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277A -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277A
KR20090128277A KR1020080054361A KR20080054361A KR20090128277A KR 20090128277 A KR20090128277 A KR 20090128277A KR 1020080054361 A KR1020080054361 A KR 1020080054361A KR 20080054361 A KR20080054361 A KR 20080054361A KR 20090128277 A KR20090128277 A KR 20090128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mp
case
ref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6419B1 (ko
Inventor
이민상
Original Assignee
엘이디라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이디라이텍(주) filed Critical 엘이디라이텍(주)
Priority to KR102008005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41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광이 투과하는 투광수단을 가지는 가지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는 반사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부재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투광수단을 자동차의 실내를 간접 조명하도록 하는 램프 유니트를 구비한다.
이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는 자동차 실내의 감성 조명이 가능하며, 주위의 온도에 따라 색온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lamp structur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접발광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룸 램프는 차량의 루프 패널에 설치되어 실내를 조명함으로서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룸 램프는 주로 패스톤 램프(festoon lamp)가 이용되므로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높고 수명이 짧다. 또한 종래의 룸 램프는 박형화가 어렵고, 다양한 조명패턴의 구현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등록 실용신안 제 20-356418호에는 자동차 실내용 엘이디 램프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엘이디 램프 구조는 회로기판에 복수개의 엘이디가 설치되고, 회로기판의 양측에 전원공급을 위한 통전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 0542058호에는 백라이트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차량용 램프는 광 입사면으로 입사된 빛을 상기 광 출사면으로 향하도록 산란패턴이 형성된 도광판과, 상기 광 입사면과 인접하여 설치되고 빛을 상기 광 입사면으로 방사하기 위한 램프와, 도광판의 전면으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랜즈 패턴이 형성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램프는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조사되게 되므로 눈부심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을 설치한다하여도 간접 광에서 얻을 수 있는 감성적인 분위기를 구현하기 분위기 즉, 감성조명의 구현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판을 이용하여 반사시킨 후 자동차의 실내에 조명함으로써 감성조명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사판을 통하여 조사되는 광을 자동차 실내의 천정 또는 측면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간접 조명이 가능한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룸 램프 조립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광을 투광시키기 위한 투광수단과,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는 반사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부재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투광수단을 통하여 광이 자동차의 실내에 간접 투사되도록 하는 램프유니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베이스부재에 결합부에 의해 소장간격 이격되는 프론트 커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투광수단는 상기 베이스부와 프론트 커버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로부터 반사부재를 통하여 조사되는 광을 측면으로 조사하기 위한 커버렌즈를 가지는 제1투광부를 구비한다. 상기 투광수단은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제 2투광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는 프론트 커버, 베이스부 또는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된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 1투광부로 반사하기 위한 제 1반사부와, 상기 제 1반사부로부터 연장되어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 2투광부로 조사하기 위한 제 2반사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램프 유니트는 발광다이오드, 냉음극형램프(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외부전극램프(EEFL:external fluorescent lamp)가 이용될 수 있는데,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풀 컬러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적, 청, 녹색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는 자동차의 실내를 하나의 램프로서 간접 및 직접조명 할 수 있으므로 감성 조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룸 램프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 램프는 하나의 램프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간접 조명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룸 램프(10)는 자동차의 루프패널(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간접광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투광수단(20)을 가지는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30)의 내부에 설치되어 램프유니트(40)와, 상기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광수단(20)을 통하여 반사시켜 간접 조사하는 반사부재(50) 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 램프(10)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30)는 자동차의 루프패널(100)에 직접 고정되거나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설치되는 베이스 부재(31)와, 상기 베이스부(31)에 결합부(3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31)와 나란한 방향 즉, 베이스부(31)의 하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프론트 커버(33)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31)와 프론트 커버(33)사이의 가장자리 측에는 측벽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측벽에는 상기 투광부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투광수단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30)의 프론트 커버(32)는 상기 베이스부(31)의 가장자리 보다 수평방향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2)는 상기 베이스(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프론트 커버를 지지하는 격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안는다.
상기 투광수단(20)은 상기 베이스부(31)와 프론트 커버부재(33)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유니트(40)로부터 반사부재를 통하여 조사되는 광을 측면으로 조사하기 위한 제1커버렌즈(21)를 가지는 제1투광부(22)와,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33)에 형성되어 상기 반사부재(50)로부터 반사된 광을 하방으로 투과시키는 제 2커버렌즈(23)를 가지는 제 2투광부(24)를 구비한다.
세로형 룸 램프 조립체의 경우 상기 투광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경우 일측면을 제외한 세 방향에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 부재는 개별적으로 세 개를 구비하거나 세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램프유니트(50)는 상기 램프 유니트는 발광다이오드, 냉음극형램프(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외부전극램프(EEFL:external fluorescent lamp)가 이용될 수 있는데,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풀 컬러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적, 청, 녹색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램프유니트는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광, 습도(비오는날의 습도) 등을 측정하여 광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50)는 상기 프론트 커버(33), 베이스부 또는 결합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램프 유니트(4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 1투광부(22)로 반사하기 위한 제 1반사부(51)와, 상기 제 1반사부(51)로부터 연장되어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 2투광부(34)로 조사하기 위한 제 2반사부(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10)는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실내를 간접조명 즉, 자동차의 실내를 전체적으로 조명하기 위해서는 모드 스위치(200)를 이용하여 램프유니트를 점등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램프유니트 즉,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반사부재(50)를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반사되어 제 1투광부(22)를 통하여 조사됨으로 써 자동차의 실내를 간접조명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위하여 램프 유니트(40)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제 2반사부(52)를 통하여 제 2투광부(23)를 통하여 자동차의 실내에 조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탑승자 측으로는 상기 반사부재(5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제 2투광부(23)를 통하여 투사됨으로써 조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실내에 조사되는 조명은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조사되지 않고 반사부재를 통하여 조사되게 되므자동차에 간접 조명에 따른 감성조명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특히 램프 유니트는 적, 녹, 청색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풀컬러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주위의 온도, 날씨 등에 따라 색상을 조정하여 감성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주위의 온도와 날씨는 온도, 밝기, 습도 등을 감지하여 센서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자동차의 실내조명 뿐만아니라 이중조명 램프로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의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의 정면도.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광을 투광시키기 위한 투광수단과,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는 반사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부재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투광수단을 통하여 광이 자동차의 실내에 간접 투사되도록 하는 램프유니트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자동차의 루프패널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베이스부재에 결합부에 의해 소장간격 이격되는 프론트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수단는 상기 베이스부와 프론트 커버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램프로부터 반사부재를 통하여 조사되는 광을 측면으로 조사하기 위한 커버렌즈를 가지는 제1투광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수단은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부재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제 2투광부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램프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프론트 커버, 베이스부 또는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된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 1투광부로 반사하기 위한 제 1반사부와, 상기 제 1반사부로부터 연장되어 램프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 2투광부로 조사하기 위한 제 2반사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KR1020080054361A 2008-06-10 2008-06-10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KR101016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361A KR101016419B1 (ko) 2008-06-10 2008-06-10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361A KR101016419B1 (ko) 2008-06-10 2008-06-10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277A true KR20090128277A (ko) 2009-12-15
KR101016419B1 KR101016419B1 (ko) 2011-02-18

Family

ID=4168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361A KR101016419B1 (ko) 2008-06-10 2008-06-10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4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9744U (ko) * 1988-09-30 1990-04-06
JP3958425B2 (ja) * 1997-01-15 2007-08-15 リア ドネリイ オーヴァーヘッド システムズ,エル.エル.シー. ランプ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419B1 (ko) 201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1649B2 (ja) 照明装置
KR20170116071A (ko) 엠블럼을 조명하기 위한 광 조립체
JP2013519971A (ja) 面光源を有する自動車用投光装置
JP2010192228A (ja) 照明装置
JP3196241U (ja) 車両用ライト
KR20150060361A (ko) 조명등 장치
KR20150027521A (ko) 천장형 엘이디 조명등
US10876702B2 (en) Dual light sources having similar solor temperatures and different spectral characteristics
WO2012164696A1 (ja) 照明装置
JP4470176B2 (ja) 車両用室内灯
KR101016419B1 (ko) 자동차용 룸 램프 조립체
JP2005075316A (ja) 照明装置
JP4301093B2 (ja) 照明装置
JP2011131642A (ja) 照明装置
JP2009096388A (ja) 車両用室内照明器具及び車両用室内照明構造
KR100704505B1 (ko) 차량의 실내 분위기 조성용 조명장치
CN215636782U (zh) 一种阅读灯具及其车辆
JP3170958U (ja) 照明装置
CN107965704B (zh) 照明装置及照明系统
KR100803299B1 (ko) 자동차용 무드버튼의 조명 구조
CN213810281U (zh) 一种嵌入式灯具
CN111219680A (zh) 自适应远光灯系统及其照明装置、车辆
KR101145844B1 (ko) 광 확산패널과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JP2020087624A (ja) 車両用灯具
KR20090108961A (ko) 차량의 맵램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