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222A -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9222A KR20090129222A KR1020080055366A KR20080055366A KR20090129222A KR 20090129222 A KR20090129222 A KR 20090129222A KR 1020080055366 A KR1020080055366 A KR 1020080055366A KR 20080055366 A KR20080055366 A KR 20080055366A KR 20090129222 A KR20090129222 A KR 200901292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locking
- connector housing
- tool
- insertion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하우징(21)의 내부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안착되기 위한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1)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22)에 안착된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리어홀더(30)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홀더(30)의 외관과 골격은 홀더몸체(31)가 형성하는데 대략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1)의 외면에는 걸림턱(2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홀더몸체(31)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26)에 걸어지는 걸이후크(3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6)의 내부를 상기 커넥터하우징(21)과 홀더몸체(31)가 결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하여서는 분리도구(J)가 삽입되기 위한 도구삽입홀(29)이 형성된다. 상기 도구삽입홀(29)에 분리도구(J)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이후크(32)의 탄성변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도구(J)가 지정된 위치에 삽입되므로, 걸이후크(32)의 정확한 부분에 힘이 전달되며, 작업중 분리도구(J)가 다른 부품들에 손상을 가하는 것이 방지된다.
커넥터조립체, 리어홀더, 분리, 지그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품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부품을 결합시키기 위해 서로 체결되는 걸림턱과 걸이후크로 구성되는 부품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부품체결장치는 커넥터와 리어홀더의 조립체에 적용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조립체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결합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조립체의 외관과 골격을 커넥터하우징(1)이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의 내부에는 와이어(5)가 연결된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의 외면에는 걸림턱(7)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7)에는 후술할 리어홀더(10)의 걸이후크(12)가 걸어진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의 일측에는 리어홀더(10)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홀 더(1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을 지지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하우징(1)의 내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리어홀더(10)의 일측에는 걸이후크(12)가 상기 걸림턱(7)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걸이후크(12)는 상기 걸림턱(7)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리어홀더(10)와 커넥터하우징(1)을 결합시킨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터미널을 교체할 경우, 먼저 상기 리어홀더(10)를 상기 커넥터하우징(2)으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후크(12)의 걸림턱(7)에의 체결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 상기 걸이후크(12)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걸이후크(12)와 커넥터하우징(2) 사이에 선단이 뾰족한 분리도구(미도시)를 끼워 넣어, 상기 걸이후크(12)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걸림턱(7)에서 분리시킨다.
그러나, 상기 분리도구의 삽입위치에 따라 상기 분리도구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분리도구에 필요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걸이후크(12)의 탄성변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상기 분리도구에 필요 이상의 힘이 가해져 걸이후크(12)가 파손되어 리어홀더(10)를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분리도구에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리도구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움직여, 커넥터하우징을 고정하고 있던 다른 손이 분리도구에 찔려 다치 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도구가 걸이후크의 특정부분에 일정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도구에 힘을 가하는 동안 분리도구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부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과; 제2부품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상기 제1부품과 제2부품를 결합시키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걸이후크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걸림턱과의 걸림을 해제시키기 위한 분리도구가 삽입되는 도구삽입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구삽입홀은 상기 걸림턱을 상기 제1부품과 제2부품의 결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구삽입홀에 삽입된 분리도구의 선단과 만나는 상기 걸이후크의 일측에는, 상기 분리도구의 미는 힘이 상기 걸이후크가 상기 걸림턱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걸림면과 경사가 있는 가이드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이후크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면에 안착되는 걸이면이 형성되 고, 상기 걸이후크의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면과 대응되는 체결안내면이 상기 가이드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제2몸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선단을 연결하고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에 안착된 터미널을 지지하는 홀더몸체;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홀더몸체 중 어느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면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홀더몸체의 결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분리도구가 삽입되기 위한 도구삽입홀이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홀더몸체 중 어느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면에 안착되는 걸이면을 가지는 걸이단이 구비된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단의 상기 걸이면이 형성되는 일측에 상기 도구삽입홀을 관통하는 분리도구의 선단과 만나는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도구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이후크가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의 상기 걸림면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후크의 상기 걸이면과 마주하는 면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면과 대응되는 체결안내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턱은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후크는 홀더몸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턱의 내부를 관통하여 분리도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도구에 힘을 가하면, 걸이후크의 정확한 위치에 그 힘이 전달되어 상기 걸이후크와 걸림턱의 분리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분리도구는 삽입홀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분리도구에 힘을 가할 때 분리도구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주변 부품이 분리도구에 찔려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작업자의 손이 분리도구에 의해 상처입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조립체(20)의 외관 및 골격을 커넥터하우징(21)이 형성한다. 커넥터하우징(21)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관통공(22)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22)에는 일측이 와이어(25)와 연결된 터미널(미도시)이 안착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1)의 외면에는 걸림턱(26)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6)은 상기 커넥터하우징(21)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26)의 일면에는 평탄한 걸림면(27)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면(27)은 후술할 걸이후크(32)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26)의 상기 걸림면(27)과 마주하는 면은 후술할 걸이후크(3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면(28)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26)에는 도구삽입홀(29)이 형성된다. 도구삽입홀(29)은 상기 커넥터하우징(21)과 후술할 리어홀더(30)의 결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걸림턱(26)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도구삽입홀(29)은 상기 걸림턱(26)과 걸이후크(32)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도구(J)(도 5 참고)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상기 분리도구(J)는 상기 도구삽입홀(29)에 삽입되어 후술할 걸이후크(32)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걸림턱과(26)과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하우징(21)의 일측에는 리어홀더(30)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홀더(3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1)의 내부에 안착된 터미널(미도시)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하우징(21)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홀더(30)의 외관 및 골격을 홀더몸체(31)가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홀더몸체(31)의 일측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1)의 관통공(22) 내부로 삽입되어 관통공(22)에 설치된 터미널을 지지하는 구성들이 돌출되게 형성된 다.
그리고 상기 리어홀더(3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26)에 걸어져 커넥터하우징(21)과 리어홀더(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걸이후크(3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2)는 상기 걸림턱(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2)는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기 걸이후크(32)는 상기 홀더몸체(3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한 쌍의 걸이대(33)와 상기 걸이대(33)의 선단을 연결하는 걸이단(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단(34)은 상기 걸림턱(26)의 걸림면(27)에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걸이단(34)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면(27)과 대응되게 걸이면(34a)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2)의 상기 걸이면(34a)과 마주하는 면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면(28)과 대응되는 체결안내면(35)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안내면(35)은 상기 가이드면(28)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진다.
상기 걸이단(34)의 내측면 중 상기 도구삽입홀(29)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분리도구(J)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면(36)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6)은 상기 도구삽입홀(29)에 삽입된 분리도구(J)의 선단이 닿는 부분인데, 이는 상기 분리도구(J)의 미는 힘이 상기 걸이후크(32)가 상기 걸림턱(26)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후크(32)는 상기 경사면(36)과 만나는 분리도구(J)의 미는 힘에 의하여 상기 커넥터하우징(21)의 외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걸이후크(32)가 상기 걸림턱(26)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와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이후크가 걸림턱에서 분리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1)과 리어홀더(30)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분리도구(J)를 사용한다. 상기 분리도구(J)는 상기 걸이후크(32)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도구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분리도구(J)를 도구삽입홀(29)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분리도구(J)는 상기 리어홀더(3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21)에 결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5의 화살표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도구삽입홀(29)에 삽입된 분리도구(J)는 그 선단이 상기 걸이후크(32)의 경사면(36)과 만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도구(J)가 상기 도구삽입홀(29)을 관통하도록 상기 분리도구(J)를 계속 삽입시키면, 상기 분리도구(J)의 선단이 상기 걸이후크(32)의 걸이단(34)을 밀어내면서 상기 걸이후크(32)가 상기 커넥터하우징(21)의 외측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과 같이 상기 걸이후크(32)가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21)과 리어홀더(3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걸이후크(32)가 상기 걸림턱(26)에서 분리되어 그 체결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32)의 경사면(36)이 상기 걸림면(27)이 형성된 걸림턱(26)의 선단 모서리 부분과 만나게 되는데, 상기 경사면(36)에 의해 상기 걸이후크(32)의 걸이단(34)이 상 기 모서리부분을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걸림턱(26)에 분리도구(J)가 삽입되는 도구삽입홀(29)이 형성된다. 따라서 분리도구(J)가 지정된 위치에 삽입되므로, 걸이후크(32)의 정확한 부분에 힘이 전달되며, 작업중 분리도구(J)가 다른 부품들에 손상을 가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부품체결장치가 커넥터와 리어홀더 조립체에 적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이 요구되는 두 개의 부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품체결장치는 정션박스의 커버 사이, 커버와 메인몸체 사이의 결합 및 정션박스의 커넥터의 결합에도 적용될 수 있고, 암커넥터와 수커넥터 사이의 결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1부품과 제2부품은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부품을 각각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걸림턱이 커넥터하우징에, 걸이후크가 홀더몸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이와 반대로 걸림턱이 홀더몸체에, 걸이후크가 커넥터하우징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걸이후크가 한 쌍의 걸이대와 걸이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걸림턱에 걸어질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고 그 형상에 제한이 없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결합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이후크가 걸림턱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커넥터조립체 21: 커넥터하우징
22: 관통공 25: 와이어
26: 걸림턱 27: 걸림면
28: 가이드면 29: 도구삽입홀
30: 리어홀더 31: 홀더몸체
32: 걸이후크 33: 걸이대
34: 걸이단 34a: 걸이면
35: 체결안내면 36: 경사면
J: 분리도구
Claims (9)
- 제1부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과;제2부품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어져 상기 제1부품과 제2부품를 결합시키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걸이후크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걸림턱과의 걸림을 해제시키기 위한 분리도구가 삽입되는 도구삽입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체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삽입홀은 상기 걸림턱을 상기 제1부품과 제2부품의 결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체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삽입홀에 삽입된 분리도구의 선단과 만나는 상기 걸이후크의 일측에는, 상기 분리도구의 미는 힘이 상기 걸이후크가 상기 걸림턱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체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는 걸림면과 경사가 있는 가이드면이 각각 형성되고,상기 걸이후크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면에 안착되는 걸이면이 형성되고,상기 걸이후크의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면과 대응되는 체결안내면이 상기 가이드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체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제2몸체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걸이대와,상기 걸이대의 선단을 연결하고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품체결장치.
-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상기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에 안착된 터미널을 지지하는 홀더몸체;상기 커넥터하우징과 홀더몸체 중 어느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측에 걸림면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과 홀더몸체의 결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분리도구가 삽입되기 위한 도구삽입홀이 형성되는 걸림턱;상기 커넥터하우징과 홀더몸체 중 어느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면에 안착되는 걸이면을 가지는 걸이단이 구비된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단의 상기 걸이면이 형성되는 일측에 상기 도구삽입홀을 관통하는 분리도구의 선단과 만나는 부분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분 리도구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이후크가 탄성변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상기 걸림면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되고,상기 걸이후크의 상기 걸이면과 마주하는 면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면과 대응되는 체결안내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커넥터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후크는 홀더몸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5366A KR100982943B1 (ko) | 2008-06-12 | 2008-06-12 |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5366A KR100982943B1 (ko) | 2008-06-12 | 2008-06-12 |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9222A true KR20090129222A (ko) | 2009-12-16 |
KR100982943B1 KR100982943B1 (ko) | 2010-09-17 |
Family
ID=4168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5366A KR100982943B1 (ko) | 2008-06-12 | 2008-06-12 |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294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1396B1 (ko) * | 2018-10-23 | 2019-09-17 | 이기석 |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8926U (ko) * | 1996-12-20 | 1998-09-15 | 양재신 | 자동차용 암/수 커넥터 |
JP4047731B2 (ja) * | 2003-01-10 | 2008-02-13 |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
2008
- 2008-06-12 KR KR1020080055366A patent/KR1009829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1396B1 (ko) * | 2018-10-23 | 2019-09-17 | 이기석 |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2943B1 (ko) | 2010-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30426A2 (en) | Double clip fastener device with retaining plate | |
JP4824618B2 (ja) | プラグインコネクタ | |
US9722358B1 (en) | Power cord retainer | |
KR100988786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KR100982943B1 (ko) |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 |
CN113711448B (zh) | 电源插头保持装置 | |
KR101820143B1 (ko) | 배선장치 | |
KR20110032881A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JP2001135413A (ja) | コネクタの抜け防止機構 | |
KR100814934B1 (ko) | 랜스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용 하우징 | |
US6971900B2 (en) | Circuit card retaining system | |
KR200447845Y1 (ko) | 터미널탈거공구 | |
KR20100122257A (ko) | 박스의 결합장치 | |
TWI774607B (zh) | 攜帶工具用持具 | |
JP7217522B2 (ja) | ケーブル保持具 | |
KR20140011817A (ko) | 커넥터 | |
KR101009362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KR20100002921A (ko) | 커넥터하우징 | |
KR200275868Y1 (ko) | 케이블 고정용 클립 | |
JP2019170051A (ja) | ハーネスクリップおよびその保持方法 | |
EP1780852A2 (en) | A fixation device for fixing electrical devices in an installation duct | |
JPH03266378A (ja) | コネクター固定装置およびコネクター固定方法 | |
KR20090072743A (ko) | 커넥터 | |
KR200439564Y1 (ko) |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 |
KR20090006798U (ko) | 커넥터하우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