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834A - 패치 및 패치 제제 - Google Patents

패치 및 패치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834A
KR20090130834A KR1020090053508A KR20090053508A KR20090130834A KR 20090130834 A KR20090130834 A KR 20090130834A KR 1020090053508 A KR1020090053508 A KR 1020090053508A KR 20090053508 A KR20090053508 A KR 20090053508A KR 20090130834 A KR20090130834 A KR 20090130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atch
adhesive layer
grou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아메야마
게이고 이노사카
고우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3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09J139/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61K9/7061Poly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피부로부터 박리 시 피부 표면 상의 접착제 잔류물뿐만 아니라,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피부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지체 및 그 지지체의 한면 이상에 제공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패치로서, 상기 접착층은 하기 성분 (A)∼(D): (A) 필수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 (B) 필수 성분으로서 염기성 기를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 (C) 액체 성분, 및 (D) 산성 화합물의 배합물을 가교시켜 형성하는 것인 패치를 제공한다.
패치, 패치 제제

Description

패치 및 패치 제제{PATCH AND PATCH PREPARATION}
본 발명은 1 이상의 지지체 표면 상에 접착층을 갖는 패치 및 패치 제제 둘 모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 표면 등을 통해 인체에 약물을 투여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패치 제제, 예컨대 피부 등의 보호에 이용할 수 있는 패치뿐만 아니라, 습포제, 테입 제제 등이 개발되었으며, 적절한 기법이, 예를 들어 하기 공개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JP-A-10-504552에는 (a) 소정 비율의 공중합된 (메트)아크릴산을 함유하는 자가 접착성 폴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b) 염기성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중합체, 및 (c) 시트 상에 도포되는 가소제를 함유하는 의료 감압 접착제 및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패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문헌은 상기 접착제가,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높은 접착성으로 변하는 최소 수준의 접착성을 보유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 문헌은 비닐피롤리돈을 개시하지 않으며 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을 제시하지 않는 다.
JP-A-2000-44904에는 산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을 소정 비율로 공중합하여 얻은 공중합체 (성분 A),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성분 B), 선정된 액체 성분 (성분 C) 및 약물을 배합하고 그 배합물을 가교시켜 형성한 접착층을 갖는 패치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실시예 3). 상기 공개 문헌은 이러한 패치 제제가 잘 균형잡힌 약물 용해도 및 피부로의 접착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기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 문헌은 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와는 독립적으로 염기성 기를 갖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특정 공중합체를 접착층에 함유하는 것을 개시하거나 제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언급한 참조 문헌 그 어느 것도 접착층에 산성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을 개시하거나 제시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언급한 참조 문헌 그 어느 것도 발한 등으로 인한 물 등의 존재 하에 박리되는 경우 피부 상의 접착제 잔류물, 및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문제를 지적하지 않는다.
특허 문헌 1: JP-T-H10-504552
특허 문헌 2: JP-A-2000-44904
상기 관점에서, 본 발명은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박리되는 경우의 피부 상의 접착제 잔류물, 및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로 집중적인 연구를 실시하였고, 복수 종류의 특정 공중합체가 배합에 의해 가교된 산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이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접착층의 응집력을 유지시키는 데, 및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피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산성 화합물을 접착층에 첨가하는 경우에, 그 접착층이 이의 접착력과는 상관 없이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도 피부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의외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를 제공한다:
(1) 지지체 및 그 지지체의 한면 이상에 제공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패치로서,
상기 접착층은 하기 성분 (A)∼(D):
(A) 필수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
(B) 필수 성분으로서 염기성 기를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공 중합체;
(C) 액체 성분, 및
(D) 산성 화합물
의 배합물을 가교시켜 형성하는 것인 패치;
(2) 상기 접착층은 화학적 가교 처리에 의해 가교되는 것인, (1)의 패치;
(3) 상기 성분 (B)는 성분 (A) 45 중량부에 대하여 1∼2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되는 것인, (1) 또는 (2)의 패치;
(4) 상기 염기성 기는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기, 피리딜기 및 이미다졸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기인 것인, (1)∼(3) 중 임의의 하나의 패치;
(5) 상기 접착층은 성분 (B)의 염기성 기의 몰수의 0.2배 이상의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양으로 성분 (D)를 첨가하여 얻는 것인, (1)∼(4) 중 임의의 하나의 패치; 및
(6) 접착층이 약물을 함유하는 것인, (1)∼(5) 중 임의의 하나의 패치를 포함하는 패치 제제.
본 발명의 패치는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접착층의 응집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패치가 이의 접착층에서 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특정 공중합체, 염기성 기를 갖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특정 공중합체, 및 산성 화합물을 배합으로 포함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로써 응집 파괴 및 발한 등 중에 피부 로부터 박리될 시 피부 표면 상의 접착제 잔류물이라 일컬어지는 것의 억제뿐만 아니라,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피부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것에 대한 저항성이 현저하게 효과적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착층은 본 발명의 패치에서 효과적으로 가교되기 때문에, 상기 접착층은 다량 액체 성분을 보유하여 겔 유사 구조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착층은 피부 적용 중에 월등히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고 박리 중 쉽게 피부 염증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지체로서, 접착층을 구성하는 공중합체, 액체 성분, 함유되는 경우의 약물 등이 투과하고 이의 배면으로부터 손실되기 쉽지 않은 지지체가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사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설린, 금속 호일 등의 단일 필름, 적층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와 하기 언급하는 접착층 간의 접착력(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지체는 비다공질 플라스틱 필름과 다공질 필름(둘 다 상기 언급한 물질로 구성됨)의 적층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접착층은 다공질 필름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필름으로서, 접착층으로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을 사용한 다. 특히, 종이, 직물, 부직물, 기계적 관통 시트 등을 사용한다. 이들 중,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 종이, 직물 및 부직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패치에서, 전술한 지지체 중 1 이상의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접착층은 적합한 탄성을 갖는 가교 구조이며, 복수 종류의 특정 공중합체 성분 (A) 및 성분 (B), 액체 성분 (C), 및 산성 화합물 (D)의 배합물의 가교에 의해 얻어진다. 이는 겔 유사 구조라 일컬어지는 것을 가질 수 있다.
우선, 전술한 성분 (A)의 공중합체는 필수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비닐피롤리돈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성분 (A)에 대한 공중합체는 접착층을 위한 성분으로서 주로 사용되어 첨가되는 액체 성분과의 접착성 및 상용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언급한 성분 (A)의 공중합체를 위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이들 중 2 종 이상의 배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반응성 및 최종 테입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이들 단량체의 비율은, 접착제 특성으로서의 접착성 및 응집력, 약물이 접착층에 함유되는 경우의 약물 방출성, 접착층의 가교 처리 중의 반응성 등의 관점에서 성분 (A)의 공중합체의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이다.
전술한 성분 (A)의 공중합체 중 비닐피롤리돈으로서, N-비닐-2-피롤리돈, 메틸비닐피롤리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단독으로서 사용되거나 이들 중 2 종 이상의 배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반응성의 관점에서, N-비닐-2-피롤리돈이 바람 직하다. 응집력의 관점에서, 이의 비율은 성분 (A)의 공중합체의 바람직하게는 10∼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9∼30 중량%이다.
전술한 성분 (A)의 공중합체 중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접착성 등의 관점에서 탄소수가 4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탄소수가 4∼13인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예컨대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등을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이들 중 2 종 이상의 배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온에서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알킬기가 부틸, 2-에틸헥실 또는 시클로헥실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며, 알킬기가 2-에틸헥실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접착성의 관점에서, 이들 단량체의 비율은 성분 (A)의 공중합체의 바람직하게는 30∼8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중량%의 범위 내에 속하는 한 임의의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예로서 상기 인용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알킬기 이외의 기의 에스테르 화합물, 탄수소가 1∼3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탄소수가 14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한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서, 성분 (B)의 공중합체를 접착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및 접착층이 약물을 함유하는 경우의 약물 가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사용한다. 전술한 공중합체 성분 (B)는 필수 성분으로서 염기성 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성분 (B)의 중합체에서, 염기성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로서 염기성 질소 원자를 갖는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가 취급성, 예컨대 반응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기성 질소 원자를 갖는 기의 예로는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기(특히, 알킬아미노기), 피리딜기, 이미다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기를 갖는 단량체의 예로는 단량체 상에 측쇄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비닐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특히는, 탄수소가 1∼4인 알킬기를 갖는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비닐피리딘, 비닐이미다졸 등이 바람직하다. 물론, 취급성, 예컨대 반응성 등의 관점에서 염기성 기를 갖는 단량체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성 기를 갖는 상기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이들 중 2 종 이상의 배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량체의 비율은 성분 (A)의 공중합체와의 상용성, 유지되는 접착제 특성 등의 관점에서 성분 (B)의 공중합체의 바람직하게는 20∼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 중량%이다.
또한, 전술한 성분 (B)의 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접착층의 접착성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성분 (B)의 공중합체 중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탄소수가 1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 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접착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알킬기가 탄소수가 1∼10인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등인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이들 중 2 종 이상의 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복수 종류가 사용되는 경우의 총량으로서)은 공중합체 성분 (A)와의 상용성, 접착성 조절 등의 관점에서 공중합체 성분 (B)의 바람직하게는 30∼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70 중량%이다.
전술한 성분 (A) 및 성분 (B)의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각 성분의 특성이 유지될 수 있는 한 필요에 따라 임의의 양의 기타 공중합성 단량체와 각각 공중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반응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50∼70℃의 용매(아세트산에틸 등)에서 5∼48 시간 동안 전술한 단량체 및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과산화벤조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성분 (A) 및 성분 (B)의 공중합체 중, 접착 동안의 쾌적성 및 접착층이 약물을 함유하는 경우의 약물 가용성의 균형의 관점에서, 필수 성분으로서 60∼80 중량%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9∼30 중량%의 N-비닐-2-피롤리돈 및 1∼10 중량%의 아크릴산을 공중합시켜 얻는 공중합체가 성분 (A)의 공중합체로서 가장 바람직하고, 필수 성분으로서 30∼60 중량%의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15∼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15∼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의 부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시켜 얻는 공중합체 등 이 성분 (B)의 공중합체로서 가장 바람직하다.
접착층의 총 중량과 관련하여 성분 (A) 및 성분 (B)의 총 중량의 비율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상기 접착층의 총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30∼6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60 중량%이 되어 접착층에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한다. 성분 (A) 및 성분 (B)의 상기 비율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성분 (A)의 45 중량부에 대하여 성분 (B)는, 바람직하게는 1∼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2.5 중량부가 배합된다. 본 발명의 패치는 성분 (B)가 1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 충분한 접착력 및 약물이 함유되는 경우의 충분한 약물 가용성을 나타내고, 성분 (B)가 20 중량부 이하인 경우에 적합한 접착력을 유지하고 분리시 피부 염증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성분 (A) 및 성분 (B)와 함께 접착층에 함유되는 성분 (C)로서의 액체 성분은 접착층에 균일하게 용해 및 분산되며, 가교된 접착층을 겔 유사 상태로 가소화시키며, 이의 부드러운 느낌을 달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접착 테입 및 경피 흡수 제제를 피부 표면으로부터 박리시킬 시에 발생하는 접착력(피부 접착력)으로 인한 통증 및 피부 염증은 성분 (C)를 첨가하여 가교 겔화를 유도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약물이 패치 제제로서 함유되는 경우에 접착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소화되기 때문에, 상기 약물은 자유 확산성이 우수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피부 표면으로의 방출성(피부로의 전달)을 향상시킨다.
성분 (C)는 전술한 성분 (A) 성분 (B)와의 상용성을 보유하고 접착층 상의 가소화 작용을 보유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용성의 관점에서 유기 액체 성분이 바람직하다. 이의 예로는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 지방 및 오일, 예컨대 올리브 오일, 캐스터 오일, 스쿠알렌, 라놀린 등, 유기 용매, 예컨대 아세트산에틸, 에틸 알콜, 디메틸데실 설폭시드, 메틸옥틸 설폭시드, 디메틸 설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도데실피롤리돈, 이소소르비톨 등, 액체 계면활성제, 가소제, 예컨대 트리부틸 아세틸시트레이트,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프탈산 에스테르, 디에틸 세바케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아세틸시트레이트 등, 탄화수소, 예컨대 액체 파라핀 등, 에톡실화 스테아릴 알콜,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N-메틸피롤리돈, 에틸 올레에이트, 올레산,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1,3-부탄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이들 중 2 종 이상의 배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성분 (C)의 액체 성분 중에서, 바람직한 유기 액체 성분으로는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특히,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부틸 아세틸시트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접착층을 가소화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한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을 유지하고 패치 제조를 위한 가열 단계에서의 휘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기 언급되는 탄소수를 갖는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치의 보전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술한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분자 내 이중 결합이 없는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하기 언급되는 패치 제제의 경우, 단위 면적당 약물 함량이 높은 경우에 포화 용해도를 초과하는 약물은 제제 내에서 결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첨가되는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상기 약물의 결정화 및 침전 속도, 및 수득되는 제제의 외관 및 보전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따라서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12∼16,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4인 고급 지방산 및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1∼4인 저급 1가 알콜로 구성된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급 지방산의 예로는 바람직하게는 라우르산 (C12), 미리스트산 (C14) 및 팔미트산 (C16), 특히 미리스트산을 들 수 있다. 저급 1가 알콜의 예로는 메틸 알콜, 에틸 알콜, 프로필 알콜 및 부틸 알콜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직쇄 알콜로 한정되지 않으며 분지쇄 알콜일 수 있다. 이소프로필 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가 있다.
한편,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로서, 탄소수가 8∼10인 고급 지방산 및 글리세롤로 구성된 글리세라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급 지방산의 바람직한 예로는 카프릴산 (옥탄산, C8), 펠라르곤산 (노난산, C9) 및 카프르산 (데칸산, C10)을 들 수 있다.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예로는 카프릴산 및 글리세롤로 구성된 글리세라이드(예를 들어, 모노글리세라이드 카프릴레이트, 디글리세라이드 카 프릴레이트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성분 (C)의 비율은 전술한 성분 (A) 및 성분 (B)의 총량의 1 중량부당 바람직하게는 0.5∼1.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7∼1.5 중량부이다. 성분 (C)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실질적인 피부 접착성 및 낮은 피부 염증을 달성할 수 있고, 약물 방출성(피부 전달성)은 하기 언급되는 패치 제제에서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술한 성분 (A), 성분 (B) 및 성분 (C)와 함께 접착층에 첨가되는 성분 (D)로서의 산성 화합물은 상기 접착층에서 균일하게 용해 및 분산되며, 발한 등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피부로부터 패치가 박리되기 힘들게 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실질적으로 분명하지 않으나, 성분 (B) 중의 염기성 기로 인한 가교 구조가 성분 (D)의 산성 화합물에 의해 약간 약해진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것이 다른 가교 구조에 대하여 우위를 갖는 점이다.
상기 성분 (D)로서, 임의의 산성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안정성 및 사용 성능을 고려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성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특정 예로는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락트산, 벤조산, 살리실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메실산, 프로피온산 등, 무기산, 예컨대 염산, 황산, 질산 등을 들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러한 산성 화합물을 전술한 성분 (B) 중 염기성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에 첨가할 수 있다.
성분 (D)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성분 (D)를 성분 (B)의 염 기성 기,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기, 예를 들어 아미노기, 피리딜기 또는 이미다졸릴기(이들 각각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음)의 몰수의 0.2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0.2∼1.6 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6∼1.4 배의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성분 (D)가 무기 화합물인 경우, 소정의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양이란 소정 몰수로 이온 결합된 양성자를 화학양론적으로 함유하는 양을 의미한다. 성분 (D)가 유기 화합물인 경우, 소정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양이란 소정 몰수로 양성자 공여 기를 화학양론적으로 함유하는 양을 의미한다. 성분 (D)의 양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패치는 발한 등에 의한 물의 존재 하에 피부로부터 거의 떨어지지 않으며, 접착층의 pH 증가 및 수반하는 피부 염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성분 (B) 중 염기성 기의 몰수는 하기 계산식에 의해 계산된다:
성분 (B) 중 염기성 기의 몰수 = 성분 (B)의 양 [g] x (성분 (B) 중 염기성 기의 중량비 [중량%]/100) / 염기성 기의 화학식량.
염기성 기가 염기성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성분 (B) 중 염기성 기의 중량비 [중량%]는 일본 약전의 질소 정량법(Semimicro-Kjeldahl 방법)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은 성분 (B) 중 질소의 중량비 [중량%] 및 질소의 원자량을 바탕으로 계산된다.
본 발명에서, 성분 (D)의 산성 화합물로서, 1가 산성 물질(예를 들어, 염산 1 mol)은 양성자 1 mol을 제공하며, 2가 산성 물질(예를 들어, 타르타르산 1 mol) 은 양성자 2 mol을 제공한다. 유사하게는, 3가 이상의 산성 물질 1 mol은 양성자 3 mol 이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패치 중 접착층은 필수 성분으로서 전술한 성분 (A), 성분 (B), 성분 (C) 및 성분 (D)을 함유한다. 상기 성분이 용해 또는 혼합되어야 하는 경우, 이들은 서로 상용성이어야 한다. 따라서, 물 및 오일 둘 모두와 상용성인 양친매성 용매, 예컨대 이소프로필 알콜 및 메탄올,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등, 및 공중합체를 용해시키는 소수성 용매, 예컨대 아세트산에틸 등의 혼합 용매를 혼합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배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하며, 바람직하게는 접착층은 가교되어 겔 유사 상태라 일컬어지는 것을 형성하여, 이로써 함유된 액체 성분의 유출을 억제하고 접착층에 응집력을 부여한다.
가교는, 방사선으로의 노출, 예컨대 UV 조사, 전자빔 조사 등에 의한 물리적 가교, 화학적 가교 등에 의해 실시한다. 접착층 성분 상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화학적 가교가 바람직하다. 특히, 가교제, 예컨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유기 금속 염, 금속 알콜레이트,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다작용성 화합물 등을 사용하는 화학적 가교를 적용한다.
상기 가교제 중, 물의 존재 하에 접착층의 응집력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킬레이트 화합물, 특히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교제는 코팅 및 건조까지 용액의 증점 현상이 없으며, 작업성에서 매우 월등하다. 이러한 경우에 배합되는 가교제의 양은 성분 (A)의 중합체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 하여 약 0.01∼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는 사용 전에 접착층의 접착면을 보호하기 때문에, 박리 라이너를 접착면 상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 라이너는 충분한 박리 용이성을 확보하는 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필름, 종이, 예컨대 고품질 종이, 글라신 종이 등, 폴리올레핀 및 종이, 예컨대 고품질 종이, 글라신 종이 등의 적층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이의 면은 실리콘 수지, 플루오로수지 등을 도포하여 필링 처리(peeling treatment)를 거친 접착층과 접촉한다. 상기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200 μm, 바람직하게는 25∼100 μm이다.
본 발명의 박리 라이너로서, 폴리에스테르(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구성된 것이 배리어 특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두께가 약 25∼100 μm인 것이 취급성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패치 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배치의 접착층을 약물로 침지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약물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피부를 통해 포유류, 예컨대 인간 등에 투여될 수 있는 약물, 즉, 경피 흡수성 약물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2 종 이상의 약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물의 비율은 약물 종류 및 투여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유효량의 방출, 경제적 관점 및 피부로의 접착성을 고려하면, 상기 비율은 접착층의 총중량의 약 1∼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패치 및 패치 제제는, 예를 들어 하기 방식으로 제조된다: 출발 물질, 예컨대 공중합체, 액체 성분, 및 필요한 경우 약물, 가교제 등을 용매에 용해 및 분산시키고, 수득한 용액 또는 분산액을 지지체의 한면 이상에 도포하며, 이를 건조시켜 상기 지지체의 표면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박리 라이너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용액 또는 분산액을 보호용 박리 라이너의 한면 이상에 도포하고, 이를 건조시켜 상기 박리 라이너의 표면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며, 지지체를 상기 접착층에 접착시킨다. 경화 단계를 포함하여 접착층의 가교를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게 되며, 이는 한정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하기 설명에서, 부 및 %는 각각 중량부 및 중량%를 의미한다.
(공중합체 용액의 제조)
성분 (A)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2 중량%), N-비닐-2-피롤리돈 (25 중량%) 및 아크릴산 (3 중량%)을 공중합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 (a)를 산출하였다.
성분 (B)로서,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 중량%) 및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5 중량%)를 공중합시켜 공중합체를 산출하였다.
1. 패치
(실시예 1)
성분 (A)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용액(고체 함량 45 부)에 아세트산에틸 중 전술한 성분 (B)(평균 분자량; 150,000, 염기성 질소 원자의 중량비; 4.3%)의 용액(고체 함량 2 부)를 첨가하였다. 이에 2 부의 성분 (B) 중 염기성 질소 몰수의 0.8 배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성분 (D)로서 염산을 함유하는 메탄올계 염산 0.18 부를 첨가하였다. 이에 추가로 성분 (C)로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이후, 'IPM'이라 일컬음) 52.84 부를 첨가하였다. 이에, 가교제로서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알루미늄 디이소프로필레이트를 첨가하고, 적합한 양의 이소프로판올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농도를 조절하며, 상기 혼합물을 고속 혼합기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접착제 용액을 산출하였다. 가교제를 아크릴계 공중합체 (a)의 고체 함량 100 부당 0.3 부의 비율로 첨가하였다. 수득한 접착제 용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80 μm이 되도록 두께 75 μm의 폴리에스테르 박리 시트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가교된 겔 유사 접착층을 산출하였다. 상기 제조된 접착층을 지지체로서 부직물(이는 두께 2 μ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 표면 상에 폴리에스테르 부직물(8 g/m2의 섬유 중량)을 접착 적층시켜 제조함)의 표면 상에 적층하고, 상기 적층체를 60℃에서 48 시간 동안 가열하여 노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패치를 산출하였다.
2 g의 성분 (B) 중 염기성 질소의 몰수의 0.8 배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성분 (D)로서의 염산의 양을 하기 계산식에 의해 0.18 g으로 계산하였다.
성분 (D)의 양 [g] = {(성분 (b)의 양 [g]) x (성분 (B)의 양 [g] x 성분 (B) 중 염기성 질소의 중량비 [중량%] / 100 / 질소의 원자량)} x 0.8 x 성분 (D) 의 분자량 = 2 x 4.3 / 100 x 0.8 x 36.46 = 0.18 [g].
따라서, 성분 (B) 2 부에 대하여 성분 (D) 0.18 부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패치를 하기 목록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B) 5 부를 이의 2 부 대신에 사용하고; 염산 0.45 부를 성분 (B) 5 부 중 염기성 기의 몰수의 0.8 배에 해당하는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성분 (D)로서 사용하며; 성분 (C)를 성분 (B) 및 성분 (D)의 증가와 동등한 양으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패치를 하기 목록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B) 10 부를 이의 2 부 대신에 사용하고; 염산 0.90 부를 성분 (B) 10 부 중 염기성 기의 몰수의 0.8 배에 해당하는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성분 (D)로서 사용하며; 성분 (C)를 성분 (B) 및 성분 (D)의 증가와 동등한 양으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패치를 하기 목록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염산 0.67 부를 성분 (B) 중 염기성 기의 몰수의 1.2 배에 해당하는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성분 (D)로서 사용하며; 성분 (C)를 성분 (B)의 증가와 동등한 양으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패치를 하기 목록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염산 0.22 부를 성분 (B) 중 염기성 기의 몰수의 0.4 배에 해당하는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성분 (D)로서 사용하며; 성분 (C)를 성분 (B)의 증가와 동등한 양으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6)
실시예 6의 패치를 하기 목록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염산 0.11 부를 성분 (B) 중 염기성 기의 몰수의 0.2 배에 해당하는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성분 (D)로서 사용하며; 성분 (C)를 성분 (B)의 증가와 동등한 양으로 감소시켰다.
(실시예 7)
실시예 7의 패치를 하기 목록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염산 1.10 부를 성분 (B) 중 염기성 기의 몰수의 1.2 배에 해당하는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성분 (D)로서 사용하며; 성분 (C)를 성분 (B)의 증가와 동등한 양으로 감소시켰다.
(비교예 1∼3)
비교예 1∼3의 패치를 성분 (D)를 첨가하지 않고 성분 (D)를 성분 (C)의 동일량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험 실시예)
<물의 존재 하의 접착층의 응집력>
샘플을 5명의 지원자의 상부 안쪽 팔 상에 접착시키고, 발한 또는 목욕 후 1∼2 시간에 박리하였다. 상기 시간에서의 접착 잔류물을 하기 기준 상에서 평가하고 평균화하였다.
기준:
1 접착제 잔류물 없음
2 접착제 잔류물 약간 있음
3 접착제 잔류물이 명백히 있음
대량의 접착제 잔류물을 갖는 샘플의 접착층은 물의 존재 하에 낮은 응집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발한 및 목욕 중의 박리 용이성>
샘플을 5명의 지원자의 상부 안쪽 팔 상에 접착시키고, 발한 및 목욕 중의 샘플의 박리 용이성을 하기 3 단계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평균화하였다.
기준:
1 힘 없이는 박리되지 않음
2 약간의 힘으로 박리됨
3 힘 없이 박리됨
<접착력>
각각의 제제 샘플의 밴드형 스트립(폭 24 mm)을 베이클라이트 보드에 접착하고, 300 g의 하중으로 롤러 1회 왕복으로 가압하며, 180 도 방향으로 300 mm/분의 속력으로 박리하고, 접착력(박리 강도)을 측정하였다.
<겔 분율>
각각의 샘플을 10 cm2로 절단하고, 접착층의 중량 (W1)[g]을 측정하였다. 샘플을 아세트산에틸 100 ml에 24 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아세트산에틸을 변경시켰다. 상기 조작을 3회 반복하고, 용매 가용성 부분을 추출하였다. 샘플을 회수하고, 건조시키며, 접착층의 중량 (W2)[g]을 하기 식으로부터 겔 분율을 계산함으로써 측정하였다.
겔 분율 (%) = (W2 x 100) / (W1 x α/β)
α [g] = 성분 (A)의 중량 [g] + 가교제의 중량 [g]
β [g] = 성분 (A)의 중량 [g] + 성분 (B)의 중량 [g] + 성분 (C)의 중량 [g] + (성분 (D)의 중량 [g]) + 가교제의 중량 [g] + 함유되는 경우의 약물의 중량 [g]
겔 분율이 높은 샘플은 충분히 가교된 접착층을 보유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성분 (B) (고체 함량, 부) 성분 (C) IPM (부) 성분 (D)의 종류 / 양(부) 물의 존재 하의 접착층의 응집력 발한 및 목욕 중 박리 용이성 접착력 (N/24 mm) 겔 분율 (%)
실시예 1 2 52.82 염산염/0.18 1 1.0 1.3 83
실시예 2 5 49.55 염산염/0.45 1 1.0 1.3 82
실시예 3 10 44.10 염산염/0.90 1 1.0 1.4 84
실시예 4 5 49.33 염산염/0.67 1 1.0 1.3 82
실시예 5 5 49.78 염산염/0.22 1 1.2 1.5 84
실시예 6 5 49.89 염산염/0.11 1 1.6 1.7 86
실시예 7 5 48.90 염산염/1.10 1 1.4 1.7 76
비교예 1 2 53 - 1 2.2 1.8 84
비교예 2 5 50 - 1 2.2 2.0 89
비교예 3 10 45 - 1 2.8 2.6 99
성분 (A) (고체 함량) 45 부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패치는 물 존재 하의 응집력, 접착력 및 접착층 중의 겔 분율에서 충분하였다. 또한, 실시예의 패치는 발한 또는 목욕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쉽게 박리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비교예의 접착력은 실시예에서 보다 높지만, 비교예의 패치는 발한 또는 목욕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실시예의 패치보다 더욱 쉽게 박리되었다. 실시예 1∼4에서, 패치는 발한 또는 목욕으로 인한 물의 존재 하에 특히 덜 박리되기 쉽다.
2. 패치 제제
성분 (C)로서 IPM 44.10∼52.82 부의 1 부를 약물(인도메타신)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6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패치 제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는 본 발명의 패치와 유사하게 박리 시 보다 적은 접착제 잔류물을 나타내며, 발한 또는 목욕 중에도 충분한 피부 접착력을 보유한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특허 출원 2008-156688호(출원일: 2008년 6월 16일)을 기반으로 하며, 이의 내용은 본 원에서 전체로 참조 인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치 또는 패치 제제의 한 실시양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기호의 설명]
1 지지체
2 접착층
3 박리 라이너
10 패치 또는 패치 제제

Claims (6)

  1. 지지체 및 그 지지체의 한면 이상에 제공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패치로서,
    상기 접착층은 하기 성분 (A)∼(D):
    (A) 필수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
    (B) 필수 성분으로서 염기성 기를 갖는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공중합체;
    (C) 액체 성분, 및
    (D) 산성 화합물
    의 배합물을 가교시켜 형성하는 것인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화학적 가교 처리에 의해 가교되는 것인 패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는 성분 (A) 45 중량부에 대하여 1∼20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되는 것인 패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기는 임의로 치환된 아미노기, 피리딜기 및 이미다졸릴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기인 것인 패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성분 (B) 중 염기성 기의 몰수의 0.2 배 이상의 몰수로 양성자를 제공하는 양으로 성분 (D)를 첨가하여 얻는 것인 패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패치를 포함하는 패치 제제로서, 접착층이 약물을 함유하는 것인 패치 제제.
KR1020090053508A 2008-06-16 2009-06-16 패치 및 패치 제제 KR200901308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56688 2008-06-16
JP2008156688 2008-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834A true KR20090130834A (ko) 2009-12-24

Family

ID=4102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508A KR20090130834A (ko) 2008-06-16 2009-06-16 패치 및 패치 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311310A1 (ko)
EP (1) EP2135905A3 (ko)
JP (1) JP5368168B2 (ko)
KR (1) KR20090130834A (ko)
CN (1) CN101606925B (ko)
CA (1) CA2668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9210B2 (en) * 2008-09-23 2012-12-11 Pharmapatch, Llc Twin transdermal drug delivery patch
JP2014105205A (ja) 2012-11-30 2014-06-09 Medical Front Co Ltd 医用貼付剤
CN103720677A (zh) * 2014-01-15 2014-04-16 桂林安和药业有限公司 可重复揭贴且可重复涂布药物的贴膏
JP6654365B2 (ja) * 2015-06-17 2020-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製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6286A (en) * 1988-03-04 1997-08-12 Noven Pharmaceuticals, Inc. Solubility parameter based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drug saturation concentration
US5252588A (en) * 1990-04-27 1993-10-12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ercutaneously absorbable 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eperisone or tolperisone preparation
DE4429791C2 (de) * 1994-08-23 1997-04-24 Lohmann Therapie Syst Lts Medizinischer Haftkleber auf Basis von Polyacrylaten und dessen Verwendung
WO2002038139A1 (fr) * 2000-11-07 2002-05-16 Hisamitsu Pharmaceutical Co., Inc. Preparation pharmaceutique du type a absorption percutanee
JP2002275056A (ja) * 2001-03-23 2002-09-25 Tac Kasei Kk 貼付材とその製造方法
JP5021124B2 (ja) * 2001-08-29 2012-09-05 日東電工株式会社 医療用粘着組成物、それを用いた医療用粘着テープおよび経皮吸収用テープ製剤
JP4354678B2 (ja) * 2002-08-28 2009-10-28 久光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4320592B2 (ja) * 2003-12-24 2009-08-26 ライオン株式会社 医薬外用貼付剤
JP4276125B2 (ja) * 2004-04-27 2009-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医療用非架橋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貼付材、ならびに医療用非架橋粘着剤の製造方法
US20070264319A1 (en) * 2004-09-01 2007-11-15 Lebo David B Transdermal Antiemesis Delivery System, Method and Composition Therefor
CA2586871C (en) * 2004-11-05 2012-03-13 Lead Chemical Co., Ltd. Nonaqueous preparation for percutaneous absorption containing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nalgesic
JP2007119552A (ja) * 2005-10-26 2007-05-17 Showa Denko Kk (メタ)アクリル酸系含水ゲル体の製造方法および(メタ)アクリル酸系含水ゲル
CA2544709C (en) * 2005-04-28 2012-12-04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and laminate
JP2007126397A (ja) * 2005-11-04 2007-05-24 Toagosei Co Ltd 貼付剤
CN101432383B (zh) * 2006-04-28 2013-05-01 狮王株式会社 非水性粘合剂组合物、贴剂和贴剂的制备方法
JP5193674B2 (ja) * 2007-06-01 2013-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6925B (zh) 2013-03-13
CN101606925A (zh) 2009-12-23
EP2135905A3 (en) 2013-08-07
EP2135905A2 (en) 2009-12-23
JP5368168B2 (ja) 2013-12-18
US20090311310A1 (en) 2009-12-17
JP2010024224A (ja) 2010-02-04
CA2668978A1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488B1 (ko) 도네페질 함유 접착 제제의 경시적인 변색을 억제하는 방법
JP5193674B2 (ja) 貼付剤および貼付製剤
KR101235515B1 (ko) 경피 흡수형 제약 제제
JP4999366B2 (ja) 経皮吸収製剤
JP5208209B2 (ja) ドネペジル含有貼付製剤およびその包装体
JP4145996B2 (ja) 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および経皮吸収製剤
KR20090086565A (ko) 안정화된 도네페질 함유 접착 제제
CA2548864C (en) Percutaneous absorption-type pharmaceutical preparation
KR101825224B1 (ko) 셀레길린-함유 접착 제제
KR20090118957A (ko) 비소프롤롤 경피 투여 디바이스
KR20090130834A (ko) 패치 및 패치 제제
KR100979597B1 (ko) 의료용 비가교 점착제 조성물, 이를 사용한 의료용 부착시트, 및 의료용 비가교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EP0891782B1 (en) Medical adhesive sheet and production thereof
KR102127531B1 (ko) 부착 제제
KR101842315B1 (ko) 첩부 제제
JP2001181591A (ja) ブロック共重合体粘着剤及びこれを用いた医療用粘着テープ、経皮吸収製剤並びにブロック共重合体粘着剤の製造方法
JP5623102B2 (ja) セレギリン含有貼付製剤
JP5930877B2 (ja) 経皮吸収製剤
JP4633879B2 (ja) 経皮吸収製剤
KR20090085088A (ko) 안정화된 도네페질 함유 접착 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