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173A -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173A
KR20090129173A KR1020080055306A KR20080055306A KR20090129173A KR 20090129173 A KR20090129173 A KR 20090129173A KR 1020080055306 A KR1020080055306 A KR 1020080055306A KR 20080055306 A KR20080055306 A KR 20080055306A KR 20090129173 A KR20090129173 A KR 20090129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polymer
resin
mica
mo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김관철
임혜진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5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9173A/ko
Publication of KR2009012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1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4By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루오르기 및 디올(diol)기를 가진 화학식 1의 공중합체로 표면 처리한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에 사용시 유제에의 분산성이 우수하고,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밀착성 및 수분 보유 능력이 개선되어 사용감이 좋고, 피지 흡수율이 우수하다. 또한 온도 또는 시간 경과에 따라 분체의 응집이나 침강이 없는 우수한 경시 안정성을 갖는다.
플루오르, 아크릴레이트, 디올기, 공중합, 분체, 표면 개질, 화장료

Description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urface-modified powder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올(diol)기 및 플루오르기를 가진 공중합체로 표면을 개질하여 내피지성 및 유제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한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여 피부 밀착성 및 수분 보유능력이 향상되어 사용감이 좋고 분체의 응집이 없어 모공을 막지 않아 피부 트러블을 줄여주며 시간 경과에 따라 분체의 응집이나 침강이 없는 안정성이 우수한 표면 개질 분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화티탄, 산화아연, 마이카, 세리사이트등의 분체는 기초 화장품을 비롯하여 자외선 차단제, 네일 칼라, 네일코팅, 파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등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용 분체들은 피부에 밀착감이 나빠 피부에 도포하고 장시간이 경과하면 들뜨고 떨어져 나가게 되며, 내수성이 약하여 땀이나 물에 쉽게 지워지고, 내유성도 좋지 않아 안료끼리 서로 응집하려는 성질이 강해 땀등에 의해 서로 엉겨 피부 모공을 막음으로 피부 호흡을 어렵게 만든다. 따 라서, 화장 유지 상태의 악화를 개선하고 피부 보호 효과를 지속시킬 목적으로 불소화합물를 배합하여 발수성을 향상시키거나, 분체의 표면 활성을 봉쇄하고, 내수, 내피지성, 분산성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 불소화합물 수지등으로 표면을 개질하여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실리콘 처리 분체는 우수한 내수성에 비해 피부 밀착감과 내유성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분자내에 반응성 부위를 갖는 불소 기능기로 처리하는 경우는 분체의 표면 활성 봉쇄 효과 및 내유성이 우수하나, 불소자체가 가지는 소수성으로 인해 수분산 안정성이 좋지 않고, 피부 밀착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내수성이나 내유성이 우수하여 장기간에 걸친 화장 지속성을 만족시킬 수 있고, 화장료에 배합했을 때 분산성 및 피부에 도포시 피부와의 밀착력 및 사용감이 우수한 표면 개질 분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내피지성 및 유제에서의 분산성이 개선되고 피부에 도포시 밀착력과 보습성이 우수하여 사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분체의 엉김이 없어 모공을 막지 않으므로 피부 트러블을 줄일 수 있고, 시간 경과에 따라 분체의 응집이나 침강이 없는 안정성이 우수한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분체의 표면이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공중합체로 개질된 표면 개질 분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08042054243-PAT00001
상기 식에서 R1, R3는 H 또는 CH3 이며, R2 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X는 CpF2p+1 또는 (CF2)qH 로 p는 5 내지 15, q는 5 내지 10이며, m은 1 내지 50의 정수이며, n은 1내지 1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중합체는 연쇄이동제로 3-메르캅토-프로판-1,2-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중합체는 분체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 개질 분체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20중량%로 함 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면 개질 분체는 내피지성 및 화장료에 배합시 유제에의 분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피부에 도포시 밀착력 및 수분 보존력이 우수하여 사용감이 좋으며, 분체가 엉기지 않아 모공을 막지 않으므로 피부 호흡이 원활하여 피부 트러블을 줄여 줄 수 있고, 시간 경과에 따라 분체의 응집이나 침강이 없는 안정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체를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공중합체로 표면 처리한다:
[ 화학식 1 ]
Figure 112008042054243-PAT00002
상기 식에서 R1, R3는 H 또는 CH3 이며, R2 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X는 CpF2p+1 또는 (CF2)qH 로 p는 5 내지 15, q는 5 내지 10이며, m은 1내지 50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10 의 정수이다.
상기 단량체를 공중합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특별이 제한되지 않으나 중합체의 균일성이나 분자량 조정용이성 측면에서 각 단량체를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중합 개시제를 넣어 질소분위기중에서 가열교반하는 용액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일 퍼옥사이이드등의 유기과산화물,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2,2'-아조비스 2,4-디메틸발레로니트릴등의 아조계 화합물등 통상의 라디칼 중합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합체의 분자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연쇄이동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3-메르캅토-프로판-1,2-디올이 연쇄이동제로 사용되어 중합체의 말단에 디올기가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기 반응식 1과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공중합체가 얻어진다:
Figure 112008042054243-PAT00003
상기 식에서 R1, R3는 H 또는 CH3 이며, R2 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X는 CpF2p+1 또는 (CF2)qH 로 p는 5 내지 15, q는 5 내지 10이며, m은 1내지 50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10 의 정수이다.
상기의 공중합체로 분체의 표면을 처리하는 경우 플루오르기에 의해 분체의 표면 활성을 봉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루오르기가 입자들 사이의 반발력을 일으켜 응집현상을 막는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구조적으로 OH기가 국재되어 있어서 분체나 착색체에 흡착이 양호하고, 유제에서의 분산성 및 시간 경과 안정성이 우수하다. OH기가 디올(Diol)의 형태로 존재함에 따라 수분 보존력 및 피부 친화력도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중합체로 표면 처리되는 분체는 통상 화장료에 이용할 수 있는 분체이면 그 형상이나 입자 크기 및 입자구조등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무기분체, 유기분체,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 펄 안료, 유색 안료, 금속 분말 안료, 천연 색소등 어떤 것도 사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백운모, 합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산화리튬운모, 규산, 무수 규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히드록시아파티트, 베르미쿨라이트, 하이지라이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 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 파우더, 제2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보론, 실리카 무기분체와 폴리아미드 파우더, 폴리에스테르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폴리프로필렌 파우더, 폴리스티렌 파우더, 폴리우레탄, 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셀룰로오스, 실크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12-나일론, 6-나일론, 디메틸실리콘을 가교한 구조를 갖는 가교형실리콘 미분말, 가교형실리콘ㆍ망상실리콘 블럭 공중합체,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의 미분말, 스티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비닐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규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미결정 섬유 분체, 전분 분말 및 라우로일 리신등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분체를 본 발명의 공중합체로 표면 처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고 통상 공지의 처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접 분체와 혼합하는 건식 처리법, 용매를 이용하는 습식처리법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중합체를 분체의 1 내지 30중량%로 배합하여 표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내피지성 및 피부에의 밀착성이 감소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분산성 및 용해도가 나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의 본 발명의 공중합체로 표면 처리된 표면 개질 분체를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20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첨가하면 메이크업 제품등에 첨가시 분체 상호간의 반발력 부족으로 인해 응집이 발생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피부에 제형 구성시 사용감 및 안정성에 불균일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화장료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향료, 염류, 산화방지제, 피부 미용성분(미백제, 항지루제, 수렴제등) 및 비타민류 등이 첨가될 수 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당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1.1 공중합체의 제조
퍼플루오로알킬에틸 아크릴레이트(perfluoroalkylethyl acrylate, FA, Hoechst) 1~10g 과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MMA) 1~10 g을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erahydrofuran, THF, Duksan) 와 함께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로 퍼지한다. FA/MMA 의 중량비는 3/7, 5/5, 7/3 등으로 조성비를 변화 할 수 있으며, 본 조성은 5/5의 중량비로 실시하였다. 다음에 라디칼 개시제로 2,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2,2-azobisisobutyro nitrile, AIBN), 연쇄이동제로 3-메르캅토-프로 판-1,2-디올을 사용하여 60 ℃에서 3시간 동안 중합한 뒤 메탄올 상에서 결정화 시킨다. 결정화된 상은 아세톤을 이용하여 정제한 후 건조하여 분말상을 얻는다.
1.2 표면개질 분체의 제조
내용적 1l의 비이커에 정제수 500㎖를 넣고 교반하면서 시판 세리사이트 분말(한국합성펄)을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슬러리로 만들었다. 이 수분산 슬러리에 상기 1.1에서 제조한 공중합체를 부가한 다음, 0.1M 염산 수용액을 서서히 부가하는 것에 의해 에멀젼을 파괴하여 분체 표면을 피복하였다. 반응 종료 후, 3회의 수세를 한 다음 진공여과기로 흡입 여과하고 120℃에서 10시간 가열 건조하였다.
[ 실시예 2~4, 비교예 1~6 ]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6
수상 1,3-부틸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5.0 5.0
PEG 4000 3.0 3.0 3.0 3.0 3.0 3.0 3.0 3.0 3.0
트리소듐 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구연산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나트륨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유상 모노라우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에탄올 8 8 8 8 8 8 8 8 8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표면 개질 분체 0.5 0.5 0.5
FA와 알킬MA 공중합체 0.5
아크릴/실리콘계 공중합체로 표면 처리한 분체 0.5
세리사이트 0.5
칼라민 0.5 0.5 0.3 0.3 0.5
아연화 0.3 0.5 0.3 0.5 0.3
셀룰로오스 0.3 0.5 0.3 0.5
칼슘클로라이드 0.3 0.3 0.5
[ 실험예 1 : 응집력 평가]
본 발명에 의해 수분산된 분체의 응집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실시예 3과 비교예 1~2 및 5~6의 보관 시간에 따른 입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입도 크기는 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 (ELS-8000, OTSUKA Electronic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입도분석결과 (단위 : nm)
항목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5 비교예 6
1일 220 324 318 320 222
15일 231 450 554 331 232
30일 224 441 625 324 227
60일 320 452 698 320 325
90일 345 587 853 345 343
120일 425 662 1100 425 420
입도는 200 ~ 1100nm 로 분포하며 실시예2가 입자들 사이의 응집현상이 적어 입도 크기와 입도 분포가 균일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공중합체의 OH기가 수분산성을 안정화 시키고, 퍼플루오르기가 입자들 사이의 반발력을 일으켜 응집현상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 실험예 2 : 피부안전성 ]
건강한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팔하박부 안쪽에 각 시료 2.0g을 첩포시험용 헤이즐챔버에 묻혀 48시간 첩포한 후, 헤이즐 챔버를 제거하고 1시간 경과후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1차판정하였다. 그 이후로 48시간 경과후에 다시 판독하여 이를 2차 판정으로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판정은 아래의 자극도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 판정표
- : 반응없음 (자극 정도 :0)
± : 의심되는 양성반응. 약간의 홍반반응 있슴. (자극 정도 :0.5)
+ : 약간의 양성반응. 홍반, 구진, 확실한 인설반응 (자극 정도 :1.0)
++ : 심한 양성반응. 소포성 반응: 홍반, 구진, 침윤병소, 소포 (자극 정도 :2.0)
+++: 격심한 양성반응. (자극 정도 :3.0)
Figure 112008042054243-PAT00004
피부안정성 판정결과
구 분 1 차 판정 2 차 판정 점수
± ++ ± ++
실시예 2 30 0 0 0 30 0 0 0 0.00
실시예 3 30 0 0 0 30 0 0 0 0.00
실시예 4 30 0 0 0 30 0 0 0 0.00
비교예 1 29 1 0 0 29 1 0 0 0.56
비교예 2 29 1 0 0 27 3 0 0 1.11
비교예 3 30 0 0 0 30 0 0 0 0.00
비교예 4 30 0 0 0 30 0 0 0 0.00
비교예 5 30 0 0 0 30 0 0 0 0.00
비교예 6 29 1 0 0 29 1 0 0 0.56
상기 표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공중합체로 표면 개질된 분체가 일반 분체와 비교시 같거나 낮은 자극도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3 : 사용성 평가]
25~30세의 일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와 비교예의 화장료 제품을 일반적인 사용법에 따라 사용할 때의 피부 흡착력 및 얼굴에 도포한 후 촉촉함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점수는 매우만족:2점, 만족:1점, 보통:0점, 나쁨:-1점, 매우나쁨:-2점으로 하여 종합점수를 아래식에 따라 산출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42054243-PAT00005
구 분 피부 흡착력 종합 점수 촉촉함 종합 점수
2 1 0 -1 -2 2 1 0 -1 -2
실시예 3 9 11 0 0 0 1.45 8 10 2 0 0 1.30
비교예 1 0 0 6 6 8 -1.10 0 3 10 7 0 -0.20
비교예 2 5 11 4 0 0 1.05 0 7 8 5 0 0.10
비교예 3 0 9 8 3 0 0.30 5 12 3 0 0 1.10
비교예 4 0 10 7 3 0 0.35 4 10 6 0 0 0.90
비교예 5 0 9 8 2 0 0.30 5 12 2 0 0 1.00
비교예 6 9 11 1 0 0 1.46 8 10 2 1 0 1.31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아크릴계 표면개질제와 불소계 표면개질계의 비교시 불소계 표면개질제가 점도저하에 따른 흘러내림 현상이 개선되어 피부 흡착력이 향상되고 촉촉함도 증가하였다.
[ 실험예 4 : 장기보존 안정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장기보존 안정성을 항온조(-5℃, 37℃, 43℃, 50℃, 사이클) 및 실온에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사이클 평가는, -5℃→25℃→45℃를 1사이클로하여 24시간 주기로 점진적으로 순환시키면서, 가용화 상태가 파괴되어 분리되는 현상을 관찰하는 순환온도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매우안정:◎, 보통:ㅇ, 불안정:△, 분리:×
항목 실시예 비교예
2 3 4 1 2 3 4 5 6
-5℃ 1개월
3개월
6개월
37℃ 1개월
3개월
6개월
43℃ 1개월
3개월
6개월 ×
50℃ 1개월
2개월 ×
사이클 10회
20회 ×
실온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중합체로 표면 개질된 분체가 수중 분체 화장료의 수분산 안정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끼친다.
[ 실험예 4 : 수분보유능측정 ]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3과 비교예 1~2및 5~6의 수분보유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분보유능 측정은 Corneometer (Courage + Khazaka,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온도는 25℃이며, 40%상대습도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실에서 피부 16㎠당 0.05g의 시료를 도포후 30분, 2시간 후의 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피시험자는 20명으로 하여 3회 측정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 도포전 평균 값은 약 70였다.
실험 항목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5 비교예 6
1회 도포후 30분 후 135 115 118 115 134
도포 후 2시간 후 112 86 91 86 117
2회 도포후 30분 후 136 116 117 114 137
도포 후 2시간 후 110 84 92 85 116
3회 도포후 30분 후 135 114 118 110 136
도포 후 2시간 후 110 84 90 80 110
상기 표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중합체로 표면 개질된 분체를 함유한 실시예 3이 비교예에 비해 수분보유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분체의 표면이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공중합체로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분체:
    [ 화학식 1 ]
    Figure 112008042054243-PAT00006
    상기 식에서 R1, R3는 H 또는 CH3 이며, R2 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X는 CpF2p+1 또는 (CF2)qH 로 p는 5 내지 15, q는 5 내지 10이며, m은 1 내지 50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연쇄이동제로 3-메르캅토-프로판-1,2-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백운모, 합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산화리튬운모, 규산, 무수 규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히드록시아파티트, 베르미쿨라이트, 하이지라이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 파우더, 제2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보론, 실리카 무기분체와 폴리아미드 파우더, 폴리에스테르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폴리프로필렌 파우더, 폴리스티렌 파우더, 폴리우레탄, 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셀룰로오스, 실크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12-나일론, 6-나일론, 디메틸실리콘을 가교한 구조를 갖는 가교형실리콘 미분말, 가교형 실리콘ㆍ망상실리콘 블럭공중합체,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의미분말, 스티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비닐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규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미결정 섬유 분체, 전분 분말 및 라우로일 리신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분체의 0.01 내지 ~ 30 중량%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개질 분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표면 개질 분체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55306A 2008-06-12 2008-06-12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9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306A KR20090129173A (ko) 2008-06-12 2008-06-12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306A KR20090129173A (ko) 2008-06-12 2008-06-12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173A true KR20090129173A (ko) 2009-12-16

Family

ID=4168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306A KR20090129173A (ko) 2008-06-12 2008-06-12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91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3107A (zh) * 2018-06-15 2018-11-06 苏州群鹰防腐材料有限公司 一种耐强酸碱复合陶瓷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3107A (zh) * 2018-06-15 2018-11-06 苏州群鹰防腐材料有限公司 一种耐强酸碱复合陶瓷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379B1 (ko) 겔 조성물 및 그것의 화장 조성물 등에서의 용도
EP1162943B1 (en) Non-stinging coating composition
KR101342231B1 (ko) 표면 처리제, 표면 처리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EP2910237B1 (en) Surface-treated spherical calcium carbonate particles for cosmet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801794B2 (en) Inorganic powder coated with biocompatible polymer,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N103371930A (zh) 油基化妆用化妆制品
EP2164447B1 (en) Polymer-based pigment-bearing ink
KR20120023365A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03301019A (ja) 表面疎水化吸水性ポリマー粒子
EP3459978B1 (en) Cosmetic for correcting bumps and dips
EP1207843A2 (de) Kosmetische und/oder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polysiloxanhaltige polymerisate und deren verwendung
KR20140146375A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11261A (ko)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US9445982B2 (en) Polymer-based pigment-bearing ink
JP2004124045A (ja) 複合ポリマー粒子及びその製法
KR20090129173A (ko) 표면 개질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490523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20160070048A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0505332A (ja) ラテックス粒子およびuv吸収剤を含有する組成物
JP3403491B2 (ja) 温度感受性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粉体化粧料
KR102260329B1 (ko) 발수 및 발유 특성이 동시에 우수한 고분자 피막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H083019A (ja) 温度感受性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粉体化粧料
JP2013181009A (ja) 化粧料
EP4082627A1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JP4127342B2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