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927A -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4927A KR20090124927A KR1020090032765A KR20090032765A KR20090124927A KR 20090124927 A KR20090124927 A KR 20090124927A KR 1020090032765 A KR1020090032765 A KR 1020090032765A KR 20090032765 A KR20090032765 A KR 20090032765A KR 20090124927 A KR20090124927 A KR 200901249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ic cassette
- cassette
- digital
- electronic
- buck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601 radiography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GGCZERPQGJTIQP-UHFFFAOYSA-N sodium;9,10-dioxoanthracene-2-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Na+].C1=CC=C2C(=O)C3=CC(S(=O)(=O)O)=CC=C3C(=O)C2=C1 GGCZERPQGJTIQ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9 diagnostic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02 image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94—Means for identifying the diagnost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Radiography Using Non-Light Waves (AREA)
Abstract
탈부착 및 이동할 수 있는 평판검출기(Portable Type Flat Panel Detector: 이하, "전자카세트"라 칭함)를 제공하고, 전자카세트의 기록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는, 이동 가능한 전자카세트가 장착 및 탈착되는 버키 트레이와; 상기 버키 트레이와 통신으로 접속되고, 상기 버키 트레이에 장착된 전자카세트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한 전자카세트의 전처리 파일을 네트워크 또는 이동저장장치를 통해 저장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상기 다수의 전자카세트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워크스테이션을 구비한다.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워크스테이션, 전자카세트, 아이디 칩, 전처리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료 영상 시스템에서 디지털 엑스선(X-선)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부착 및 이동할 수 있는 평판검출기(Portable Type Flat Panel Detector: 이하, "전자카세트"라 칭함)를 제공하고, 전자카세트의 기록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진단용 엑스선 촬영 장치는 엑스선(X-선)을 인체에 조사하고, 그 투과된 엑스선의 에너지 강도 분포 차이를 검출하는 방식을 말하며, 상기 검출 수단으로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다.
아날로그 방식은 엑스선을 받으면 빛을 발하는 증감지(형광판)와 은염 필름을 조합하여, 상기 증감지에서 발생한 빛으로 은염 필름상에 잠상을 형성한 후, 이 은염 필름을 화학 처리하여, 가시 상을 얻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방법을 얻기 위해 증감지와 필름을 암 상태로 보관하고, 촬영에 이용하는 필름 카세트가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방식은 필름과 현상과정에서 소모적인 비용이 꾸준히 발생 되고, 필름 하나에 영상의 획득, 디스플레이, 저장, 전달매체 등의 과정을 모두 내포하고 있어서 세심한 필름 관리가 필요하며 필름 관리에 어려움, 관리 비용의 증가, 분실 및 파손 등의 위험성을 항상 내재하고 있으며 현상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은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병원 환경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현상과정에 따른 시간 소비는 환자 진료 시간의 지연을 야기하여 의료 서비스 환경에 개선을 시급히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 방식은 엑스선에 감응하는 검출매체로 2차원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서 발생하는 미세 전기적 신호를 2차원 매트릭스를 통해 얻고, 상기 미세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 상기 증폭회로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변환 값을 화상데이터로 구성 한 후, 상기 화상 데이터를 최적의 시각화를 위해 적절한 영상처리 과정을 거친 후에 모니터 또는 프린터로 표시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지는 대표적인 검출기는 영상판(Image Plate)을 이용한 CR(Computer Radiography)과 신틸레이터(Scintillator) + 전하결합소자(Charge-Coupled Device)를 이용한 CCD 검출기,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한 평판검출기(Flat Panel Detector) 등이 있다. 상기 검출기 중에서 영상의 질이나 환자 피폭선 량의 감소, 검사 효율성, 장착 수월성 등을 고려할 때, 상기 평판검출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엑스선 영상을 얻는 방식이 근래의 추세이다.
이상적인 평판검출기는 적정한 선량 수준에서 높은 공간 분해능을 보이며 대조도 분해능이 높아 양질의 영상을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시간 분해능이 우수하 여야 하며, 14x17(인치)이상의 대면적으로 영상화가 가능하여야 하며, 200㎛ 이하의 화소 크기를 가지고, 횡축으로 2000화소, 종축으로 2000화소 이상의 매트릭스를 가져야 한다. 한편, 검출기 자체는 견고하고, 반도체를 사용하며, 그 크기가 증감지/필름 카세트와 동등해야 하고 무게 및 성능이 적절하여야 한다.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 평판검출기는 이러한 조건을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나, 그 크기와 무게 측면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하고 있으며, 테이블 버키(Bucky) 또는 스탠드 버키 안에 고정해야만, 그 사용이 가능하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첫째, 진단을 하기 위한 특수한 촬영 기법에 제약이 있다. 예를 들어, 고정형 평판검출기가 폐쇄형 테이블 버키와 폐쇄형 스탠드 버키 안에 고정이 되어 있으므로, 엑스선 관구에서 발생하는 엑스선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조사되어 환자를 투과하고, 투과된 엑스선이 폐쇄형 테이블 버키 안에 고정형 평판검출기에 검출된다. 그러나 고정형 평판검출기의 이동 제약은 수평 방향 촬영이나 축 측 방향 촬영을 할 수 없거나 환자가 매우 불편한 자세로 촬영을 하게 되어 진단적으로 가치 있는 영상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중환자나 응급환자는 그 상태가 매우 나빠서 이동형 환자 침대에서 촬영을 해야 하는데, 상기 고정형 평판검출기(340)를 사용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는 상기 촬영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고정형 평판검출기를 사용하는 기존 디지털 엑스선 장치는 반드시 영상판(Image Plate)을 이용한 CR(Computer Radiography) 장비를 겸용으로 사용해야만 한다.
영상판(Image Plate)은 카세트라는 보호케이스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그 형태와 무게가 필름과 증감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카세트와 매우 동일하기 때문에 기존에 필름과 증감지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매우 친화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무게가 1~3Kg 정도이므로 간단한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촬영 자세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영상판(Image Plate)은 촬영에 의해 발생한 잠상(latent Image)을 가지고 있으며, 영상판독기(Image Reader)에서 그 잠상을 읽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과 영상처리(image processing)을 통해 최종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영상판(Image Plate)은 촬영 회수에 따른 노화도를 가지고 있으며 영상 노화도 측정을 통하여 교체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동일한 환자에서 평판검출기와 영상판으로 촬영을 할 경우, 두 개의 디지털 영상을 비교하여 진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는 두 개의 검출기가 그 특성과 영상처리 기법이 상이하여, 영상 판독의사가 비교 검토하여 영상을 판독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둘째, 엑스선 조사에 의해 피사체에서 발생한 산란선을 제거하기 위한 격자가 버키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산란선 발생이 적어 상기 격자가 필요하지 않은 촬영법에도 상기 격자를 사용해야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격자는 엑스선 검출매체에 도달하는 산란선을 제거하는 용도로 연박판과 알루미늄(또는 종이, 카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격자는 산란선만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영상 형성에 필요한 일차선도 제거한다. 상기 격자가 버키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격자가 필요 없는 촬영법에서도, 상기 격자를 반드 시 사용해야 하므로 상기 격자 사용에 따른 부족한 일차선 만큼 촬영 조건이 상승되므로 환자 피폭선량 증가와 X-선 튜브 부하 상승을 야기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장비에서는 격자를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버키를 제공하기도 한다.
셋째, 상기 고정형 평판검출기는 버키안에 고정되어 있어 모든 검사 영상이 확대(iRs/Ps, Ps: 피사체크기, iPs: 영상크기)된다.
의료용 진단 엑스선 영상은 확대 없이 정확한 실측 사이즈의 영상(Ps = iPs)을 요구된다. 영상 확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엑스선 초점과 환자의 거리(Dfo)를 최대한 멀리하고, 환자와 검출기 사이의 거리(Dod)를 최소화해야 한다. 테이블 촬영에서 엑스선 초점과 검출기 거리(Dfod)는 100cm(42)로 정의되어 있어 확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환자와 검출기 사이의 거리(Dod)가 최소화되어야 하지만, 버키 내에 고정형 평판검출기가 장착이 되어 있어서 그 거리(Dod)를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넷째, 검출기 문제로 교체할 경우 서비스 완료까지의 시간이 길다.
장비 사용 중 고정형 평판검출기의 이상 발생으로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디지털 엑스선 장치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서비스 엔지니어의 출장 방문 시간, 탈착 및 장착 시간과 검출기의 안정화 시간, 검출기의 영상보정파일생성(캘리브레이션) 시간 등이 필요하게 되어 상기 고가의 디지털 엑스선 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최근에 상기 고정형 평판검출기로 구성된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의 문제점 을 개선하고자, 이동형 평판검출기(이하, "전자카세트"로 칭함)로 구성된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전자카세트는 이동성과 조작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야 하고, 특히 기존의 영상판 카세트 또는 필름 카세트를 사용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에도 적용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구조 설계가 요구된다.
특히, 상기 전자카세트는 그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을 택해야 하고, 전원공급을 위한 축전지가 더 필요하며, 자율성에 따른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특수한 구조와 엑스선 촬영 장치 버키에서 기존의 영상판 카세트 및 필름 카세트와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특별한 설계가 필요해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전자카세트의 그 크기와 무게는 증가되고, 특히 촬영 횟수가 많을 경우, 상기 축전지의 용량을 크게 설계해야하므로 전자카세트의 소형화와 경량화에는 특화된 구성과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영상판 카세트와 필름 카세트는 상기 버키에 장착하고 엑스선 검사를 실행하면 영상판 카세트의 영상판과 필름카세트의 필름에 잠상이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잠상은 상기 카세트를 버키에서 탈착 후 영상판 리더기나 필름 현상기로 화상을 얻게 된다. 그러므로 영상판 카세트와 필름 카세트는 엑스선 검사 때마다 상기 버키에서 장착 및 탈착을 반복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고정형 평판검출기를 사용하는 디지털 엑 스선 촬영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버키 트레이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이동할 수 있는 전자카세트를 구비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수의 전자카세트를 다수의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실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수의 전자카세트를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사용함에 있어 그 혼란을 방지하고, 자동화를 극대화하도록 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자카세트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버키 트레이의 구조를 구비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버키 트레이에서 영상판 카세트 또는 필름 카세트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정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버키 트레이에 장착된 전자카세트의 아이디와 장착 상태를 파악하는 아이디 리더기를 구비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카세트의 전원공급을 버키 트레이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 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자카세트의 잘못된 장착, 잘못된 촬영 위치, 잘못된 설정으로 인한 엑스선 발생을 방지하고 불필요한 환자 피폭 선량 증가를 방지하도록 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자카세트 테두리에 2개 이상의 오목 홈을 구비시켜 전자카세트를 버키 트레이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자카세트에 워크스테이션과 연결되어 있는 채널을 나타내주도록 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아이디 칩(바코드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다수의 전자카세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자카세트는 전자카세트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다수의 전자카세트 중 선택된 전자카세트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버키 트레이 또는 보관장치에서 전자카세트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는,
이동 가능한 전자카세트가 장착 및 탈착되는 버키 트레이와;
상기 버키 트레이와 온라인 상에서 접속되고, 상기 버키 트레이에 장착된 전자카세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전자카세트의 전처리 파일을 네트워크 또는 이동저장장치를 통해 저장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상기 다수의 전자카세트에 의해 생성된 파일을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다수의 전자카세트에 대응하는 전처리 파일들을 상기 다수의 전자카세트에 적용시키는 전처리부와; 상기 다수의 전자카세트와 통신을 위한 채널을 구비하고,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통신 및 영상 획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는,
상기 워크스테이션에서 상기 네트워크 및 이동저장장치를 통해 상기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는 전자카세트의 전처리 파일을 다른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에 구비된 워크스테이션에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버키 트레이는, 다수의 전자카세트를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사용함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착되는 전자카세트를 식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버키 트레이는, 조작자 부주의에 의한 전자카세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고정장치는 상기 전자카세트의 정상적인 장착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버키 트레이는, 상기 전자카세트를 중심 수직선에 일치시키기 위해서, 2개의 이동고정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고정장치는 상기 전자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고정장치는, 상기 전자카세트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볼록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버키 트레이는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전자카세트의 채널을 나타내는 채널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버키 트레이는 장착되어 있는 전자카세트 또는 영상판 카세트 또는 필름 카세트의 종류를 구분하고 그 종류와 크기에 따라 중심 수평선을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버키 트레이는 전자카세트의 아이디 칩을 읽기 위한 아이디칩 리더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버키 트레이는, 상기 전자카세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는, 상기 전자카세 트의 잘못된 장착, 잘못된 촬영 위치, 잘못된 설정으로 인한 촬영 오류에 따른 환자 피폭 선량 증가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카세트는 상기 워크스테이션과 연결되어 있는 채널을 나타내는 채널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카세트는 식별을 위해 아이디 칩을 1개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카세트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다수의 전자카세트 중 선택된 전자카세트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카세트 선택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카세트는 상기 버키 트레이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는, 고정형 평판검출기를 대체해서 전자카세트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엑스선 촬영기법이 가능해지며, 환자의 피폭선량을 최소화하며, 불필요한 영상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응급환자 또는 중환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촬영 위치 선택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카세트를 호환 가능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조작자가 실시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어서, 고가의 전자카세트를 최소 수량으로 그 사용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카세트에 채널표시부가 있어, 조작자가 동일한 전자카세트 사용에 따른 혼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전자카세트 선택 스위치가 있어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이용되는 다수의 전자카세트 중 선택된 전자카세트로 촬영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버키 트레이에서 대면적 전자카세트, 소면적 전자카세트, 영상판 카세트, 필름카세트를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엑스선 촬영 장치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버키 트레이에서 장착되어 있는 전자카세트의 아이디 칩을 읽고, 그 장착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그에 따른 자동화를 극대화하고, 장착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을 때에는 엑스선 발생을 방지하여 환자의 불필요한 피폭 선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버키 트레이에서 전자카세트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자카세트의 충전지 용량을 작게 하여 전자카세트를 경량화할 수 있으며, 조작자가 전자카세트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전자카세트의 전원 공급장치에 별도로 연결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성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전자카세트를 이용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의 개념도로서, 워크스테이션(101), 모니터(251),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 테이블(531), 테이블 버키(521), 스탠드 버키(501), 전자카세트 보관장치(5951), 전자카세트(3111, 3211)로 구성되어 있다.
워크스테이션(101)에는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와 통신 및 영상 획득부(131), 전처리부(141),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워크스테이션(101)은 상기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는 X-선 발생 장치(211) 및 버캐(501, 521)를 제어하며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111)와 통신 및 영상획득부(131)와 서로 연동이 된다.
상기 통신 및 영상 획득부(131)는 상기 워크스테이션(101)과 연결되는 전자카세트의 채널을 결정하고, 연결된 전자카세트를 다중 제어하며, 영상을 획득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행한다. 여기서 연결할 수 있는 채널 수는 2개 이상을 갖는다. 특히, 전자카세트와 연결하는 통신 방법은 유선(1315, 1316) 또는 무선(1317, 1318)으로 연결된다.
전처리부(141)는 이동평판검출기(3111, 3211, 3321)에 해당하는 보정 파일(3112, 3212, 3312)을 관리 및 적용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전처리부(142, 143)를 포함하는 제2디지털엑스선촬영장치(B)와 이동형 디지털엑스선촬영장치(C)가 포함하는 보정파일(3122, 3222, 3322, 3132, 3232, 3332)을 탐색 및 적용하는 역할을 한 다.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111)에서는 환자 및 검사 정보를 영상 획득 및 전송 시스템(PACS)(270)을 통해 조회 및 적용하거나 직접 수동 입력하고, 전처리 과정(Pre-processing)을 통해 깨끗해진 영상(Clean Image, CI01)을 기반으로 후처리과정(Post-processing, 1111)을 통해 최적화된 영상(Optimized image, 1112)을 생성하며, 상기 최적화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영상 획득 및 전송 시스템(27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환자 및 검사 정보에서, 각각 검사를 정확하게 하기 위한 검사 방법과 장비의 설정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조작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획득된 영상의 진단적 가치는 그 차이가 크다. 따라서 항상 동일한 영상으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환자 및 검사 정보에 맞추어 장비의 설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111)는 촬영조건의 자동 설정, 버키의 자동 설정, 검출기의 자동 설정 등의 역할을 하고 전자카세트의 장착 상태 표시와 잘못된 설정에 따른 경고 메시지 발생 등 구성장치의 총괄적인 제어 기능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로 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전자카세트의 활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A), 제2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B), 이동형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C), 즉, 3개의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전자카세트 3개를 활용한다. 상기 제1디지털엑스선장치(A)는 2개의 전자카세트(3111,3211)를 사용하는 촬영장치이다.
상기 촬영장치는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와 소면적 전자카세트(3211)와 같 이 두 가지 종류의 전자카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 3311)는 검출면적이 14 X 17(인치)"로 되어 있으며, 소면적 전자카세트(3211)는 검출면적이 10x12(inch)로 되어 있다. 상기 전자카세트를 대면적과 소면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엑스선 촬영 검사의 종류와 그 방법이 다양하여, 대면적의 카세트는 복부와 가슴, 척추 등에 그 활용도가 높고, 소면적 전자카세트는 사지와 굴곡이 있거나 위치 잡기가 어려운 특수한 촬영법을 요구하는 부위의 검사에 그 활용도가 높아서, 상기 엑스선 촬영 검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제2디지털엑스선장치(B)는 흉부 전용 장치이다. 상기 장비는 병실 및 외래 환자 또는 건강검진자의 흉부검사 전용 장치이며, 그 검사가 오전에 대부분이 이루어지며 오후와 야간에는 검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오후와 야간에는 상기 제2디지털엑스선장치(B)의 전자 카세트(3321)를 제1디지털엑스선장치(A)의 Ch3(1313)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이동형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C)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동형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C)는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의 환자가 촬영실까지 이동할 수 없는 경우, 엑스선 촬영 장치를 환자가 있는 병실로 이동시켜 촬영을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비의 경우 검사 요청은 수시로 이루어지지만 검사량은 많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전자 카세터(3111, 3211, 3311)를 탈착하고, 상기 탈착된 전자카세트를 상기 이동형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C)에 장착하고, 응급실 및 중환자실에서 검사를 할 수 있다. 상기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전자카세트는 상기 이동형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C) 에서 탈착되어 제 1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다시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3개의 전자카세트를 이용하여 3개의 디지털엑스선장치(A, B, C)에 사용함으로써, 고가의 이동평판검출기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만약 검사의 항목이 단순하여 대면적의 이동형 평판검출기로 모든 검사가 용이하다면 소면적 이동평판검출기가 필요가 없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 상기 2개의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 3321)로 3개의 디지털엑스선장치(A, B, C)를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전자카세트의 영상 전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전자카세트는 그 특성상 결함 화소가 있으며, 이를 깨끗하고 정확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결함 화소를 수정하는 보정파일(Correction file, MC01, 3112)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 보정파일은 전자카세트의 캘리브레이션(191)이라는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데,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전자카세트 제조회사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때 얻어지는 파일은 옵셋보정파일(Offset map file, MOM01), 이득보정파일(Gain Map file, MGM01), 결함보정파일(Defect Map file, MDM01), 기타보정파일(Other Map file, MTM01)이 생성된다. 이러한 보정파일은 원본 영상(Raw image, MR01)을 깨끗한 영상(Clean Image, CI01)으로 만드는데 반드시 필요하고 상기 보정 파일 (MC01, 3112)은 실시간으로 수정(update)되어야 한다. 이는 전자카세트가 촬영 회수, 조사 선량, 주변 온도 변화 등에 따라 옵셋(Offset)과 결함 화소의 특성이 실시간으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적의 깨끗한 영상(Clear Image, CI01)을 얻기 위해서는 보정 파일(Correction Map file, MC01,3112)을 반드시 실시간으로 수정해야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전처리부(141) 에서 한다.
만약, 제1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A)의 전자카세트(3111)를 호환 가능한 다른 장비(B, C)에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의 두 가지 조건에 만족해야 한다.
첫 번째는 고유 번호가 맞는 전자카세트(MD01, 3111)의 보정 파일(MC01, 3112)이 다른 장비(B, C)에 적용되어야 한다. 이는 보정 파일이 전자카세트의 상태에 따라 오프셋 및 결함 화소가 실시간으로 변화되므로 가장 최근에 수정된 보정파일이 적용되어야 한다.
두 번째는 전자카세트의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일정 시간 후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카세트(3111)의 오프셋은 급격한 변화가 생긴다. 이때 상기 전자카세트에서 발생한 오프셋과 결함 화소는, 전처리부(141, 142, 143)에 저장되어 있는 오프셋 보정 파일(Offset map file, MOC01) 및 결함 보정 파일(Defect map file, MDC01)과 상당히 다르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 원본 영상(Raw Image, MR01)을 획득하고, 상기 전처리부를 통해 전처리(Pre-processing, 151)를 하게 된다면, 최적의 깨끗한 영상(Clear Image, CI01) 획득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A, B, C)의 워크스테이션은 다수의 전자카세트의 전처리 파일을 다수의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전처리부(141,142, 143)를 포함하며, 전자카세트(3111, 3211)는 축전지(3048, 3248)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A)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자 카세트(3111)를 탈착하고, 제2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B)에 장착하고 사용할 때 상기 2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데, 상기 로직(141, 142, 143)은 네트워크로 전처리 파일을 서로 공유하고 있어서, 상기 전자카세트(3111)를 제2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B)에 장착할 때, 제2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B)의 로직(142)은, 최근 적용되었던 전자카세트(3111)의 전처리 파일(3112)을 제1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A)의 로직(141)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처리 파일(3112)을 제2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B)의 로직(142)의 전처리 파일(3122, MC01B)에 적용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최근에 수정된 전처리 파일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카세트(3112)의 축전지(3048)는 상기 전자카세트가 제1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A)에서 탈착되고, 제2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B)에 장착될 때까지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보정파일 검색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전자카세트(3111)가 버키(501,521) 또는 보관장치(5951, 5953)에 장착(S810)이 되면, 전자카세트(3111)의 고유번호(MD01)는 전자카세트(3111) 후면에 전자식 아이디 칩(651,652,653)에 저장이 되어 있는데, 상기 전자식 아이디 칩(651,652,653)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번호를, 버키 트레이(5100)에 장착되어 있는 아이디 칩 리더기(5061) 또는 전자카세트 보관장치(5951, 5953)에 장착되어 있는 아이디 칩 리더기(5961, 5953)가 그 고유번호를 인식하고(S820),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에 전달한다. 여기서 전자식 아이디 칩 대신에 바코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코드 이용시에는 아이디 칩 리더기 대신에 바코드 리더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코드 이외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리더기 또한 그에 대응하는 리더기로 대체하면 된다. 즉, 상기 아이디 칩, 바코드 등을 식별 코드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장비를 코드 리더기라고 할 수 있다.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는 상기 전자 카세트의 고유번호를 통신 및 영상 획득부(131)와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111)에 전달한다. 상기 통신 및 영상 획득부(131)는 전자카세트(3111)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유선으로 연결(S840)이 되면 그 연결된 유선(1315, 1316)에 의해 채널(Ch1, Ch2, Ch3)이 결정(S833)이 되고, 무선으로 연결(S830)이 되면 무선(1314)에 의해 자동으로 채널(Ch1, Ch2, Ch3)이 결정(S831)되고, 버키 트레이의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전자카세트에 전원을 공급한다(S832).
전처리부(141)에서는 전자카세트(3111)가 연결된 채널(1311)과 고유번호(MD01)를 파악하고 그에 해당되는 보정파일(MC01, 3112)의 유무를 확인한다. 보정 파일이 있으면(S851) 확인 및 적용(S861)하여 촬영 준비를 완료한다(S862). 만약, 상기 시스템에 보정파일(MC01,311)이 전처리부(141)에 없다(S852)면 다른 시스템의 전처리부(142) 또는 이동저장장치(260)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 파일(MC01B, MC01C, 3122, 3132)을 검색하고, 그 중에 가장 최근에 적용되었던 보정파일을 검색 및 적용(S861)하고 촬영 준비를 완료한다(S862). 그러나 적용할 수 있는 보정파일이 검색되지 않을 경우(S856)에는 보정파일 생성을 요청(S853)하고 종료한다.
도 5는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의 전면도와 배면도이고, 도 6은 소면적 전자카세트(3211)의 전면도와 배면도이다.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는 14 x 17(인치)" 의 검출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소면적 전자카세트는 10 x 12(인치)"의 검출 면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전자카세트(이하, 대면적 전자카세트 및 소면적 전자카세트의 크기 구분이 필요 없을 때는 전자카세트로 칭함)의 전면 검출 표면에는 방향을 가리키는 방향 표시기(3043, 3243)와 중심 수직선(3041, 3241), 중심 수평선(3042, 3242)으로 구성되어 있고, 검출기 테두리에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3044, 3244)와 버키 트레이에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을 위한 고정 홈(3051~3056, 3251, 3252)이 구비되어 있으며, 손잡이 부분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3048), 연결채널 및 준비상태를 나타내는 채널 표시부(3045, 3245)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동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손잡이(3046, 324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채널 표시부(3046, 3246)는 다수의 전자카세트 중 특정의 전자카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전자카세트 선택 스위치(3045a, 3445a)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면에는 전자식 아이디 칩(3061~3063, 3261)과 전원 단자부(3070, 3080, 3090, 32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평판검출기의 방향 표기기(3043, 3243)는 획득되는 영상의 방향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화살표 방향을 항상 위로 설정(711)하여 영상을 획득하면 바른 영상(721)이 획득된다. 중심 수직선(3041, 3241), 중심 수평선(3042, 3242)은 전자카세트의 중심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의 테두리에는 6개의 고정 홈(3051~3056)을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 홈은 버키 트레이(5100)에 안전하고 견고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버키 트레이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8은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어떠한 형태로 장착 상태에서라도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 홈은 중심 수평선(3041)을 기준으로 상단 좌 우측에 2개(3051, 3052), 하단 좌 우측에 2개(3053, 3054), 중심 수직선(3042)을 기준으로 좌측 상 하단에 2개(3055, 306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 좌 우측 2개 고정 홈(3051, 3052)은,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가 고정장치에 역방향 수직 장착일 때(도 11, (a)), 고정부(5230, 5240)와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 하단 좌 우측 2개 고정 홈(3053, 3054)은, 상기 이동평판검출기(3111)가 순방향 수직 장착일 때(도 11, (b)), 고정부(5230, 5240)와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 좌측 상 하단 고정 홈(3055, 3056)은, 상기 이동평판검출기(3111)가 고정장치에 순방향 또는 역방향 수평 장착일 때(도 8, (c)), 고정부(5230, 5240)와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3031) 두께는 기존의 영상판 카세트와 필름 카세트의 두께(약 10mm)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상기 소면적 전자카세트(3211)는 테두리에 2개의 고정 홈(3251, 3252)을 가지고 있다. 상기 고정 홈은 버키 트레이에 안전하고 견고한 고정을 위함이다.
도 9는 상기 소면적 전자카세트가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는 형태를 도시 하였다. 상기 소면적 전자카세트는 버키 트레이에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 홈은 수평 중심선(3242)을 기준으로 상단 좌 우측에 2개(3251, 32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면적 전자카세트는 대면적 검출기와 달리 고정 홈이 2개만 있어도 된다. 이는, 그 크기가 소형이고 버키 트레이(5100)의 장착 형태에 따라 검사 방법 제한이 없으므로, 버키 트레이에 한가지 형태로만 고정하여도 된다.
상기 전자카세트(3111, 3211)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3048, 3248)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카세트(3111, 3211)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자카세트가 무선(1314)으로 워크스테이션(101)과 접속이 되면, 상기 전자카세트의 전원공급은 상기 축전지(3048, 3248)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축전지의 충전 전원은 버키 트레이(5100)의 전원 공급부(5061)와 전자카세트 보관장치(5951, 5953)의 전원 공급부(5961, 5963)에서 공급한다. 상기 전자카세트는 상기 버키 트레이에서 전원공급을 받게 되므로, 상기 전자카세트가 버키에 장착되어 연속적인 검사가 실행될 때, 축전지의 용량 한계에 따른 연속적인 검사 제한을 받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전자카세트가 유선(1315, 1316)으로 워크스테이션(101)과 접속이 되면, 상기 전자카세트의 전원공급은 상기 유선을 통해 공급받는다. 상기 전자카세트는 유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직접 사용하지 않고 축전지(3048)의 충전 전원으로만 사용된다. 이는 상기 전자카세트를 호환 가능한 디지털엑스선장치(B, C)에 장착을 위해, 상기 유선이 탈착되면서 일시적으로 동작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선의 연결 부위의 접촉불량으로 불안정한 전원 공급에 따른 동작 오류 및 전원 차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자카세트의 채널표시부(3045,3245)는 상기 전자카세트가 워크스테이션(101)과 현재 연결되어 있는 채널을 표시한다. 상기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2개 이상의 전자카세트를 장착하고 사용할 때, 사용자는 영상획득을 위해 선택한 전자카세트를 정확히 구분해야만 한다. 만약 이 구분이 없다면, 사용자는 검사 준비를 1번 전자카세트(3111)에 이행하고, 영상획득을 2번 전자카세트(3211)에서 이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는 정확한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고 환자 피폭만 주어지게 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상기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자 카세트를 쉽고 편리하게 구분하기 해야 하는데 그 방법으로, 상기 전자카세트가 현재 연결되어있는 채널을 상기 전자카세트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카세트의 채널 표시부(3045a, 3245a)는 전자카세트 선택 스위치(3045a, 3445a)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카세트 선택 스위치는 사용자가 약 2초 정도 폐쇄하고 있으면 상기 전자카세트가 촬영에 이용됨을 워크스테이션에 전달한다. 사용자가 촬영실에 있는 다수의 전자카세트를 사용할 때는 각각의 전자카세트를 정확히 구분하여 촬영에 임해야 한다. 그러나 응급 환자나 중환자를 촬영하다 보면 상기 전자카세트의 정확한 구분은 숙련되기 전까지 촬영의 오류를 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환자의 위치 잡이를 하는 도중 상기 전자카세트 선택 스위치를 선택하고 확인함으로써 촬영에 이용되고 있는 전자카세트를 정확히 구분하고 워크스테이션에 알려주어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촬영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전자카세트를 촬영할 때 다수의 전자카세트 중에 선택된 전자카세트가 촬영에 활용되어 그 혼동을 방지하고 정확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채널표시기(3045)는 전자카세트(3111, 3211)의 채널만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검사 준비 상태도 표시한다. 상기 전자카세트(3111, 3211)가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서 채널로 연결이 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채널 표시기(3045, 3245)는 꺼져 있는 상태이고, 상기 채널로 연결되어 보정파일을 검색하여 적용되어있는 검 사 대기 단계는 상기 채널 표시기(3045, 3245)가 깜빡임으로 표시하고, 검사를 위해 해당 채널이 선택되고 모든 검사 준비 상태가 완료되면 상기 채널 표시기(3045, 3245)는 지속적으로 켜져 있는 상태로 표시하여 사용자기 그 준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111)는 상기 전자카세트(3111, 3211)의 채널을 정의하고, 그 표시를 전자카세트의 채널 표시기(3045, 3245)와 버키 트레이의 채널 표시기(5639, 5739) 및 디스플레이 모니터(251)에 표시한다. 채널 표시는 1번 채널 파랑, 2번 채널 녹색, 3번 채널 노랑으로 표시하여 가독성을 높이고. 채널이 추가로 더 필요하다면 채널과 그 채널에 해당되는 색깔을 별도로 정의한다.
상기 전자카세트의 배면에는 아이디 칩(3061, 3062, 3063, 3261)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아이디 칩은 전자카세트의 고유번호와 각각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아이디 칩은 버키 트레이 또는 보관장치에서 상기 전자카세트를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에서 다수의 전자카세트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검사 목적에 맞게 버키 선택(스탠드 버키, 테이블 버키, 버키 미사용)을 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전자카세트를 선택해야 한다. 만약 검사를 위해 스탠드 버키를 선택하고 테이블 버키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카세트를 선택한다면, 엑스선은 스탠드 버키에 조사되고 영상은 테이블 버키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카세트에서 영상을 얻게 되어 검사 오류를 야기하게 된다. 상기 스탠드 버키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카세트를 파악하고 그 연결된 채널을 파악할 수 있다면, 상기 스탠드 버키를 선택함으로써 장착되어 있는 전자카세트도 자동으로 선택되어 상기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키(501, 521)와 보관장치(5951, 5953)에서 장착되어 있는 전자카세트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버키와 보관장치는 아이디 칩 리더기(5061, 5961, 5963)를 포함하고 있다. 소면적 전자카세트(3211)가 스탠드 버키(501)에 장착되면, 상기 아이디 칩 리더기(5061)는 장착된 소면적 전자카세트(3211)의 아이디 칩(3261)의 고유번호(MD02)를 읽고, 상기 고유번호는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에 전달하고, 상기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는 상기 고유번호를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111)에 전달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고유번호에 해당되는 채널 정보를 통신 및 영상 획득부(131)에 요청하고, 상기 통신 및 영상획득부는 상기 고유번호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카세트의 채널 정보(1312)를 확인하여, 상기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에 전달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는 상기 채널 정보를 기록한 뒤 상기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는 상기 채널 정보를 채널 표시장치(5639, 5730)에 표시한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에서 사용자가 스탠드 버키(501)를 선택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는 기록된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스탠드 버키에 장착된 전자 카세트(3211)를 자동으로 선택한다.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는 상기 아이디 칩을 3개 포함하고 있다.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는 14 X 17(인치)"로 검출면적이 넓고 한 변에는 이동의 편리성을 위한 손잡이(3046)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에 아이디 칩이 3개를 포함하는 것은,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는 형태가 3가지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도 11은 스탠드 버키(501)에 버키 트레이(5100)를 양방향에서 장착하는 것을 도시 하고, 도 8은 상기 버키 트레이에 대면적 전자카세트를 장착하는 것을 도시 하고 있다. 상기 버키 트레이가 우측 삽입(도 11, (a))을 할 경우 상기 전자카세트는 순방향 수직 장착(도 8 (b))이 어렵다. 이는 상기 손잡이가 버키 우측 케이스(554)에 간섭이 발생 되기 때문이다. 또한, 버키 트레이가 좌측 삽입(도 11, (b))을 할 경우, 상기 전자카세트는 역방향 수직 장착(도 8, (a))이 어렵다. 이는 상기 손잡이가 버키 좌측 케이스(555)에 간섭이 발생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버키 트레이를 양방향에서 삽입 가능한 버키(501)는,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는 도 8과 같이 3가지 형태로 장착된다. 상기 3가지의 어떤 형태라도, 버키 트레이에서 장착되는 전자카세트의 고유번호는 파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자카세트 배면에는, 버키트레이의 아이디 칩 리더기(5061)에 대응되는 위치에, 아이디 칩(3061, 3062, 3063)을 각각 위치하였다. 역방향 수직 장착(도 8, (a))일 경우 상단 아이디 칩(3061)이 대응되고, 순방향 수직 장착(도 8, (b))일 경우 하단 아이디 칩(3063)이 대응되고, 수평장착(도 8, (c))일 때는 중간 아이디 칩(3062)이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3개의 아이디 칩은 장착된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의 수평중심선 위치(5637, 5638, 5737, 5738)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는 촬영 목적에 따라 버키 트레이(5100)에 수직 장착(도 8 (a), (b))과 수평 장착(도 8 (c))으로 구분된다. 상기 장착 형태에 따라서 버키 트레이의 수평중심선 위치(5637, 5638, 5737, 5738)와 전자카세트의 수평중심선(3041h, 3042h)의 일치는 변경된다. 상기 전자카세트가 상기 버키 트레이에 수직 장착일 때는, 상기 전자카세트의 상단 아이디 칩(3061)과 하단 아이디 칩(3063)이 아이디 칩 리더기(5061)에 대응되고, 상기 대응은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에 전달되고, 상기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는 버키 트레이(5100)의 위치표시기에서 전자카세트용 세 번째 눈금(5638, 5738)을 표시하게 한다. 이는 상기 전자카세트의 수평중심선(3042h)이 버키 트레이(5100)의 위치표시기에서 전자카세트용 세 번째 눈금(5638, 5738)과 일치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카세트가 상기 버키 트레이에 수평 장착일 때는, 상기 전자카세트의 중간 아이디 칩(3061)이 아이디 칩 리더기(5061)에 대응되고, 상기 대응은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에 전달되고, 상기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는 버키 트레이(5100)의 위치표시기에서 전자카세트용 두 번째 눈금(5637, 5737)을 표시하게 한다. 이는 상기 전자카세트의 수평 중심선(3041h)이 버키 트레이(5100)의 위치표시기에서 전자카세트용 두 번째 눈금(5637, 5737)과 일치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전자카세트용 두 번째 눈금과 상기 전자카세트용 세 번째 눈금 표시는 상기 버키내에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장착되었음을 의미한다.
소면적 전자카세트(3211)는 상기 아이디 칩을 1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소면적 전자카세트는 10 X 12(인치)"로 검출면적이 비교적 작고 한 변에는 이동의 편리성을 위한 손잡이(3246)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소면적 전자카세트에 상기 아이디 칩을 1개 포함하는 것은, 상기 소면적 전자카세트가 버키 내에서 장착되는 형태가, 도 9와 같이 1가지 형태로 단순하 여 아이디 칩 리더기에 대응하는 아이디 칩이 1개만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 9는 버키 내에 장착되어 있는 소면적 전자카세트의 수평중심선을 상기 위치표시기의 전자카세트용 첫 번째 눈금(5636, 5736)에 표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버키내에 소면적 전자카세트 장착을 의미하며, 상기 표시는 상기 장착된 소면적 전자카세트의 수평중심선(3242h)과 상기 위치표시기의 전자카세트용 첫 번째 눈금(5636, 5736)과 일치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전자카세트용 첫 번째 눈금 표시는 상기 버키 트레이에 소면적 전자카세트가 장착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전자카세트의 배면에는 전원 단자부(3070, 3080, 3090, 3270)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전자카세트가 무선으로 워크스테이션과 접속이 되면 상기 전원 단자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5(b)와 같이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의 배면에는 전원 단자부(3070, 3080, 3090)를 3개를 포함한다. 위치는 아이디 칩(3061, 3062, 3063) 바로 아래에 있다. 이는 도 8과 같이 모든 장착 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받기 위함이다. 아울러 도 6(b)와 같이 소면적 전자카세트(3211)의 배면에는, 전원단자부(3270)를 1개 포함한다. 위치는 아이디 칩(3261) 바로 아래에 있다. 각각 전원 단자부(3070, 3080, 3090, 3070)는 각각 전원단자(3071, 3081, 3091, 3271), 그라운드 단자(3072, 3082, 3092, 3272), 센서 단자(3073, 3083, 3093, 3273)로 구성되어 있다.
도 15(a)와 같이 상기 전원 단자부의 각 단자는 전자카세트 배면에 함몰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단자와 대응되는 전원 공급부(5070)의 각 단자는 플러그(5091)를 형태로 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카세트가 버키 트레이 및 보관장치에 정 상적으로 장착되면,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전원단자에 접촉이 된다. 상기 센서(3073)는 전자카세트의 전원 단자부(3070)가 버키의 전원 공급부(5070)와 정상적으로 접촉이 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버키 트레이는 상기 전자카세트의 전원단자(3071)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단자(3070)의 구성 및 기능은, 다른 전원단자(3080, 3090, 3270)의 상기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버키(501, 521)는 비산란 그리드(Moving Grid, 320)와 이온 쳄버(Ion-chamber, 330)가 장착되어 있고, 그 아래 버키 트레이(5000)는 카세트(3111, 3211, 410, 420)를 고정하여 버키 내로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구조, 예컨대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9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비산란 그리드(320)는 인체(910)를 투과한 엑스선에서 발생한 산란선을 제거하여 화질을 향상하며, 이온 챔버(330)는 투과 엑스선 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측정량은 엑스선 발생장치로 전달되어 엑스선 조사량을 제어한다.
도 7은 전자카세트(3111, 3211), 영상판 카세트(410, 420), 필름카세트를 안정적으로 장착하고, 버키에 삽입 역할을 하는 버키 트레이(5000)를 도시하였다. 상기 버키 트레이(5000)는 카세트가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버키 트레이(5000)는 카세트의 채널 및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5600, 5700)와 카세트를 버키 트레이(5000)에 안전하게 고정하는 고정부(5110~5222), 전자카세트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5070), 전자카세트의 아이디 칩(3061~3063, 3261)을 읽는 아이디 인식부(50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키 트레이(5000)의 채널 및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5600, 5700) 는 장착 되어 있는 카세트의 종류(대면적 전자카세트, 소면적 전자카세트, 영상판 카세트, 필름 카세트), 전자카세트의 연결 채널과 그 준비 상태, 장착 상태(수직, 수평 장착), 버키 트레이의 버키 삽입상태 등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5600, 5700)의 채널 표시기(5639, 5739)는 장착되어 있는 카세트의 종류 및 채널을 표시한다. 카세트가 버키 트레이(5000)에 장착되고, 상기 버키 트레이가 버키에 삽입이 되면, 도 13과 같이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어 있는 카세트의 종류 및 채널을 확인할 수 없다. 이를 확인 하기 위해 상기 채널 표시기(5639, 5739)는, 전자카세트가 상기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면, 상기 장착된 전자카세트(3111, 3211)의 채널 표시기(3045, 3245)의 표시를 상기 버키 트레이 채널 표시기(5639, 5739)에 그대로 나타내고, 영상판 카세트가 장착되면, 상기 채널 표시기(5639, 5739)는 소등된다.
상기 표시부(5630, 5730)의 위치 표시기(5631~5638, 5731~5738)는 장착되어 있는 카세트의 수평중심선(3041h, 3042h, 3242h, 412h, 421h)과 장착 상태 즉, 도 8, 도 9, 도 10과 같이 표시한다. 상기 위치 표시기는, 전자카세트의 수평중심선(3041h, 3042h, 3242h)을 안내하는 전자카세트 수평중심선 표시기(이하, 전수평선 표시기로 칭함)과, 영상판 카세트의 수평중심선(412h, 421h)을 안내하는 영상판 카세트 수평중심선 표시기(이하, 영수평선 표시기로 칭함)으로 구분된다. 전수평선 표시기(5636~5638, 5736~5738)는 녹색으로 표기하며 영수평선 표시기(5631~5635, 5731~5735)는 황색으로 표기하여, 상기 전자카세트와 영상판 카세트 구분을 쉽게 한다.
카세트가 버키 트레이(5000)에 장착되고, 상기 버키 트레이가 버키에 삽입이 되면, 도 12와 같이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어 있는 카세트의 수평중심선과 장착 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
이를 확인 하기 위해 상기 위치 표시기(5631~5638, 5731~5738)는, 전자카세트가 버키 트레이(5000)에 장착되면, 상기 버키 트레이는 장착된 전자카세트(3111, 3211) 장착 상태를, 전자카세트 배면에 있는 아이디 칩(3061, 3062, 3063, 3261), 상기 아이디 칩을 전자카세트 장착 상태에 따라 버키 트레이에 있는 아이디 칩 리더기를 통해 파악하고, 상기 전자카세트의 장착 상태에 따라 그 수평중심선 안내를 전수평선 표시기(5636~5638, 5736~5738)에 나타낸다. 도 8, 도 9는 그 장착 상태에 따라 그 수평중심선을 전수평선 표시기에 나타낸 실시 예이다.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가 상기 버키 트레이에 수직 장착되었을 때, 도 8(a) 및 도 8(b), 전수평선 세 번째 표시기(5638, 5738)에 깜박임으로 표시하고, 상기 버키 트레이가 버키에 정상적으로 삽입 완료가 되면 상기 표시기는 점등으로 표시한다. 상기 전자 카세트가 버키 트레이에 수평 장착되었을 때(도 8(c)), 전수평선 두 번째 표시기(5637, 5737)에 깜박임으로 표시하고, 상기 버키 트레이가 버키에 정상적으로 삽입 완료가 되면 상기 표시기는 점등으로 표시한다. 도 9는 소면적 전자카세트가 버키 트레이(5000)에 장착되었을 때, 전수평선 첫 번째 표시기(5636, 5736)가 깜박임으로 표시하고, 상기 버키 트레이가 버키에 정상적으로 삽입 완료가 되면 상기 표시기는 점등으로 표시한다.
도 12(a)는 전자카세트가 버키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이 수평선 두 번째 표시기(5637, 5737)가 점등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키에는 이동평판검출기가 수평 장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상판 카세트가 버키 트레이(5000)에 장착되면, 상기 버키 트레이는 장착된 영상판 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이동받침고정장치(5250)의 위치를 통해 파악하고, 상기 위치표시기에 상기 영상판 카세트의 수평중심선(412h, 421h)에 맞는 위치를 영수평선 표시기(5631~5635, 5731~5735)에 나타낸다. 상기 이동받침고정장치가, 8인치 위치(5531)에 있으면 영수평선 첫 번째 표시기(5631, 5731)에 대응되고, 10인치 위치(5532에 있으면 영수평선 두 번째 표시기(5632, 5732)에 대응되고, 12인치 위치(5533)에 있으면 영수평선 세 번째 표시기(5633, 5733)에 대응되고, 14인치 위치(5534)에 있으면 영수평선 네 번째 표시기(5634, 5734)에 대응되고, 17인치 위치(5535)에 있으면 영수평선 다섯 번째 표시기(5635, 5735)에 대응된다.
영상판 카세트의 종류는, 영상판 카세트의 크기로 구분되며, 8x10(inch), 10x12(inch), 14x14(inch), 14x17(inch)이다. 상기 영상판 카세트에 장착된 영상판은 엑스선을 받으면 잠상을 가지고 있어, 상기 잠상을 가지고 있는 영상판은 영상판 리더기에서 잠상을 읽고 소거하여 다시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판 카세트는 검사 때마다 버키 트레이에 장착 및 탈착을 반복하며, 상기 장착 및 탈착의 반복으로 사용자는 영상판 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수평중심선은 장착되는 카세트의 종류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되므로 상기 영수평선 표시기를 통해 그 위치를 표시한다.
도 10은 영상판 카세트가 버키 트레이에 장착된 상태 표시를 나타낸 실시 예이다. 14x14(inch) 영상판 카세트(410)가 버키 트레이에 장착된 되었을 때(도 10(a)), 영수평선 네 번째 표기시(5634, 5734)가 깜박임을 나타내고, 상기 버키 트레이가 버키에 정상적으로 삽입 완료가 되면 상기 표시기는 점등으로 표시한다. 10x12(inch) 영상판 카세트(420)가 버키 트레이에 장착된 되었을 때(도 10(b)), 영수평선 세 번째 표기시(5634, 5734)가 깜박임을 나타내고, 상기 버키 트레이가 버키에 정상적으로 삽입 완료가 되면 상기 표시기는 점등으로 표시한다.
도 13(b)은 영상판 카세트가 버키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영수평선 세 번째 표시기(5633, 5733)가 황색 점등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키에는 10x12(inch) 영상판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버키 트레이(5000)의 고정부(5110~5160, 5205~5260)는 카세트를 버키 트레이에 정중앙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하고, 그 고정상태를 버키의 위치표시부와 엑스선 발생 제어 및 버키 제어부에 전달하는 역할과 사용자 부주의에 의한 카세트 탈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엑스선 검사를 버키에서 실행할 때(도 12), 버키(501)의 수직중심선(551)과 버키 트레이에 장착된 검출기의 수직 중심선(3041v, 3042v, 3241v, 411v, 421v)은 항상 일치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항상 버키(501)의 수직 중심선(551)을 기준으로 환자의 위치를 설정하고 검사를 실행한다. 만약 상기 카세트의 수직 중심선과 버키의 수직중심선(551)이 일치되어 있지 않다면, 획득된 영상의 수직중심선은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 되어, 진단적 가치가 없는 영상을 얻게 되어 오류를 범하게 된다.
상기 버키 트레이의 고정부는 카세트를 버키의 중심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키 트레이의 고정부는 크게 이동형 고정장치(5210,5220), 이동받침형 고정장치(5250), 고정형 고정장치(5151~5156)와 안전고정장치(5110,5120)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형 고정장치(5151~5156)는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의 안정적 장착을 도와주는 가이드 레일 역할을 한다. 도 8은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를 버키 트레이(5000)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 하였다. 하단 고정체(5153,5156)는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수직으로 위에서 아래로 장착될 때 가이드레일 역할을 하고, 상단 고정체(5151, 5154)는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수평으로 위에서 아래로 장착될 때 가이드레일 역할을 하고, 중간 고정체(5152, 5155)는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수평으로 위에서 아래로 장착될 때 받침고정 역할을 한다(도 8, (c)). 상기 고정체가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와 대응되는, 그 접촉 표면은 매끄럽고 마모가 되지 않는 재질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버키 트레이(5000)의 상단 고청체(5151, 5154)와 하단 고정체(5153, 5156)는 전자카세트 테두리의 형상에 맞게 굴곡 있는 돌출부(5131, 5161)를 포함하고 있어(도 13(c)),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면,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를 아래서 위로 들지 않는 이상 탈착이 되지 않게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 부주의에 의한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스탠드 버키의 버키 트레이에서 탈착되고, 상기 탈착으로 인한 낙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동받침형 고정장치(5250)는 전자카세트 또는 영상판 카세트의 아래부분을 받쳐준다. 상기 이동받침형 고정장치(5250)는 소면적 전자카세트를 전수평 선(5633, 5733) 위치에 일치하고 상기 소면적 전자카세트가 고정홈(3251, 3252)에 이동 고정체(5210, 5220)가 잘 맞물리도록 위치 설정 및 고정 역할을 한다. 그리고 영상판 카세트를 영수평선 위치에 일치 되도록 고정하는 역할과 그 위치를 표시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고정장치(5110, 5120)는 안전고리(5211)를 포함하고 있어, 버키 트레이에 장착된 검출기가 사용자 부주의에 의해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고정센서(5215)를 포함하고 있어 이동형 고정장치(5200)에 동작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안전고정장치(5110)는 안전 고리체(5111), 고정센서(5115), 안전 고정 돌기(5112), 고정핀(51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버키 트레이(5000)에 검출기가 장착되면 안전고정장치(5110, 5120)는 도 16과 같이, 상기 고정핀(5112)은 안전 고리체(5111)를 버키 트레이에 고정하여 열림과 닫힘을 할 수 있게 고정하고, 상기 안전 고리체 말단에 안전 고정 돌기(5112)가 형성되어 있어 카세트가 닫힘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전고리체 고정핀 방향에는 고정센서(5115)가 있어, 상기 카세트(3111, 410)가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면, 상기 고정센서는 그 장착상태를 파악하여, 이동형 고정장치(5200)에 상기 정보를 전달한다. 안전고정장치가 닫힘으로 될 때, 상기 안전고정장치는 버키 트레이에 장착된 카세트(3111, 410) 상단에 걸리며, 상기 안전고정장치의 고정센서는, 상기 카세트와 안전고정장치 사이에서 일정한 압력 이상을 받게 되면 버키 트레이에 카세트가 장착되었음을 인식하고 이동형 고정장치(5200)에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카세트를 고정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형 고정장치가 상기 카세트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안전고정장치에 다시 일정한 압력 이상을 주게 되면, 상기 이동형 고정장치에 구동 명령을 전달하여 상기 카세트 고정을 풀리게 한다.
이동형 고정장치(5200)는 버키 트레이(5000)에 장착되는 카세트를 버키 정중앙(551)에 일치하고 견고하며 안전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손잡이가 있는 전자카세트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동형 고정장치는 버키 트레이 상단에 위치한다. 상기 이동형 고정장치(5200)는 한 개의 구동모터(5205)와 두 개의 이동 고정체(5210, 5220), 두 개의 고정레일(5211, 5221), 두 개의 이동 고정 축(5212, 52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 고정체(5210, 5220)는 이동고정지지대(5213), 이동고정손잡이(5214), 이동 고정 돌기(52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형 고정장치(5220)는 안전고정장치(5110, 5120)의 고정센서(5215)가 작동되면, 상기 이동형 고정장치의 구동모터(5205)에 구동 명령이 전달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두 개의 이동고정 축(5212, 5222)을 서로 중심 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이동 고정 축은 이동고정 체(5210, 5220)를 버키 트레이 중앙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고정체의 고정 돌기(5215)는 카세트를 고정한다. 특히 전자카세트의 경우 상기 고정 돌기(5215)는 전자카세트 고정 홈(3051~3056, 3251~3252)에 맞물려서 견고하고 안전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5210, 5220)의 장착센서(5216)는 각각 고정체와 카세트가 맞물리는 언저리 안에 위치 하며, 상기 이동 고정체(5210, 5220)의 장착센서가 모두 감지되면, 상기 장착센서의 감지는 상기 카세트가 버키 정중앙에 정확하게 장착되었다는 것이고, 상기 장착된 상태를 엑스선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에 전달하고 위치표시기(5631~5638, 5731~5738)에 점등으로 그 장착 준비를 마친다.
상기 이동 고정체(5210, 5220)는 버키 트레이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므로 장착된 카세트의 수직중심선(3041v, 3042v, 3241v, 411v, 421v)이 버키(500)의 중심선(551)과 항상 일치하며, 만약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두 개의 장착 센서가 감지되지 않아서 장착상태가 위치표시기(5631~5638, 5731~5738)에 점등으로 완료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가 이동형 고정체(5210, 5220)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체의 고정센서(5216)가 감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안전고정장치(5110, 5120)에 다시 일정한 압력을 주면, 상기 고정센서(5115)는 검출기의 장착 상태를 파악하고, 이동고정장치(5200)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이동고정장치의 모터(5205)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여 상기 이동형 고정체(5210, 5220)를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카세트 고정을 이탈시킨다. 이때 안전고정장치는 상기 카세트를 고정하고 있어 상기 카세트가 사용자 부주의로 버키 트레이(5000)에서 이탈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키 트레이(5000)의 아이디 칩 리더기(5061)는 버키 트레이 중앙 상단에 위치하며, 장착센서(5216)가 카세트의 정상적인 장착 상태를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에 전달하면, 상기 아이디 칩 리더기는 전자카세트의 아이디 칩(3061, 3062, 3063, 3261)의 고유번호를 읽고 상기 전자카세트의 고유번호를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에 전달한다(도 16(a)). 상기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 부(121)는 상기 고유번호를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111)와 통신 및 영상 획득부(131)에 전달하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는 전처리부에 상기 고유번호를 전달하고,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고유번호에 맞는 전처리 파일을 찾아 영상이 획득되면 적용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111)는 상기 버키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카세트의 채널 정보를 통신 및 영상 획득부(131)로 요청하여 채널 정보를 받고, 상기 채널 정보를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는 버키 채널 표시부에 상기 채널 정보를 표시한다. 만약 아이디 칩이 읽혀지지 않으면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는 영상판 카세트 및 필름 카세트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한다(도 16 (b)).
버키 트레이(5000)의 전원 공급부(5070)는 장착된 전자카세트(3111, 3211)가 무선으로 접속될 경우, 상기 버키 트레이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5070)는 버키 트레이 중앙 상단에 위치하며, 그 구성은 전원공급핀(5071), 그라운드 핀(5072), 센서 핀(5073)으로 되어 있다. 무선으로 연결된 전자카세트가 상기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면, 상기 센서 핀(5073)은 도 15 (a)와 같이 전자카세트(3111)의 센서 단자(3072)에 접촉이 되고, 상기 접촉 상태가 정상적이면, 상기 전원 공급 핀을 통해 상기 전자카세트에 전원을 공급한다. 만약 상기 센서 핀이 전자카세트의 센서 단자와 접촉이 되지 않으면, 상기 전자카세트가 상기 버키 트레이에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며, 엑스선 발생 및 버키 제어부(121)를 통해 장착 상태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에 요청한다. 상기 접점식 전원공급 방식 대신 무접점식 전원공 급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7은 대면적 전자카세트 장착에 따른 자동 방향 보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버키(5000)는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를 양방향에서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 전자카세트의 장착 형태는 3가지(712, 713, 714)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가 정방향(711, 712)으로 영상을 획득하면 정상적인 영상(721, 722)을 얻게 된다. 그러나 역방향(714), 수평장착(713)으로 상기 대면적 전자카세트를 장착하면 90° 회전된 영상(723)과 180°회전된 영상(724)을 얻게 된다. 이 경우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버키에 장착되어 있어 그 장착 상태를 쉽게 파악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획득된 영상의 좌·우 방향에 대한 인식이 없다면, 영상의 방향성을 잃게 되어 영상의 좌우를 혼동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으며, 만약 잘못된 방향으로 영상에 표기하고, 상기 영상을 판독한다면, 영상 진단에 매우 큰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카세트의 장착상태에 따라 영상의 방향을 자동으로 보정 한다면 이와 같은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영상의 자동 방향 보정을 위해 필요한 것은 전자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전자식 아이디 칩(3061, 3062, 3063)은 전자카세트의 배면에서 위치하며, 상기 전자카세트가 버키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파악하게 해준다. 전자카세트가 역방향으로 장착(714)되면 전자식 아이디 칩(3061)이 아이디 칩 리더기(5061)에 읽혀져서, 획득된 영상(724)을 180° 회전하게 되어 정확한 영상(730)을 자동으로 얻게 되며, 수평방향으로 장착(723)되면 전자식 아이디 칩(3062)이 아이디 칩 리더기(5061)에 읽혀져서, 획득된 영상(731)을 90°회전하게 되어 정확한 영 상(730)을 자동으로 얻게 된다.
상기 영상을 응용 프로그램 제공부(110)에서 전자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파악하여 획득된 영상을 자동으로 90° 또는 180°회전하여 얻는다면 사용자는 검사한 방향과 영상의 방향이 항상 일치되어 나타나므로 방향 혼동을 피함과 동시에 빠른 업무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전자카세트(3111, 3211)를 버키 트레이에 장착한 사시도이다. 테이블 버키(521) 안의 버키 트레이(5101)에는 소면적 전자 카세트(3211)을 장착하고, 스탠드 버키 안의 버키 트레이(5100)에는 대면적 전자카세트(3111)를 장착하였다. 상기 전자카세트는 워크스테이션(101)과 무선(1317, 1318) 또는 유선(1315, 1316)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 상기 워크스테이션에서 상기 전자 카세트를 제어한다. 상기 전자카세트는 상기 버키 트레이에서 장착 및 탈착이 자유롭고 대면적과 소면적으로 카세트가 구분이 되어 있어, 버키를 이용한 촬영뿐만 아니라 고정형 평판검출기에서 자유롭게 위치 이동을 할 수 없는 테이블 위에서의 검사와 응급환자와 중환자의 침대 검사도 상기 전자카세트를 이용한 디지털 엑스선 발생 장치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카세트를 이용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전자카세트를 이용한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의 활용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전자카세트의 영상 처리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전자카세트를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로딩하는 순서도.
도 5a는 대면적 전자카세트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대면적 카세트의 배면도이다.
도 6a는 소면적 전자카세트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소면적 전자카세트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버키 트레이의 구조도.
도 8a는 대면적 전자카세트를 버키 트레이에 역방향 수직 장착한 상태도, 도 8b는 대면적 전자카세트를 버키 트레이에 순방향 수직 장착한 상태도, 도 8c는 대면적 전자카세트를 버키 트레이에 역,향 수평 장착한 상태도이다.
도 9는 소면적 전자카세트를 버키 트레이에 장착한 상태도.
도 10a는 10×12(인치) 영상판 카세트를 버키 트레이에 수직 장착한 상태도, 도 10b는 14×14(인치) 영상판 카세트를 버키 트레이에 수직 장착한 상태도이다.
도 11a는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버키 트레이에 역방향 수직 장착한 상태도이고, 도 11b는 대면적 전자카세트가 버키 트레이에 순방향 수직 장착한 상태도이다.
도 12a는 버키에 대면적 카세트가 수평 장착된 상태도이고, 도 12b는 버키에 10×12 영상판 카세트가 수평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13a는 대면적 전자카세트 장착 과정을 보인 것이고, 도 13b는 대면적 전자카세트 장착 상태도이며, 도 13c는 대면적 전자카세트의 장착 단면도이다.
도 14a는 이동형 고정장치에 전자카세트가 고정된 단면도이고, 도 14b는 이동형 고정장치에 영상판 카세트가 고정된 단면도이다.
도 15a는 안전고정장치에 전자카세트가 고정된 단면도이고, 도 15b는 안전고정장치에 영상판 카세트가 고정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버키 트레이 장착 상태에 따른 영상 자동 보정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7은 전자카세트를 사용한 디지털엑스선촬영장치 사시도.
도 18은 고정형 평판검출기를 사용한 디지털엑스선촬영장치 사시도.
도 19는 버키를 이용한 촬영 단면도.
Claims (22)
-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에 있어서,이동 가능한 다수의 전자카세트가 장착 및 탈착되는 버키 트레이와;상기 다수의 전자카세트를 식별하며, 상기 버키 트레이와 통신으로 접속되고, 상기 식별한 전자카세트의 전처리 파일을 각각의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의 저장장치로부터 네트워크 또는 이동저장장치를 통해 공유하는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스테이션은,다수의 전자카세트에 대응하는 전처리 파일들을 상기 다수의 전자카세트에 적용시키는 전처리부와; 상기 다수의 전자카세트와 통신을 위한 채널을 구비하고,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통신 및 영상 획득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상기 다수의 전자카세트에 대응하는 전처리 파일을 구비하고, 다른 전처리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접속된 전자카세트에 적용되는 전처리 파일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전처리 파일 중 가장 최근에 적용된 전처리 파일을 우선 적용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스테이션은,상기 네트워크 및 이동저장장치를 통해 상기 버키 트레이에 장착되는 전자카세트의 전처리 파일을 다른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에 구비된 워크스테이션에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상기 다수의 전자카세트를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에 사용할 때 발생하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착되는 전자카세트를 식별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 조작자 부주의에 의한 전자카세트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정장치는 상기 전자카세트의 정상적인 장착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 상기 전자카세트를 중심 수직선에 일치시키기 위해서 2개의 이동고정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고정장치는,상기 전자카세트의 장착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고정장치는,상기 전자카세트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볼록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장착되어 있는 상기 전자카세트의 채널을 나타내는 채널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장착되어 있는 전자카세트 또는 영상판 카세트 또는 필름 카세트의 종류를 구분하고 그 종류와 크기에 따라 중심 수평선을 표시하는 위치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 전자카세트에 구비된 식별 코드를 읽기 위한 코드 리더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키 트레이는, 상기 전자카세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스테이션은,상기 전자카세트의 잘못된 장착, 잘못된 촬영 위치, 잘못된 설정으로 인한 촬영 오류에 따른 환자 피폭 선량 증가를 방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스테이션은 상기 전자카세트의 장착 형태를 센서를 통해 확인하고,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위치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카세트는,상기 워크스테이션과 연결되어 있는 채널을 나타내는 채널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카세트는,특정 전자카세트 촬영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카세트 선택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카세트는,식별을 위해 식별 코드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카세트는,상기 버키 트레이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전원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카세트는,상기 버키 트레이의 이동고정장치와 견고한 고정을 위해 오목부재를 2개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511517A JP2011521704A (ja) | 2008-05-30 | 2009-05-29 | デジタルエックス線撮影装置 |
US12/995,080 US8848872B2 (en) | 2008-05-30 | 2009-05-29 | Digital radiography system |
PCT/KR2009/002869 WO2009145584A2 (ko) | 2008-05-30 | 2009-05-29 |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50616 | 2008-05-30 | ||
KR1020080050616 | 2008-05-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4927A true KR20090124927A (ko) | 2009-12-03 |
KR101085196B1 KR101085196B1 (ko) | 2011-11-21 |
Family
ID=4168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2765A KR101085196B1 (ko) | 2008-05-30 | 2009-04-15 |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848872B2 (ko) |
JP (1) | JP2011521704A (ko) |
KR (1) | KR101085196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479003C1 (ru) * | 2010-09-29 | 2013-04-10 |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 Электронная кассета для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получ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
US8985851B2 (en) | 2012-03-20 | 2015-03-24 | Samsung Display Co., Ltd. | X-ray detector |
KR20150053243A (ko) * | 2013-11-06 | 2015-05-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1537989B1 (ko) * | 2013-04-17 | 2015-07-22 | (주)메디엔인터내셔날 | 맘모용 18×24, 24×30 멀티 홀더 장치 |
KR20160077993A (ko) * | 2014-12-24 | 2016-07-04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산란선 대 일차선비를 이용한 영상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US10058297B2 (en) | 2013-11-08 | 2018-08-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dical imaging system and workstation and X-ray detector thereof |
KR20190017240A (ko) * | 2017-08-10 | 2019-02-20 | 이은구 | 엑스레이 촬영 필름카세트 가변 장착용 버키 트레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42041A1 (ja) * | 2008-05-20 | 2009-11-26 |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JP5880433B2 (ja) | 2010-05-12 | 2016-03-09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JP2012143550A (ja) * | 2010-12-20 | 2012-08-02 | Fujifilm Corp | 放射線画像撮影装置および放射線画像取得方法 |
JP2012139257A (ja) * | 2010-12-28 | 2012-07-26 | Fujifilm Corp | 撮影制御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US8956045B2 (en) * | 2011-09-30 | 2015-02-17 | Fujifilm Corporation | Radiation imaging apparatus |
JP5699914B2 (ja) * | 2011-11-22 | 2015-04-15 | 株式会社島津製作所 | X線検出器装着装置 |
JP2013120242A (ja) * | 2011-12-06 | 2013-06-17 | Canon Inc | 放射線撮影装置 |
JP5817635B2 (ja) * | 2012-04-20 | 2015-11-18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KR20150062137A (ko) * | 2013-11-28 | 2015-06-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P2878267B1 (en) * | 2013-11-28 | 2018-08-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366252B1 (ko) | 2014-07-18 | 2022-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X-ray 검출장치와 그 설정 방법 |
WO2016018064A1 (en) | 2014-07-30 | 2016-02-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X-ray apparatus |
KR102089370B1 (ko) * | 2014-09-23 | 2020-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수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엑스선 촬영기기 |
US10772589B2 (en) * | 2014-09-23 | 2020-09-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ceiving device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WO2016060492A1 (en) | 2014-10-17 | 2016-04-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X-ray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x-ray imaging system |
CN105832353B (zh) * | 2015-01-30 | 2020-11-06 | 佳能株式会社 | 放射线摄像系统 |
US10368823B2 (en) * | 2015-01-30 | 2019-08-06 | Canon Kabushiki Kaisha | Radiograph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
JP6134992B2 (ja) * | 2015-07-31 | 2017-05-3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放射線照射装置 |
KR20170029732A (ko) * | 2015-09-08 | 2017-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JP6147316B2 (ja) * | 2015-11-02 | 2017-06-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X線撮像システム及びx線撮像システムの制御方法 |
JP6736952B2 (ja) * | 2016-04-13 | 2020-08-05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CN105997124B (zh) * | 2016-04-17 | 2018-09-21 | 黄启标 | 腹部造影扫描诊断装置 |
KR20180090618A (ko) * | 2017-02-03 | 2018-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엑스선 검출 장치 |
JP2019033827A (ja) * | 2017-08-10 | 2019-03-07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その作動方法 |
JP6932042B2 (ja) * | 2017-08-10 | 2021-09-0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その作動方法 |
CN111096759A (zh) * | 2018-10-26 | 2020-05-05 |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 X射线摄影系统及其平板探测器、相关方法 |
US11344267B2 (en) * | 2018-11-02 | 2022-05-31 | Stryker Corporation |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X-ray cassette positioning |
CN111443099B (zh) * | 2018-12-27 | 2024-04-16 |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平板探测器支撑件、x射线影像系统传感器单元和平板探测器 |
JP6596679B1 (ja) * | 2019-03-29 | 2019-10-30 | 株式会社ビードットメディカル | 患者搬送台車、粒子線照射システム、及び粒子線照射方法 |
EP4018227A1 (en) * | 2019-08-22 | 2022-06-29 | John Bean Technologies Corporation | X-ray unit technology modules and automated application training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44961A (en) * | 1995-07-26 | 1998-12-01 | Medfx Systems | Filmless digital x-ray system |
US5877501A (en) * | 1996-11-26 | 1999-03-02 | Picker International, Inc. | Digital panel for x-ray image acquisition |
US6501827B1 (en) * | 1998-09-29 | 2002-12-31 | Canon Kabushiki Kaisha | Examination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medium, and x-ray photographic system |
US6370229B1 (en) * | 1999-01-21 | 2002-04-09 | Konica Corporation | Radiation image reading system and radiation image reading method |
JP2000245719A (ja) * | 1999-03-02 | 2000-09-12 | Canon Inc | デジタルx線撮影システム |
JP3890163B2 (ja) * | 1999-04-27 | 2007-03-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影システム |
JP2002248095A (ja) * | 2000-12-20 | 2002-09-03 | Canon Inc | X線デジタル撮影装置 |
JP4838442B2 (ja) | 2001-05-16 | 2011-12-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 |
US6814489B2 (en) | 2001-11-23 | 2004-11-09 |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 3D re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a variable X-ray source to image distance |
DE10216857A1 (de) * | 2002-04-16 | 2003-11-13 | Siemens Ag |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Röntgeneinrichtung |
DE10344364B4 (de) * | 2003-09-24 | 2007-06-14 | Siemens Ag | Verfahren zur Positionierung einer mobilen Röntgendetektoreinheit eines Röntgensystems, Röntgensystem und mobile Röntgendetektoreinheit |
KR200398834Y1 (ko) * | 2005-07-20 | 2005-10-17 | 주식회사 디아이에스 | 의료용 영상처리장치 |
US7298825B2 (en) * | 2005-11-22 | 2007-11-20 | General Electric Co. | Portable digital detector system |
JP2008220724A (ja) | 2007-03-14 | 2008-09-25 |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 X線画像撮影システム |
JP2009226188A (ja) * | 2007-07-27 | 2009-10-08 | Fujifilm Corp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JP5377007B2 (ja) * | 2008-03-18 | 2013-12-25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カセッテ収容装置、及び放射線検出システム |
US7909511B2 (en) * | 2009-03-16 | 2011-03-22 | Carestream Health, Inc. | Tray for portable digital radiography cassette |
-
2009
- 2009-04-15 KR KR1020090032765A patent/KR10108519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5-29 US US12/995,080 patent/US8848872B2/en active Active
- 2009-05-29 JP JP2011511517A patent/JP2011521704A/ja active Pending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479003C1 (ru) * | 2010-09-29 | 2013-04-10 |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 Электронная кассета для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получ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
US8985851B2 (en) | 2012-03-20 | 2015-03-24 | Samsung Display Co., Ltd. | X-ray detector |
KR101537989B1 (ko) * | 2013-04-17 | 2015-07-22 | (주)메디엔인터내셔날 | 맘모용 18×24, 24×30 멀티 홀더 장치 |
KR20150053243A (ko) * | 2013-11-06 | 2015-05-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9668706B2 (en) | 2013-11-06 | 2017-06-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X-ray detector,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US10463337B2 (en) | 2013-11-06 | 2019-11-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X-ray detector,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US10058297B2 (en) | 2013-11-08 | 2018-08-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dical imaging system and workstation and X-ray detector thereof |
US11278251B2 (en) | 2013-11-08 | 2022-03-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dical imaging system and workstation and X-ray detector thereof |
KR20160077993A (ko) * | 2014-12-24 | 2016-07-04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산란선 대 일차선비를 이용한 영상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KR20190017240A (ko) * | 2017-08-10 | 2019-02-20 | 이은구 | 엑스레이 촬영 필름카세트 가변 장착용 버키 트레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110494A1 (en) | 2011-05-12 |
US8848872B2 (en) | 2014-09-30 |
KR101085196B1 (ko) | 2011-11-21 |
JP2011521704A (ja) | 2011-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5196B1 (ko) |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
US8975868B2 (en) | Charging station for portable X-ray detectors | |
US8941070B2 (en) | Portable digital image detector positioning apparatus | |
US7476834B2 (en) | Diagnosis system including correlating radiographed image data with patient information | |
KR101472420B1 (ko) | 방사선 화상 촬영 방법, 이 방사선 화상 촬영 방법을실행하는 방사선 화상 촬영 시스템 및 방사선 정보 시스템 | |
US7343001B2 (en) | Automatic detector selection by study type | |
US20060261296A1 (en) | Mobile radiography image recording system | |
JPWO2008111355A1 (ja)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 |
JP4078096B2 (ja) | 放射線画像撮影装置 | |
CN101416878B (zh) | 辐射图像捕捉方法、辐射图像捕捉系统和辐射信息系统 | |
JP2005000344A (ja) | 医療診断装置 | |
JP2007127414A (ja) | 放射線画像検出器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
JP2009297187A (ja)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
JP5155252B2 (ja) | 乳房撮影定位装置 | |
JP2014087659A (ja)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
CN104799876A (zh) | 放射线图像摄影系统 | |
US2008017535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ngle of inclination acquisition and display on radiographic image | |
JP4552487B2 (ja) | 放射線画像検出確認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 |
JP2017184875A (ja) | 放射線撮影システム、情報端末、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3113616A (ja) | 可搬型放射線画像検出装置及び放射線撮影装置並びに放射線撮影システム | |
JP2008188330A (ja)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制御装置 | |
WO2009145584A9 (ko) | 디지털 엑스선 촬영 장치 | |
JP2008154719A (ja) |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放射線画像検出装置 | |
JP2005323732A (ja) | 放射線画像検出装置及び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 |
JP2010032268A (ja) | 可搬型放射線画像変換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収容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