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592A -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592A
KR20090128592A KR1020080054412A KR20080054412A KR20090128592A KR 20090128592 A KR20090128592 A KR 20090128592A KR 1020080054412 A KR1020080054412 A KR 1020080054412A KR 20080054412 A KR20080054412 A KR 20080054412A KR 20090128592 A KR20090128592 A KR 20090128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n
outlet
insertion rod
pi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준
Original Assignee
임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준 filed Critical 임채준
Priority to KR102008005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8592A/ko
Publication of KR2009012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기기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에 있어서, 전선이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콘센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의 슬릿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관상의 접속핀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 외주연에 게재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속핀의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되는 삽입봉으로 이루어진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콘센트에서 상기 접속핀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몸체, 접속핀, 분리부

Description

플러그{PLUG}
본 발명은 전기기기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에 있어서, 전선이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콘센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의 슬릿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관상의 접속핀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 외주연에 게재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속핀의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되는 삽입봉으로 이루어진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콘센트에서 상기 접속핀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가전제품에는 일정한 길이의 전선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의 일단에는 콘센트에 접속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플러그가 설 치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에는 상기 콘센트에 삽입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하는 접속핀이 상기 플러그의 저면 양측으로 돌출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접속핀을 상기 콘센트에 접속하거나 분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콘센트에 상기 플러그의 접속핀을 삽입하거나 상기 콘센트에서 상기 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콘센트 및 플러그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707690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0707690호는 플러그 하우징에 이젝터봉이 탄성스프링과 함께 설치되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젝터봉이 돌출되어 상기 콘센트의 접속부를 밀어줌으로 상기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0707690호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버튼을 누름으로써, 싱기 콘센트에서 상기 플러그를 분리해야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상기 플러그를 상기 콘센트에서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접속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콘센트에서 상기 접속핀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기기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에 있어서, 전선이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콘센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의 슬릿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관상의 접속핀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 외주연에 게재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속핀의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되는 삽입봉으로 이루어진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의 삽입봉은 일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의 내면은 상기 분리부의 삽입봉의 외주면과 면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속핀에 형성된 슬릿의 형상은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접속핀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콘센트에서 상기 접속핀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분리부의 삽입봉은 일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봉을 상기 접속핀의 타단부 방향으로 인출시킬 경우 상기 삽입봉의 일단부와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 내면 사이의 마찰이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접속핀의 내부에서 상기 삽입봉을 보다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접속핀에 형성된 슬릿의 형상이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슬릿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콘센트의 접속단자와 상기 접속핀 사이의 압착력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콘센트에서 상기 접속핀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3은 접속핀(50)의 종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의 삽입봉(750)이 상기 접속핀(50)의 타단부로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플러그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30), 접속핀(50) 및 분리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몸체(30)는 전선(310)이 고정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속핀(50)이 고정되고, 분리부(7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선(310)이 고정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접속핀(50)은 상기 전선(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30)에 고정되는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센트(도 6의 10)의 접속단자(도 6의 110)와 접속되는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의 슬릿(510)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선(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30)에 고정되는 관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핀(50)에 형성된 상기 슬릿(510)의 형상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센트(10)의 접속단자(110)에 상기 접속핀(50)을 접속시킬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로 상기 삽입봉(750)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10)의 접속단자(110)에 상기 접속핀(50)을 접속시키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콘센트(10)에서 상기 접속핀(50)을 분리시킬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의 상기 삽입봉(750)을 상기 접속핀(5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콘센트(10)에서 상기 접속핀(50)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슬릿(510)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폭이 좁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콘센트(10)의 접속단자(110)와 상기 접속핀(50) 사이의 압착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콘센트(10)에서 상기 접속핀(50)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속핀(50)에 형성된 상기 슬릿(510)의 형상이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슬릿(510)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콘센트(10)의 접속단자(110)와 상기 접속핀(50) 사이의 압착력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상기 콘센트(10)에서 상기 접속핀(50)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접속핀(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선(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30)에 고정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부(70)는 상기 콘센트(10)에서 상기 접속핀(50)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30)의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710)와, 상기 손잡이부(710)의 일단 외주연에 게재되는 탄성부재(7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속핀(50)의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되는 삽입봉(7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30)의 타측에 위치한 상기 손잡이부(710)의 양측 외주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부(710)를 보다 용이하게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지돌기(716)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
더불어, 상기 손잡이부(710)의 내측 중앙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돌기(7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30)의 타측 중앙에는 안내홈(33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710)의 내측 중앙에 상기 안내돌기(7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30)의 타측 중앙에는 상기 안내홈(330)이 형성될 경우 상기 손잡이부(7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손잡이부(710)가 보다 용이하게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해줄 뿐만 아니라 상기 손잡이부(710)가 상기 몸체(3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도 5는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에서 분리부(70)의 삽입봉(750)이 인입출되는 과정과 콘센트(10)에서 접속핀(50)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센트(10)의 접속단자(110)에 상기 접속핀(50)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핀(50)을 분리할 경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분리부(70)의 손잡이부(71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710)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의 상기 삽입봉(750)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손잡이부(710)의 이동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에서 상기 접속핀(50)의 타단방향으로 인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콘센트(10)의 접속단자(110)와 접속된 상태의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폭은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슬릿(510)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좁아지게 된다.(도 5의 화살표 참조.)
따라서, 상기 콘센트(10)의 접속단자(110)와 상기 접속핀(50) 사이의 압착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콘센트(10)에서 상기 접속핀(50)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710)의 외주연 타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30)의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상기 손잡이부(71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몸체(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이탈방지편(712)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710)의 일단 외주연에 게재된 상기 탄성부재(730)는 상기 손잡이부(710)의 이동을 따라 좌측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상기 삽입봉(750)으로 인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분리부(70)의 손잡이부(710)를 놓게 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7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71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삽입봉(750)이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730)로는 압축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삽입봉(750)을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출 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 및 도 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콘센트(10)에서 상기 접속핀(5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이와 같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슬릿(510)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콘센트(10)에서 상기 접속핀(50)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접속핀(50)의 내면 및 분리부(70)의 삽입봉(750)의 외경이 일단부로 갈수록 좁아진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삽입봉이 접속핀의 일단부 내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70)의 삽입봉(750)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면은 상기 분리부(70)의 삽입봉(750)의 외주면과 면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부(70)의 삽입봉(750)의 일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봉(750)이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의 내면은 상기 분리부(70)의 삽입봉(750)의 외주면과 면접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봉(750)을 상기 접속핀(5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인출시킬 경우 상기 삽입봉(750)의 일단부와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 내면 사이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격공간(S)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봉(750)의 일단부와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 내면 사이의 마찰이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봉(750)을 상기 접속핀(50)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부(70)의 삽입봉(750)은 일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봉(750)을 상기 접속핀(5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인출시킬 경우 상기 삽입봉(750)의 일단부와 상기 접속핀(50)의 일단부 내면 사이의 마찰이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접속핀(50)의 내부에서 상기 삽입봉(750)을 보다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플러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3은 접속핀의 종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접속핀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의 삽입봉이 상기 접속핀의 타단부로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접속핀의 일단부의 내부에서 분리부의 삽입봉이 인입출되는 과정과 콘센트에서 접속핀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접속핀의 내면 및 분리부의 삽입봉의 외경이 일단부로 갈수록 좁아진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삽입봉이 접속핀의 일단부 내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센트, 110; 접속단자,
30; 몸체, 310; 전선,
330; 안내홈, 50; 접속핀,
510; 슬릿, 70; 분리부,
710; 손잡이부, 712; 이탈방지편,
714; 안내돌기, 716; 파지돌기,
730; 탄성부재, 750; 삽입봉,
S; 이격공간

Claims (3)

  1. 전기기기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에 있어서,
    전선이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콘센트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일단부에는 길이방향의 슬릿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관상의 접속핀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 외주연에 게재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속핀의 타단부를 통하여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의 내부로 인입되는 삽입봉으로 이루어진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삽입봉은 일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접속핀의 일단부의 내면은 상기 분리부의 삽입봉의 외주면과 면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에 형성된 슬릿의 형상은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20080054412A 2008-06-11 2008-06-11 플러그 KR20090128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412A KR20090128592A (ko) 2008-06-11 2008-06-11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412A KR20090128592A (ko) 2008-06-11 2008-06-11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592A true KR20090128592A (ko) 2009-12-16

Family

ID=4168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412A KR20090128592A (ko) 2008-06-11 2008-06-11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85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913B1 (ko) * 2018-11-30 2019-07-08 윤주원 버튼식 바나나 잭
KR20220132851A (ko) * 2021-03-24 2022-10-04 이승현 콘센트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913B1 (ko) * 2018-11-30 2019-07-08 윤주원 버튼식 바나나 잭
KR20220132851A (ko) * 2021-03-24 2022-10-04 이승현 콘센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21722A (en) Single conductor locking connector
KR20190039326A (ko) 포지티브 록 리셉터클용 크러쉬 리브 하우징
WO201509274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 spring arms, having a separator which opens or widens the spring arms, to ease the entrance of the mating connector.
US2120469A (en) Straight line connecter
CN104241927B (zh) 连接器壳体
EP1597800A4 (en) ELECTRIC CONNECTION DEVICE
KR20046707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KR100633363B1 (ko) 주택용 콘센트 원터치 분리장치
EP3014711A1 (en) Electrical plug
KR20090128592A (ko) 플러그
KR200425684Y1 (ko) 안전 콘센트
US20150295369A1 (en) Rf connector with push-on connection
KR101346088B1 (ko) 전기 콘센트
CN112421283A (zh) 易于组装的连接器
CN209169506U (zh) 连接器和二次锁的组合件及连接器组件
CN213071687U (zh) 一种退针器
KR102647485B1 (ko) 안전 분리형 플러그 커넥터 부품
KR101537320B1 (ko)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WO2014181702A1 (ja) コネクタ
KR20050106723A (ko) 콘센트
KR100982942B1 (ko) 커넥터
KR200409086Y1 (ko) 전원 공급장치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50106726A (ko) 콘센트
CN213816491U (zh) 一种端子的导线安装结构、插拔式连接器和环网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