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712A -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 Google Patents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712A
KR20090125712A KR1020090048161A KR20090048161A KR20090125712A KR 20090125712 A KR20090125712 A KR 20090125712A KR 1020090048161 A KR1020090048161 A KR 1020090048161A KR 20090048161 A KR20090048161 A KR 20090048161A KR 20090125712 A KR20090125712 A KR 2009012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educer
tool magazine
tool
gear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047B1 (ko
Inventor
요 츠루미
다카시 하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26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 B23Q3/15534Magazines mounted on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23Q2003/15541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 B23Q2003/155425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pivotable
    • B23Q2003/155428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pivotable about a common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과제] 모터 자체의 유지관리성과 공구의 유지관리 작업성을 양립시킴과 동시에, 전후방향 길이(奧行)가 콤팩트한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복수의 공구를 지지 가능한 공구 매거진(170)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100)로서, 구동원으로서의 서보모터(106)와, 감속기 케이싱(132)(출력부)에 공구 매거진(170)의 본체를 장착 가능한 감속기(102)와, 서보모터(106)를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서보모터(106)를 연결한 상태인 채로 공작기계의 본체(108)와 연결 가능한 제1 연결면(104A)을 구비한 고정체(104)를 구비하며, 서보모터(106)를, 고정체(104)를 통하여 감속기(102)를 공작기계의 본체(108)에 연결한 상태인 채로, 제1 연결면(104A)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한다.
Figure P1020090048161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서보모터, 감속기 케이싱

Description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Geared motor for tool magazine}
본 발명은, 동력원으로서의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하는 기어드모터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공지(公知)의 공작기계를 나타낸다(특허문헌 1 참조). 이 공작기계(1)는, 케이싱(2) 내에 복수의 공구(4)를 구비한 공구 매거진(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공구 매거진(3)은, 원반(圓盤)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종류의 공구(4)가 방사(放射)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공구 매거진(3)은, 이 매거진(3)의 전면(前面)에 배치된 모터(10)에 의하여 소정의 타이밍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공작기계(1)에는, 공구(4)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헤드부(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헤드부(5)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하방향(도 4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 진퇴 도중에서, 공구 매거진(3)으로부터 공구(4)를 건네 받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5)는, 가공 대상물(미도시)에 대한 가공내용에 따라서 필요 한 공구(4)를 선택하여, 가공(예컨대 구멍내기 가공, 절삭 가공 등)을 행한다. 이 공구(4)의 선택은, 공구 매거진(3)이 회전함으로써, 헤드부(5)에 대한 탈착위치로 소망 종류의 공구(4)가 이동함으로써 실현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소61-050735호 공보
공작기계(1)에 있어서 모터(10)가 공구 매거진(3)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예컨대, 모터(10) 자체의 유지관리작업(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공구 매거진(3)의 전면(앞쪽)에 모터(10)를 배치한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이 모터(10) 부분이 공구 매거진(3)의 전면(즉, 공작기계(1)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공작기계(1)의 전후방향 길이(奧行)가 커져 버린다. 또한, 공구 매거진(3)에 장착되어 있는 공구(4)의 유지관리작업(예컨대 교환)을 하는 경우에는, 이 모터(10)가 작업자의 두부(頭部)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모터(10)가 방해가 되어 유지관리작업을 하기 어렵다. 한편 이를 꺼려서, 예컨대 공구 매거진(3)의 전후방향으로 모터를 배치한 것에서는, 공구(4)의 교환작업은 용이하게 되지만, 모터(10) 자체의 유지관리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모터 자체의 유지관리성과 공구의 유지관리성을 양립시킴과 동시에, 전후방향 길이가 콤팩트한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공구를 지지 가능한 공구 매거진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로서, 구동원으로서의 모터와, 출력부에 상기 공구 매거진 의 본체를 장착 가능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일부로서 또는 별체(別體)로서 구성되어, 상기 모터를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모터를 연결한 상태인 채로 상기 공작기계의 본체측과 연결 가능한 제1 연결면을 구비한 고정체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가, 상기 고정체를 통하여 상기 감속기를 상기 공작기계의 본체측에 연결한 상태인 채로, 상기 제1 연결면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공구 매거진의 전면측으로 돌출하지 않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공작기계의 본체와 감속기를 이어 맞추고 있는 고정체에 대하여 제1 연결면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모터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모터가 제1 연결면과 직교하는 방향(공구 매거진의 전면측, 공작기계의 전면측, 혹은 작업자측)으로 돌출되는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공작기계의 전후방향 길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모터 자체의 유지관리, 공구의 유지관리의 작업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모터 자체의 유지관리성과 공구의 유지관리성을 양립시킴과 동시에, 전후방향 길이가 콤팩트한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어드모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공구 매거진이 장착된 상태의 기어드모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공구 매거진의 정면도(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Ⅲ 방향)이다.
<기어드모터의 구성>
기어드모터(100)는, 감속기(102)와, 이 감속기(102)와 연결된 고정체(104)와, 이 고정체(104)에 연결된 서보모터(106)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체(104)는 상자 형상의 고정체 케이싱(117)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이 상자의 일면인 제1 연결면(104A)에 있어서 공작기계 본체(108)(부호만 나타냄)와 연결 고정되어 있다. 다만, 여기서는 제1 연결면(104A)이 직접적으로 공작기계 본체(108)와 연결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예컨대 평면적인 플레이트로 구성된 어댑터 등의 별개 부재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이더라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또한, 고정체 케이싱(117)의 상면(上面)(제2 연결면(104B))에 서보모터(106)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면(104A)에 대하여 경사져서 구성되는 제3 연결면(104C)에 감속기(102)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체(104)가 감속기(102)와는 다른 구성부재(별체)로 되어 있지만, 고정체(104)가 감속기(102)의 1 구성요소가 되는 구성(예 컨대 감속기(102)의 일부가 뻗어 있어 고정체 케이싱(117)의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이더라도 지장이 없다.
<고정체의 구성>
서보모터(106)의 출력축인 모터 축(110)은, 고정체 케이싱(117)의 내주면(117A)에 베어링(114) 및 베어링(116)을 통하여 축 지지된 이음매 축(112)과 연결되어 있다. 이들 내주면(117A), 베어링(114, 116) 및 이음매 축(112)은, 서로 인롱(印籠) 또는 스톱 링에 의하여 축방향의 위치가 규제되고 있다. 이음매 축(112)에는, 그 선단에 피니언(112P)이 직접절삭 형성되며, 타단(他端)(선단 반대측)에 오목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12A)에는, 상술한 모터 축(110)의 선단이 키에 의하여 결합되고, 또한 이 키가 나사(미도시)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모터 축(110)과 이음매 축(112)이 회전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음매 축(112)의 선단에 직접절삭 형성된 피니언(112P)은, 베벨기어(우산기어)(118)와 맞물려 있다. 이와 같이, 고정체(104)의 내부(고정체 케이싱(117)의 내부)에서 피니언(112P)과 베벨기어(118)에 의하여 감속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 베벨기어(118)는, 감속기(102)의 입력축(122)의 일단(一端)(고정체(104)측의 단부(端部))에, 볼트(120)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112P)과 베벨기어(118)의 맞물림은, 서로의 축심(피니언(112P)의 축심(O2), 베벨기어(118)의 축심(O1))끼리가 소정의 각도(α)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각도(α)는 110°이다.
여기서, 고정체(104)의 내부는 오일시일(146), O링(144, 180, 184)의 존재에 의하여, 독립된 밀폐공간으로 되어 있다.
<감속기의 구성>
감속기(102)는, 입력축(122)에 입력된 동력(회전력)을 감속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감속기(102)는, 소위, 편심요동형 내접맞물림 유성기어 감속기이다.
축심(O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입력축(122)에는, 편심체(12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심체(124)가 3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약 120°위상이 다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에 수반하여 편심체용 베어링(126) 및 외치기어(128)가 각각 3 세트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속기에 요구되는 전달용량 등에 의하여, 외치기어(128) 등이 1 세트, 2 세트, 또는 4 세트 이상의 구성이더라도 지장이 없다.
편심체(124)는, 편심체용 베어링(126)을 통하여 외치기어(128)의 중심구멍(128A)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 외치기어(128)는 자신의 중심구멍(128A)에 편심체용 베어링(126)을 끼워맞춤시킴과 동시에, 내치기어의 내치(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핀(130)이 해당함)에 맞물려 있다. 또한, 외치기어(128)에는 원주방향이 다른 위치에 복수의 내측 핀 구멍(128B)이 마련되어 있다(도면상은 1개밖에 나타나 있지 않음). 이 내측 핀 구멍(128B)에는, 내측 핀(138)이 내측 롤러(140)를 통하여 여유있게 끼워져 있다. 이 내측 롤러(140)는, 내측 핀(13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치기어(128)와 맞물림되는 외측 핀(130)은, 감속기 케이싱(132)의 내주면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상은 나타나 있지 않지만, 외치기어(128)의 잇수(齒數)와, 외측 핀(130)의 수에는 근소한 차(1 내지 3 정도)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내측 핀(138)은, 원반 형상의 제1 플랜지(13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핀(138)은, 볼트(162)에 의하여 원반 형상의 제2 플랜지(136)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즉, 내측 핀(138)과 제1, 제2 플랜지(134, 136)는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제1 플랜지(134)와 입력축(122) 사이에는 베어링(156)이, 제2 플랜지(136)와 입력축(122) 사이에는 베어링(158)이, 제1 플랜지(134)와 감속기 케이싱(132) 사이에는 베어링(148)이, 제2 플랜지(136)와 감속기 케이싱(132) 사이에는 베어링(15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 플랜지(136)를 덮어 가리도록 커버(152)가 설치되며, 이 커버(152)는, 볼트(154)에 의하여 감속기 케이싱(13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부호 132A는, 후술하는 공구 매거진(170)을 감속기 케이싱(132)에 장착하기 위한 볼트구멍이다. 또한, 감속기(102)의 내부는 오일시일(142, 146), O링(182)의 존재에 의하여, 독립된 밀폐공간으로 되어 있다.
<감속기와 고정체의 연결에 대하여>
감속기(102)와 고정체(104)의 연결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플랜지(비(非)회전부재)(134)와 고정체 케이싱(117)을 연결하는 볼트(160)에 의하여 실현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134)는 일체로 형성되는 내측 핀(138)을 통하여 제2 플랜지(136)와 연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핀(138)이나 제2 플랜지(136)도, 고정체 케이싱(117)에 대하여 사실상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입력축(122)에 입력된 회전은, 편심체(124), 편심체용 베어링(126), 외치기어(128)를 통하여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고정된 내측 핀(138)에 대하여 감속기 케이싱(132) 자체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작용의 상세는 후술함). 즉, 감속기 케이싱(132) 자체가 이 기어드모터(100)의 출력축(출력부)으로서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감속기(102)와 고정체(104)의 연결부분, 즉, 감속기(102)에 있어서의 제1 플랜지(134)와, 고정체(104)에 있어서의 고정체 케이싱(117)의 연결면(제3 연결면(104C))에는, O링(144)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제1 플랜지(134)의 내주면과, 입력축(122)의 외주면 사이에는 오일시일(14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지만, 고정체(104) 및 감속기(102)의 내부에는 각각 윤활제(그리스 등)가 봉입(封入)되어 있다.
<기어드모터와 공구 매거진의 관계>
다음으로, 기어드모터(100)와 공구 매거진(170)의 관계를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다. 공구 매거진(170)은, 공구 매거진 본단(本單)(회전축)(171)과 공구를 지지 가능한 공구홀더(17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구 매거진(170)은, 감속기(102)의 감속기 케이싱(132)(출력부)에 마련된 볼트구멍(132A)을 이용하여, 감속기 케이싱(132)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 공구 매거진(170)은, 감속기(102)의 커버(152)를 덮어서 더욱 가리는 형태로, 감속기(102)의 전면측(도 2에 있어서 좌측)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공구 매거진(170)은, 정면에서 본(화살표 Ⅲ 방향 : 도 3 참조) 경우, 원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공구홀더(172)가 소정의 간격마다 방사 형상(축심(O1)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방사 형상)으로 배치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공구홀더(172)에는 각각 종류가 다른 공구(174)가 지지되어 있다.
<기어드모터의 작용>
다음으로 기어드모터(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보모터(106)에 회전지시가 입력되면, 지시된 양(각도)만큼 모터 축(110)이 회전한다. 이 모터 축(110)의 회전은, 이음매 축(112)을 통하여 피니언(112P)으로 전달되며, 또한, 맞물림되는 베벨기어(118)로 전달된다. 이 베벨기어(118)는, 감속기(102)의 입력축(122)에 연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축(122)이 회전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피니언(112P)으로부터 베벨기어(118)로의 전달시점에서, 모터 축(110)의 회전이 감 속되고 있다(감속기구).
입력축(122)이 회전하면, 이 입력축(12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편심체(124)가 편심회전한다. 이 편심체(124)의 편심한 회전은, 편심체용 베어링(126)을 통하여 외치기어(128)로 전달된다. 그 결과, 외치기어(128)가 축심(O1)에 대하여 요동하면서 회전을 시작한다. 한편으로, 이 외치기어(128)는 외측 핀(130)에도 맞물려있기 때문에 회전이 규제되어, 거의 요동만을 행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외치기어(128)의 잇수와 외측 핀(130)의 수 사이에는 근소한 차(잇수차)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외치기어(128)는 1회 요동 회전할 때마다 이 잇수 차분만큼 외측 핀(130)에 대하여 자전하게 된다. 이 외측 핀(130)에 대한 외치기어(128)의 자전성분(상대회전성분)은 내측 핀(138) 및 내측 롤러(140)를 통하여 제1, 제2 플랜지(134, 136)로 인출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플랜지(134)가 고정체 케이싱(11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대회전성분은, 감속기 케이싱(132)의 회전이 되어 출력된다. 여기서, 외치기어(128)의 요동성분은, 외치기어(128)와 내측 핀(138)(및 내측 롤러(140))의 끼움여유에 의하여 캔슬되기 때문에, 그 자전성분(상대회전성분)만이 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134)가 고정체 케이싱(117)과 연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대회전성분은 감속기 케이싱(132)의 회전이라는 형태로 출력된다. 즉, 감속기 케이싱(132)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공구 매거진(170)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기어드모터(100)에서는, 공작기계의 본체(108)와 감속기(102)를 이어 맞추고 있는 고정체(104)에 대하여 서보모터(106)를 제1 연결면(104A)을 따르는 방향(도 1에 있어서의 Z 방향 : 상하방향)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서보모터(106)가 공구 매거진(170)의 전면(즉, 공작기계의 전면, 작업자측)으로 돌출되는 양을 적게 한 결과, 공작기계의 전후방향 길이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서보모터(106)의 유지관리, 공구(174)의 유지관리의 작업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공구 매거진(170)의 회전위치(정지위치)의 산출은, 캠 기구 등에 의지하고 있지 않다. 즉, 공구 매거진(170)을 감속기(102)의 출력축(여기서는 감속기 케이싱(132))에 연결 고정하고, 또한 이 감속기(102)를 서보모터(106)로 구동함으로써, 서보모터(106)의 회전검출 정밀도를 공구 매거진(170)의 회전위치(정지위치)의 산출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캠 기구와 같이 대략의 단계적인 위치결정이 아니라, 서보모터(106)의 회전검출 정밀도의 최소 단위레벨에서의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피니언(112P)과 베벨기어(118)의 감속부분, 및, 감속기(102)의 감속에 의하여, 서보모터(106)의 회전검출 정밀도를 넘어서 위치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공구홀더(172)의 위치결정에 캠 기구를 채용하고 있는 경우, 설계변경 등에 의하여 공구홀더(172)를 증설하면 서로 이웃하는 공구홀더(172)의 피치가 변하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캠 기구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예컨대 캠 홈의 피치를 상세하게 변경하는 등에 의하여, 증설된 공구홀더(172)를 소정의 위치에 위 치결정할 필요가 있음).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면, 서로 이웃하는 공구홀더(172)의 피치가 어떻게 변화되어도 기어드모터(100)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속기(102)로서, 셀프록(self-lock)성을 가지는 편심요동형 내접맞물림 유성기어 감속기를 채용하고 있다. 그 결과, 특히 브레이크 기구 등을 설치하지 않고, 서보모터(106)의 회전의 ON/OFF만으로, 공구홀더(172)를 소정의 회전위치에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물론 별도의 브레이크 기구 등을 설치하여, 보다 확실을 기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구 매거진(170)이, 이 공구 매거진(170)의 회전축(축심(O1)과 일치)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간격(피치)(G)마다 공구를 지지 가능한 공구홀더(17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보모터(106)가, 이 공구홀더(172)의 사이(간격(G))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서보모터(106)의 탈착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체(104)(의 고정체 케이싱(117))가 상자 형상의 외관을 이루며, 그 일면이 공작기계의 본체(108)와 연결하는 제1 연결면(104A), 다른 일면이 서보모터(106)와 연결하는 제2 연결면(104B), 또 다른 일면이 감속기(102)와 연결하는 제3 연결면(104C)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고정체(104)나 감속기(102)를 공작기계의 본체(108)측에 남긴 채로, 서보모터(106)만을 단독으로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작기계의 본체(108)와 연결하는 제1 연결면(104A)에 대하여, 감속기(102)와 연결하는 제3 연결면(104C)이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공구홀더(172)를 용이하게 소정의 방향(각도)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속기(102)와 고정체(104)의 연결부분에 오일시일(146)이 설치되어, 각각의 내부에 봉입되는 윤활제가 격리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감속기(102)의 내부에 확보해 두어야 할 양(최적량)의 윤활제를 확실하게 확보하고, 또한, 고정체(104)의 내부에 확보해 두어야 할 양(최적량)의 윤활제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예컨대, 감속기(102)에서는 베어링(148) 및 베어링(150) 전체가 잠기는 정도까지 윤활제를 봉입하고, 한편 고정체(104)에서는 베벨기어(118)의 하단이 잠기는 정도로 하여 교반(攪拌)로스를 저감할 수 있다.
이때 감속기(102)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와, 고정체(104) 내에 봉입되는 윤활제를 다르게 구성하여도 좋다. 즉, 격리함으로써, 각 부의 성질에 따른 최적인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체(104) 내의 감속이, 서보모터(106)측에 배치된 피니언(제1 우산기어)(112P)과, 감속기(102)측에 배치된 베벨기어(제2 우산기어)에 의하여 실현되며, 베벨기어(118)가, 감속기(102)의 입력축(12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각도(α)(축심 O1과 O2가 이루는 각도(α))의 설계변경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속기(102)의 입력축(122)에 있어서의 베벨기어(118) 장착위치의 축방향 반대측에는, 이 베벨기어(118)를 입력축(122)에 장착할 때의, 입력축(122)의 회전을 방지 가능한 육각 렌치구멍(164)(회전방지부재 장착부)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베벨기어(118)의 탈착(입력축(122)에 대한 탈착)시에, 입력축(122)이 부주의하게 회전되어 버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탈착작업이 확실하며 또한 용이하게 된다.
NC 공작기계를 비롯하여, 복수 종류의 공구를 자동적으로 바꿔 들고 작업하는 공작기계 공구 매거진 구동에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어드모터의 측단면도.
도 2는, 공구 매거진이 장착된 상태의 기어드모터의 측단면도.
도 3은, 공구 매거진의 정면도(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 Ⅲ 방향).
도 4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공작기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공작기계의 전체 상상도.
*부호의 설명*
100 : 기어드모터
102 : 감속기
104 : 고정체
104A : 제1 연결면
104B : 제2 연결면
104C : 제3 연결면
106 : 서보모터
108 : 공작기계 본체
110 : 모터 축
112 : 이음매 축
112A : 오목부
112P : 피니언
114, 116, 148, 150, 156, 158 : 베어링
117 : 고정체 케이싱
117A : 내주면
118 : 베벨기어
120, 154, 160, 162 : 볼트
122 : 입력축
124 : 편심체
126 : 편심체용 베어링
128 : 외치기어
128A : 중심구멍
128B : 내측 핀 구멍
130 : 외측 핀
132 : 감속기 케이싱
132A : 볼트구멍
134 : 제1 플랜지(비회전부재)
136 : 제2 플랜지
138 : 내측 핀
140 : 내측 롤러
142, 146 : 오일시일
152 : 커버
164 : 육각 렌치구멍
170 : 공구 매거진
172 : 공구홀더

Claims (10)

  1. 복수의 공구를 지지 가능한 공구 매거진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로서,
    구동원으로서의 모터와,
    출력부에 상기 공구 매거진의 회전축을 장착 가능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일부로서 또는 별체(別體)로서 구성되어, 상기 모터를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모터를 연결한 상태인 채로 상기 공작기계의 본체측과 연결 가능한 제1 연결면을 구비한 고정체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가, 상기 고정체를 통하여 상기 감속기를 상기 공작기계의 본체측에 연결한 상태인 채로, 상기 제1 연결면을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서보모터이며, 또한, 상기 감속기가 셀프록(self-lock)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구 매거진의 본체에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된 공구홀더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가, 상기 공구홀더의 사이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가 상기 감속기의 별체로서 구성되고 또한 상자 형상의 외관을 이루며, 그 일면이 상기 제1 연결면, 다른 일면이 상기 서보모터를 장착 가능한 제2 연결면, 또 다른 일면이 상기 감속기를 장착하는 제3 연결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면에 대하여, 상기 제3 연결면이 경사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상기 감속기와는 별개의 감속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와 상기 고정체의 연결부분에 오일시일이 설치되어, 상기 감속기의 내부에 봉입(封入)되는 윤활제와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봉입되는 윤활제가 격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의 내부에 봉입되는 윤활제와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봉입되는 윤활제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감속기구가, 상기 모터측에 배치된 제1 우산기어와, 상기 감속기측에 배치된 제2 우산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우산기어가, 상기 감속기의 입력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의 입력축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우산기어의 장착위치의 축방향 반대측에는, 상기 제2 우산기어를 상기 입력축에 장착할 때의 상기 입력축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KR1020090048161A 2008-06-02 2009-06-01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KR101110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4501 2008-06-02
JP2008144501A JP5415714B2 (ja) 2008-06-02 2008-06-02 工具マガジン用ギヤド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712A true KR20090125712A (ko) 2009-12-07
KR101110047B1 KR101110047B1 (ko) 2012-03-02

Family

ID=4125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61A KR101110047B1 (ko) 2008-06-02 2009-06-01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15714B2 (ko)
KR (1) KR101110047B1 (ko)
CN (1) CN101596685B (ko)
DE (1) DE102009022317B4 (ko)
TW (1) TW2009509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62Y1 (ko) * 2011-10-25 2012-02-20 주식회사 코마텍 공작 기계용 자동 공구 교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9765B (zh) * 2011-03-02 2013-12-21 Ying Sun 加工機械的刀具交換裝置
CN109746743A (zh) * 2017-11-01 2019-05-14 圣杰国际股份有限公司 工具机的自动换刀系统
CN112621328A (zh) * 2020-12-24 2021-04-09 乔治费歇尔机床(常州)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的机床刀库及数控机床
KR20220170659A (ko) 2021-06-23 2022-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DE102022201866A1 (de) 2022-02-23 2023-08-2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Wickel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Wicklungen in elektrischen Maschin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02866A (fr) * 1965-09-02 1971-02-15 Olivetti & Co Spa Machine-outil à changement automatique d'outils
DE1752832C3 (de) * 1967-07-29 1979-08-09 Ing. C. Olivetti & C., S.P.A., Ivrea, Turin (Italien) Vorricht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s Werkzeugs mit der Spindel einer Werkzeugmaschine
JPS5338541Y2 (ko) * 1974-11-25 1978-09-19
JPS6150735A (ja) * 1984-08-10 1986-03-13 Brother Ind Ltd 工作機械の工具交換装置
JPS63267136A (ja) * 1987-04-25 1988-11-04 Brother Ind Ltd 工作機械の自動工具交換装置
JPH042756Y2 (ko) * 1987-07-06 1992-01-30
JP2904622B2 (ja) * 1991-08-29 1999-06-1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密閉形動力伝達装置
JP4167879B2 (ja) * 2002-10-15 2008-10-2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減速機
CN2695171Y (zh) * 2004-03-15 2005-04-27 杨文国 螺纹中心机夹臂式刀库选刀回转机构
JP4947884B2 (ja) * 2004-08-20 2012-06-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遊星減速機構の遊星回転部材のピンの製造方法
JP4104079B1 (ja) 2006-12-12 2008-06-18 有限会社インパクト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積み擁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462Y1 (ko) * 2011-10-25 2012-02-20 주식회사 코마텍 공작 기계용 자동 공구 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77111B (ko) 2012-11-21
TW200950924A (en) 2009-12-16
DE102009022317B4 (de) 2018-01-25
CN101596685A (zh) 2009-12-09
KR101110047B1 (ko) 2012-03-02
JP2009291842A (ja) 2009-12-17
JP5415714B2 (ja) 2014-02-12
DE102009022317A1 (de) 2009-12-03
CN101596685B (zh)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047B1 (ko) 공구 매거진용 기어드모터
US6733217B2 (en) Workpiece holding means for machine tools and more especially for milling and/or drilling machines
US7971328B2 (en) Tool revolver
JP2003071615A (ja) タレット刃物台
CN117628125A (zh) 齿轮传动装置
JP2013059814A (ja) アングルヘッド型工具ホルダ
US7690283B1 (en) Motor mount assembly for a milling tool
JP5410234B2 (ja) 多軸ヘッド
JP2020040202A (ja) タレット旋盤用工具ホルダ
KR20120048741A (ko) 공작기계용 선회형 헤드
KR20120114568A (ko) 공작기계용 3축 밀링헤드
JP6154638B2 (ja) 変速機
WO2020217831A1 (ja) 歯車機構、減速機、および、減速機を用いる駆動装置
KR100804811B1 (ko) 크랭크 샤프트 케이싱의 크랭크 보어를 가공하기 위한앵글헤드
JP2003251505A (ja) 旋盤の回転工具タレット
JP2006192550A (ja) 刃物台
TW202104774A (zh) 減速機
CN113614410B (zh) 齿轮机构、减速器、以及使用减速器的驱动装置
KR20140050173A (ko) 밀링 공구대의 드라이빙 장치
KR101944401B1 (ko) 공작 기계용 헤드 유닛의 스핀들 절삭 토크 측정장치
WO2020217834A1 (ja) 減速機、および、減速機を用いる駆動装置
US5732607A (en) Portable machine tool
JP2018075645A (ja) 工具径可変主軸装置
JP2005231853A (ja) 建設機械の旋回装置
UA32779U (uk) Відрізний пристрій для токарних автоматі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