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064A -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064A
KR20090126064A KR1020080052222A KR20080052222A KR20090126064A KR 20090126064 A KR20090126064 A KR 20090126064A KR 1020080052222 A KR1020080052222 A KR 1020080052222A KR 20080052222 A KR20080052222 A KR 20080052222A KR 20090126064 A KR20090126064 A KR 20090126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
coupled
horizontal plate
deck
d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606B1 (ko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주)성풍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풍건설 filed Critical (주)성풍건설
Priority to KR1020080052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60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는, 굴착된 지반에 바닥부와 일정 높이로 타설된 수직구 형상의 측벽, 상기 측벽의 상측에 돔형천장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축조하는 돔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마스트부와; 상기 마스트부에 결합되어 측벽형상을 결정하는 스킨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킨플레이트 이동구와; 상기 바닥부에 수평하게 구비되고 상기 마스트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판부와; 수평판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판부 승강기와; 상기 수평판부와 마스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 및 바닥패널, 상기 바닥패널의 상측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한 빔 형상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그 하단 저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돔형천장 내측면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돔형천장 슬랩부로 이루어진 돔형천장폼을 포함하고, 상기 돔형천장폼은, 상기 마스트부 및 수평판부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수직터널 상부에 위치한 돔형천장을 타설할 때 돔형구조물 전체에 별도의 거푸집 지지기반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 기간이 단축된다.

Description

돔형구조물 시공장치{WALL AND DOME FORM}
본 발명은 돔형구조물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거푸집을 돔형구조물 전체에 구비하지 않고도 수직구 상측에 돔형 천장이 구비된 돔형 구조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묘처리장, 핵 폐기물 처리시설 등은 돔 형상으로 그 구조물을 시공한다. 이러한 돔 형상의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굴착된 지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바닥부 둘레 상측으로는 상기 바닥부와 일체로 일정 높이만큼씩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돔형상 구조물의 측벽을 축조하였다. 이때, 상기 측벽 높이의 증가분에 따라 기둥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판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 중 최상측에 위치한 지지판의 상면에 기둥재를 구비하되, 상기 최상측 지지판 기둥재의 길이를 다르게 구비하여 상기 기둥재 상측에 돔형상의 거푸집을 고정하고 상기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측부와 일체로 돔 형상의 천장부를 축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 상부에 기둥재를 구비한 뒤 또 다른 지 지판을 적층하여 돔 구조물의 천장부를 형성할 경우, 아래 쪽에 위치한 기둥재 및 지지판이 지탱해야하는 하중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거푸집을 조립한 뒤 해체하는 데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 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핵폐기물을 처리하는 돔형 구조물은, 수직구로 형성된 측벽의 높이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거푸집의 높이를 점차 높여갈 때, 사람이 직접 거푸집을 조립하는데에 한계가 있었고, 별도의 운송장치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기둥재에 의해 운송장치의 이동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지지판이 높아질 때마다 운송장치 역시 상부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운송장치를 이송할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였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 1997-0006148호에는 돔 구조물의 일정 높이까지는 다수의 트러스 빔을 조립하여 형성된 마스터에 직각으로 지지빔을 설치한 후에 상기 지지빔 상에 기둥재를 세워 천장부 거푸집을 조립한 다음, 상기 천장부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오니 소화조용 거푸집 지지대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돔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상기 천장부 거푸집을 해체할 때, 일일이 거푸집을 하나씩 해체해야만 하였고, 상기 마스터가 바닥부의 중심지점에만 수직으로 세워져 있었기 때문에, 측벽의 높이가 높아질 경우, 마스터가 지지빔을 지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장치로는 돔형의 천장부만 시공할 수 있을 뿐, 측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별도의 장치를 장착한 뒤 해체작업이 이루어진 다음에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야만 돔형 구조물 시공이 완료된 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시공기간이 단축되면서도 돔형구조물 전체를 효과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가 여전히 필요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운송장치 없이 하나의 장치로 돔형 구조물의 측벽과 돔형 천장을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는, 굴착된 지반에 바닥부와 일정 높이로 타설된 수직구 형상의 측벽, 상기 측벽의 상측에 돔형천장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축조하는 돔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중앙마스트, 상기 바닥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보조마스트로 이루어진 마스트부와;
상기 중앙마스트 축과 그 축이 동일하도록 상기 중앙마스트 상측에 구비되고, 길이 조절가능한 크레인포스트, 상기 크레인포스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이송부로 이루어진 이송크레인과;
상기 보조마스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길이조절 가능한 아암으로 이루어진 스킨플레이트 이동구와;
상기 아암에 그 내주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킨플레이트와;
상기 바닥부에 수평하게 구비되고 상기 중앙마스트와 보조마스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판부와;
그 일측이 중앙마스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측이 수평판부에 고정 장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판부 승강기와;
상기 수평판부와 마스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마스트부와 수평판부 상측에 상기 수평판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바닥패널, 상기 바닥패널의 상측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한 빔 형상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그 하단 저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돔형천장 내측면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돔형천장 슬랩부로 이루어진 돔형천장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크레인포스트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평판부는, 작업데크, 상기 작업데크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판부 승강기의 타측이 고정결합되는 메인데크, 상기 메인데크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데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업데크와 메인데크 사이 및 상기 메인데크와 하부데크 사이에 수직으로 복수개의 고정빔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길이 조절 가능하고 상기 메인데크와 결합되는 상부패드지지봉, 길이 조절 가능하고 상기 하부데크와 결합되는 하부패드지지봉, 상기 상부패드지지봉과 하부패드지지봉 사이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은 측벽과 접하는 마찰패드로 이루어진 마찰패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상부패드지지봉은, 상기 메인데크 하측 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패드지지봉은, 그 축의 중심이 상기 하부데크 상하방향 두께의 중심지점과 일치하게 구비되어 상기 마찰패드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상부패드지지봉 및 하부패드지지봉으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패딩부는, 마찰패드가 탈착한 이후에, 상기 마찰패드 장착위치에 스킨플레이트가 장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작업데크 및 작업테크에 결합된 고정빔 일측에 상기 스킨플레이트 이동구가 연결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돔형천장폼은, 상기 마스트부 및 수평판부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보조마스트에 장착된 랙과 상기 고정빔을 관통 결합하는 피니언이 서로 맞물려 구성되는 제1미끄럼방지구, 상기 중앙마스트에 고정 결합 가능하며 그 장착 위치가 상기 중앙마스트와 대응되는 위치의 수평판부인 제2미끄럼방지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설된 측벽과 보조마스트 사이에 일정 길이의 월타이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돔형구조물 전체에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아도, 하나의 장치로 돔형 구조물의 측벽과 돔형 천장을 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별도의 장치나 거푸집을 장착하고 해체하는데 드는 시간이 절약되어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가 돔형천장을 시공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가 측벽을 시공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를 시공한 이후 상승하면서 측벽을 시공한 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천장을 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는, 굴착된 지반에 바닥부(B)와 일정 높이로 타설된 수직구 형상의 측벽(S.W), 상기 측벽(S.W)의 상측에 돔형천장(D)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축조하는 돔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B)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중앙마스트(12), 상기 바닥부(B)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보조마스트(14)로 이루어진 마스트부(10)와;
상기 중앙마스트(12) 축과 그 축이 동일하도록 상기 중앙마스트(12) 상측 평 면에 구비되며 길이 조절가능한 크레인포스트(82a), 상기 크레인포스트(82a)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이송부(82b)로 이루어진 이송크레인(82)과;
상기 보조마스트(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22), 상기 몸체(22)의 일측에 구비되어 길이조절 가능한 아암(24)으로 이루어진 스킨플레이트 이동구(20)와;
상기 아암(24)에 그 내주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킨플레이트(30)와;
상기 바닥부(B)에 수평하게 구비되고 상기 중앙마스트(12)와 보조마스트(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판부(40)와;
그 일측이 중앙마스트(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측이 수평판부(40)에 고정 장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판부 승강기(50)와;
상기 수평판부(40)와 마스트부(10) 사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60); 및
상기 수평판부(40) 상측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바닥패널(71), 상기 바닥패널(71)의 상측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한 빔 형상의 수직지지대(73), 상기 수직지지대(73)에 그 하단 저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돔형천장(D) 내측면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돔형천장 슬랩부(75)로 이루어진 돔형천장폼(70)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82b)는 상기 크레인포스트(82a)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돔형천장폼(70)은, 수직터널 형상의 측벽(S.W)이 타설되는 수직터널 하부부터 장착된 상태로 돔형구조물 시공장치가 구동 될 수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돔형천장폼(70)을 상기 마스트부(10) 및 수평판부(40)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수직터널 형상의 측벽(S.W)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탈착한 상태로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를 구동하다가, 일정 높이까지 상기 측벽(S.W)에 콘크리트가 양생 완료되면, 상기 돔형천장폼(70)을 장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판부(4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작업데크(42), 상기 작업데크(42)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판부 승강기(50)의 타측이 고정결합되는 메인데크(44), 상기 메인데크(44)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데크(46)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작업데크(42)와 메인데크(44) 및 하부데크(46) 사이에 각 데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복수개의 고정빔(48)이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빔(48) 하나당 두 종류의 데크와 결합되거나, 상기 고정빔(48) 하나에 세 종류의 데크가 모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빔(48)이 상기 작업데크(42)와 메인데크(44) 사이, 또는 상기 메인데크(44)와 하부데크(46)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고정빔(48)이 작업데크(42)와 메인데크(44) 및 하부데크(46) 모두에 걸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A1-A1'의 단면도로서, 작업데크(42)의 평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A2-A2'의 단면도로서, 메인데크(44)의 평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도 1의 A3-A3'의 단면도로서, 하부데크(46)의 평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데크(42), 메인데크(44), 하부데크(46) 및 고정빔(48)으로 이루어진 수평판부(40)는, 마스트부(1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마스트부(10)와 대응되는 위치의 수평판부(40) 일측에 가이드 롤러(12r, 14r)가 더 구비되거나, 자기력 발생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자기부상열차 등이 레일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는 자기력 장치와 같이, 상기 자기력 발생장치는 슬라이딩 구동뿐만 아니라 위치제어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상기 마스트부(10)에 수평하게 구비된 고정빔(48)에 상기 자기력 발생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그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는, 수평판부(40)와 마스트부(10) 사이에 가이드롤러(12r, 14r)를 장착하여 슬라이딩 구동하도록 하였다.
상기 마스트부(10)는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중앙마스트(12)와 보조마스트(14)로 구분된다. 상기 중앙마스트(12)는 바닥부(B)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마스트(14)는 상기 바닥부(B)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에 수직으로 구비된다. 즉, 중앙마스트(12)가 원의 중심역할을 한다면, 상기 보조마스트(14)들이 중앙마스트(12)로부터 방사상 외측인 측벽(S.W)에 근접하여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마스트(14) 간의 간격 역시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보조마스트(14) 배열 위치가 상기 중앙마스트(12)를 중심으로 둔 정다각형의 꼭지점 위치가 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돔형구조물 시공장치에 적재되는 장치의 무게에 따라 보조마스트(14)의 배열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는, 바닥부(B)에 콘크리트를 시공한 다음, 측벽(S.W)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하측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상측이란, 상기 하측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상측에서 장치를 내려다 볼 때 보이는 면을 평면이라고 하고, 상기 하측에서 내려다 볼 때 보이는 면을 저면이라고 한다. 상기 측벽(S.W)은 굴착된 지반과 원형의 스킨플레이트(30) 사이에 콘크리트를 공급함으로써 시공된다. 이렇게 스킨플레이트(30)가 보조마스트(14)의 최상측 높이에 구비되는 작업데크(42)까지 이르게 되면, 상기 수평판부(40)는 그 일측이 상기 중앙마스트(12)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판부 승강기(5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먼저 상기 수평판부 승강기(50)는, 도 1a의 Ⅰ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역할을 하는 승강봉(54)이 실린더 역할을 하는 승강실린더(52)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상기 수평판부 승강기(50)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수평판부 승강기(50)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면, 메인데크(44)와 결합된 수평판부 승강기(50)의 타측, 즉, 상기 승강실린더(52)의 단부가 상기 메인데크(44)의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메인데크(44)가 상승한 후, 상기 메인데크(44)에 장착된 미끄럼방지부(64)가 상기 메인데크(44)를 상기 중앙마스트(12)에 고정되면, 도 1a의 Ⅱ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봉(54)을 승강실린더(52) 내에 삽입하여 수평판부 승강장치(50)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마스트(12)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수평판부 승강기(50)의 일측, 즉, 슬라이딩부재(56)는, 상측으로 이동은 하되 하측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수평판부 승강기(50)의 길이가 증가하여도 상기 슬라이딩부재(56)가 상기 중앙마스트(12)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승강실린더(52)의 단부가 상기 메인데크(44)를 들어올리게 되고, 상기 고정빔(48)에 의해 메인데크(44)와 결합되어 있는 작업데크(42) 및 하부데크(46)도 동일하게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판부 승강기(50)는, 승강실린더(52)의 단부가 메인데크(44)와 결합되어 있지만, 메인데크(44) 뿐만 아니라 하부데크(46)와 작업데크(42)에도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중앙마스트(12)와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56)를 상기 승강실린더(52) 단부보다 상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판부(40)를 끌어올리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스트부(10)는 상기 측벽(S.W)이 시공되는 높이에 따라 상기 보조마스트(14)와 중앙마스트(12)를 추가적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마스트(12) 상측에 구비된 이송크레인(82)은, 상기 수평판부(40)에 장착되어, 수평판부(40)의 운동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이송크레인(82)은, 상기 수평판부(40)가 타설해야할 측벽(S.W)의 높이 만큼 보조마스트(14)와 중앙마스트(1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판부(40)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한 이후에 보조마스트(14)용 빔과 중앙마스트(12)용 빔을 운반하여 상기 마스트부(10)가 더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크레인(82)에 의해 상기 마스트부(10)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상기 수평판부(40)가 마스트부(10)를 따라 연속적으로 상승하여 돔형천장(D)에 이르기까지 그 측벽(S.W)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부(60)는, 제1미끄럼방지구(62)와 제2미끄럼방지구(64)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60)는, 상기 수평판부(40)가 마스트부(10)를 따라 일정 높이만큼 슬라이딩하여 상측으로 이동한 뒤, 중력에 의하여 상기 수평판부(40)가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미끄럼방지구(62)는, 상기 보조마스트(14)에 장착되는 미끄럼방지부(60)로서, 랙(62a)과 피니언(62b)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랙(62a)과 피니언(62b)으로 형성된 제1미끄럼방지구(62)는, 상기 보조마스트(14)에 장착된 랙(62a)과, 상기 고정빔(48)에 관통 결합된 피니언(62b)이 서로 맞물려 구성된다. 상기 랙(62a)과 피니언(62b)은 기어 장치로서, 원형 기어인 피니언(62b)의 회전운동이 직선형 기어인 랙(62a)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62b)은, 상기 수평판부(40)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는 회전 가능하고,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미끄럼방지구(64)는 상기 중앙마스트(12)와 대응되는 위치의 수평판부(40)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마스트(12)에 결 합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56)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60) 외에도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돔형구조물 시공장치가 아래로 미끄러지려는 힘을 분산시키는 마찰패딩부(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딩부(84)는, 길이 조절 가능하고 상기 메인데크(44)와 결합되는 상부패드지지봉(84a), 길이 조절 가능하고 상기 하부데크(46)와 결합되는 하부패드지지봉(84b), 상기 상부패드지지봉(84a)과 하부패드지지봉(84b) 사이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은 측벽(S.W)과 접하는 마찰패드(84c)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찰패딩부(84)는, 상기 마찰패드(84c)와 수평하게 상기 상부패드지지봉(84a)과 하부패드지지봉(84b)을 마찰패드(84c)에 결합하여 마찰패드(84c)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 도 1b에 도시된 마찰패딩부(84)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부패드지지봉(84a)이 상기 메인데크(44) 하측 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패드지지봉(84b)은, 그 축의 중심이 상기 하부데크(46) 상하방향 두께의 중심지점과 일치하게 구비되어 상기 마찰패드(84c)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패드지지봉(84b)은, 상기 마찰패드(84c)에 수직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마찰패드(84c)와 콘크리트가 타설된 측벽(S.W)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패딩부(84)는, 마찰패드(84c)를 상기 상부패드지지봉(84a) 및 하부패드지지봉(84b)으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딩부(84)에서 마찰패드(84c)를 탈착한 후, 상기 스킨플레이트(30)를 상기 마찰패 드(84c)가 장착되었던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바닥부(B)에 인접한 측벽(S.W)에 콘크리트를 손쉽게 타설할 수 있다. 즉, 스킨플레이트(30) 높이방향의 중간지점 내주면에 상기 하부패드지지봉(84b)을 결합하고, 상기 스킨플레이트(30) 형상의 높이에 따라 상기 상부패드지지봉(84a)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스킨플레이트(30)에 수평하게 상부패드지지봉(84a)을 결합한 뒤, 굴착된 지반과 상기 스킨플레이트(3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패드지지봉(84a)과 하부패드지지봉(84b)은, 상기 보조마스트(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마찰패드(84c)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패드지지봉(84a)과 하부패드지지봉(84b)이 장착되고, 상기 마찰패드(84c) 위치에 상기 스킨플레이트(30)를 결합할 경우, 초기에 구비된 보조마스트(14)의 높이 까지는 상기 수평판부(40)를 상승하지 않아도 상기 스킨플레이트(30)가 상부패드지지봉(84a)과 하부패드지지봉(84b)에 의해 상승하며 측벽(S.W)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가 그 측벽(S.W)을 시공하여 돔형천장(D)에 이르게 되면 상기 마스트부(10)와 수평판부(40) 상측에 돔형천장폼(70)을 설치하여 상기 돔형천장(D)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상기 마스트부(10)와 수평판부(40) 상측에 상기 수평판부(40)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바닥패널(71), 상기 바닥패널(71)의 상측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그 길이 가 조절 가능한 빔 형상의 수직지지대(73), 상기 수직지지대(73)에 그 하단 저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돔형천장(D) 내측면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돔형천장 슬랩부(75)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돔형슬랩으로 이루지고, 타설하고자 하는 돔형천장(D)의 내측면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상기 돔형천장 슬랩부(75)는, 상기 이송크레인(82)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패널(71)에 수직으로 구비된 수직지지대(73)의 상측으로 이동한 뒤, 상기 수직 지지대의 길이를 연장하여 돔형천장 슬랩부(75)가 돔형천장(D) 타설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크레인(82)의 이송부(82b)를 상기 크레인 포스트로부터 탈착하고, 상기 크레인포스트(82a) 상측 평면에 돔형천장(D) 중앙 형상에 대응되는 돔형슬랩을 장착함으로써 돔형천장(D)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고, 돔형천장(D)의 콘크리트가 양생 완료되면 상기 수직지지대(73)의 길이를 수축함으로써, 돔형천장(D)으로부터 상기 돔형천장 슬랩부(75)를 탈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는, 상기 작업데크(42)의 방사상 외측에 스킨플레이트(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마스트(14)의 최상측에 상기 스킨플레이트(30)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판부(4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스킨플레이트(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스킨플레이트 이동구(20)를 상기 스킨플레이트(30)의 내주면에 수직하게 결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킨플레이트 이동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데크(42) 및 작업테크에 결합된 고정빔(48) 일측에 상기 스킨플레이트 이동구(20)가 연결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는, 길이가 연장된 상기 보조마스트(14)가 작업데크(42) 상측에서 진행되는 작업에 의하여 진동하지 않도록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마스트(14) 일측에 월타이(86, wall tie)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월타이(8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패딩부(84)와 엇갈리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월타이(86)는 앵커볼트(anchor bolt) 연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앵커볼트란, 그 길이의 대부분을 콘크리트에 묻은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밖으로 돌출되어 나온 앵커볼트는, 그 일부분을 타 장치에 관통시킨 뒤 타 장치에 관통하여 돌출된 부위와 너트를 결합하여 타 장치가 앵커볼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콘크리트에 그 일부가 돌출되어 나온 볼트와 상기 월타이(86)가 너트에 의해 고정결합되면, 상기 작업데크(42) 상측에서 작업이 진행되더라도, 월타이(86)가 상기 보조마스트(14)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상기 돔형구조물 시공장치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돔형구조물 시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1-A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2-A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3-A3'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스트부 12: 중앙마스트
14: 보조마스트 20: 스킨플레이트 이동구
22: 몸체 24: 아암
30: 스킨플레이트 40: 수평판부
42: 작업데크 44: 메인데크
46: 하부데크 48: 고정빔
50: 수평판부 승강기 52: 승강실린더
54: 승강봉 56: 슬라이딩 부재
60: 미끄럼방지부 62: 제1미끄럼방지구
62a: 랙 62b: 피니언
64: 제2미끄럼방지구 70: 돔형천장폼
71: 바닥패널 73: 수직지지대
75: 돔형천장 슬랩부 82: 이송크레인
82a: 크레인포스트 82b: 이송부
84: 마찰패딩부 84a: 상부패드지지봉
84b: 하부패드지지봉 84c: 마찰패드
86: 월타이

Claims (11)

  1. 굴착된 지반에 바닥부와 일정 높이로 타설된 수직구 형상의 측벽, 상기 측벽의 상측에 돔형천장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축조하는 돔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중심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중앙마스트, 상기 바닥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외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보조마스트로 이루어진 마스트부와;
    상기 중앙마스트 축과 그 축이 동일하도록 상기 중앙마스트 상측에 구비되고, 길이 조절가능한 크레인포스트, 상기 크레인포스트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이송부로 이루어진 이송크레인과;
    상기 보조마스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길이조절 가능한 아암으로 이루어진 스킨플레이트 이동구와;
    상기 아암에 그 내주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킨플레이트와;
    상기 바닥부에 수평하게 구비되고 상기 중앙마스트와 보조마스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수평판부와;
    그 일측이 중앙마스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측이 수평판부에 고정 장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판부 승강기와;
    상기 수평판부와 마스트부 사이에 구비되는 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마스트부와 수평판부 상측에 상기 수평판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바닥패널, 상기 바닥패널의 상측 평면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한 빔 형상의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그 하단 저면이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돔형천장 내측면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돔형천장 슬랩부로 이루어진 돔형천장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크레인포스트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부는, 작업데크, 상기 작업데크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판부 승강기의 타측이 고정결합되는 메인데크, 상기 메인데크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데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업데크와 메인데크 사이 및 상기 메인데크와 하부데크 사이에 수직으로 복수개의 고정빔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길이 조절 가능하고 상기 메인데크와 결합되는 상부패드지지봉, 길이 조절 가능하고 상기 하부데크와 결합되는 하부패드지지봉, 상기 상부패드지지봉과 하부패드지지봉 사이에 결합되며 그 외주면은 측벽과 접하는 마찰패드로 이루어진 마찰패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드지지봉은, 상기 메인데크 하측 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하부패드지지봉은, 그 축의 중심이 상기 하부데크 상하방향 두께의 중심지점과 일치하게 구비되어 상기 마찰패드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드지지봉과 상부패드지지봉은, 상기 보조마스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찰패드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상부패드지지봉 및 하부패드지지봉으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딩부는, 상기 마찰패드 장착위치에 스킨플레이트가 장착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데크 및 작업테크에 결합된 고정빔 일측에 상기 스킨플레이트 이동구가 연결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천장폼은, 상기 마스트부 및 수평판부로부터 탈장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보조마스트에 장착된 랙과 상기 고정빔을 관통 결합하는 피니언이 서로 맞물려 구성되는 제1미끄럼방지구, 상기 중앙마스트에 고정 결합 가능하며 그 장착 위치가 상기 중앙마스트와 대응되는 위치의 수평판부인 제2미끄럼방지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된 측벽과 보조마스트 사이에 일정 길이의 월타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KR1020080052222A 2008-06-03 2008-06-03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KR100972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222A KR100972606B1 (ko) 2008-06-03 2008-06-03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222A KR100972606B1 (ko) 2008-06-03 2008-06-03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064A true KR20090126064A (ko) 2009-12-08
KR100972606B1 KR100972606B1 (ko) 2010-07-28

Family

ID=4168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222A KR100972606B1 (ko) 2008-06-03 2008-06-03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6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317B1 (ko) * 2010-12-09 2011-03-29 고엄식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25320B1 (ko) * 2010-12-31 2011-03-29 (주)유경기술단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12578B1 (ko) * 2012-08-15 2013-01-09 주식회사 서진기계 수직구의 돔 설치방법과 그 돔세그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340B1 (ko) * 2020-09-11 2021-08-20 (주)인더플랜트 화력발전소용 탈황시설의 정비장치 및 조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255A (ja) * 1993-12-10 1995-06-20 Penta Ocean Constr Co Ltd 昇降式作業足場装置
JPH0835324A (ja) * 1994-07-21 1996-02-06 Daiwa Kensetsu:Kk 移動と昇降が可能な作業ステージ
JPH102108A (ja) 1996-06-17 1998-01-06 Taisei Corp 塔状rc構造物の構築方法
JP3016731B2 (ja) 1996-07-04 2000-03-06 株木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317B1 (ko) * 2010-12-09 2011-03-29 고엄식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25320B1 (ko) * 2010-12-31 2011-03-29 (주)유경기술단 지하 돔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12578B1 (ko) * 2012-08-15 2013-01-09 주식회사 서진기계 수직구의 돔 설치방법과 그 돔세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606B1 (ko)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97237T3 (es) Metodo y aparato para instalar un ascensor durante la construccion de un edificio.
KR100968068B1 (ko) 다중 수평구조부재 형성방법
RU2012115679A (ru) Способ при изготовлении лифта
KR100972606B1 (ko) 돔형구조물 시공장치
CA2795100A1 (en) A composite lifting stage
ATE419214T1 (de) Turmdrehkranvorrichtung
JP6503716B2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CN107816209B (zh) 跨外两侧抬吊安装大型钢桁架屋盖施工工艺
KR100945426B1 (ko) 건축용 폼 상승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복수 벽면동시 시공방법
CN202347846U (zh) 简易提升式定型化楼梯钢模板
JP2018044318A (ja) サイロ屋根部の構築方法およびサイロ屋根構造
KR101314170B1 (ko) 탑사일로시공방법
JP5558757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盛り替え機構およびフロアクライミング工法
JP2018096163A (ja) 建物の構築方法
WO2008039225A3 (en) Foundation lifting asembly and method of use
JP2018123559A (ja) 不同沈下した建物の傾斜修復方法
KR101044443B1 (ko) 지하구조물의 역방향 축조용 슬래브 승강장치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KR101234201B1 (ko) 탑사일로시공방법
JP2008075340A (ja) 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塔状構造物
KR20100117462A (ko) 핸드 건 거치대
RU2716319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CN103711299A (zh) 建筑外墙可升降脚手架
JP6024940B2 (ja) 仮設養生体
JP3937974B2 (ja) 機械支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