A (en) Foldable table and bench assembly
KR101064261B1 (ko) 접을 수 있는 침대 프레임
US3474472A (en) Play pen
US20210022516A1 (en) Bed with multiple bed parts
KR200451980Y1 (ko) 절첩 의자
US7350856B1 (en) Foldable chair
US20210022517A1 (en) Bed With Multiple Bed Units
US1732008A (en) Collapsible crib
CN209883536U (zh) 一种折叠椅及其折叠机构
US20210045538A1 (en) Bed frame
US1601206A (en) Collapsible chair
US1767736A (en) Foldable chair
KR101842010B1 (ko) 접이식 신발장
CN212925502U (zh) 可折叠晾晒架
JP3225173U (ja) サークル付き折畳式ベッド
KR102124294B1 (ko) 접이식 테이블
CN219720117U (zh) 一种上下分体折叠布衣柜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