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313A - 청소체 및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청소체 및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313A
KR20090126313A KR1020097022637A KR20097022637A KR20090126313A KR 20090126313 A KR20090126313 A KR 20090126313A KR 1020097022637 A KR1020097022637 A KR 1020097022637A KR 20097022637 A KR20097022637 A KR 20097022637A KR 20090126313 A KR20090126313 A KR 2009012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ody
cleaning
holding
shee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0228B1 (ko
Inventor
아케미 츠치야
요시노리 다나카
니콜라 존 폴리시치오
안드레아 파 스위쩌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12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대상의 닦기 청소를 행하는 시트형상의 청소체에 있어서, 당해 청소체의 유지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용구는, 청소체(110)의 용착 접합부(114)가, 유지공간(118)을 향하여 오목형상이 된 곡면부(114a)를 가지는 구성이 된다.

Description

청소체 및 청소용구{CLEANING BODY AND 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나 차내 등의 피청소 영역을 닦아 청소하기 위한 청소체를 구비하는 청소용구의 구축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청소 대상의 닦기 청소를 행하는 시트형상의 청소체를 구비하는 청소용구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9-154791호에는, 청소포와, 이 청소포에 설치된 수용영역에 삽입 설치된 이 청소포를 착탈 자유롭게 유지하는 몸집을 구비하는 구성의 청소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청소용구는, 몸집을 거쳐 유지된 청소포를 사용함으로써 피청소면의 닦기 청소를 가능하게 하나, 청소체나 당해 청소체를 구비하는 이와 같은 종류의 청소용구의 설계에 있어서는, 청소체에 청소체 홀더 등의 장착물이 장착되었을 때의 청소체의 유지구조에 관하여, 이 유지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요청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소 대상의 닦기 청소를 행하는 시트형상의 청소체에 있어서, 당해 청소체의 유지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이 구성된다. 이들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은, 단독주택,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옥내나 옥외에서의 피청소 영역(바닥면, 벽면, 천정면, 외벽면, 가구면, 의류, 커튼, 침구, 가전품 등)이나, 인체의 각 구성부위에서의 피청소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용구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이들 각종 피청소 영역은, 평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체는, 기재 시트, 유지 시트,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 유지공간을 적어도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이 청소체는, 1회 사용을 목표로 한 1회용 타입의 것이나, 피청소 영역으로부터 제거한 먼지나 티끌을 솔부에서 유지하면서 복수회의 사용을 목표로 하여 교환을 행하는 1회용 타입의 것이어도 되고, 또는 세탁 등을 행한 다음에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인 것이어도 된다.
기재 시트 및 유지 시트는, 어느 것이나 시트형상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부재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부직포」는, 기계적, 화학적, 열적 등의 처리에 의해 섬유를 고착하거나 서로 얽혀 만들어지는 시트형상의 구성물이고, 전형적으로는 열용융성 섬유(열가소성 섬유)를 일부에 포함하여 융착(용착)이 가능한 부직포로서 구성된다. 이들 기재 시트 및 유지 시트에 더하여, 시트체나 섬유 집합체가 한층 더 부여되어도 된다.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는, 어느 것이나 서로 겹쳐진(적층된) 기재 시트 및 유지 시트를 서로 용착 접합하도록, 소정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된 용착 접합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에서의 이 복수의 용착 접합부는, 소정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설치된 구성이면 충분하고, 복수의 접합부분이 동일 직선 또는 동일 곡선 상에 설치되는 형태나, 동일 직선 또는 동일 곡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는 형태 등이 널리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와, 제 2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를 병행형상으로 설치한다.
유지공간은, 기재 시트와 유지 시트의 사이에서, 제 1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와 제 2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에 의하여 구획되고, 소정방향에 관한 청소체 한쪽 끝측 및 청소체 다른쪽 끝측의 적어도 한쪽이 개구되는 공간영역으로서 구성된다. 이 유지공간은, 청소체를 유지하는 장착물이 장착되는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본 구성에서, 또한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는, 유지공간을 향하여 오목형상이 된 오목부를 가지는 용착 접합부를 포함하고, 이 오목부는 유지공간에 장착되는 장착물에 대하여 걸어 맞춤 가능한 구성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체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공간에 장착물이 삽입되어 장착될 때, 용착 접합부에 형성된 오목형상의 오목부를, 장착물이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영역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용착 접합부에 대하여, 기재 시트 및 유지 시트를 서로 용착 접합하는 본래의 기능에 더하여, 장착물과의 사이의 걸어맞춤 기능이 부여되게 되고, 청소체를 장착물에 의해 유지하는 유지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착 접합부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형상에 관해서는, 곡면형상이나 단차 형상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원형이나 타원형의 원호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로 이루어지는 곡면형상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장착물과 오목부의 사이에 작용하는 슬라이딩 저항을 억제할 수 있고, 장착물의 원활한 장착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여기서 말하는 「장착물」로서 전형적으로는, 청소체를 유지하도록 유지공간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청소체 홀더, 작업자의 손가락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형태의 청소체는, 상기한 구성에서, 섬유 집합체 및 제 2 용착 접합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집합체는, 기재 시트 중 유지 시트가 겹쳐지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겹쳐지고, 섬유를 복수 집합시켜 구성되는 섬유 집합체가 된다. 이 섬유 집합체는, 소정의 평면이나 곡면에 의한 면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상으로서, 또는 두께가 얇은 시트형상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섬유」란, 실, 직물 등의 구성단위로서, 굵기에 비하여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가늘고 휘기 쉬운 형태의 것으로서 규정되고, 전형적으로는 긴 연속형상의 섬유가 장섬유(필라멘트)가 되고, 짧은 섬유가 단섬유(스테이플)가 된다. 여기서 말하는 「섬유 집합체」란, 상기한 섬유에 의한 단일의 섬유 구조체나, 상기한 섬유가 길이방향 및/또는 지름방향으로 모인 섬유 구조체(연사, 방적사, 복수의 장섬유가 부분적으로 접속된 실 재료 등), 내지 당해 섬유 구조체의 집합체가 된다.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레이온 등을 재질로 하고, 실용상은 토우(tow)를 개섬(開纖)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섬유(필라멘트)의 집합체가 섬유 집합체로서 많이 이용된다.
제 2 용착 접합부는, 제 1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와 제 2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의 사이에서, 적어도 기재 시트 및 섬유 집합체를 서로 용착 접합하도록 소정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유지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용착 접합부가 된다. 유지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는 이들 2개의 공간부분은, 소정방향에 연접하여 배치되게 된다. 이 제 2 용착 접합부는, 소정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하는 구성이면 충분하고, 그 접합부분이 연속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나, 접합부분이 점재하여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형태 등이 널리 포함된다. 또, 이 제 2 용착 접합부는, 기재 시트 및 섬유 집합체에 더하여, 유지 시트를 더 용착 접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공간에 삽입되는 부위가 적어도 2개로 분리된 형상의 장착물에 대하여 유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장착물에 의한 청소체의 유지 밸런스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형태의 청소체에서는,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에서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와, 제 2 용착 접합부는, 어느 것이나 기재 시트 및 섬유 집합체를 서로 용착 접합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2 용착 접합부와,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의 사이에, 섬유 집합체가 기재 시트와 접합된 상대적으로 접합강도가 높은 수평부분을 형성하는 데 유효하다. 또, 이 수평부분이 형성되는 구성에 의하여, 청소 시에 청소체가 수평형상의 피청소면을 따르기 쉽게 되어, 청소효과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형태의 청소체에서는, 유지공간은, 장착물로서의 작업자 파지용 홀더에 설치된 청소체 유지부가 삽입 설치되는 영역으로서 구성되고, 이에 따라 청소체 유지부를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오목부가 청소체 유지부에 걸어 맞추어져 당해 청소체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청소작업을 행할 때에, 작업자 파지용 홀더의 청소체 유지부를 유지공간에 삽입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용구는, 상기한 청소체와, 청소체 홀더를 구비하고, 청소체에 대하여 청소체 홀더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청소용구로서 구성된다. 이 청소체 홀더는, 청소 작업 시에,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파지부에 연접하여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청소체의 유지공간으로 삽입됨으로써 청소체를 유지하는 청소체 유지부와, 청소체 유지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본 구성에서, 청소체 유지부는, 유지공간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돌출부가 오목부에 걸어맞춰지고, 이것에 의하여 청소체와의 사이의 소정방향에 관한 상대이동이 규제된다. 청소체에 대한 청소체 홀더의 장착상태에서는, 청소체가 청소체 홀더의 청소체 유지부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청소체 홀더의 파지부를 파지한 다음에 청소작업이 행하여진다. 한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청소체를 청소체 홀더의 청소체 유지부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청소체의 교환 등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청소용구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지공간에 대하여 청소체 유지부가 삽입 설치된 후에는, 청소체 유지부측의 돌출부의 이동이 청소체측의 오목부에 의해 규제되게 되어, 청소체와 청소체 유지부와 청소체 사이의 빠짐방지 효과를 얻는 데 유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대상의 닦기 청소를 행하는 시트형상의 청소체에 관하여, 특히 당해 청소체를 구성하는 기재 시트 및 유지 시트를 서로 용착 접합하는 용착 접합부의 구성을 연구함으로써, 당해 청소체를 장착물에 의해 유지하는 유지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구(100)를 구성하는 청소체(110) 및 청소체 홀더(120)를 서로 맞붙이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청소체 홀더(120)의 분리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의 청소체(110)를 각 구성요소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의 청소체(110)를 청소체 표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의 청소체(110)를 청소체 이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도 4에서의 청소체(110)의 A-A선에 관한 단면구조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를 청소체 홀더(120)에 장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를 청소체 홀더(120)에 장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청소용구(100)에서, 청소체(110)의 빗기 조작이 더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청소용구 110 : 청소체
111 : 청소체 본체 111a : 기재 시트
111b : 섬유 집합체 111c : 청소 대상측 시트
111d, 111e : 스트립편 111f : 주청소부
111g : 보조 청소부 112 : 유지 시트
112a : 스트립편 113 : 중앙 용착선
114, 115, 116, 117 : 용착 접합부
118 : 유지공간 118a : 뒤쪽 개구끝
118b : 앞쪽 개구끝 120 : 청소체 홀더
130 : 홀더 본체 131 : 기초부
132 : 유지판 133 : 돌출부
133a : 중공부 134 : 누름판
140 : 핸들부 141 : 핸들 본체
141a : 연결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의 「청소용구」의 일 실시형태인 청소용구(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청소용구(100)를 사용하여 청소되는 청소 대상으로서는, 단독주택,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실내, 실외, 옥외에서의 피청소 영역(바닥면, 벽면, 창, 천정면, 외벽면, 가구면, 의류, 커튼, 침구, 조명, 가전품 등)이나, 인체의 각 구성부위에서의 피청소 영역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피청소 영역은, 평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청소용구(100)를 구성하는 청소체(110) 및 청소체 홀더(120)를 서로 맞붙이기 전의 상태의 사시도가 도 1에 표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청소용구(100)는, 청소체(110)와 청소체 홀더(120)로 크게 구별된다.
청소체(110)는, 청소체 본체(111)의 상면에 유지 시트(112)가 적층형상으로 겹쳐져 접합된 구성이 된다. 이 청소체(110)는, 닦기 청소에서 청소 대상인 피청소 영역의 오염을 긁어내는 오염 긁어내기 기능을 가지는 청소체가 된다. 이 청소체(110)는, 판매 시 또는 미사용 시에는 시트형상으로서 구성되고, 사용 시에는 빗겨져서 부푼형상이 된다. 이 청소체(1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장방형(長方形)이 되고, 소정의 길이방향(긴 변의 연장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이 소정의 길이방향은, 뒤에서 설명하는 섬유 집합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가 연장되는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과 대략 합치한다. 이 청소체(110)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체」에 상당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이 청소체(110)를, 평면으로 보아 정방형(正方形)의 청소체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이 청소체(110)는, 1회 사용을 목표로 한 1회용 타입의 것이나, 청소 대상의 피청소면으로부터 제거한 먼지나 티끌을 솔부에서 유지하면서 복수회의 사용을 목표로 하여 교환을 행하는 1회용 타입의 것이어도 되고, 또는 세탁 등을 행한 다음에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상세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나, 이 청소체(110)를 구성하는 청소체 본체(111) 및 유지 시트(112)의 전부 또는 일부는, 청소체(110)의 중앙부분을 전후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연장하는 연속 직선형상의 중앙 용착선(113)과, 이 중앙 용착선(113)의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용착 접합부(114, 115, 116, 117)에서 용착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좌측의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5)와, 우측의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5)의 사이에는, 청소체(110)의 전후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는 유지공간이 형성되고, 또한 이 유지공간은, 중앙 용착선(113)에 의해 좌우 한 쌍의 유지공간(118, 118)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말하는 유지공간(118, 118)이, 본 발명에서의 「유지공간」을 구성한다. 각 유지공간(118)은, 뒤쪽(도 1에서 우측)이 뒤쪽 개구끝(118a)에서 개구되고, 또한 앞쪽(도 1에서 좌측)이 앞쪽 개구끝(118b)에서 개구된 공간영역으로서 구성된다. 각 유지공간(118)은, 뒤에서 설명하는 청소체 홀더(120)의 유지부분[뒤에서 설명하는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 132)]이 삽입되는(피착되는) 피삽입 영역으로서 구성된 다. 청소체 홀더(120)의 이 유지부분은, 뒤쪽 개구끝(118a) 및 앞쪽 개구끝(118b)의 양쪽으로부터 삽입이 가능해지고, 각 유지공간(118)은, 홀더 본체(130)의 각 유지판(132)이 삽입 가능한 크기(삽입 폭 및 삽입 깊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유지공간(118, 118)이 좌우방향으로 연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유지판(132)에 의한 청소체(110)의 유지 밸런스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유지공간(118)은, 뒤쪽 개구끝(118a) 및 앞쪽 개구끝(118b)의 적어도 한쪽이, 폐쇄된 영역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 이 유지공간(118, 118) 대신,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직접 삽입되는 유지공간을 채용할 수도 있다.
한편, 청소체 홀더(120)는, 상기 구성의 청소체(110)를 착탈 자유롭게 하고 있고, 서로 연접하는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로 이루어지는 길이가 긴 형상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이 청소체 홀더(120)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체 홀더」 또는 「작업자 파지용 홀더」에 상당한다. 핸들부(140)는,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핸들 본체(141)와, 이 핸들 본체(141)와 홀더 본체(130)의 사이에 개재하는 연결부(141a)를 구비한다. 핸들 본체(141)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위이며, 본 발명에서의 「파지부」에 상당한다. 연결부(141a)는, 핸들 본체(141)와 홀더 본체(130)를 고정형상으로 연결하는 부위를 구성하고 있다.
홀더 본체(130)는, 청소체(110)를 착탈 자유롭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위이며, 본 발명에서의 「청소체 유지부」에 상당한다. 이 홀더 본체(130)에는, 핸들부(140)측의 기초부(131)에 좌우 한 쌍의 유지판(132, 132) 및 누름판(134)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유지판(132, 132)은, 기초부(131)로부터 앞쪽을 향 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병행하여)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의 판부재로서 구성된다. 즉, 홀더 본체(130)는, 그 선단이 두 갈래형상으로 나뉘어진 포크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유지판(132)의 가로 폭은, 길이방향에 관하여 일정 또는 선단을 향하여 폭이 좁은 형상으로 설정된다. 2개의 유지판(132, 132)의 단면형상에 관해서는, 단면을 원형 내지 다각형의 막대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 각 유지판(132)에는, 그 바깥쪽 가장자리부의 전후 2군데에 돌출부(133, 133)가 설치되어 있다. 각 돌출부(133)는, 그 외형이 유지판(132)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한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돌출면이 볼록 곡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133)의 외형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원호 각도 180[°], 장축 16[mm], 단축8[mm]의 타원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각 돌출부(133)는, 그 중앙부분이 개구형상이 된 중공부(133a)를 가지는 구성이 된다. 이 돌출부(133)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체 유지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에 상당한다.
누름판(134)은, 좌우 한 쌍의 유지판(132, 132)의 사이에서 앞쪽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하측을 향하여 볼록형상이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는 판형상 부재로서 구성되고, 또한 그 하면에 걸어멈춤 돌출부(도시생략)를 구비한다.
각 유지판(132)은, 상기한 각 유지공간(118)에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삽입상태에서 청소체(110)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삽입상태에서는, 각 유지판(132)이 각 유지공간(118) 내에 밀착형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끼워 넣어지고, 청소체(110)에 대하여 고착작용을 부여한다. 또한, 이 삽입상태에서는, 누름판(134)이 청소체(110)를 윗쪽으로부터 단단히 누름과 동시에, 그 하면에 설치된 걸어멈춤 돌출부(도시 생략)가 청소체(110)의 빠짐방지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각 유지판(132)을 각 유지공간(118)에 삽입한 삽입상태에서는, 청소체(110)가 홀더 본체(130)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 도 1에서의 청소체 홀더(120)의 분리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는, 각각이 수지성형 후에 일체 형상으로 맞붙여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청소용구 전체의 경량화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청소용구의 제조에 관한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구성 대신,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핸들 본체(141) 및 연결부(141a)]를 일체 성형으로 하는 구성이나, 홀더 본체(130), 핸들 본체(141) 및 연결부(141a) 중 어느 2개를 일체 성형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하거나, 또는 각각을 독립하여 성형된 것을 고정형상으로 맞붙이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된다.
홀더 본체(130)는, 기초부(131)의 후단측에 피끼워맞춤판(131a)을 구비하는 한편, 핸들부(140)는, 핸들 본체(141)의 선단측에 제 1 끼워맞춤판(143) 및 제 2 끼워맞춤판(144)을 구비한다. 또, 제 1 끼워맞춤판(143)과 제 2 끼워맞춤판(144)의 사이에는, 피끼워맞춤판(131a)이 끼워 넣기 가능한 끼워맞춤 영역(145)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끼워맞춤 영역(145)에는, 제 1 끼워맞춤판(143)의 오목부(131b)에 걸어맞춤 가능한 볼록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피끼워맞춤판(131a)을 끼워맞춤 영역(145)에 끼워 넣은 경우에는, 이 피끼워맞춤판(131a)을 제 1 끼워맞춤판(143) 및 제 2 끼워맞춤판(144)이 상하로부터 끼워 유 지하고, 또한, 제 1 끼워맞춤판(143)의 오목부(131b)에 끼워맞춤 영역(145)의 볼록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홀더 본체(130)와 핸들부(140)의 사이에 고착 작용이 부여된다. 한편,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가 서로 고착된 상태에서, 당해 고착력보다 큰 인장력으로 양자를 이간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이들 홀더 본체(130) 및 핸들부(140)를 분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체(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이 참조된다. 도 3에는, 도 1에서의 청소체(110)를 각 구성요소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1에서의 청소체(110)를 청소체 표면측에서 본 평면도를 도 4에 나타내고, 도 1에서의 청소체(110)를 청소체 이면측에서 본 평면도를 도 5에 나타낸다. 또, 도 6에는, 도 4에서의 청소체(110)의 A-A 선에 관한 단면구조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는, 청소 대상측(「하면측」또는 「이면측」이라고도 한다)으로부터 순서대로 청소체 본체(111), 유지 시트(112)가 서로 적층형상으로 겹쳐져 접합된 구성이고, 또한 청소체 본체(111)는, 청소 대상측(하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청소 대상측 시트(111c), 섬유 집합체(111b), 기재 시트(111a)가 서로 적층형상으로 겹쳐져 접합된 구성이 된다. 이 경우, 유지 시트(112) 및 기재 시트(111a)는, 섬유 집합체(111b)를 사이에 두고 청소 대상측 시트(111c)(하면측 시트)와 반대측에 적층된 상면측 시트가 된다. 이들 기재 시트(111a), 섬유 집합체(111b), 청소 대상측 시트(111c)는, 평면으로 보아 동일한 장방형이 되고, 어느 것이나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섬유 집합체(111b) 및 청소 대상측 시트(111c)는, 오염 긁어내기 기능을 가지는 솔형상 부위를 구성하고 있고, 이른바 「솔부」라고도 불리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체(110)의 청소체 본체(111)를, 기재 시트(111a), 섬유 집합체(111b) 및 청소 대상측 시트(111c)가 적층형상으로 겹쳐진 구조로 하였으나, 이 청소체 본체(111)를 섬유층이나 시트가 더 부가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유지 시트(112), 기재 시트(111a) 및 청소 대상측 시트(111c)는, 어느 것이나,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형상의 스트립편(스트립부분)을 복수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시트(112)에 관해서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스트립편(112a)이 병렬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또, 기재 시트(111a)에 관해서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스트립편(111d)이 병렬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되고, 청소 대상측 시트(111c)에 관해서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스트립편(111e)이 병렬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각 시트의 스트립편을 지그재그형상으로 함으로써, 먼지를 낚아채어 포착하기 쉬운 청소기능이 높은 구조가 실현된다. 또한, 스트립편의 형상에 관해서는, 지그재그형상, 직선형상, 곡선형상 등 중의 단일 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형상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시트(111a)에서는, 스트립편(111d)이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용착 접합부(114, 115, 116, 117)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또, 기재 시트(111a)의 상면에 적층된 유지 시 트(112)에서는, 스트립편(111d)과 동일 형상의 스트립편(112a)이,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용착 접합부(114, 115, 116, 117)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 대상측 시트(111c)에서는, 스트립편(111d)이나 스트립편(112a)보다 폭이 좁은 스트립편(111e)이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용착선(11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따라서, 스트립편(111e)은, 기초 끝측이 중앙 용착선(113)의 용착 접합부분에서 접합됨과 동시에, 이 중앙 용착선(113)을 고정단으로 하고 당해 고정단의 반대측(선단측)을 자유단으로 하여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다음에, 상기 기재 시트(111a), 청소 대상측 시트(111c) 및 유지 시트(112)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구성 및 섬유 집합체(111b)를 형성하는 섬유 집합체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직포의 구성)
기재 시트(111a), 청소 대상측 시트(111c) 및 유지 시트(112)에 관해서는, 어느 것이나 전형적으로는 열용융성 섬유(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상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들 기재 시트(111a), 청소 대상측 시트(111c) 및 유지 시트(112)는, 부직포 시트라고도 불리운다. 여기서 말하는 기재 시트(111a) 및 유지 시트(112)가, 각각 본 발명에서의 「기재 시트」 및 「유지 시트」에 상당한다. 이 부직포는, 기계적, 화학적, 열적 등의 처리에 의해 섬유를 고착하거나 서로 얽히게 하여 만들어지는 시트형상의 구성물로서, 열가소성 섬유를 일부에 포 함하여 융착(용착)이 가능한 부직포가 되고, 복수의 스트립편을 가지는 형상의 부직포로서 구성된다. 열가소성 섬유(열용융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부직포로서는, 에어스루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스판레이스법, 포인트 본드법, 멜트 블로우법, 스티치 본드법, 케미컬 본드법, 니들 펀치법 등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있다. 이 부직포가, 본 발명에서의 「부직포」에 상당한다. 또한, 청소 시의 쓸어 내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 대신 또는 더하여, 우레탄, 스펀지, 직포, 네트, 와리프 등의 소재를 스트립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섬유 집합체의 구성)
한편, 섬유 집합체(111b)는, 섬유에 의한 단일의 섬유 구조체나, 섬유가 길이방향 및/또는 지름방향으로 모인 섬유 구조체(연사, 방적사, 복수의 장섬유가 부분적으로 접속된 실 재료 등), 내지 당해 섬유 구조체의 집합체가 되고, 열가소성섬유를 일부에 포함하여 융착(「용착」이라고도 한다)이 가능한 섬유 집합체로서 구성된다. 이 섬유 집합체(111b)를 형성하는 섬유란, 실, 직물 등의 구성단위이고, 굵기에 비하여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가늘고 휘기 쉬운 형태의 것으로서 규정되며, 전형적으로는 긴 연속형상의 섬유가 장섬유(필라멘트)가 되고, 짧은 섬유가 단섬유(스테이플)가 된다. 이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는, 기초 끝측이 중앙 용착선(113),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6)에서 접합됨과 동시에, 당해 용착 접합부를 고정단으로 하고, 당해 고정단과 대향하는 쪽(선단측)을 자유단으로 하여, 청소체(110)[또는 섬유 집합체(111b)]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된다.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 섬유 집합체(111b)가, 본 발명에서「섬유를 복수 집합시켜 구성되는 섬유 집합체」에 상당한다. 이 섬유 집합체(111b)는, 복수의 섬유가 다발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속」이라고도 불리운다.
또한, 도 3에서 나타내는 예에서는, 3개의 섬유층이 적층형상으로 겹쳐짐으로써 섬유 집합체(111b)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 섬유층의 수는 필요에 따라 1 또는 복수로 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111b)는, 소정의 평면이나 곡면에 의한 면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입체형상으로서, 또는 두께가 얇은 시트형상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섬유 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레이온 등을 재질로 하고, 실용상은 토우를 개섬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섬유(필라멘트)의 집합체가 이 섬유 집합체로서 많이 사용된다. 특히, 심 부분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이 심 부분의 외면을 덮는 두겁부분이 폴리에틸렌(PE)의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섬유 집합체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섬유 집합체를 형성하는 장섬유의 섬도(纖度)는, 1 내지 50 dtex의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10 dtex의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각 섬유 집합체는 대략 동일한 섬도의 섬유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각 섬유 집합체가 다른 섬도의 섬유를 함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청소시의 쓸어내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섬유, 즉 섬도가 높은 섬유를 함유하는 섬유 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섬유집합체는, 권축섬유를 가지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권축섬유는, 소정의 권축 처리가 부여된 섬유로서 구성되고, 섬유끼리가 얽히기 쉬운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은 권축섬유를 사용하면, 섬유 집합체가 청소체 홀더 장착 전의 상태보다 부피가 커지고, 또한 권축부분에 쓰레기를 받아들이기 쉬운 구조가 된다. 본 구조는, 특히 토우섬유로 형성된 권축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섬유 집합체로서, 필름을 테이프 형상으로 슬릿하고, 세로방향으로 연신시킨 플랫얀이나, 스플릿얀이라 불리우는 열가소성 필름수지를 수지의 배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밀어헤쳐, 섬유형상이 된 필름이 그물코 형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는 섬유 집합체로서,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부피가 크고 섬유밀도가 낮은 부직포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 청소체(110)의 구성요소의 종류나 수 등에 관해서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선택이 가능하다. 이 청소체(110)는, 평면으로 보아 장방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그 긴 변이 청소체 홀더(120)의 홀더본체(130) 및 핸들부(140)의 길이가 긴 방향 선 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청소체(110)에서의 용착 접합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도 4 및 도 6이 참조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용착선(113)은, 청소체(110)의 중앙위치에서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긴 형상의 용착 접합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이 중앙 용착선(113)의 구성에 관해서는, 그 용착 접합부분이 연속 직선형상이어도 되고, 또는 단속 직선형상이어도 된다. 중앙 용착 선(113)의 좌우 위치에는, 당해 중앙 용착선(113)의 연장방향을 따라 용착 접합부(114), 용착 접합부(115), 용착 접합부(116) 및 용착 접합부(117)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용착선(113)으로부터 좌우로 제 1 거리(d1)에서 이간된 각 연장선(L1) 상에서, 뒤쪽 개구끝(118a) 및 앞쪽 개구끝(118b)의 각각에 용착 접합부(116)가 설치되고, 또 2개의 용착 접합부(116, 116)의 사이에 2개의 용착 접합부(114, 114)가 설치되고, 또한 2개의 용착 접합부(114, 114)의 사이에 1개의 용착 접합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중앙 용착선(113)으로부터 좌우로 제 2 거리(d2)[> 제 1 거리(d1)]에서 이간된 각 연장선(L2) 상에 용착 접합부(1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장선(L1)이나 연장선(L2)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선으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또는 곡선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용착 접합부(114, 115, 116)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의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가 구성되고, 중앙 용착선(113)에 의해, 본 발명에서의 「제 2 용착 접합부」가 구성된다.
용착 접합부(116)는, 뒤쪽 개구끝(118a) 및 앞쪽 개구끝(118b)에 형성됨으로써, 유지판(132)을 유지공간(118)으로 도입(가이드)하여 유지판(132)의 원활한 삽입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이 용착 접합부(116)는, 유지공간(118)의 연장방향으로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는 구성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유지공간(118)을 향하는 위치에,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직선부를 구비하는 구성이 된다. 이 용착 접합부(116)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형(진원)과 타원이 복합화된 형상의 용착 접합부로서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홀더 본체(130) 의 유지판(132)이 유지공간(118)에 삽입될 때, 유지판(132)을 유지공간(118)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용착 접합부(116)는, 적어도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고, 당해 용착 접합부의 형상이나 설치수는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변경 가능하다.
용착 접합부(115)는, 2개의 용착 접합부(114, 114)의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연장선(L1) 상에 용착 접합부를 밸런스 좋게 설치하는 것이 유효하게 된다. 2개의 용착 접합부(114, 114) 사이에 형성되는 이 용착 접합부(115)의 수는, 필요에 따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용착 접합부(114)는,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33)를 향하여 오목형상이 된 곡면부(원호부분)(114a)를 적어도 가지는 구성이 된다. 이 곡면부(114a)는, 유지공간(118)에 대한 유지판(132)의 삽입조작 후에 있어서, 유지판(132)의 돌출부(133)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으로서 규정된다. 여기서 말하는 곡면부(114a)가, 본 발명에서의 「오목부」에 상당하고, 이 곡면부(114a)를 구비하는 용착 접합부(114)가, 본 발명에서의 「오목부를 가지는 용착 접합부」에 상당한다. 이것에 의하여, 유지공간(118)에 삽입된 유지판(132)의 각 돌출부(133)가, 청소체(110)측의 각 용착 접합부(114)의 곡면부(114a)에 확실하게 끼워 넣어지고(걸어 맞추어), 유지공간(118)에서의 돌출부(133)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청소체(110)가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특히, 청소체(110)가 홀더 본체(130)에 유지된 청소체 유지상태에서, 청소체(110)의 전후방향에 관한 이동을 규제하여, 청소체(110)와 홀더 본체(130) 사이의 빠짐방지 효과를 얻는 데 유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용착 접합부(114)에 대하여, 본래의 용착 접합 기능에 더하여, 홀더 본체(130)측의 돌출부(133)와의 사이의 걸어맞춤 기능이 부여되게 되어, 청소체(110)를 유지하는 유지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용착 접합부(114)의 구체적인 형상에 관해서는, 원형이나 타원형의 원호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로 이루어지는 곡면형상이나, 복수의 점을 조합시켜 형성된 곡면형상, 또한 오목형상의 단차형상 등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용착선(113)은, 청소체 본체(111) 및 유지 시트(112)를 두께방향의 전체에 걸쳐 서로 접합하는 용착 접합부분으로서 구성되고, 청소체(110)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7)는, 어느 것이나 섬유 집합체(111b)의 두께방향에 관한 일부만을 용착 접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용착 접합부(117)는, 청소체 본체(111)[섬유 집합체(111b)]의 두께방향에 관한 접합 높이가 용착 접합부(114)를 하회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여, 섬유 집합체(111b)는, 좌우의 자유단까지의 섬유 연장길이가 다른 3종류의 섬유 집합부로 분류된다. 제 1 섬유 집합부는, 중앙 용착선(113)을 고정단으로 하고, 당해 고정단의 반대측(선단측), 즉 섬유 집합체(111b)의 양쪽 끝을 자유단으로서 연장하는 섬유 연장길이(d3)의 섬유 집합체가 된다. 제 2 섬유 집합부는, 용착 접합부(114)를 고정단으로 하고, 섬유 집합체(111b)의 양쪽 끝을 자유단으로서 연장하는 섬유 연장길이(d4)[< 섬유 연장길이(d3)]의 섬유 집합체가 된다. 제 3 섬유 집합부는, 용착 접합부(117)를 고정단으로 하고, 섬유 집합체(111b)의 양쪽 끝을 자유단으로서 연장하는 섬유 연장길이(d5)[< 섬유 연장길이 (d4)]의 섬유 집합체가 된다. 이 경우, 섬유 집합체(111b)는, 그 상층 부분에 섬유 연장길이가 d3, d4, d5인 섬유 집합체가 설치되고, 그 중간층 부분에 섬유 연장길이가 d3, d4인 섬유 집합체가 설치되며, 그 하층 부분에 섬유 연장길이가 d3뿐인 섬유 집합체가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섬유 집합체(111b)가, 섬유 연장길이가 다른 섬유 집합체를 구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섬유 집합체(111b)에 공기가 함유되도록 청소체(110)를 손으로 가볍게 흔드는 또는 빗을 때에, 섬유 집합체(111b) 중 섬유 연장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섬유 집합체는, 섬유끼리 얽혀 아래쪽으로 늘어뜨리기 쉬워지는 한편, 섬유 연장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섬유 집합체는, 아래쪽으로 늘어뜨리는 섬유 집합체에 얽히기 어렵게 된다. 이에 의하여, 섬유 집합체(111b)에 공기를 함유시켰을 때에, 불필요한 공극 부분이 억제된 균질한 상태의 섬유 집합체(111b)가 형성되어, 당해 섬유 집합체(111b)가 전체적으로 조밀하게 퍼지기 때문에, 당해 섬유 집합체(111b)의 부피가 커진 부푼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섬유의 밀도가 높고 또한 균질한 상태로서, 볼륨감이 높은 상태로서 규정할 수 있고, 「부푼상태」,「부피조밀상태」,「볼륨업상태」,「공간 충만도가 높은 상태」 또는 「벌키도가 높은 상태」라고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섬유 집합체(111b)가 자유단까지의 섬유 연장길이가 다른 적어도 3종류의 섬유 집합부로 분류되게 되고, 섬유 연장길이가 다른 섬유 집합부의 종류를 늘림으로써, 섬유 집합체(111b)의 부 푼상태에 변화를 부여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접합부(117)의 접합높이가 용착 접합부(114)의 접합높이를 하회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섬유 연장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섬유 집합체가, 섬유 집합체(111b)의 상층 부분으로부터 중간층 부분을 거쳐 하층 부분을 향하여 밸런스 좋게 증가하게 되고, 섬유 집합체(111b)를 전체에 걸쳐 밸런스 좋게 부푼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섬유 집합체(111b)의 부피를 밸런스 좋게 높임으로써 청소체(110)에 의한 청소 효과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섬유 집합체(111b)의 부피가 커짐으로써, 피청소 영역에 대한 밀착의 정도가 높아지고, 섬유 집합체(111b)의 오염이 눈에 띄기 쉬워져(검어지기 쉽고), 사용자는 먼지가 확실하게 포착되어 있다는 실감이 얻어지게 되어 만족도가 높아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섬유 집합체(111b)의 두께방향에 관한 접합 높이가 다른 4종류 이상의 용착 접합부를 사용하고, 섬유 집합체(111b)가, 섬유 연장길이가 다른 4종류의 섬유 집합체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연장선(L1) 상의 용착 접합부[용착 접합부(114) 및 용착 접합부(115)]와, 연장선(L2) 상의 용착 접합부[용착 접합부(117)]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대해서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한 양자의 위치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난 제 1 구성이어도 되고, 또는 청소체(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한 양자의 위치가 합치하는 제 2 구성이어도 된다. 제 1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섬유 연장길이가 다른 3종류의 섬유 집합체를 청소체(110)의 길이방향으로 밸런스 좋게 설치할 수 있어, 섬유 집합 체(111b)의 부피를 밸런스 좋게 부풀리는 효과를, 더욱 적은 수의 용착 접합부에 의하여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 2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연장선(L1) 상의 용착 접합부와 연장선(L2) 상의 용착 접합부가 합치하는 위치에, 섬유 연장길이가 다른 3종류의 섬유 집합체를 집중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접합부(114, 115, 117)는, 각각이 중앙 용착선(113)의 좌우 위치에서, 좌우 등간격으로, 당해 중앙 용착선(113)의 연장방향을 따라 좌우 평행으로 연장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섬유 집합체(111b)의 형상에 관하여 좌우의 밸런스가 잡힌 형상이 실현된다. 중앙 용착선(113)의 구성에 관해서는, 접합부분이 연속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도 되고, 또는 접합부분이 단속적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용착선(113)과 용착 접합부(114, 115, 117)의 사이에, 섬유가 기재 시트(111a) 및 유지 시트(112)와 접합된 상대적으로 접합 강도가 높은 수평부분이 형성되게 되고, 기재 시트(111a) 및 유지 시트(112)만의 접합에 의해서는 얻어지지 않는 접합 강도를 얻는 데 유효하다. 또, 중앙 용착선(113)과 용착 접합부(114)의 사이에 수평부분이 형성되는 구성에 의하여, 이 수평부분에 의해 청소 시에 청소체(110)가 수평형상의 피청소면을 따르기 쉽게 되어, 청소효과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상기 구성의 청소용구(100)의 사용형태에 관해서는, 도 7 내지 도 9가 참조된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를 청소체 홀더(120)에 장착하는 모양을 사시도로 나타낸다. 또, 도 9에는, 도 8에 나타내는 청소용구(100)에 있어서, 청소체(110)의 빗기 조작이 더 이루어진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상기 구성의 청소용구(100)를 사용할 때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착조작에 의하여, 유지공간(118)의 뒤쪽 개구끝(118a)으로부터,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이 삽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청소체(110)가 청소체 홀더(120)에 장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체(110)는, 유지공간(118)이 뒤쪽 개구끝(118a) 및 앞쪽 개구끝(118b)을 가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유지공간(118)의 앞쪽 개구끝(118b)으로부터, 홀더 본체(130)의 유지판(132)을 삽입함으로써, 청소체(110)를 반전시켜 청소체 홀더(120)에 장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각 유지판(132)이 선단측으로부터 유지공간(118)으로 삽입된다. 이 때, 각 유지판(132)은, 홀더 선단측의 돌출부(133)가 용착 접합부(116)의 안쪽 가장자리 부분과 걸어맞춰진다. 이에 의하여, 유지공간(118)에 대하여 각 유지판(132)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접합부(116)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성분을 가지기 때문에, 각 유지판(132)의 진행방향을 작업자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직선형상으로 정해지게 되고, 각 유지판(132)은 유지공간(118)을 앞쪽측으로 원활하게 유도된다. 그리고, 각 유지판(132)은, 유지판(132) 자체 및 중공부(133a)를 구비하는 돌출부(133)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동작과 휨 복귀동작(휨 리턴동작)을 반복하면서, 유지공간(118)에 삽입되고, 돌출부(133)가 소정의 용착 접합부(114)의 곡면부(114a)에 끼워 넣어진다(걸어맞춰진다). 또한, 각 유지판(132)의 휨 작용이, 각 유지판(132) 자체나, 청소체(110)를 구성하는 소재에 의해 얻어지는 경우에는, 중공구조의 돌출부(133) 를 중실(中實)구조로 하여도 된다.
그리고, 홀더 선단측의 돌출부(133) 및 홀더 후단측의 돌출부(133)가, 각각의 곡면부(114a)에 끼워 넣어져 수용된 상태에서는, 홀더 본체(130)의 기초부(131)가 뒤쪽 개구끝(118a)과 간섭함으로써, 더 이상의 앞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청소체(110)에 대하여 청소체 홀더(120)가 장착상태가 된다. 또, 이 장착상태에서는, 돌출부(133)와 곡면부(114a) 사이의 걸어맞춤 작용에 의해, 청소체(110)의 전후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게 되고, 청소체 홀더(120)를 가볍게 흔드는 정도의 진동에 의해 청소체 홀더(120)로부터 청소체(110)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빠짐방지효과).
이에 의하여, 청소용구(10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가 되나, 이 상태는, 청소체(110)의 두께가 억제된 상태이며, 또 청소 대상인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청소 대상측 시트(111c)가 섬유 집합체(111b)와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원하는 청소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다. 그래서, 원하는 청소 기능을 얻기 위해서는, 도 8에서의 청소체(110)의 섬유 집합체(111b)를 볼륨업된 입체형상으로 하도록, 청소체(110)의 빗기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빗기 조작은, 섬유 집합체(111b)에 공기가 함유되도록 청소체(110)를 즉시 손으로 가볍게 흔드는 또는 빗는, 또 청소체 홀더(120)를 손으로 파지한 채로 가볍게 흔듦으로써 가능해진다.
청소체(110)의 이와 같은 빗기 조작에 의하여,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는, 청소 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과 혼재화하고, 이 스트립편(111e)의 회동동작(회동형상으로 돌아 들어간다)과 함께 바깥쪽의 자유단측이, 고정단인 중앙 용착선(113) 주위로, 또는 용착 접합부(114, 115, 117) 주위로 자중에 의해 아래쪽 으로 늘어뜨려진다. 이 때, 청소체(110)는,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가, 청소 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과 함께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지고, 섬유 집합체(111b)에 공기가 함유됨으로써 청소체 홀더(120) 장착 전의 상태보다 부피가 커진다. 즉, 청소체(110)는, 청소 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의 회동동작에 동조하여,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 사이로 공기를 함유시켜 부푼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 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의 폭이 기재 시트(111a)측의 스트립편(111d)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스트립편(111e)이 섬유 집합체(111b)의 탄력성을 빼앗는 일 없이, 섬유 집합체(111b)의 볼륨을 증가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티끌 포착기능에 대한 기대감이나 안심감이 높아진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권축섬유를 사용하여 섬유 집합체(111b)를 구성함으로써,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가 청소 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에 얽히기 쉬운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소체(110)는,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가 청소 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과 혼재화하고, 섬유 집합체(111b)의 부피가 커져 볼륨업된 입체형상이 된다. 이 때, 청소체(110)의 중앙영역에, 주청소부(111f)가 형성되고, 청소체(110)의 전후에 보조 청소부(111g, 111g)가 형성된다. 주청소부(111f)는, 청소체(110)의 각 부위 중, 피청소면의 먼지나 티끌을 주체적으로 포착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위로서 구성되는 한편, 보조 청소부(111g)는, 주청소부(111f)의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을 가지는 부위로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체(110)의 주청소부(111f)가 부풂으로써, 주청소부(111f)가 청소 대상의 피청소면인 요철이나 곡면을 따르기 쉬워진다(밀착하기 쉬워진다). 또, 이 때, 서로 혼재화한 섬유 집합체(111b)의 섬유가 청소 대상측 시트(111c)의 스트립편(111e)의 협동에 의하여, 청소 기능을 발휘한다. 특히, 섬유 집합체(111b)는, 섬유 사이나 섬유의 권축부분에 오염이 얽히게 되어, 오염 포집기능의 중핵을 이룬다. 또한, 스트립편(111e)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섬유 집합체(111b)가 표출됨으로써, 섬유 집합체(111b)의 양이 많아져 볼륨업하여 보이게 되어, 사용자에게 티끌 포착기능에 대한 기대감이나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스트립편(111e)은, 오염 포집기능의 중핵을 이루는 섬유 집합체(111b) 에 대한 부가적인 오염 포집기능을 가진다. 이 스트립편(111e)은, 더욱 가늘은 요철이나 곡면에 들어가기 쉬워지고, 스트립편 사이나 스트립면에 오염을 유지함으로써 청소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기재 시트(111a)의 스트립편(111d)이나, 유지 시트(112)의 스트립편(112a)은, 섬유 집합체(111b)의 움직임에 동조하기 어렵고, 섬유 집합체(111b)의 움직임과는 독립하여 티끌을 쓸어 내는 기능을 발휘한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 응용이나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를 응용한 다음의 각 형태를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시트(111a), 섬유 집합체(111b) 및 유지 시트(112)를 포함하는 청소체(110)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청소체가 적어도 기재 시트 및 유지 시트를 구비하는 구성이면 충분하고, 섬유 집합체(111b)를 생략하고, 섬유 집합체(111b)를 대신하는 주청소 기능을 기재 시트(111a)에 대하여 부여한 구성이나, 기재 시트(111a) 및 유지 시트(112)만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용착선(113), 용착 접합부(114, 115, 116, 117)를 구비하는 청소체(110)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청소체가, 용착 접합부(114)와 같이 유지공간을 향하여 오목형상이 된 오목부를 가지는 용착 접합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구성이면 되고, 필요에 따라 용착 접합부(114) 이외의 용착 접합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 제품의 사양에 따라서는, 용착 접합부(114)를 뒤쪽 개구끝(118a) 및 앞쪽 개구끝(118b)의 위치에 설치한 다음에, 용착 접합부(116)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용착 접합부(116)에 상당하는 용착 접합부를 용착 접합부(114)에 의해 겸용할 수 있어, 합리적이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접합부(114)의 구체적인 형상으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곡면부(114a)를 가지는 형상을 채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이 용착 접합부(114)는, 적어도 중앙 용착선(113)측이 오목형상이 된 구성이면 충분하고, 곡면부(114a)를 가지는 당해 용착 접합부(114)의 형상이나 설치수는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곡면부(114a)를 가지는 용착 접합부(114)를, 좌우의 용착 접합부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는 구성, 좌우의 용착 접합부에 관하여 청소체(110)의 전후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청소체(110)측의 2개의 유지공간(118, 118)에 대하여, 청소체 홀더(120)측의 2개의 유지판(132, 132)이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경우 에 대하여 기재하였으나, 유지공간과, 이것에 삽입 설치되는 청소체 유지부의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청소체측의 유지공간이 단일의 유지공간이 되고, 이 단일의 유지공간에 대하여 청소체 홀더측의 단일의 청소체 유지부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시트형상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 및 유지 시트와,
    서로 겹쳐진 상기 기재 시트 및 유지 시트를 용착 접합하도록, 소정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된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와,
    상기 기재 시트와 상기 유지 시트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와 상기 제 2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에 따라 구획되고, 상기 소정방향에 관한 청소체 한쪽 끝측 및 청소체 다른쪽 끝측의 적어도 한쪽이 개구하는 유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의 적어도 한쪽에서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는, 상기 유지공간을 향하여 오목형상이 된 오목부를 가지는 용착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유지공간에 장착되는 장착물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 중 상기 유지 시트가 겹쳐지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겹쳐지고, 섬유를 복수 집합시켜 구성되는 섬유 집합체와,
    상기 제 1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와 상기 제 2 그룹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의 사이에서, 적어도 상기 기재 시트 및 섬유 집합체를 서로 용착 접합하도록 상기 소정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형상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유지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제 2 용착 접합부를 구비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 및 제 2 그룹에서의 복수의 용착 접합부와, 상기 제 2 용착 접합부는, 어느 것이나 상기 기재 시트 및 상기 섬유 집합체를 서로 용착 접합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공간은, 상기 장착물로서의 작업자 파지용 홀더에 설치된 청소체 유지부가 삽입 설치되는 영역으로서 구성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청소체 유지부의 삽입 설치상태에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청소체 유지부에 걸어맞춰져 당해 청소체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체와, 청소체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체에 대하여 상기 청소체 홀더가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청소용구에 있어서,
    상기 청소체 홀더는, 청소작업 시에,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연접하여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청소체의 상기 유지공간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청소체를 유지하는 청소체 유지부와, 상기 청소체 유지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체 유지부는, 상기 유지공간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춰지고, 이에 의하여 상기 청소체와의 사이의 상기 소정방향에 관한 상대이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KR1020097022637A 2007-03-30 2008-03-27 청소체 및 청소용구 KR101290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95424 2007-03-30
JP2007095424A JP5048375B2 (ja) 2007-03-30 2007-03-30 清掃体及び清掃用具
PCT/JP2008/055932 WO2008120685A1 (ja) 2007-03-30 2008-03-27 清掃体及び清掃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313A true KR20090126313A (ko) 2009-12-08
KR101290228B1 KR101290228B1 (ko) 2013-07-30

Family

ID=3953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637A KR101290228B1 (ko) 2007-03-30 2008-03-27 청소체 및 청소용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37797B2 (ko)
EP (1) EP1974648B1 (ko)
JP (1) JP5048375B2 (ko)
KR (1) KR101290228B1 (ko)
CN (1) CN101646375B (ko)
CA (1) CA2627687C (ko)
MX (1) MX2008004380A (ko)
SA (1) SA08290169B1 (ko)
WO (1) WO20081206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581B1 (ko) * 2009-12-04 2014-03-1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스트립 대신에 비평면형 요소를 구비한 청소 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8738B1 (en) * 2005-10-19 2012-06-27 Kao Corporation Cleaning tool
JP4657075B2 (ja) * 2005-10-21 2011-03-23 花王株式会社 清掃用物品
GB0602876D0 (en) * 2006-02-14 2006-03-22 Young Ronald A Absorbent mop sheet
WO2007102254A1 (ja) * 2006-03-09 2007-09-13 Kao Corporation 清掃用物品並びにその起毛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US9833118B2 (en) 2006-08-07 2017-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article having strips with differential bond pattern
US10617273B2 (en) 2006-08-07 2020-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article having strips and an absorbent core
JP4731433B2 (ja) * 2006-09-12 2011-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171347B2 (ja) * 2008-03-31 2013-03-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
KR101585636B1 (ko) * 2008-04-16 2016-01-14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청소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8578564B2 (en) * 2009-11-05 2013-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e for removable cleaning implement
US20130305555A1 (en) * 2012-04-10 2013-11-21 Lisa Spector Baba buddy baby bottle drying wand
JP6239827B2 (ja) * 2013-02-07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6323981B2 (ja) 2013-02-07 2018-05-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6228366B2 (ja) * 2013-02-07 2017-1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US9849638B2 (en) 2013-02-08 2017-1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fluffing a cleaning implement
CN104981189B (zh) 2013-02-08 2018-08-14 宝洁公司 用于使清洁制品蓬松的套件
JP2016036628A (ja) 2014-08-08 2016-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パッケージ
JP6514863B2 (ja) 2014-08-08 2019-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
KR102027667B1 (ko) 2015-04-02 2019-10-0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차등 접합 패턴을 갖는 스트립을 구비한 바닥 청소 용품
CA2981654C (en) 2015-04-02 2020-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cleaning article having strips and an absorbent core
EP3078316B1 (en) * 2015-04-09 2019-11-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having discrete seal bonds
US11229343B2 (en) 2015-06-30 2022-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having multi-layer gather strip element
US10694915B2 (en) 2017-04-06 2020-06-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eet with tow fiber and movable strips
US10730081B2 (en) 2017-09-11 2020-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cleaning article having cutouts
US11045061B2 (en) 2017-09-11 2021-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tufted laminated cleaning article
EP3453305B1 (en) 2017-09-11 2022-1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tufted laminated cleaning article
US11253128B2 (en) 2017-09-11 2022-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pitch tow tufts
US11950737B2 (en) 2017-09-11 2024-04-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irregularly spaced tow tufts
US10653286B2 (en) 2017-10-06 2020-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coating
US10722091B2 (en) 2017-10-06 2020-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ly coated tow fibers
USD905366S1 (en) * 2018-01-05 2020-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e for holding a cleaning device
US11375867B2 (en) 2018-04-03 2022-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ifferential sized tow tufts
US12082760B2 (en) 2018-04-03 2024-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irregularly spaced tow tufts
US11903542B2 (en) 2018-04-03 2024-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double bonded tow tufts
KR102123527B1 (ko) 2019-04-04 2020-06-17 (주)광진상사 청소용구
KR102148684B1 (ko) 2019-04-04 2020-08-27 황성철 청소용구
JP2020188823A (ja) * 2019-05-17 2020-1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EP3745209B1 (en) * 2019-05-30 2022-11-30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A3171711A1 (en) 2020-04-10 2021-10-14 Matthew Lawrence Lynch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
CA3169684A1 (en) 2020-04-10 2021-10-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with a rheological solid composition
US20220117458A1 (en) 2020-10-16 2022-04-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 coating
US11833237B2 (en) 2021-03-09 2023-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enhancing scalp active de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7477B2 (ja) 1995-12-08 1999-11-15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US5958555A (en) * 1996-07-03 1999-09-28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wiper sheet
ES2301925T3 (es) 2000-07-10 2008-07-01 Uni-Charm Corporation Articulo de limpieza.
JP4050035B2 (ja) * 2000-10-27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ハンディモップ
IL152340A (en) * 2001-02-23 2007-12-03 Yoshinori Tanaka Cleaning accessory
JP4132730B2 (ja) 2001-06-14 2008-08-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製品
US7251851B2 (en) 2004-11-12 2007-08-07 Oimo Industrial Company, Ltd. Spiral duster
JP4495171B2 (ja) * 2004-12-27 2010-06-30 山田 千代恵 清掃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581B1 (ko) * 2009-12-04 2014-03-1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스트립 대신에 비평면형 요소를 구비한 청소 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53286A (ja) 2008-10-23
CN101646375A (zh) 2010-02-10
US7937797B2 (en) 2011-05-10
CN101646375B (zh) 2011-12-21
EP1974648A2 (en) 2008-10-01
KR101290228B1 (ko) 2013-07-30
CA2627687C (en) 2015-11-03
EP1974648B1 (en) 2012-12-05
MX2008004380A (es) 2009-02-27
CA2627687A1 (en) 2008-09-30
SA08290169B1 (ar) 2010-10-05
EP1974648A3 (en) 2009-11-11
US20080235891A1 (en) 2008-10-02
JP5048375B2 (ja) 2012-10-17
WO2008120685A1 (ja)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228B1 (ko) 청소체 및 청소용구
KR101290227B1 (ko) 청소체 및 청소용구
KR101066532B1 (ko) 청소체 및 청소용구
KR101066531B1 (ko) 청소체 및 청소용구
JP4823105B2 (ja) 清掃用具及び清掃体
TWI617275B (zh) Sweeping tool
KR20110011687A (ko) 청소용구, 청소체 홀더
JP5048274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221624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5147909B2 (ja) 清掃体及び清掃用具
JP6208949B2 (ja) 清掃具
JP6126399B2 (ja) 清掃具および清掃シートの製造方法
JP5973930B2 (ja) 清掃具
JP6239828B2 (ja) 清掃具
JP6126397B2 (ja) 清掃具
JP201415096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