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396B1 -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 Google Patents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396B1
KR102021396B1 KR1020180126927A KR20180126927A KR102021396B1 KR 102021396 B1 KR102021396 B1 KR 102021396B1 KR 1020180126927 A KR1020180126927 A KR 1020180126927A KR 20180126927 A KR20180126927 A KR 20180126927A KR 102021396 B1 KR102021396 B1 KR 102021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astening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in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이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석 filed Critical 이기석
Priority to KR102018012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 보드의 하우징과 측면마감구를 서로 고정하는 수단이 하우징에 구비되는 체결홈부와 측면마감구에 구비되는 체결돌부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하우징과 측면마감구와의 조립작업에 따른 조립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피스나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보수작업을 진행할 때 하우징과 측면마감구를 원터치방식으로 쉽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보수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과 측면마감구의 유동되거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one-touch type side cover of housing for terminal board}
본 발명은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 보드가 인입되어 수용되는 하우징의 측면을 측면 마감구로 덮어 마감하되 측면 마감구를 피스 또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아닌 원터치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측면 마감구의 조립성 향상은 물론 조립에 따른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많은 전선들이 구비되는 바, 이러한 전선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도록 배선하는 터미널 보드가 설치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터미널 보드는, 인쇄회로기판과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터미널블록과 복수개 터미널블록을 보호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측면을 마감하는 마감구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터미널 보드는, 각각의 단자들이 전기적으로 끼워져 체결되는 복수개 터미널블록(1)과 상기 복수개 터미널블록(1)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쇄회로기판(2)이 내부에 실장되어 보호되도록 하는 하우징(3)과 상기 하우징(3)의 측면을 마감하는 측면마감구(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터미널 보드는, 하우징(3)의 개방된 측면측으로 슬라이딩 인입되어 하우징(3)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2)이 하우징(3)의 내부로 인입된 후에는 개방된 하우징(3) 측면을 측면마감구(4)로 덮어 마감한다.
이 때, 하우징(3)과 측면마감구(4)를 피스(5) 결합에 의해 체결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피스(5)를 돌려 하우징(3)과 측면마감구(4)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작업시간에 의해 터미널 보드의 조립에 따른 작업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조립성 저하와 함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피스(5)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돌려 체결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3)과 측면마감구(4)를 체결고정하기 때문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피스(5)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자칫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피스(5)가 체결되는 측면마감구(4)가 피스(5)의 체결 조임동작에 의해 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하우징(3)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2)을 교체하거나 또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할 때 하우징(3)과 측면마감구(4)를 서로 분리하여야 하는 바, 이 때 체결고정된 피스(5)를 다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풀어주어야 하고 보수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피스(5)에 의해 하우징(3)과 측면마감구(4)를 체결고정해야 함에 따라 작업성은 물론 작업에 따른 편의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실용 20-2011-0011938호인 온도퓨즈가 구비된 터미널블럭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수직의 분할벽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벽의 측면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부가 접속되는 전원공급단자부와 전원이 출력되는 전원출력단자부가 형성된 블록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의 전원공급단자부와 전원출력단자부에 삽입되는 전원공급단자판과 전원출력단자판과, 상기 단자판들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판과 전원출력단자판이 통전되게 접속되며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단락되는 온도퓨즈가 설치된 터미멀블럭이 연결나사봉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조립되어, 터미널블럭의 전원이 인입되는 전원공급단자와 전원이 출력되는 전원출력단자 사이에 온도퓨즈를 설치하여 터미널블럭 내에 설정온도 이상의 과열이 발생되면 전원공급단자부와 전원출력단자부에 접속되는 각각의 온도퓨즈가 자동적으로 단락되면서 터미널블럭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게 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 역시 측면 마감구가 피스 또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공개실용 20-2011-0011938호(2011.12.28.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13712호(2012.12.12. 등록)
본 발명은 하우징과 측면마감구를 피스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간단한 원터치 방식으로 서로 고정되도록 하여 터미널 보드의 조립에 따른 작업성은 물론 조립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과 측면마감구의 분리 역시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 교체 및 보수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터미널블록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슬라이딩 인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마감하는 측면마감구를 포함하는 터미널 보드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단부에는 각각 체결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마감구에는 상기 체결홈부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측면마감구가 하우징의 측면에 덮어져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밀착될 때 상기 체결홈부에 걸어져 체결되는 체결돌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체결홈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단부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면과; 상기 걸림면으로부터 수평연장되고 상기 체결돌부가 수용되는 수용면과; 상기 수용면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연장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부는, 상기 하우징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탄성연장편과; 상기 탄성연장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마감구가 상기 하우징 측면으로 덮어질 때 상기 탄성연장편에 의해 벌어진 상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타고 인쇄회로기판측으로 인입되었다가 상기 수용면에 위치될 때 상기 탄성연장편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수용면에 수용되어 상기 걸림면에 걸어지는 체결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측면마감구에는, 상기 측면마감구를 관통하는 분리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분리구멍은 상기 체결돌부의 체결편과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분리구멍을 통해 송곳을 끼워 밀어줄 때 상기 탄성연장편에 의해 상기 체결편이 벌어지게 되어 상기 걸림면으로부터 체결편이 이탈되어 상기 측면마감구가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에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마감구에는, 상기 측면마감구가 하우징의 측면에 덮어질 때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체결홈부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가이드돌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터미널 보드의 하우징과 측면마감구를 서로 고정하는 수단이 하우징에 구비되는 체결홈부와 측면마감구에 구비되는 체결돌부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하우징과 측면마감구와의 조립작업에 따른 조립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피스나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보수작업을 진행할 때 하우징과 측면마감구를 원터치방식으로 쉽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보수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과 측면마감구의 유동되거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터미널 보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의 하우징에 측면마감구가 덮어지기 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의 하우징에 측면마감구가 덮어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의 하우징으로부터 측면마감구를 빼내는 작용상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1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터미널블록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슬라이딩 인입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마감하는 측면마감구(30)를 포함하는 터미널 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는, 터미널 하우징(20)과 측면마감구(30)의 연결 조립 작업시에 간단한 원터치 방식으로 측면마감구(30)가 하우징(20)의 측면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하거나 원터치 방식으로 측면마감구(30)가 하우징(20)의 측면으로부터 쉽고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조립에 따른 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양단부(11)는 상기 하우징(20)의 양단부(21)로부터 각각 연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양단부(11)에는 각각 체결홈부(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이 하우징(20) 측으로 슬라이딩 인입된 후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양단부(11)가 상기 하우징(20)의 양단부(21)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위치되고, 하우징(20)의 양단부(21)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양단부(11)에 체결홈부(40)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홈부(40) 역시 상기 하우징(20)의 양단부(21)로부터 돌출되게 위치된다.
상기 체결홈부(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양단부(11)로부터 인쇄회로기판(10)의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면(41)과, 상기 걸림면(41)으로부터 수평연장되고 상기 체결돌부(50)가 수용되는 수용면(42)과, 상기 수용면(42)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연장면(4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마감구(30)에는 상기 체결홈부(40)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체결돌부(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돌부(50)는, 상기 측면마감구(30)가 하우징(20)의 측면에 덮어져 상기 하우징(20)의 측면과 밀착될 때 상기 체결홈부(40)에 걸어져 체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체결돌부(50)에 의해 측면마감구(30)가 하우징(20)의 측면에 원터치방식으로 걸어져 체결되기 때문에 피스와 같은 체결수단 없이도 측면마감구(30)와 하우징(20)과의 체결 고정이 가능하여 조립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체결돌부(50)는, 상기 하우징(10) 내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탄성연장편(51)과, 상기 탄성연장편(51)으로부터 연장되는 체결편(5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마감구(30)가 상기 하우징(20) 측면으로 덮어질 때 상기 체결돌부(50)의 체결편(52)이 상기 탄성연장편(51)에 의해 벌어진 상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을 타고 인쇄회로기판(10)측으로 인입되었다가 상기 수용면(42)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연장편(51)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수용면(42)에 수용되고 수용면(42)에 수용된 체결편(52)은 상기 걸림면(41)에 걸어져 체결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마감구(30)에는, 상기 측면마감구(30)를 관통하는 분리구멍(6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분리구멍(60)은 상기 체결돌부(50)의 체결편(52)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구멍(60)은 하우징(20)과 측면마감구(30)를 원터치방식으로 분리할 때 송곳(101)이 인입되는 구멍이다.
이와 같이 측면마감구(30)에 분리구멍(6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원터치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체결된 하우징(20)과 측면마감구(3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상기 분리구멍(60)을 통해 송곳(101)을 끼워 밀어주면 분리구멍(60)측으로 끼워진 송곳(101)이 상기 걸림면(41)에 걸어진 체결편(52)을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연장편(51)에 의해 상기 체결편(52)이 벌어지게 되어 상기 걸림면(41)으로부터 체결편(52)이 이탈되며 이 때, 상기 하우징(20)의 측면 외측방향으로 상기 측면마감구(30)를 당겨 측면마감구(30)를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간단하게 송곳(101)을 분리구멍(60)에 끼워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20)과 측면마감구(30)의 체결이 해제되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체결된 하우징(20)과 측면마감구(30)를 원터치 방식으로 쉽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분리구멍(60)에 송곳(101) 이외에 핀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20)에는 가이드홈(22)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마감구(30)에는 상기 가이드홈(22)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가이드돌부(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가이드홈(22)이 하우징(20)에 구비되고 가이드돌부(31)가 측면마감구(3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측면마감구(30)를 하우징(20)의 측면에 덮어줄 때 상기 가이드돌부(31)가 상기 가이드홈(22)에 끼워져 가이드됨에 따라 상기 체결돌부(50)가 상기 체결홈부(40)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체결된다.
또한, 측면마감구(30)가 하우징(20)의 측면에 끼워진 후에는 상기 가이드돌부(31)가 가이드홈(22) 내측에 위치됨에 따라 측면마감구(30)와 하우징(20)과의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인쇄회로기판 11 : 인쇄회로기판 양단부
20 : 하우징 21 : 하우징 양단부
22 : 가이드홈 30 : 측면마감구
31 : 가이드돌부 40 : 체결홈부
41 : 걸림면 42 : 수용면
43 : 연장면 50 : 체결돌부
51 : 탄성연장편 52 : 체결편
60 : 분리구멍

Claims (4)

  1. 인쇄회로기판(1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 터미널블록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슬라이딩 인입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마감하는 측면마감구(30)를 포함하는 터미널 보드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양단부(11)는 상기 하우징(20)의 양단부(21)로부터 각각 연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양단부(11)에는 각각 체결홈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마감구(30)에는 상기 체결홈부(40)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측면마감구(30)가 하우징(20)의 측면에 덮어져 상기 하우징(20)의 측면과 밀착될 때 상기 체결홈부(40)에 걸어져 체결되는 체결돌부(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부(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양단부로부터 인쇄회로기판(10)의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면(41)과; 상기 걸림면(41)으로부터 수평연장되고 상기 측면마감구(30)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부(50)가 걸려 수용될 수 있는 수용면(42)과; 상기 수용면(42)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연장면(43)으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부(40)에 탄성력으로 체결되는 체결돌부(50)는, 상기 측면마감구(30)의 내면 대응지점에 돌출형성되는 탄성연장편(51)과; 상기 탄성연장편(5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마감구(30)가 상기 하우징(20) 측면으로 덮어질 때 상기 탄성연장편(51)에 의해 벌어진 상태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을 타고 인쇄회로기판(10)측으로 인입되었다가 상기 수용면(42)에 위치될 때 상기 탄성연장편(51)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수용면(42)에 수용되어 상기 걸림면(41)에 걸어지는 체결편(5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는 가이드홈(22)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마감구(30)에는,
    상기 측면마감구(30)가 하우징(20)의 측면에 덮어질 때 상기 가이드홈(22)에 끼워져 상기 체결돌부(50)가 상기 체결홈부(40)에 대응되게 위치되어 체결되도록 상기 가이드홈(22)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가이드돌부(31)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KR1020180126927A 2018-10-23 2018-10-23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KR102021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27A KR102021396B1 (ko) 2018-10-23 2018-10-23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927A KR102021396B1 (ko) 2018-10-23 2018-10-23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396B1 true KR102021396B1 (ko) 2019-09-17

Family

ID=6807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927A KR102021396B1 (ko) 2018-10-23 2018-10-23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3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895Y1 (ko) * 2001-05-22 2001-10-29 서일전자 주식회사 단자대 모듈의 접지 구조
KR20090129222A (ko) * 2008-06-12 2009-1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KR20110002790U (ko) * 2009-09-10 2011-03-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11938U (ko) 2010-06-21 2011-12-28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온도퓨즈가 구비된 터미널블럭
KR101213712B1 (ko) 2012-08-13 2012-12-18 주식회사 이티에이 원터치 취부형 계단식 단자대
JP2013239308A (ja) * 2012-05-14 2013-11-28 Omron Corp 端子台ブロック
JP2015095930A (ja) * 2013-11-11 2015-05-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895Y1 (ko) * 2001-05-22 2001-10-29 서일전자 주식회사 단자대 모듈의 접지 구조
KR20090129222A (ko) * 2008-06-12 2009-1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KR20110002790U (ko) * 2009-09-10 2011-03-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11938U (ko) 2010-06-21 2011-12-28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온도퓨즈가 구비된 터미널블럭
JP2013239308A (ja) * 2012-05-14 2013-11-28 Omron Corp 端子台ブロック
KR101213712B1 (ko) 2012-08-13 2012-12-18 주식회사 이티에이 원터치 취부형 계단식 단자대
JP2015095930A (ja) * 2013-11-11 2015-05-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100B1 (ko)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US9820402B2 (en) Slide lock for circuit boards
US10368458B2 (en) Rail-mounted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mounting
US9607783B2 (en) Switch device mounting structure
US10446337B2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US10020136B2 (en)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US20190006824A1 (en) Electrical device and distribution board
KR102021396B1 (ko) 터미널 보드 하우징의 원터치 측면 마감구
JP4512410B2 (ja) 電力変換装置
RU2008140309A (ru) Рам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шкафа,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каф и набор комплектующих для него
US11660743B2 (en) Ball screw spline assembly and related method
US732128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8771003B2 (en) Electric terminal for leading a conductor through a wall
CN201199492Y (zh) 包括绝缘材料壳体的安装开关装置
KR101321178B1 (ko) 보안등 점멸기 외함의 부품 설치구조
JP2000208176A (ja) 盤用コンセント
JP2006066287A (ja) 電気器具の端子装置
CN110912050B (zh) 电气连接箱及电气连接箱的制造方法
US20190386409A1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KR200473284Y1 (ko) 분전반의 일체형 체결장치
DE102008003246B4 (de) Ansteuereinrichtung für einen Elektromotor
KR200387577Y1 (ko) 안전단자대
CN111225525B (zh) 容纳至少一个机电、电气和/或电子部件的外壳
KR20180003568U (ko) 분전반 측면에 콘센트의 부착장치
JP2006320132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