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278A - 승마형 헬스 자전거 - Google Patents

승마형 헬스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278A
KR20090128278A KR1020080054362A KR20080054362A KR20090128278A KR 20090128278 A KR20090128278 A KR 20090128278A KR 1020080054362 A KR1020080054362 A KR 1020080054362A KR 20080054362 A KR20080054362 A KR 20080054362A KR 20090128278 A KR20090128278 A KR 20090128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riding type
frame
pedal
bi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002B1 (ko
Inventor
김대승
Original Assignee
김대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승 filed Critical 김대승
Priority to KR1020080054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00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11Particular details or arrangement of cranks
    • A63B2022/0623Cranks of adjustable leng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회전 기구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안장이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는 페달과, 상기 페달과 연결되는 크랭크 기구와, 상기 크랭크 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페달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이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상기 회전 기구의 바닥면에 대한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부하장치가 필요 없게 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경량화가 가능하며, 부피가 감소되어 좁은 장소에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의 다리 근육은 물론 온몸의 근육에 긴장이 이루어져 탁월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 승마를 하는 느낌과 유사하게 운동을 하게 되어 실증을 덜 느끼게 됨으로써 지속적인 운동습관을 들일 수 있게 된다.
자전거, 헬스, 승마, 크랭크 기구

Description

승마형 헬스 자전거{Health Bike with Horse Riding Function}
본 발명은 승마형 헬스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페달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회전 기구의 바닥면에 대한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별도의 부하장치가 필요 없게 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경량화가 가능하며, 부피가 감소되어 좁은 장소에서의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다리 근육은 물론 온몸의 근육에 긴장이 이루어져 탁월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제 승마를 하는 느낌과 유사하게 운동을 하게되어 실증을 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인 운동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헬스 자전거는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해야만 페달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하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였다. 따라서, 제작비용이 높았고, 무게가 많이 나갔으며, 부피 또한 클 수밖에 없었다.
또한, 종래의 헬스 자전거를 사용할 경우 페달을 회전시키는 다리만을 움직이기에 온몸의 근육들을 이용한 운동을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이와 같이 온몸의 근육이 긴장할 수 없는 상황으로 인해 운동 효과 면에서 부족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헬스 자전거는 페달 및 페달에 연결된 내부 장치만이 구동될 뿐 사용자입장에서는 직접적으로 헬스 자전거의 움직임을 느낄 수 없게되어 실제 운동을 하는 느낌과는 괴리감이 있었다. 따라서, 쉽게 실증을 느낄 우려가 있었고, 지속적인 운동습관을 들이기가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달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회전 기구의 바닥면에 대한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별도의 부하장치가 필요 없게 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경량화가 가능하며, 부피가 감소되어 좁은 장소에서의 설치가 가능한 승마형 헬스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회전 기구의 바닥면에 대한 직선왕복운동 등의 승마형 헬스 자전거의 움직임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사용자가 다리 근육은 물론 온몸의 근육이 긴장된 채 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탁월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승마형 헬스 자전거의 움직임을 느낄 수 있어 실제 승마를 하는 느낌과 유사하게 운동을 하게 되어 쉽게 실증을 느낄 우려가 적어지게 되므로 지속적인 운동습관을 도모할 수 있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형 축과 보강바로 이루어지는 보강크랭크축을 도입하여 크랭크 기구의 내구성이 향상된 승마형 헬스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승마형 헬스 자전거는 몸체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회전 기구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안장이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는 페달과, 상기 페달과 연결되는 크랭크 기구와, 상기 크랭크 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페달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이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상기 회전 기구의 바닥면에 대한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마형 헬스 자전거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사이에 완충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은 일단에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는 그 밑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프레임이 상기 지지바를 축으로 원활히 회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은 타단에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드는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결합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드의 길이는 나사결합에 의한 결합깊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의 결합 부위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랭크 기구는 강도 향상을 위한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는 페달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회전 기구의 바닥면에 대한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별도의 부하장치가 필요 없게 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경량화가 가능하며, 부피가 감소되어 좁은 장소에서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리 근육은 물론 온몸의 근육이 긴장된 채 운동을 할 수 있게끔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회전 기구의 바닥면에 대한 직선왕복운동 등의 승마형 헬스 자전거의 움직임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탁월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는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적으로 승마형 헬스 자전거의 움직임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실제 승마를 하는 느낌과 유사하게 운동을 하게되어 실증을 덜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지속적인 운동습관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는 L형 축과 보강바로 이루어지는 보강크 랭크축을 도입하여 크랭크 기구의 내구성이 향상된 승마형 헬스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에 적용된 페달,크랭크 기구, 로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에 적용된 페달,크랭크 기구, 로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에 적용된 메인 프레임, 보조 프레임, 로드 및 완충 기구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핵심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 거(1)는 메인 프레임(11)과, 보조 프레임(12)과, 페달(13)과, 크랭크 기구(14)와, 로드(15)와, 완충 기구(16)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환봉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부에는 지지바(111)가 설치되며, 그 상단부에는 손잡이(1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111)의 밑면(1111)은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11)은 상기 지지바(111)를 축으로 원활히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12)은 상기 메인 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 기둥 형상이되, 상기 메인 프레임(11)과의 결합 부위 아래 쪽은 한 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평판(123)이 일정간격 이격 되어 전방을 향하여 돌출 되도록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회전 기구(121)가 설치고, 그 상단부에는 안장(12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 기구(121)는 상기 보조 프레임(12)의 하단부에 연장되는 횡방향의 지지대(1211)와 상기 지지대(1211)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212)를 포함한다.
상기 페달(13)은 일반적인 자전거 또는 자전거 운동기구와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프레임(12)에 형성된 한 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평판(123)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 기구(14)는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또는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바꾸는 기구로서, 크랭크축(141)과, 크랭크암(142)과, 크랭크핀(143)을 포함 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랭크핀(143)은 상기 크랭크축(141)에 대해 크랭크암(142)의 길이만큼 편심되어 위치하기에 상기 크랭크축(141)이 회전할 때 상기 크랭크핀(143)은 상기 크랭크축(141)을 회전중심으로 하고 상기 크랭크암(142)을 반경으로 하는 원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왕복운동이 회전운동으로 바뀌거나 회전운동이 왕복운동으로 바뀔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크랭크 기구(14)는 상기 보조 프레임(12)에 형성된 한 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평판(123)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크랭크 기구(14)의 크랭크축(141)이 상기 페달(13)에 연결되어 페달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크랭크축(141)이 회전하기에 상기 크랭크 기구(14)는 전체적으로 회전운동을 하되, 그 내부적으로 크랭크축(141)을 회전중심으로 하고 크랭크암(142)을 반경으로 하는 크랭크핀(143)의 원운동이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랭크 기구(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 축(1411′)과 보강바(1412′)로 이루어지는 보강크랭크축(141′)과, 앞서 상술된 크랭크암(142) 및 크랭크핀(143)과, 상기 L형 축(1411′)과 상기 보강바(1412′)를 연결하는 제1연결핀(144)과, 상기 보강바(1412′)와 크랭크암(142)을 연결하는 제2연결핀(14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L형 축(1411′)과 보강바(1412′)의 조합을 도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상기 크랭크축(141)의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로드(15)는 일단이 상기 크랭크 기구(14)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로드(15)는 상기 메인 프레임(11)에 연결되는 프레임 연결부(151)와, 상기 크랭크 기구(14)에 연결되는 크랭 크 연결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크랭크 연결부(152)에는 나사산(1521)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부(151)의 내부에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연결부(151)와 크랭크 연결부(152)는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15)는 상기 프레임 연결부(151)와 크랭크 연결부(152)의 나사결합 깊이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어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결합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되며, 최종적으로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결합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구성들의 상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완충 기구(16)는 상기 메인 프레임(11)과 상기 보조 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며, 사용자(U, 도 4 참조)의 체중을 받쳐주는 기능과,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며, 위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발휘하기 위해 상기 메인 프레임(11)과 상기 보조 프레임(12)의 결합 부위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 기구(16)는 유압 실린더, 가스 실린더,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며 위 열거된 것 또는 그것들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1)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1)의 안장(122)에 사용자(U)가 탑승하여, 손잡이(112)에 두 팔을 지지한 채, 양다리를 사용하여 보조 프레임(12)에 설치된 페달(13)을 돌리면, 상기 페달(13)에 연결된크랭크 기구(14)와 상기 크랭크 기구(14)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1)에 타단이 연결되는 로드(15)의 상호 작용으로 상기 페달(13)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은 상기 메인 프레임(11)과 보조 프레임(12)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상기 보조 프레임(1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회전 기구(121)의 바닥면(G)에 대한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U)가 페달(13)을 화살표(A1)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페달(13)에 연결된 크랭크축(141)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크랭크핀(143)이 크랭크암(142)을 반경으로 하고 크랭크축(141)을 회전중심으로 하는 원운동을 하기에 상기 크랭크핀(143)에 그 일단이 연결된 로드(15)는 상기 크랭크핀(143)의 위치에 따라 상기 크랭크핀(143)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리는 힘을 받게 되며 동시에 상기 로드(15)는 그 타단이 메인 프레임(11)에 결합되어 있어 실제적으로 당겨지거나 밀리지 않게 되고, 화살표(A2)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그 반작용으로 보조 프레임(12)이 상기 로드(15)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리게 되어 상기 보조 프레임(12)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기 회전 기구(121)는 바닥면(G)에 대해 화살표(A3)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메인 프레임(11)은 그 하단부에 설치된 지지바(111)를 축으로 화살표(A4)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11)과 보조 프레임(12)은 그 결합 부위(X)를 축으로 하여 화살표(A5) 방향으로 상호 간에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111)의 밑면(1111)(도 1 및 도 3 참조)은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프레임(11)은 상기 지지바(111)를 축으로 원활히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1)를 사용하는 경우 페달(13)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이 메인 프레임(11)과 보조 프레임(12)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회전 기구(121)의 바닥면(G)에 대한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별도의 부하장치가 필요 없게 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경량화가 가능하며, 부피가 감소되어 좁은 장소에서의 설치가 가능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U)는 메인 프레임(11)과 보조 프레임(12)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회전 기구(121)의 바닥면(G)에 대한 직선왕복운동 등 승마형 헬스 자전거(1)의 움직임에 반응하기 위해 다리 근육은 물론 온몸의 근육에 긴장이 이루어져 탁월한 운동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사용자(U)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1)의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느끼게 되므로 실제 승마를 하는 느낌과 유사하게 운동을 하게 되어 실증을 덜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지속적인 운동습관을 들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에 적용된 페달, 크랭크 기구, 로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에 적용된 페달, 크랭크 기구, 로드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에 적용된 메인 프레임, 보조 프레임, 로드 및 완충 기구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헬스 자전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마형 헬스 자전거 11 : 메인 프레임
12 : 보조 프레임 13 : 페달
14 : 크랭크 기구 15 : 로드
16 : 완충 기구 111 : 지지바
112 : 손잡이 121 : 회전 기구
122 : 안장 141 : 크랭크축
141′: 보강크랭크축 142 : 크랭크암
143 : 크랭크핀 1211 : 지지대
1212 : 롤러

Claims (9)

  1. 몸체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는 회전 기구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안장이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에 설치되는 페달;
    상기 페달과 연결되는 크랭크 기구; 및
    상기 크랭크 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여, 상기 페달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이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상호 간의 시소운동 및 상기 회전 기구의 바닥면에 대한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형 헬스 자전거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보조 프레임 사이에 완충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일단에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그 밑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프레임이 상기 지지바를 축으로 원활히 회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타단에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결합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길이는 나사결합에 의한 결합깊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기구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의 결합 부위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기구는 강도 향상을 위한 보강바가 포함된 보강크랭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헬스 자전거.
KR1020080054362A 2008-06-10 2008-06-10 승마형 헬스 자전거 KR101087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362A KR101087002B1 (ko) 2008-06-10 2008-06-10 승마형 헬스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362A KR101087002B1 (ko) 2008-06-10 2008-06-10 승마형 헬스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278A true KR20090128278A (ko) 2009-12-15
KR101087002B1 KR101087002B1 (ko) 2011-11-29

Family

ID=4168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362A KR101087002B1 (ko) 2008-06-10 2008-06-10 승마형 헬스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0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671A2 (ko) * 2010-02-18 2011-08-25 Park Hun Geun 팔운동을 병행하는 헬스 자전거
CN105071250A (zh) * 2015-07-17 2015-11-18 苏州市龙源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健身通信配电柜
CN106807036A (zh) * 2015-12-02 2017-06-09 雷仁贸易有限公司 蹲立健身器
CN106994235A (zh) * 2016-01-26 2017-08-01 熊豹 骑马机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636B1 (ko) 2015-10-19 2017-02-03 도호준 승마형 헬스 자전거
KR101702633B1 (ko) 2015-10-19 2017-02-03 도호준 승마형 헬스 자전거
KR101760371B1 (ko) 2017-02-17 2017-07-24 주식회사 한성 앤 키텍 일체형 승마운동 헬스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6218A (en) 1993-10-15 1994-04-26 Vincent Huang Chen Rowing exerciser
KR200213014Y1 (ko) 1998-12-18 2001-04-02 임정수 마승식 자전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671A2 (ko) * 2010-02-18 2011-08-25 Park Hun Geun 팔운동을 병행하는 헬스 자전거
WO2011102671A3 (ko) * 2010-02-18 2012-02-02 Park Hun Geun 팔운동을 병행하는 헬스 자전거
KR101157840B1 (ko) * 2010-02-18 2012-06-22 박훈근 팔운동을 병행하는 헬스 자전거
CN102753240A (zh) * 2010-02-18 2012-10-24 朴勋根 同时进行手臂运动的健身自行车
CN105071250A (zh) * 2015-07-17 2015-11-18 苏州市龙源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健身通信配电柜
CN106807036A (zh) * 2015-12-02 2017-06-09 雷仁贸易有限公司 蹲立健身器
CN106807036B (zh) * 2015-12-02 2019-10-29 雷仁贸易有限公司 蹲立健身器
CN106994235A (zh) * 2016-01-26 2017-08-01 熊豹 骑马机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002B1 (ko) 201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002B1 (ko) 승마형 헬스 자전거
KR100856637B1 (ko) 밸런스 훈련 장치
CN106061562B (zh) 健身车
US20060229166A1 (en) Swing stepper
TWM278424U (en) Improvement of exercise treadmill
TW200800336A (en) Exercise device
KR200418024Y1 (ko) 자전거용 안장의 좌우 요동구조
WO2015054985A1 (zh) 一种俯卧式双驱动自行车
JP3176132U (ja) 自転車の補助装置
KR101231994B1 (ko) 승마형 헬스 자전거
JP2008264319A (ja) 運動補助装置
CN102716571A (zh) 一种脚踏板沿轨道往复运动机构的健身车
CH702397A2 (it) Attrezzo ginnico con trave basculante.
KR200431279Y1 (ko) 헬스기구의 페달장치
CN2776464Y (zh) 划船健身器之结构改良
CN202654601U (zh) 脚踏板沿轨道往复运动机构的健身车
CN201684136U (zh) 一种可按摩腰背的按摩装置及其健身器械
KR101605614B1 (ko)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
KR20200079407A (ko) 승마형 헬스 자전거
JP3162160U (ja) 自動腰部ツイスト減量運動器具
TWM427169U (en) Drive structure of elliptical machine
WO2007076658A1 (fr) Dispositif d&#39;actionnement de manoeuvres pour bicyclettes
JP3113950U (ja) ツイストステッパー
KR20110019790A (ko) 상하의 비틀림운동을 하는 자전거 이분할 안장 장치
WO2008131678A1 (fr) Bicycl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