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614B1 -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 - Google Patents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614B1
KR101605614B1 KR1020140065234A KR20140065234A KR101605614B1 KR 101605614 B1 KR101605614 B1 KR 101605614B1 KR 1020140065234 A KR1020140065234 A KR 1020140065234A KR 20140065234 A KR20140065234 A KR 20140065234A KR 101605614 B1 KR101605614 B1 KR 101605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gear
cycling
base plat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465A (ko
Inventor
곽동식
Original Assignee
곽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식 filed Critical 곽동식
Priority to KR102014006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6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을 밟는 단순 행위로부터 다리 운동은 물론 휜 다리 교정 내지 예방 기능이 부여되게 한 사이클링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좌우 페달(13)의 상호 조작에 의하여 회전력이 유발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좌우 각 구분된 공간에 대해 대응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유도부(A);와, 회전유도부로부터 기인한 회전력을 기어 간의 맞물림으로 획득되게 하는 회전전달부(B);와, 회전전달부의 작용으로 회전유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의 구동을 위하여 체인으로 전달되게 하는 체인구동부(C);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유도부(A)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앙을 향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기울어져 회전이 실시됨에 따라 사이클링 운동시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회전 유도되면서 무릎의 바깥쪽으로 무게 중심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Cycling-aid device for realigning of bowlegs}
본 발명은 페달을 밟는 단순 행위로부터 다리 운동은 물론 휜 다리 교정 내지 예방 기능이 부여되게 한 사이클링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각 기어간의 유기적인 배치 및 배열 방식에 기인한 구조적 특성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깥 방향에 대한 하향 회전이 유도됨에 따라 사이클링 운동시 무릎의 바깥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가해짐을 초래하여 잘못된 자세 내지 기타 그릇된 보행으로 인한 휜 다리의 교정 또는 예방을 적극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현대인들에 있어 잘못된 자세나 보행으로 인한 다리의 휨 현상이 유발되고 있는데, 이는 시각적 미를 추구하는 여성의 경우뿐만 아니라 신체 불균형 등을 유발시켜 건강상의 치명적인 악재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극복 대상이 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근래 들어서는 의학적인 방법까지 동원되고 있는 실정에 이르렀지만, 이러한 시술 역시 근본적인 방법이 되지 못하여 재발의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종래의 페달을 밟는 사이클링 운동기구는 하체를 단련시키고자 실내에서 할 수 있는 대표적 유산소 운동기구로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페달을 밟는 사이클링 운동기구는 자전거와 같이 두 다리의 힘을 이용하여 페달을 밟음으로써 하체의 근력을 강화하는 데는 크게 도움이 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다리 교정을 위한 기능성 보조기는 전무한 실정이다.
예컨대, 등록실용신안 제20-0418024호에는 안장 몸체의 지지축이 좌우 회절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힌지구조로 설치되고, 편심부가 마련된 크랭크 축이 페달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편심부에 결속된 커넥션 로드의 승강 작용이 이루어지면 안장 몸체의 좌우 요동이 실시되게 한 자전거용 안장의 요동구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931849호에는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안장과, 베이스에 상호 이격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과,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메인 페달과,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상호 연결하여 어느 하나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다른 하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제2회전축 외주에 소정의 캠 프로파일이 형성된 캠과, 캠의 외주에 접하여 캠의 회전에 따라 롤링하며 왕복이동하는 캠 롤러와, 캠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장을 지지하는 안장 서포트를 가지며, 제2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안장을 승강시키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는 요동을 이용한 다이어트 및 재활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한 종래 모든 기술사상은 휜 다리(오 다리)를 예방하거나 이를 교정하기 위한 관련 기술이 제시되고 있지 않으므로, 다리의 휨 현상으로 인한 무릎 연골의 불균형 마모를 해소할 수 없어 의료비 부담 또한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바,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이클링 행위에 의하여 하체 운동뿐만 아니라 다리의 휨 현상(오 다리) 또는 휜 다리를 교정하기 위한 관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100)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좌우 페달(13)의 상호 조작에 의하여 회전력이 유발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좌우 각 구분된 공간에 대해 대응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유도부(A);와, 회전유도부로부터 기인한 회전력을 기어 간의 맞물림으로 획득되게 하는 회전전달부(B);와, 회전전달부의 작용으로 회전유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의 구동을 위하여 체인으로 전달되게 하는 체인구동부(C);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유도부(A)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앙을 향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기울어져 회전이 실시됨에 따라 사이클링 운동시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회전 유도되면서 무릎의 바깥쪽으로 무게 중심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회전유도부(A)는 베이스플레이트(10) 중앙을 향하도록 상측이 10~15°의 범위 내에서 서로 대향되게 기울어져 베이스플레이트 일면에 이격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설프레임(11);과, 입설프레임 상간에 거치 고정되고 페달(13)의 조작으로 회전이 실시되는 크랭크암(12);과, 크랭크암에 결부된 상태로 페달의 조작에 기인한 회전 구동을 전달받는 구동기어(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크랭크암(12)은 절곡 형상으로 형성하여 폐달(13)과 직결되게 하되, 입설프레임(11)의 배치 각도와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4)는 회전전달부(B)와 연계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회전전달부(B)는 구동기어(14)와 치합되어 회전 유도되는 연동기어(15);와, 연동기어와 연동기어를 서로 결부할 수 있도록 가로 배열되는 샤프트(16);와, 샤프트 상에 일체형으로 거치되어 연동기어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 구동되는 상부기어(17);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부기어(17)는 체인구동부(C)와 연계 형성되고, 본 발명의 체인구동부(C)는 상부기어(17)와 치합되어 회전 유도되는 하부기어(18);와, 하부기어의 중심에서 가로 배열되는 회전축(19);과, 회전축 상에 일체형으로 거치되어 하부기어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 구동되는 체인스프라켓(20);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에 의하면, 사용자는 페달을 밟는 동작으로 하여금 하체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상호 각 기어간의 유기적인 배치 및 배열 방식에 기인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다리의 휨 현상(오 다리) 또는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회전유도부의 배치 각도에 의해 사용자의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깥 방향에 대한 하향 회전이 실시됨으로써 사이클링 운동시 무릎의 바깥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가해지도록 유도하여 잘못된 자세 내지 기타 그릇된 보행으로 인한 휜 다리의 교정 또는 예방을 적극 도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특성에 기인하여 다리의 휨 현상으로 인한 무릎 연골의 불균형 마모를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의료비 부담 또한 가중되지 않게 하는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이클링 보조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회전유도부의 입설 각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 배치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이클링 보조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회전유도부의 입설 각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정면 배치도이다.
본 발명은 페달을 밟는 단순 행위로부터 다리 운동은 물론 휜 다리 교정 기능이 부여되게 한 사이클링 보조기(100)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호 각 기어간의 유기적인 배치 및 배열 방식에 기인한 구조적 특성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깥 방향에 대한 하향 회전이 유도됨에 따라 사이클링 운동시 무릎의 바깥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가해짐을 초래하여 잘못된 자세 내지 기타 그릇된 보행으로 인한 휜 다리의 교정 또는 예방을 적극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주된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100)는 구조적 배치 및 그 기능성 여부에 따라 회전유도부(A);와, 회전전달부(B);와, 체인구동부(C);로 대별되고, 이러한 회전유도부(A); 회전전달부(B); 체인구동부(C);를 구분 배치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좌우 페달(13)의 상호 조작에 의하여 회전력이 유발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좌우 각 구분된 공간에 대해 대응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유도부(A);와, 회전유도부로부터 기인한 회전력을 기어 간의 맞물림으로 획득되게 하는 회전전달부(B);와, 회전전달부의 작용으로 회전유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의 구동을 위하여 체인으로 전달되게 하는 체인구동부(C);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주된 핵심은 상기 회전유도부(A)의 입설 각도에 있는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앙을 향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기울어져 회전이 실시됨에 따라 사이클링 운동시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회전 유도되면서 무릎의 바깥쪽으로 무게 중심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회전유도부(A)는 베이스플레이트(10) 중앙을 향하도록 상측이 10~15°의 범위 내에서 서로 대향되게 기울어져 베이스플레이트 일면에 이격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설프레임(11);과, 입설프레임 상간에 거치 고정되고 페달(13)의 조작으로 회전이 실시되는 크랭크암(12);과, 크랭크암에 결부된 상태로 페달의 조작에 기인한 회전 구동을 전달받는 구동기어(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유도부(A)는 통상의 페달 작용이 동반되는 구성요소로, 상부기어(17)와 하부기어(18)가 맞물린 중앙 영역을 기점으로 10~15°기울어진 상태로 입설 유지하고(도 4에서는 α로 표기함), 베이스플레이트(10)를 좌우 양분하여 2개소로 대응 설치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유도부(A)의 입설프레임(11)은 베이스플레이트(10)를 향하여 상측이 눕혀진 배열 구조를 갖는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편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페달(13)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크랭크암(12)을 하향 회전시킬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바깥 방향으로 회전이 유도되고, 재차 크랭크암(12)의 상향 회전시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근접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 그대로 재배치되므로 사용자의 무릎은 항상 안쪽에 대해 기울어져 힘이 가해짐으로써 휜 다리의 교정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회전유도부(A)의 크랭크암(12)은 절곡 형상으로 형성하여 폐달(13)과 직결되게 하는 것은 물론, 특히 입설프레임(11)의 배치 각도와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무릎에 하중이 가해짐에 있어서 이러한 하중이 더욱 무릎의 바깥 방향으로 치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바, 크랭크암(12)의 절곡 각도를 입설프레임(11)과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페달 작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회전유도부(A)는 회전전달부(B)와 연계 형성된다.
상기 회전전달부(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4)와 치합되어 회전 유도되는 연동기어(15);와, 연동기어와 연동기어를 서로 결부할 수 있도록 가로 배열되는 샤프트(16);와, 샤프트 상에 일체형으로 거치되어 연동기어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 구동되는 상부기어(1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회전전달부(B)는 회전유도부(A)의 자체 회전에 기인한 회전력을 손실 없이 체인구동부(C)로 절달되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다만, 연동기어(15)의 배치는 상부기어(17)를 기점으로 서로 평행한 배열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 각 비스듬히 놓인 구동기어(14)와 정확한 맞물림이 구현될 수 있는 배치를 요한다.
상기에서 연동기어(15)는 통상의 웜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일 수 있으며, 연동기어의 채용 선택에 따라 회전유도부의 구동기어(14) 또한 웜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로 대체될 수 있고, 이러한 기어의 채용으로 보다 효과적인 기어간 치합 상태를 유도함은 물론 회전력의 손실이 없는 상태로 전달 내지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회전전달부(B)는 체인구동부(C)와 연계 형성된다.
상기 체인구동부(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기어(17)와 치합되어 회전 유도되는 하부기어(18);와, 하부기어의 중심에서 가로 배열되는 회전축(19);과, 회전축 상에 일체형으로 거치되어 하부기어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 구동되는 체인스프라켓(20);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체인구동부(C)는 통상의 기술사상과 유사 내지 동일한 개념의 것으로서 바퀴를 운용하고자 체인(미도시함)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는, 그 기능별 요소만을 개시하고 기타 체인을 비롯한 다른 바이크가 갖는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 설명 및 도면을 생략하였다.
상기 체인스프라켓(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기어와 치합 상태에 있는 하부기어(18)의 회전으로 회전축(19)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과 일체된 움직임을 갖으면서 자체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실시되는 본 발명의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에 따르면, 사용자는 페달을 밟는 동작으로 하여금 하체 운동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상호 각 기어간의 유기적인 배치 및 배열 방식에 기인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다리의 휨 현상(오 다리) 또는 휜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회전유도부의 배치 각도에 의해 사용자의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바깥 방향에 대한 하향 회전이 실시됨으로써 사이클링 운동시 무릎의 바깥 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가해지도록 유도하여 잘못된 자세 내지 기타 그릇된 보행으로 인한 휜 다리의 교정 또는 예방을 적극 도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특성에 기인하여 다리의 휨 현상으로 인한 무릎 연골의 불균형 마모를 해소할 수 있게 되므로 의료비 부담 또한 가중되지 않게 하는 이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플레이트 11. 입설프레임
12. 크랭크암 13. 페달
14. 구동기어 15. 연동기어
16. 샤프트 17. 상부기어
18. 하부기어 19. 회전축
20. 체인스프라켓 100. 사이클링 보조기
A. 회전유도부
B. 회전전달부
C. 체인구동부

Claims (5)

  1.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좌우 페달(13)의 상호 조작에 의하여 회전력이 유발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의 일면에서 좌우 각 구분된 공간에 대해 대응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유도부(A);와, 회전유도부로부터 기인한 회전력을 기어 간의 맞물림으로 획득되게 하는 회전전달부(B);와, 회전전달부의 작용으로 회전유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의 구동을 위하여 체인으로 전달되게 하는 체인구동부(C);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유도부(A)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앙을 향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기울어져 회전이 실시됨에 따라 사이클링 운동시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져 회전 유도되면서 무릎의 바깥쪽으로 무게 중심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사이클링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도부(A)는 베이스플레이트(10) 중앙을 향하도록 상측이 상부기어(17)와 하부기어(18)가 맞물린 중앙영역을 기점으로 10~15°의 범위 내에서 서로 대향되게 기울어져 베이스플레이트 일면에 이격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설프레임(11);과, 입설프레임 상간에 거치 고정되고 페달(13)의 조작으로 회전이 실시되는 크랭크암(12);과, 크랭크암에 결부된 상태로 페달의 조작에 기인한 회전 구동을 전달받도록 회전전달부(B)와 연계 형성하되, 크랭크암(12)은 절곡 형상으로 형성하여 폐달(13)과 직결되게 하면서 입설프레임(11)의 배치 각도와 평행한 배열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회전전달부(B)는 구동기어(14)와 치합되어 회전 유도되는 연동기어(15);와, 연동기어와 연동기어를 서로 결부할 수 있도록 가로 배열되는 샤프트(16);와, 샤프트 상에 일체형으로 거치되어 연동기어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 구동되는 상부기어(17);를 포함하되, 상부기어(17)는 상부기어(17)와 치합되어 회전 유도되는 하부기어(18);와, 하부기어의 중심에서 가로 배열되는 회전축(19);과, 회전축 상에 일체형으로 거치되어 하부기어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회전 구동되는 체인스프라켓(20);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뒷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구동부(C)와 연계 형성되고 상기 기어들은 서로 종방향으로 맞물려 배치되어 사이클 행위에 의하여 휜 다리(오다리)를 교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65234A 2014-05-29 2014-05-29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 KR101605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34A KR101605614B1 (ko) 2014-05-29 2014-05-29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34A KR101605614B1 (ko) 2014-05-29 2014-05-29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65A KR20160000465A (ko) 2016-01-05
KR101605614B1 true KR101605614B1 (ko) 2016-03-22

Family

ID=5516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234A KR101605614B1 (ko) 2014-05-29 2014-05-29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4136B (zh) * 2020-10-23 2021-11-16 浙江工商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互联网体育健身交流用的锻炼辅助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532B2 (ja) * 1992-09-04 2001-0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532B2 (ja) * 1992-09-04 2001-0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65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84574A1 (ja) 他動運動機器
TWI503147B (zh) 可計算座椅高度及/或曲柄長度的運動裝置及方法
JP3176132U (ja) 自転車の補助装置
KR101061242B1 (ko) 안장의 좌우 요동구조를 갖는 헬스 자전거
US11654322B2 (en) Translational-rotary machine
US20170080281A1 (en) Reciprocating rehabilitation device
KR101605614B1 (ko) 휜 다리 교정용 사이클링 보조기
KR101099332B1 (ko) 안장의 요동각 조절장치를 갖는 헬스 자전거
US9039553B2 (en) Treadle-drive eccentric wheel transmission wheel series with periodically varied speed ratio
JP2008264319A (ja) 運動補助装置
JP2010125299A (ja) 下肢関節屈伸運動装置
CN101797948A (zh) 一种自行车传动装置
JP2009172357A (ja) 運動補助装置
US8475341B1 (en) Arm and leg exercising machine
EP3498342B1 (en) Pedal-type vibrational apparatus
KR200386602Y1 (ko)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CN105030478A (zh) 肢体训练踏车
KR102130604B1 (ko) 직립형 자전거의 크랭크 장치
KR20080005308U (ko) 헬스 사이클
KR20090077360A (ko) 복부 마사지 장치가 구비된 싸이클 헬스기구
JP3150333U7 (ko)
US10518840B1 (en) Gimpel's set parts and assemblies for transformation of treadle lever rocking movement into rotary movement of bicycle drive shaft
KR101310349B1 (ko) 사이클 운동기구
CN201631975U (zh) 前置椭圆运动机
KR200396988Y1 (ko) 기마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