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900A - 코팅물 건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 - Google Patents

코팅물 건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900A
KR20090130900A KR1020080056611A KR20080056611A KR20090130900A KR 20090130900 A KR20090130900 A KR 20090130900A KR 1020080056611 A KR1020080056611 A KR 1020080056611A KR 20080056611 A KR20080056611 A KR 20080056611A KR 20090130900 A KR20090130900 A KR 20090130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oating
infrared
produc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910B1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주 filed Critical 김영주
Priority to KR102008005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910B1/ko
Publication of KR2009013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05D3/0263After-treatment with IR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이송라인 상에 하도 코팅부스(60), 근적외선 건조구간(80), 상도 코팅부스(70), 원적외선 건조구간(90), 유브이 건조구간(94) 및 복합 건조구간(98)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코팅물 건조설비의 상기 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하도 코팅부스(60)로 피코팅 제품을 투입하여 베이스 코팅을 실시하는 하도 코팅과정(S100)과, 상기 하도 코팅부스(60) 다음의 근적외선 건조구간(80)으로 베이스 코팅된 피코팅 제품을 이송시키면서 근적외선 건조시키는 1차 건조과정(S200)과, 상기 근적외선 건조구간(80)에 이어지는 상도 코팅부스(70) 내부로 상기 피코팅 제품을 투입하여 베이스 코팅층의 상면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는 상도 코팅과정(S300)과, 상기 상도 코팅부스(60)에 이어지는 원적외선 건조구간(90)에서 피코팅 제품의 상도 코팅층을 원적외선 건조시키는 2차 건조과정(S400)과, 유브이 건조구간(94)으로 피코팅 제품을 이송하면서 유브이 램프로 건조시키는 3차 건조과정(S500)과, 유브이 건조구간(94)에 이어지는 복합 건조구간(98)에서 피코팅 제품을 열풍 및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4차 건조과정(S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물 건조방법 및 코팅물 건조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하도 코팅, 제1건조, 상도 코팅, 제2건조, 제3건조, 제4건조

Description

코팅물 건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Coating workpiece drying method and dry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코팅물 건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도장 작업에 따른 건조 조건 및 건조방식(근적외선 건조, 원적외선 건조, 열풍 건조, UV 건조)에 맞춰 구간별 맞춤 설계를 함으로써 1대의 설비로 UV 코팅, 우레탄 코팅, SF 코팅, 증착물 코팅 등 다양한 코팅 작업을 가능하게 하므로, 획기적인 원가절감과 생산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된 코팅물 건조방법 및 코팅물 건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생활필수품으로서 인식되어 수요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대량생산이 불가피한 추세이므로 생산순서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의 외부 면을 다양한 색상으로 코팅하는 공정을 수행하며, 코팅 공정이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는 건조설비를 통해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원적외선 히터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스핀들 라인(spindle line)의 경우 도장 건조 조건을 맞추기 위하여 건조로 기간이 길어지고 대량의 히터를 사용하며, 도장 작업이 제한되어 있어서 도장 특성에 따라 도장 설비를 갖추어야 하므로, 많은 초기 설비 비용과 설비 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부스 3개를 기준으로 할 때, 원적외선 히터를 단독 사용하는 스핀들 라인의 길이는 대략 250m~300m 정도가 소요되므로, 설비 비용뿐만 아니라 많은 설비 공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원적외선 히터 단독 사용 방식을 채용하는 설비의 경우, 코팅물의 자연 건조 공정에 추가로 강제 건조 공정이 필요하므로, 강제 건조를 위한 별도의 건조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단점이 있고, 자연 건조에 강제 건조까지 실시하여 시간이 그만큼 많이 소요되므로,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떨이지는 단점이 있으며, 건조기 이동 공정이 필요하여 작업 인원도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설비 비용과 설비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건조 공정이 줄어들어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 인원도 적게 요구되며,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향상되어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코팅물 건조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이송라인 상에 하도 코팅부스, 근적외선 건조구간, 상도 코팅부스, 원적외선 건조구간, 유브이 건조구간 및 복합 건조구간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성의 코팅물 건조설비의 상기 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하도 코팅부스로 피코팅 제품을 투입하여 상기 피코팅 제품의 표면에 베이스 코팅을 실시하는 하도 코팅과정과, 상기 하도 코팅부스에 이어지는 근적외선 건조구간으로 베이스 코팅된 피코팅 제품을 이송시키면서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1차 건조과정과, 상기 근적외선 건조구간에 이어지는 상도 코팅부스로 피코팅 제품을 투입하여 상기 베이스 코팅층의 상면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는 상도 코팅과정과, 상기 상도 코팅부스에 이어지는 원적외선 건조구간으로 피코팅 제품을 이송하면서 피코팅 제품의 상도 코팅층을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2차 건조과정과, 상기 유브이 건조구간으로 피코팅 제품을 이송하면서 유브이 램프 로 건조시키는 3차 건조과정과, 상기 유브이 건조구간에 이어지는 복합 건조구간으로 피코팅 제품을 이송시켜 열풍 및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4차 건조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물 건조방법과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 코팅물 건조방법 및 코팅물 건조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1. 설비시공 비용 절감.
기존 원적외선 히터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스핀들 라인(Spindle line)은 많은 설비 비용과 설비 공간이 필요한 반면, 본 발명은 근적외선과 원적외선 열풍 히터를 조합 사용함으로써, 도장 건조조건을 맞추기 위해 건조로 구간이 길어질 필요가 없으며, 도장 특성에 따라 도장 설비를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많은 초기 설비 비용과 설비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표 1>
종래 라인(3booth 기준) 길이 250~300m 원적외선 히터 단독 사용
본 발명 라인(3booth 기준)길이 근적외선, 원적외선, 열풍히터 조합 사용
2. 건조(열) 효율 증가에 따른 효과
(1) 건조시간
아래의 <표 2>와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코팅물의 건조 조건에 조건에 맞춰 최적화된 건조방식을 조합하여 열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별도의 도장 설비나 건조 시설 없이 생산이 가능하므로, 작업 공정이 줄어들고 생산시간 단축, 인원 감축 및 제품 품질 향상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표 2>
건조 방식 도장 Type 건조 시간 비고
종래 원적외선 히티 우레탄 및 SF 도장 30분 건조 + 3시간 강제 건조 별도 건조기 필요
본 발명 근/원적외선 히터 + 열풍 히터 우레탄 및 SF 도장 30분 건조, 강제 건조 필요 없음 시간 85% 절감
<표 3>
건조 방식 도장 Type 시간당 생산 수량 비고
종래 원적외선 히티 우레탄 및 SF 도장 1,714대 건조기 이동 공정 필요(인원증가)
본 발명 근/원적외선 히터 + 열풍 히터 우레탄 및 SF 도장 3,000대(대략 43% 증가) 이동공정 필요 없음(인원감소)
3. 구간별 건조 방식 개선 및 효과
(1) 1차 건조구간(프라이머, 1차 베이스 코팅 건조)- 근적외선 히터 사용
원적외선 사용시 건조시간이 최대 15분 이상 필요하여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고 열효율도 감소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근적외선을 사용하여 건조시간이 최대 5분으로 대략 3분의 1 정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건조구간이 짧아지 고 소량의 램프를 설치해도 되며, 좁은 공간에서도 설비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물론,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고 열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2) 2차 건조구간(UV 레벨링 구간 및 2차 베이스 코팅 건조)- 원적외선 히터 사용
-- 근적외선 사용시 짧은 시간에 표면 건조가 이루어짐으로 제품에 도포된 UV 도료가 제품 표면에 균일하게 막을 형성하기 전에 건조가 이루어져 외관 상태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내부 공기 온도를 데워 표면 전체를 가열함으로써, UV 도료가 균일한 막을 형성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3) 3차 건조구간(UV 건조)- UV 램프 사용
기존에 사용되는 UV 램프를 채용하여 2차 건조구간에서 균일하게 형성된 UV 도료를 경화 건조하게 된다.
(4) 4차 건조구간(우레탄, SF 코팅 강제 건조구간)- 열풍 및 근적외선 히터 사용
- 열풍 건조기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건조기로 이동시켜 최대 3~4시간 강제 건조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공정 이동 중에 불량이 증가되며, 전력 소모량도 증가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열풍과 근적외선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건조 시설 없이 모든 공정을 설비 1대로 이루지도록 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공정 이동으로 인한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공정을 최소화시키고 전력 소모량을 줄이는 것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낳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팅물 건조방법의 플로우 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코팅물 건조방법을 수행하는 코팅물 건조설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피코팅 제품용 지그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이송라인 상에 하도 코팅부스(60), 근적외선 건조구간(80), 상도 코팅부스(60), 원적외선 건조구간(90), 유브이 건조구간(94) 및 복합 건조구간(98)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성의 코팅물 건조설비를 이용하여 하도 코팅과정(S100)과, 1차 건조과정(S200), 상도 코팅과정(S300), 2차 건조과정(S400), 3차 건조과정(S500) 및 4차 건조과정(S600)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코팅물 건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코팅물 건조방법을 수행하는 코팅물 건조설비는 피코팅 제품을 이송시키도록 연속적으로 이어져 설치된 이송라인과,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어 피코팅 제품 표면에 베이스 코팅을 실시하는 하도 코팅부스(60)와, 하도 코팅부스(60)에 이어지도록 설치되어 이송되는 피코팅 제품 표면의 베이스 코팅층을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근적외선 건조구간(80)과, 근적외선 건조구간(80)에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피코팅 제품의 베이스 코팅층 상면에 상도 코팅을 실시하는 상도 코팅부스(60)와, 상도 코팅부스(60)의 다음단으로 연속되어 피코팅 제품 표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건조구간(90)과, 원적외선 건조구간(90)에 이어져서 피코팅 제품을 유브이 램프로 건조시키는 유브이 건조구간(94)과, 유브이 건조구간(94)과 이어짐과 동시에 피코팅 제품의 배출단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피코팅 제품을 열풍으로 건조시키는 복합 건조구간(9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10과 12 및 14는 각각 제전부스, 활성탄, 부직포를 나타낸다.
상기 이송라인은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가로 이송라인(20) 및 제2가로 이송라인(30)과, 제1가로 이송라인(20) 및 제2가로 이송라인(30)의 양단에 배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세로 이송라인(40) 및 제2세로 이송라인(50)으로 구성되어, 이송라인이 사각 라인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제1가로 이송라인(20)과 제2가로 이송라인(30) 중에서 피코팅 제품이 투입되는 제1가로 이송라인(20) 상에 하도 코팅부스(60)가 설치되고, 하도 코팅부스(60)에 이어지는 근적외선 건조구간(80)은 제1가로 이송라인(2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도록 연장되며 서로 나란한 적어도 두 개의 근적외선 건조구간(80)으로 구성된다. 즉, 제1근적외선 건조구간(80)과 제2근적외선 건조구간(80)이 세로 이송라인(40 및 50)과 나란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제1가로 이송라인(20)에 이어지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이송라인에는 피코팅 제품이 이송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즉, 이송수단은 피코팅 제품용 지그(4)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110)가 폐루프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고, 이송라인의 교차 지점에는 피코팅 제품용 지그(4)의 방향 전환을 위한 가이드롤(114)이 설치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이송장치(110)는 이송라인을 따라 연이어 설치되는 무한궤도 형태의 와이어나 체인 또는 캐터필러로 구성되어, 이송라인의 피코팅 제품용 지그(4)의 방향 전환 지점에 설치된 가이드롤(114)에 의해 와이어나 체인 또는 캐터필러 등의 이송장치(110)가 무한궤도식으로 운동하므로, 피코팅 제품용 지그(4)도 이송라인을 따라 연속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송장치(110)로 무한궤도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실시예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코팅물 건조설비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코팅물 건조방법은 하도코팅과정(S100)을 갖는다. 하도 코팅과정(S100)은 이송라인의 서로 나란한 제1가로 이송라인(20)과 제2가로 이송라인(30) 중에서 제1가로 이송라인(20) 상에 하도 코팅부스(60)를 설치하여, 하도 코팅부스(60)의 내부로 투입되는 코팅용 제품(예를 들어, 휴대폰 케이스)의 표면에 베이스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다. 하도 코팅부스(60)에서는 프라이머로 코팅용 제품 표면에 베이스 코팅을 실시한다.
상기 하도코팅과정(S100) 다음에는 하도 코팅부스(60)에 이어지는 근적외선 건조구간(80)으로 베이스 코팅된 피코팅 제품을 이송시키면서 근적외선을 이용하여 1차 건조과정(S200)을 실시한다. 원적외선 사용으로 인해 건조시간이 최대 15분 이상 필요하여 전력 소모량이 증가하고 열효율도 감소하지만, 이처럼 1차 건조과정(S200)에서 근적외선을 이용하는 경우, 건조시간이 최대 5분으로 대략 3분의 1 정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코팅물 건조설비의 전체 건조구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면서도 소량의 램프를 설치해도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근적외선 건조과정(S200) 다음에는 프라이머로 베이스 코팅된 피코팅 제품을 상도 코팅부스(60)로 투입하여 피코팅 제품의 베이스 코팅층 상면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한다. 유브이(UV) 도료에 의해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어서, 2차 건조과정(S400)에서는 상도 코팅부스(60)에 이어지는 원적외선 건조구간(90)으로 피코팅 제품을 이송하면서 피코팅 제품의 상도 코팅층을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게 된다. 즉, 상도 코팅층이 형성된 코팅용 제품을 2차 건조구간(90)인 원적외선 건조구간으로 투입하여 원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데, 이처럼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내부 공기 온도를 데워 표면 전체를 가열함으로써, UV 도료가 균일한 막을 형성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를테면, 2차 건조과정(S400)에서는 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하여 UV 레벨링 및 2차 베이스 코팅 건조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2차 건조과정(S400) 다음의 3차 건조과정(S500)에서는 원적외선 건조구간(90)에서 계속 이어지는 유브이 건조구간(94)으로 피코팅 제품을 이송하면서 유브이 램프로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3차 건조과정(S500)에 이어지는 4차 건조과정(S600)에서는 유브이 건조구간(94)에 이어지는 복합 건조구간(98)으로 피코팅 제품을 이송시켜 열풍으로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복합 건조구간(98)으로 투입되는 피코팅 제품에 근적외선을 함께 조사하여, 복합 건조구간(98)에서 열풍과 근적외선으로 피코팅 제품의 코팅층 을 건조시키도록 한다. 열풍과 근적외선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건조 시설 없이 모든 공정을 설비 1대로 이루지도록 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공정 이동으로 인한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공정을 최소화시키고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팅물 건조방법의 플로우 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코팅물 건조방법을 수행하는 코팅물 건조설비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피코팅 제품용 지그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Claims (7)

  1.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이송라인 상에 하도 코팅부스(60), 근적외선 건조구간(80), 상도 코팅부스(70), 원적외선 건조구간(90), 유브이 건조구간(94) 및 복합 건조구간(98)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코팅물 건조설비의 상기 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하도 코팅부스(60)로 피코팅 제품을 투입하여 베이스 코팅을 실시하는 하도 코팅과정(S100)과, 상기 하도 코팅부스(60) 다음의 근적외선 건조구간(80)으로 베이스 코팅된 피코팅 제품을 이송시키면서 근적외선 건조시키는 1차 건조과정(S200)과, 상기 근적외선 건조구간(80)에 이어지는 상도 코팅부스(70) 내부로 상기 피코팅 제품을 투입하여 베이스 코팅층의 상면에 상도 코팅층을 형성하는 상도 코팅과정(S300)과, 상기 상도 코팅부스(60)에 이어지는 원적외선 건조구간(90)에서 피코팅 제품의 상도 코팅층을 원적외선 건조시키는 2차 건조과정(S400)과, 유브이 건조구간(94)으로 피코팅 제품을 이송하면서 유브이 램프로 건조시키는 3차 건조과정(S500)과, 유브이 건조구간(94)에 이어지는 복합 건조구간(98)에서 피코팅 제품을 열풍 및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4차 건조과정(S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물 건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물 건조장치의 상기 이송라인을 서로 나란한 한 쌍의 가로 이송라인(20 및 30)의 양단에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세로 이송라인(40 및 50)을 갖는 사각 라인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이송라인의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피코팅 제품이 사각 라인 형상으로 배치된 상기 한 쌍의 가로 이송라인(20 및 30)과 상기 세로 이송라인(40 및 50)을 거치면서 코팅과 건조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물 건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로 이송라인(20 및 30) 중에서 피코팅 제품이 투입되는 제1가로 이송라인(20) 상에 설치된 상기 하도 코팅부스(60)로 피코팅 제품을 투입하여 베이스 코팅을 실시하고, 상기 하도 코팅부스(60)에 이어지는 상기 근적외선 건조구간(80)은 상기 제1가로 이송라인(2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도록 연장되며 서로 나란한 적어도 두 개의 근적외선 건조구간(82 및 86)으로 구성하여, 상기 하도 코팅부스(60)에서 베이스 코팅층이 형성된 상기 피코팅 제품이 한 쪽의 근적외선 건조구간(82)과 다른 쪽의 근적외선 건조구간(86)을 연속 경유하여 상기 피코팅 제품 표면의 베이스 코팅층을 경화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물 건조방법.
  4. 피코팅 제품을 이송시키도록 연속적으로 이어져 설치된 이송라인(20,30,40,50)과, 상기 이송라인(20,30,40,50) 상에 설치되어 피코팅 제품 표면에 베이스 코팅을 실시하는 하도 코팅부스(60)와, 상기 하도 코팅부스(60)에 이어 지도록 설치되어 이송되는 피코팅 제품 표면의 베이스 코팅층을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근적외선 건조구간(80)과, 상기 근적외선 건조구간(80)에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피코팅 제품의 베이스 코팅층 상면에 상도 코팅을 실시하는 상도 코팅부스(60)와, 상기 상도 코팅부스(60)의 다음단으로 연속되어 피코팅 제품 표면에 도포된 상도 코팅층을 건조시키는 원적외선 건조구간(90)과, 상기 원적외선 건조구간(90)에 이어져서 상기 피코팅 제품을 유브이 램프로 건조시키는 유브이 건조구간(94)과, 상기 유브이 건조구간(94)과 이어짐과 동시에 피코팅 제품의 배출단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피코팅 제품을 열풍과 근적외선으로 건조시키는 복합 건조구간(9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물 건조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20,30,40,50)은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제1가로 이송라인(20) 및 제2가로 이송라인(30)과, 상기 제1가로 이송라인(20) 및 제2가로 이송라인(30)의 양단에 배치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세로 이송라인(40) 및 제2세로 이송라인(50)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라인(20,30,40,50)이 사각 라인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물 건조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로 이송라인(20 및 30) 중에서 피코팅 제품이 투입되는 제1가로 이송라인(20) 상에 설치된 하도 코팅부스(60)가 설치되고, 상기 하도 코팅부스(60)에 이어지는 근적외선 건조구간(80)은 상기 제1가로 이송라인(2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도록 연장되며 서로 나란한 적어도 두 개의 근적외선 건조구간(82 및 86)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도 코팅부스(60)에서 베이스 코팅층이 형성된 피코팅 제품을 한 쪽의 근적외선 건조구간(82)과 다른 쪽의 근적외선 건조구간(86)을 연속 경유시키면서 피코팅 제품 표면의 베이스 코팅층을 경화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물 건조설비.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에는 피코팅 제품용 지그(4)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110)가 폐루프 형상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송라인의 교차 지점에는 상기 피코팅 제품용 지그(4)의 방향 전환을 위한 가이드롤(11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물 건조설비.
KR1020080056611A 2008-06-17 2008-06-17 코팅물 건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 KR10103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11A KR101032910B1 (ko) 2008-06-17 2008-06-17 코팅물 건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611A KR101032910B1 (ko) 2008-06-17 2008-06-17 코팅물 건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900A true KR20090130900A (ko) 2009-12-28
KR101032910B1 KR101032910B1 (ko) 2011-05-06

Family

ID=4169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611A KR101032910B1 (ko) 2008-06-17 2008-06-17 코팅물 건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32B1 (ko) * 2011-04-13 2011-09-26 제이케이케미칼 (주) 강 구조물의 재도장 보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091B1 (ko) * 2013-11-25 2015-09-01 이중희 연속식 아연·알루미늄 복합피막 코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937B1 (ko) * 2005-03-28 2006-09-13 김노수 휴대폰 케이스 자동 코팅장치용 코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32B1 (ko) * 2011-04-13 2011-09-26 제이케이케미칼 (주) 강 구조물의 재도장 보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910B1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91194U (zh) 一种全自动喷涂生产线
CN105983503B (zh) 一种全自动塑胶真空镀膜涂装线及镀膜方法
CN106155028A (zh) 柔性涂装生产线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205236285U (zh) 一种全自动塑胶真空镀膜涂装线
CN101368604B (zh) 复合减震消音片的生产线及其工业化生产方法
KR101032910B1 (ko) 코팅물 건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코팅물 건조설비
KR101916442B1 (ko) 색상패드 제조공정
IT201900002653A1 (it) Apparato e metodo per l’essiccazione/polimerizzazione di prodotti chimici
CN205403407U (zh) 一种钢结构焊接用自动翻层焊条烘干炉
US20160016735A1 (en) Conveying system
KR101499425B1 (ko) 방진고무 자동피막장치
US2643956A (en)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uminescent tubes
CN115815027A (zh) 一种车灯uv漆与防雾漆共用喷涂生产线及生产工艺
CN1078702C (zh) 移动式隧道窑及采用该隧道窑生产粘土制品的工艺布局
CN106585085B (zh) 一种防氧阻聚uv光固机及其uv光固化工艺流程
CN207308279U (zh) 一种用于铝板基涂装的烘干箱
CN207615070U (zh) 一种适用于砖瓦的自动上色、定色装置
US8393290B2 (en) Automated surfac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CN108031602A (zh) 一种工件涂装系统
KR100290001B1 (ko) 분체 도장용 건조로 장치
CN105944934A (zh) 采用无极灯和uvled结合的uv漆复合固化设备及生产工艺
CN201711267U (zh) 轿车保险杠清漆喷涂生产线
CN214320712U (zh) 一种uv面漆辊涂线
CN205949252U (zh) 采用无极灯和uvled结合的uv漆复合固化设备
CN104858096B (zh) 一种刹车盘表面自动喷涂及涂层固化感应加热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