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075Y1 -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075Y1
KR200467075Y1 KR2020110005831U KR20110005831U KR200467075Y1 KR 200467075 Y1 KR200467075 Y1 KR 200467075Y1 KR 2020110005831 U KR2020110005831 U KR 2020110005831U KR 20110005831 U KR20110005831 U KR 20110005831U KR 200467075 Y1 KR200467075 Y1 KR 200467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plug
outlet
locking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116U (ko
Inventor
안송길
Original Assignee
안송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송길 filed Critical 안송길
Priority to KR2020110005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7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1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와 결합된 플러그의 결합면을 분리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푸시로드; 상기 푸시로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향으로 상기 푸시로드를 탄성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탄성가압되는 상기 푸시로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록킹수단; 및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되는 경우, 이를 해제하도록 형성되는 록킹해제수단;을 포함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PLUG SOCKET CAPABLE OF SEPARATING PLUG EASILY}
본 고안은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보다 손쉽고 간편한 분리할 수 있는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기, 전자제품은 외부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외부의 상용전원은 벽체 등에 설치되는 콘센트를 통해 제공된다.
콘센트는, 전기, 전자제품(이하, "전자제품"이라 통칭함)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플러그 소켓부를 구비하며, 플러그 소켓부의 바닥면에는 플러그의 양쪽 단자를 각각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는 한 쌍의 단자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구멍들의 내측부분에는 금속재질의 접속단자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접속단자는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된다.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된 접속단자들은, 플러그 소켓부의 단자구멍에 전자제품의 플러그 단자가 끼워질 경우,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외부의 상용전원을 플러그 단자에 인가한다. 이로써, 전자제품에 외부의 상용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전자제품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콘센트는, 플러그 소켓부로부터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뽑아서 분리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플러그 소켓부에 매우 높은 결합력으로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플로그 소켓으로부터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뽑아서 분리하기가 매우 힘들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플로그 소켓으로부터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쉽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한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는, 콘센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와 결합된 플러그의 결합면을 분리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푸시로드; 상기 푸시로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향으로 상기 푸시로드를 탄성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탄성가압되는 상기 푸시로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록킹수단; 및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되는 경우, 이를 해제하도록 형성되는 록킹해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푸시로드 일측에 설치되는 록킹후크; 및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콘센트 내부 ?향으로 운동 시, 상기 록킹후크가 걸림되어 상기 푸시로드의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콘센트 내부에 형성되는 록킹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콘센트에 누름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으로부터 상기 록킹후크 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버튼이 눌림 운동시 상기 록킹후크를 상기 록킹구멍으로부터 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시핑거 및; 상기 버튼을 상기 콘센트의 외측 방향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분리방향으로 탄성가압되는 경우,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콘센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분리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록킹후크가 걸림 될 수 있도록 상기 콘센트 내부에 형성되는 스토퍼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콘센트와 상기 플러그의 결합력보다 더 높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에 의하면, 버튼의 조작만으로 플러그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콘센트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콘센트는, 콘센트 본체(10)를 구비한다. 콘센트 본체(10)는 벽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외부 연결용인 멀티탭(Multi-Tap)형 콘센트의 경우,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탭형 콘센트의 경우를 일례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콘센트 본체(10)에는,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꽂을 수 있는 복수의 플러그 소켓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러그 소켓부(12)의 바닥면(12a)에는 플러그(P)의 양쪽 단자(P1)를 각각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는 한 쌍의 단자구멍(14)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구멍(14)들의 내측부분에는 금속재질의 접속단자(14a)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접속단자(14a)는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된다.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된 접속단자(14a)는, 단자구멍(14)에 전자제품의 플러그 단자(P1)가 끼워져 결합될 경우, 플러그 단자(P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외부의 상용전원을 플러그 단자(P1)에 인가한다. 이로써, 전자제품에 외부의 상용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특징부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콘센트는, 각 플러그 소켓부(12)의 바닥면(12a)부분에 설치되는 푸시로드(20)를 구비한다.
푸시로드(20)는, 콘센트 본체(1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콘센트 본체(10) 내부의 "준비위치"(X)와, 플러그 소켓부(12)의 바닥면(12a)으로부터 돌출되는 "푸시위치"(Y) 사이에서 운동한다.
이러한 푸시로드(20)는, 콘센트 본체(10) 내부의 "준비위치"(X)에서 플러그 소켓부(12)측의 "푸시위치"(Y)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푸시로드(20)는, 플러그 소켓부(12)에 결합된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플러그 소켓부(1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플러그 소켓부(12)에 결합된 전자제품의 플러그(P)가 상기 플러그 소켓부(12)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푸시로드(20)는, "푸시위치"(Y)로 돌출된 상태에서,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플러그 소켓부(12)에 결합시키면, 전자제품의 플러그(P)에 눌려지면서 "푸시위치"(Y)에서 "준비위치"(X)로 운동한다. 따라서, 콘센트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한편, 콘센트 본체(10)의 내부에는, 푸시로드(20)의 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더(22)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더(22)는, 일종의 관체로서, 푸시로드(2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가이더(22)는, 푸시로드(2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푸시로드(20)가 "준비위치"(X)와 "푸시위치"(Y) 사이에서 직선 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콘센트 본체(10)의 내부에는, 푸시로드(20)를 "푸시위치"(Y)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부재(30)를 구비한다.
스프링부재(30)는, 푸시로드(20)의 외면둘레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으로서, 일단은 콘센트 본체(10)의 바닥면(12a)에 지지되고, 타단은 푸시로드(20)에 지지된다.
이러한 스프링부재(30)는, 푸시로드(20)를 "푸시위치"(Y)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푸시로드(20)가 "푸시위치"(Y)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상기 푸시로드(20)가 플러그 소켓부(12)의 바닥면(12a)으로부터 탄성적으로 돌출되면서 플러그 소켓부(12)에 결합된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가압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플러그 소켓부(1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플러그 소켓부(12)에 대한 플러그(P)의 분리 동작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스프링부재(30)는, 높은 탄성력을 가져야 한다. 특히, 플러그 소켓부(12)에 대한 플러그(P)의 결합력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져야 한다.
왜냐하면, 스프링부재(30)의 탄성력이, 플러그 소켓부(12)에 대한 플러그(P)의 결합력보다 커야만, 플러그(P)에 대한 푸시로드(20)의 가압력이, 플러그 소켓부(12)에 대한 플러그(P)의 결합력 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플러그(P)에 대한 푸시로드(20)의 가압력이, 플러그 소켓부(12)에 대한 플러그(P)의 결합력보다 커야만, 상기 푸시로드(20)가 플러그(P)를 가압했을 경우, 플러그 소켓부(12)로부터 상기 플러그(P)가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콘센트는, 푸시로드(20)를 "준비위치"(X)에서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수단(40)을 구비한다.
록킹수단(40)은, 푸시로드(20)의 일측부분에 설치되는 록킹후크(42)와, 록킹후크(42)가 걸려서 록킹될 수 있도록 콘센트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구멍(44)을 구비한다.
록킹구멍(44)은, 푸시로드(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가이더(22)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록킹구멍(44)은 록킹후크(42)에 대응되게 구성된다. 특히, "준비위치"(X)로 이동한 푸시로드(20)의 록킹후크(42)와 록킹되게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록킹구멍(44)은, "준비위치"(X)로 이동한 푸시로드(20)를 위치 고정시킨다. 따라서, 푸시로드(20)를 "준비위치"(X)에서 록킹시킨다.
여기서, 록킹후크(42)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이는, 후술하는 록킹해제수단(50)의 푸시핑거(54)가 록킹구멍(44)의 외측에서 록킹후크(42)를 눌러서 가압할 경우,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록킹구멍(44)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콘센트는, "준비위치"(X)에서 록킹된 푸시로드(20)를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해제수단(50)을 구비한다.
록킹해제수단(50)은, 콘센트 본체(10)에 누름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52)과, 버튼(52)의 끝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록킹수단(40)의 록킹구멍(44)과 정렬되는 푸시핑거(54)를 구비한다.
버튼(52)은, 일단이 콘센트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콘센트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버튼(52)은, 콘센트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사용자가 눌러서 가압하면, 콘센트 본체(10)의 내측부분으로 운동한다.
여기서, 버튼(52)은, 리턴스프링(52a)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특히, 콘센트 본체(1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버튼(52)은, 콘센트 본체(10)의 외측방향을 향해 항상 돌출된 상태로 복원된다.
푸시핑거(54)는, 버튼(52)이 눌러져 운동하면, 그 끝부분에 정렬된 록킹수단(40)의 록킹구멍(44)에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푸시핑거(54)는, 록킹구멍(44)에 걸려져 있는 록킹후크(42)를 밀어서 가압한다. 특히, 록킹구멍(44)으로부터 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록킹후크(42)를 록킹구멍(44)으로부터 해제시킨다. 이로써, "준비위치"(X)에서 록킹된 푸시로드(20)를 해제시킨다. 그 결과, 푸시로드(20)가 스프링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준비위치"(X)에서 "푸시위치"(Y)로 탄성운동하면서 플러그 소켓부(12)의 바닥면(12a)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푸시로드(20)가 플러그 소켓부(12)에 결합된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가압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전자제품의 플러그(P)가 플러그 소켓부(12)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콘센트는, "푸시위치"(Y)로 운동한 푸시로드(20)가, 플러그 소켓부(12)의 외측방향을 향해 더 돌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수단(60)을 구비한다.
스토퍼수단(60)은, 록킹수단(40)의 록킹후크(42)가 걸릴 수 있도록 콘센트 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구멍(62)을 포함한다.
스토퍼구멍(62)은, 푸시로드(20)의 가이더(22)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스토퍼구멍(62)은 "푸시위치"(Y)로 이동한 푸시로드(20)의 록킹후크(42)가 걸릴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푸시위치"(Y)로 이동한 푸시로드(20)가 더 이상 운동하지 못하게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푸시로드(20)가 "푸시위치"(Y)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스토퍼구멍(62)에 걸린 록킹후크(42)는, 하측의 "준비위치"(X)를 향한다. 따라서, 푸시로드(20)가 전자제품의 플러그(P)에 눌려져서 "푸시위치"(Y)에서 "준비위치"(X)로 운동할 경우, 상기 록킹후크(42)는 스토퍼구멍(62)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된다.
이로써, "푸시위치"(Y)에서 "준비위치"(X)로 복귀하려는 푸시로드(20)의 운동을 허용한다. 그 결과, 플러그 소켓부(12)에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꽂아서 결합시킬 경우, 상기 푸시로드(20)는 전자제품의 플러그(P)에 눌려지면서 콘센트 본체(10) 내측의 "준비위치"(X)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러그 소켓부(12)로부터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콘센트 본체(10)에 설치된 버튼(52)을 눌러서 가압한다.
그러면, 버튼(52)은 콘센트 본체(10)의 내측으로 눌려지고, 눌려진 버튼(52)은 푸시로드(20)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버튼(52)의 푸시핑거(54)는, 록킹구멍(44)에 록킹된 푸시로드(20)의 록킹후크(42)를 해제방향으로 밀어서 가압한다. 그러면, 록킹후크(42)는 록킹구멍(44)에서 이탈되면서 푸시로드(20)의 록킹을 해제한다.
한편, 록킹이 해제된 푸시로드(20)는, 스프링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준비위치"(X)에서 "푸시위치"(Y)로 탄성 운동하는데, 이렇게 탄성 운동한 푸시로드(20)는, 플러그 소켓부(12)에 결합된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해제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플러그 소켓부(12)에 결합된 전자제품의 플러그(P)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소켓부(12)로부터 이격되면서 분리된다. 이로써, 플러그(P)의 분리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플러그 소켓부(12)에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꽂아서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플러그(P)의 양쪽 단자(P1)들을 플러그 소켓부(12)의 단자구멍(14)에 정렬시킨다.
그리고 나서, 플러그 소켓부(12)의 단자구멍(14)에 플러그(P)의 양쪽 단자(P1)를 끼워서 결합시킨다. 그리고 플러그(P) 전체를 플러그 소켓부(12)에 밀어넣는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를 플러그 소켓부(12)에 결합시키면, 플러그(P)의 앞쪽부분이 푸시로드(20)를 밀어서 가압하는데, 이때에 가압된 푸시로드(20)는 "푸시위치"(Y)에서 "준비위치"(X)로 복귀한다.
그리고 "준비위치"(X)로 복귀한 푸시로드(20)는, 록킹후크(42)와 록킹구멍(44)에 의해 "준비위치"(X)에서 록킹된다.
그리고 "준비위치"(X)에서 록킹된 푸시로드(20)는, 플러그(P)의 분리를 위해 "준비위치"(X)에서 대기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버튼(52)의 조작만으로 플러그(P)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이므로,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품의 플러그(P)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콘센트 본체 12: 플러그 소켓부
12a: 플러그 소켓부의 바닥면 14: 단자구멍
20: 푸시로드(Push Rod) 22: 가이더(Guider)
30: 스프링부재 40: 록킹수단
42: 록킹후크(Locking Hook) 44: 록킹구멍
50: 록킹해제수단 52: 버튼(Button)
54: 푸시핑거(Push Finger) 60: 스토퍼수단
62: 스토퍼구멍 P: 플러그(Plug)
P1: 플러그 단자

Claims (6)

  1. 콘센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와 결합된 플러그의 결합면을 분리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푸시로드;
    상기 푸시로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향으로 상기 푸시로드를 탄성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 부재에 의해 탄성가압되는 상기 푸시로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록킹수단; 및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록킹되는 경우, 이를 해제하도록 형성되는 록킹해제수단;을 포함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푸시로드 일측에 설치되는 록킹후크; 및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콘센트 내부 ?향으로 운동 시, 상기 록킹후크가 걸림되어 상기 푸시로드의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콘센트 내부에 형성되는 록킹구멍을 포함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콘센트에 누름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으로부터 상기 록킹후크 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버튼이 눌림 운동시 상기 록킹후크를 상기 록킹구멍으로부터 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시핑거 및;
    상기 버튼을 상기 콘센트의 외측 방향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분리방향으로 탄성가압되는 경우,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콘센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분리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록킹후크가 걸림 될 수 있도록 상기 콘센트 내부에 형성되는 스토퍼구멍을 포함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콘센트와 상기 플러그의 결합력보다 더 높은 탄성력을 갖는,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KR2020110005831U 2011-06-27 2011-06-27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KR200467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31U KR200467075Y1 (ko) 2011-06-27 2011-06-27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31U KR200467075Y1 (ko) 2011-06-27 2011-06-27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16U KR20130000116U (ko) 2013-01-04
KR200467075Y1 true KR200467075Y1 (ko) 2013-05-23

Family

ID=5135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831U KR200467075Y1 (ko) 2011-06-27 2011-06-27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9772B2 (en) 2014-12-30 2019-02-05 Ki Poong KIM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with rotary opening/closing type plug fixing mean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rack
KR102207733B1 (ko) * 2020-08-27 2021-01-25 김찬은 복수 멀티탭 호환형 멀티탭
KR102515427B1 (ko) * 2022-09-08 2023-03-29 장문석 가변핀을 포함한 전원 공급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71Y1 (ko) * 2013-09-09 2015-01-13 주식회사 우진 용선작업용 슬래그 스키머 자동 체결 및 분리장치
KR200484362Y1 (ko) * 2017-06-16 2017-08-29 김건배 벽체 매립형 수동 콘센트
KR102306788B1 (ko) 2020-01-22 2021-09-30 고철희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KR102183345B1 (ko) * 2020-05-21 2020-11-26 주식회사 퍼맥스 멀티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9772B2 (en) 2014-12-30 2019-02-05 Ki Poong KIM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with rotary opening/closing type plug fixing means for communications equipment rack
KR102207733B1 (ko) * 2020-08-27 2021-01-25 김찬은 복수 멀티탭 호환형 멀티탭
KR102515427B1 (ko) * 2022-09-08 2023-03-29 장문석 가변핀을 포함한 전원 공급용 커넥터
KR102532997B1 (ko) * 2022-09-08 2023-05-15 장문석 승하강핀을 이용한 전원 공급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16U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707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간편한 콘센트
TWI514692B (zh) 電源插座
US9151907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8628362B2 (en) Connector with elastic deformation member
KR100707690B1 (ko) 자동취출식 플러그
KR20080075380A (ko) 탄성 레버 커넥터
WO201604252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462307Y1 (ko) 플러그와 콘센트 체결구조
US7854618B2 (en) Wire connector system with lock mechanism
CN104103960A (zh) 电源插座
KR101388045B1 (ko) 원터치 자동 분리 플러그
EP3470340A3 (en) Coupling/uncoupling mechanism and cosmonautic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1346088B1 (ko) 전기 콘센트
CN203135052U (zh) 安全插头及插座
CN105826760A (zh) 一种具有锁紧功能的电插接件
US988232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dentical matable connectors
KR101959995B1 (ko) 벽체 매립형 기능성 콘센트
KR20110100490A (ko) 원터치 분리가능한 전기플러그
KR101313852B1 (ko) 플러그 분리형 콘센트
KR20120104710A (ko) 플러그 착탈 제어형 안전용 콘센트
KR102306788B1 (ko) 플러그를 인출시키기 용이한 콘센트
CN203702764U (zh) 一种卡扣连接件
KR200461009Y1 (ko) 원터치 플러그 분리 콘센트
CN209169506U (zh) 连接器和二次锁的组合件及连接器组件
JP2014026774A (ja) 安全変換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