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700A - 고철운반장치 - Google Patents

고철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700A
KR20100000700A KR1020080060296A KR20080060296A KR20100000700A KR 20100000700 A KR20100000700 A KR 20100000700A KR 1020080060296 A KR1020080060296 A KR 1020080060296A KR 20080060296 A KR20080060296 A KR 20080060296A KR 20100000700 A KR20100000700 A KR 2010000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sposed
tilting
hinge
sc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564B1 (ko
Inventor
이형일
Original Assignee
미래특장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특장차 주식회사, 주식회사 동방 filed Critical 미래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56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철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많은 양의 고철을 한번에 운반하여 인건비, 유류대등의 물류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철운반장치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장방형의 외형을 이루며 내측에는 격자형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테두리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전면적에 배치된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틸팅 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 하측에 동일 규격으로 배치되며, 내측에는 격자형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틸팅프레임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힌지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각 사용처별로 많은 양의 고철을 한번에 운반하여 인건비, 유류대등의 물류비용을 절감한 이점이 있다.
고철운반장치

Description

고철운반장치{SCRAP IRON TRANSPORT EQUIPMENT}
본 발명은 고철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덤프트럭 10대 분량 대용량의 고철(대략 250톤 이상)을 한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고철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특히 바지선을 이용하여 수입되고 있는 고철은 1차적으로 부두에 설치된 대형 바스켓에 이적(移積)하고, 그 바스켓 주변에 덤프 트레일러등에 2차 적재후, 창고로 이동하여 창고에 하역한 후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덤프 트레일러의 경우, 한번에 적재할 수 있는 무게가 최대 25톤 이상을 초과할 수 없는 실정으로, 20여대의 덤프 트레일러가 대기하고 있다가 한대 한대 차례대로 고철을 적재한 후, 창고에 하역하므로서 하역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선박이 부두에 장시간 정박해야 하기 때문에 체선료 및 인건비, 덤프 트레일러의 유류비등의 물류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수대의 덤프 트레일러가 고철을 싣고 운행하는 과정에서 접촉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두에 정박한 선박에서 빠른 시간내에 대용량의 고철을 창고로 운반하므로서, 물류비용을 절감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철을 운반하는 목적 이외에 고철을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이동식 창고의 기능까지 갖춘 고철운반장치를 널리 보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철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철운반장치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장방형의 외형을 이루며 내측에는 격자형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테두리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전면적에 배치된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틸팅 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 하측에 동일 규격으로 배치되며, 내측에는 격자형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틸팅프레임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힌지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지선등의 선박을 이용하여 수입되는 고철을 2대 또는 3대의 고철운반장치에 이적하여 운반하므로서, 인건비, 유류대, 체선료등의 물류비용을 절감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철운반장치에 적재된 고철을 별도로 창고에 하역할 필요없이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므로서 이동식 창고의 기능까지 갖춘 고철운반장치를 널리 공급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판적재장치(10)는 틸팅 프레임(100)과, 메인 프레임(200), 힌지장치(300)로 대별된다.
틸팅 프레임(100)은 베이스(110)와 보강부재(111)로 이루어지는데, 이 베이스(110)는 "H" 비임을 장방형 외형을 갖도록 결합한 것이고, 그 내측에는 다수의 보강부재(111)가 격자형으로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도록 하였다.
이 베이스(110)의 테두리 4변에는 월 프레임(130)이 배치되어 있다.
월 프레임(130)은 상기한 베이스(110)와 마찬가지로 "H" 비임을 일측에서 바라볼 때, 장방형으로 결합한 뒤, 내측으로 마구리 판(131)을 설치하고, 길이방향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133)를 각각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월 프레임(130)중 후술하는 힌지장치(300)가 설치된 방향으로 배치되는 월 프레임(130)의 상측 양단에는 도어 힌지(137)가 배치되고, 이 도어힌 지(137)와 대향하는 하측방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장치(139)가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한 도어힌지(137)와 록킹장치(139)가 배치된 월 프레임(130)은 후술하는 작용에서 적재된 고철을 하역하기 위해 일측으로 틸팅할 때, 월 프레임(130)의 하측이 개방되며 하역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베이스(110)의 상측에는 바닥판(150)이 배치되어 고철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틸팅 프레임(100)의 하측에 메인 프레임(200)이 배치된다.
메인 프레임(200)은 베이스 프레임(210)과 지지 프레임(230)으로 대별된다.
베이스 프레임(210)은 상술한 틸팅 프레임(100)의 베이스(110)와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바라볼 때, 장방형의 외형을 갖춘 내측에 격자형으로 다수의 보강부재(2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 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지지 프레임(230)이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30)은 수직프레임(231)과 수평프레임(233)으로 이루어진다.
수직프레임(231)은 상기한 베이스 프레임(210)의 하측으로 다수 설치되며, 이 수직프레임(231)의 하단에 수평프레임(233)이 배치되고, 각 수평프레임(233)의 양단 사선방향으로 보강프레임(235)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부에 배치된 수직프레임(231)과 보강프레임(235)에 의해 견실 한 보강상태를 갖춘 지지 프레임(230)은 지지기둥 역할을 하므로써, 상기한 베이스 프레임(210)의 하측으로 이송전용장비인 트랜스포터(Transporter)(1)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틸팅 프레임(100)과 메인 프레임(200)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힌지장치(300)가 마련된다.
도 3 가)와 나)를 참조하면, 힌지장치(300)는 제 1힌지브라켓(310)과 제 2힌지브라켓(330) 힌지축(350)으로 이루어진다.
제 1힌지브라켓(310)은 하나의 블럭으로 형성되어 도시한 방향의 상측이 상술한 틸팅 프레임(100)의 베이스(110) 하측에 장착되며, 이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치된다.
또한, 하측의 수평방향으로 축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이 축 관통공(311)에 부쉬(313)가 강제삽입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한 부쉬(313)의 내경은 후술하는 힌지축(350)과의 공차가 거의없이 타이트하게 축결합되지만, 상기한 부쉬(313) 내부에 마련된 그리스의 윤활작용에 의해 원활하게 힌지회동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제 2힌지브라켓(330)은 상기한 제 1힌지브라켓(310)의 양측에 배치되는 금속판으로서 상기한 축 관통공(311)과 동심한 위치에 축 관통공(3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힌지브라켓(330)이 배치된 메인 프레임(200)의 베이스 프레임(210) 부위는 상기한 제 1힌지브라켓(310)과의 간섭이 없도록 평면에서 바라볼 때 "┏┓" 형상으로 절단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 2힌지브라켓(310)(330)의 각 축 관통공(311)(331)이 동심한 상태에서 힌지축(350)을 삽입하여 힌지장치(300)의 결합이 완료되는데, 힌지축(350)은 머리부(351)와 몸체부(353)가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351)는 몸체부(353)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상기한 제 2힌지브라켓(330)의 일측에 지지되고, 몸체부(353)는 제 2힌지브라켓(330)과 제 1힌지브라켓(310)의 각 축 관통공(331)(311)을 관통한 후, 일단에 형성된 핀 홀(354)에 도시하지 않은 분할핀(Sprit Pin)을 삽입하므로서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철운반장치(10)는 상기한 힌지장치(300)를 힌지점으로 크레인 또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반대편을 들어 올려 틸팅하면, 내부에 적재된 고철이 하역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크레인이나 지게차가 지원되지 않는 현장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힌지장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틸팅장치(400)를 설치하여 틸팅할 수 있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틸팅장치(400)는 제 1, 2브라켓(410)(430)과 실린더본체(450)로 이루어진다.(제 1, 2브라켓(410)(430)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제 1브라켓(4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1브라켓(410)은 장착부(411)와 결합부(413)로 이루어진다.
장착부(411)는 사각형상의 금속판으로서 상술한 틸팅 프레임(100)의 베이스(110) 일측에 장착된다.
결합부(413)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후술하는 실린더본체(450)의 힌지축(453)과 힌지결합되는 것으로서, 단부에 상기한 힌지축(453)과 힌지결합되는 관통공(414)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본체(450)는 통상의 트러니온형 유압실린더로서, 몸체(451)에 마련된 힌지축(453)이 상기한 제 1브라켓(410) 결합부(413)의 관통공(414)과 힌지결합되고, 하단의 너클조인트(455)가 제 2브라켓(430) 결합부(433)의 관통공(434)과 힌지핀(457)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은 실린더본체(450)는 다단 실린더(Telescopic Cylinder)로서 몸체(451)가 짧은 대신에 큰 행정거리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철운반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찰운반장치(10)에 고철을 가득 싣고(250내지 300톤) 이송전용장비인 트랜스포터(Transporter)(1)를 메인 프레임(200) 하부로 진입시킨 후, 본 발명의 고철운반장치(10)를 들어서 지정 하역장소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하역장소에 도착하면, 우선 일측 월 프레임(130)에 마련된 록킹장치(139)를 해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틸팅장치(400)를 이용하여 일측으로 틸팅시키면 월 프레임(130)이 개방되며 고철이 쏟아진다.
이때 각도는 0도에서 15도, 45도 까지 임의로 조절하여 틸팅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철운반장치(10)에 의 하면, 바지선등의 선박을 이용하여 수입되는 고철을 2대 또는 3대의 고철운반장치에 이적하여 운반하므로서, 인건비, 유류대, 체선료등의 물류비용을 절감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철운반장치에 적재된 고철을 별도로 창고에 하역할 필요없이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므로서 이동식 창고의 기능까지 갖춘 고철운반장치를 널리 공급하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판 적재장치(10)를 "H"비임으로 제작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그 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I" 비임으로 제작하여도 본 발명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철운반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철운반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A"선 방향에서 바라본 일측면도로서, 아느 하나의 월 프레임에 장착된 도어힌지와 록킹장치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철운반장치중 힌지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것으로, 가)는 힌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나)는 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5a는 도 1 "B"선을 발췌하여 보인 것으로, 고철운반장치중 틸팅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 "C"선의 상세도로서, 틸팅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철운반장치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일측면도이다.

Claims (4)

  1. 고철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철운반장치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장방형의 외형을 이루며 내측에는 격자형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테두리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 전면적에 배치된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틸팅 프레임과;
    상기 틸팅 프레임 하측에 동일 규격으로 배치되며, 내측에는 격자형으로 다수의 보강부재가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틸팅프레임의 일측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철운반장치는 상기 힌지장치와 대향하는 타측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틸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운반장치.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장치는 상기 틸팅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제 1, 2브라켓과, 상기 제 1브라켓 결합부의 관통공과 힌지결합되는 힌지축 이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 2브라켓 결합부의 관통공과 힌지결합되는 너클조인트가 하단에 마련된 실린더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운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월 프레임중 상기 힌지장치 상측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월 프레임은 길이방향 상측 양단에 배치된 도어힌지와, 상기 도어힌지와 대향하는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록킹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운반장치.
KR1020080060296A 2008-06-25 2008-06-25 고철운반장치 KR101052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296A KR101052564B1 (ko) 2008-06-25 2008-06-25 고철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296A KR101052564B1 (ko) 2008-06-25 2008-06-25 고철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700A true KR20100000700A (ko) 2010-01-06
KR101052564B1 KR101052564B1 (ko) 2011-08-01

Family

ID=4181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296A KR101052564B1 (ko) 2008-06-25 2008-06-25 고철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56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216A (ja) 2001-11-27 2003-06-03 Honda Motor Co Ltd 鋼板搬送装置
KR100465145B1 (ko) 2004-04-02 2005-01-13 미래특장차 주식회사 선박제작용 대형 철판 적재장치
KR100545141B1 (ko) 2005-04-12 2006-01-24 (주)동연물류 광폭 판체 적재용 각도 가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564B1 (ko) 201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2687B1 (en) Offshore cargo rack for use in transferring palletized loads between a marine vessel and an offshore platform
US7140821B2 (en) Roll on/roll off ramp-deck transport platform
US20060285949A1 (en) Container support for loading transport containers and loading assembly incorporating same
EP0371050A1 (en) ARRANGEMENT FOR A LOCKABLE LOADING AREA OF THE CONTAINER TYPE.
KR101517404B1 (ko) 갑판부 컨테이너의 고박방법, 이 방법에 사용되는 스프링 부착 라싱바, 갑판부 컨테이너의 간격조절장치 및 그 고박설비
EP2473374B1 (en) A freight carrier
US6539631B1 (en) Tapered trailer with horizontal seams and support rails
US8272623B2 (en) Container lifting device
WO2008030786A2 (en) Attachment device for moving cargo containers
KR19980703500A (ko) 차량에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메카니즘
JP5312661B1 (ja) ダンプトラックへの箱型コンテナの着脱機構
NL2004268A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KR20038085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KR101052564B1 (ko) 고철운반장치
KR200415356Y1 (ko) 암롤트럭의 콘테이너 상하차장치의 안전고리기구
US20080317579A1 (en) Flat-bed truck with crane, lift or hoist
US11235693B2 (en) Dynamic utility transport system
KR101695420B1 (ko) 컨테이너 덤핑장치
CN106379655B (zh) 集装箱
EP1500610A2 (en) Modified shipping container
RU2774263C1 (ru) Прицеп бортовой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сыпучих грузов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FI129696B (fi) Telinejärjestely pitkien kappaleiden kuljettamiseksi
KR100836320B1 (ko) 트럭의 테일 게이트 승하강 장치
KR20150000921U (ko) 트레일러 컨테이너용 출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