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164A - 압연라인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압연라인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164A
KR20090124164A KR1020080050201A KR20080050201A KR20090124164A KR 20090124164 A KR20090124164 A KR 20090124164A KR 1020080050201 A KR1020080050201 A KR 1020080050201A KR 20080050201 A KR20080050201 A KR 20080050201A KR 20090124164 A KR20090124164 A KR 20090124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oling water
rolling line
hea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071B1 (ko
Inventor
이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5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07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압연소재 또는 압연설비를 냉각하는 압연라인 냉각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압연라인 냉각장치는, 냉각수가 유입되고 압연라인에 배치되는 장치헤드; 및, 상기 장치헤드의 내부에 냉각수를 분사토록 구비된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소재 또는 압연 라인의 설비를 원하는 시점에서 신속 정밀하게 냉각하도록 하고, 특히 냉각장치 부품이나 라인 설비의 열화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압연소재, 열간압연, 냉각장치, 높이 가변형 노즐수단

Description

압연라인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for Rolling Line}
본 발명은 슬라브, 후판재 등의 압연소재 또는 압연설비를 냉각하는 압연라인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냉각장치 헤드내의 수위 전체를 조정하여 냉각수 분사시점을 조절하는 대신에, 노즐유닛을 높이 가변형으로 설치하여 냉각수 분사를 보다 신속하게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압연소재 또는 압연 라인의 설비를 원하는 시점에서 신속 정밀하게 냉각하도록 하고, 특히 냉각장치 부품이나 라인 설비의 열화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압연라인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소재 예를 들어, 후판재의 압연시 소재를 냉각시키거나, 압연라인의 설비 예를 들어 고온의 소재를 이송시키는 이송테이블 등의 설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가 압연라인에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후판 공정에서, 조압연 출측과 사상압연 출측에 각각 냉각장치와 (가속) 냉각장치가 배치되어 가동된다.
이와 같은 압연라인 냉각장치(설비)는 압연소재(판재 또는 강판)의 표면을 급냉시키어 고인성과 고강도의 강판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기 때문에, 압연라인에 서 압연제품의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설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이와 같은 조압연 출측에 설치되는 냉각장치 (130)(14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알려진 압연라인 냉각장치(130)는 조압연기(110) 출측으로 설치된 압연소재(후판재)(100) 이송테이블(1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부 냉각장치(130)는, 냉각수 메인 공급라인(132)과 연결되는 여러 개의 냉각수 공급 분기라인(132')에 장치헤드(134)가 구비되고, 장치헤드(134)의 내부에는 침지형 노즐(136)들이 배치되어 장치헤드(134)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각수가 노즐(136)을 통하여 소재 또는 라인 설비 즉, 이송테이블에 분사된다.
그리고, 하부 냉각장치(140)는, 이송테이블(120)의 롤러(122)사이에 배치된 장치헤드(미부호)에 설치된 노즐들(미부호)을 통하여 냉각수를 이송되는 소재 하면에 분사하여 소재 하부를 냉각시킨다.
한편, 도 2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 압연라인의 상부 냉각장치(130)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수 메인 공급라인(132)에는 메인밸브(132a)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공급라인에서 분기된 여러 개의 냉각수 공급 분기라인(132')에는 각각 개폐밸브(On-Off 밸브)(132b)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장치헤드(134)의 양측에 연결된 냉각수 공급 분기라인의 개폐밸브가 작동되어 장치헤드의 내부로 냉각수(W)가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때, 상기 장치헤드(134)는 내부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박스형태의 본체(134a)와 커버(134b)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일정간격으로 여러개의 노즐(136)들이 수직하게 설치되며, 본체 바닥에는 이들 노즐들이 조립되는 조립홈(미도시)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장치헤드(134)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수위가 노즐(136) 보다 낮으면(도 2의 L1) 냉각수는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지 못하고, 반대로 장치헤드 내의 냉각수 수위가 노즐(136) 보다 높으면(도 2의 L2),냉각수(W)는 노즐(136)을 통하여 장치헤드(134)의 하측에서 이송되는 소재 또는 압연라인 설비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침지형 노즐(136)을 구비한 냉각장치(130)는 노즐을 통하여 냉각수는 자유 낙하로 분사되거나, 압력이 가해져도 대략 1 kg/㎤ 의 저압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종래 상부 냉각장치(130)는, 장치헤드(134)내에 냉각수가 채워지고 그 수위에 따라 냉각수가 분사되는 침지형 노즐(36)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압연공정시 압연소재(100)가 이송테이블(120)을 통과할 때, 소재 냉각을 위하여 냉각수 분사가 기본적으로 수행되지만, 고온의 소재가 통과할 때 압연라인의 관련 설비 예를 들어, 이송테이블(120)에 전달되는 열에 의한 설비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냉각수(W)를 분사한다.
예를 들어, 조압연를 거친 소재(100) 즉, 후판재의 온도는 대략 900 ~ 1100℃이고, 사상 압연을 거친 소재의 온도는 대략 700 ~ 900℃ 의 고온이기 때문에, 상부 냉각장치(130)는 소재가 통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설비 냉각을 위하여 냉각수를 분사하게 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종래의 압연라인의 상부 냉각장치(130)는 장치헤드(10)에 연결되는 냉각수 공급 분기라인(132')에 구비된 개폐밸브(132b)의 조작에 따라 장치헤드 내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공급이 조정되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136)보다는 냉각수 수위를 높게한 경우에만 냉각수의 분사가 이루어 지기 때문에, 냉각수 분사 조정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노즐(136)을 통하여 냉각수가 분사되기 위하여는 냉각수 수위를 L2으로 유지시켜야 하고, 이는 결국 장치헤드 내의 냉각수 수위 전체를 조정해여 하는 것이므로, 냉각수 분사를 차단하거나 유지하는 등의 냉각수 분사 조정이 신속하게 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결국, 종래 압연라인의 상부 냉각장치(130)는 소재가 통과할 때, 소재가 통과하지 않고 설비를 냉각할 때, 냉각수 분사 조정에 어려움이 많은 것이었다.
이와 같은 냉각수 분사의 신속한 조정이 어려운 경우, 소재에 냉각수를 분사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에도 잔류 냉각수가 분사되므로 소재 냉각 불균일을 초래하는 다른 문제도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건의 출원인은 냉각장치의 장치헤드 내 노즐유닛을 높이 가변형으로 설치하여 종래 냉각장치 보다는 냉각수 분사 조정을 보다 신속하게 구현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압연소재 또는 압연 라인의 설비를 원하는 시점에서 신속 정밀하게 냉각하도록 하고, 특히 냉각장치 부품이나 라인 설비의 열화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압연라인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냉각수가 유입되고 압연라인에 배치되는 장치헤드; 및,
상기 장치헤드에 냉각수를 분사토록 구비된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압연라인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헤드는, 압연라인의 소재 이송경로 상부에 배치되면서 개폐밸브를 구비한 냉각수 공급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은, 상기 장치헤드 내에 고정 설치되면서 분사구멍을 형성하여 외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메인노즐 및, 상기 장치헤드 상에 장착되는 구동유닛과 연계되면서 상기 메인노즐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승강토록 제공되어 높이 차로 냉각수 분사를 조정토록 제공된 승강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의 승강노즐은, 메인노즐의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승강노즐의 상부에는 냉각수 유입공들이 더 구비되며, 장치헤드 내에 장착된 가이드로서 승강이 지지토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은, 상기 장치헤드 내에 고정 설치되면서 분사구멍을 형성하여 외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1 노즐과, 상기 제1 노즐에 연결되되 높이 가변을 가능하게 하는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과 연결되되 장치헤드 상에 장착된 구동유닛과 연계되어 높이차로 냉각수 분사를 조정토록 승강되는 제2 노즐을 포함하여 높이 가변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메인노즐 또는 제1 노즐과 연결되고 장치헤드를 통과하는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와 연계되고 장치헤드 상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을 구현토록 제공된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수단은, 장치헤드 상부에 배치된 구동박스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드와 연결되는 랙블록과, 상기 랙블록에 맞물리고 모터로서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어 구동형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로드와 연결되고 장치헤드 상에 배치된 구동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인 압연라인 냉각장치에 의하면, 기존에 냉각장치 헤드내냉각수 수위 전체를 조정하여 냉각수 분사를 조정하는 대신에, 노즐유닛을 높이 가변형으로 설치하여 냉각수 수위 조절방식 보다는 냉각수 분사를 더 신속하게 조절하도록 한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압연라인 냉각장치는, 압연소재 또는 압연 라인의 설비를 원하는 시점에서 신속 정밀하게 냉각하도록 하고, 특히 냉각장치 부품이나 라인 설비의 열화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다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라인 냉각장치(1)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3 및 도 4는 제1 형태의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30)을 도시하고 있고, 도 5에서는 제2 형태의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50)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1에서 도시한 냉각수 공급 메인라인(132)과 냉각수 공급 분기라인(132') 및 상기 메인라인에 구비된 메인밸브(132a)와 분기라인(132')에 여러 개 설치되는 개폐밸브(On-Off 밸브)(132b)는 동일 부호로 설명한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연라인 냉각장치(1)는 크게 냉각수가 유입되고 압연라인에 배치되는 장치헤드(10) 및, 상기 장치헤드(10)의 내부에 냉각수를 분사토록 구비된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도 1 및 도 2의 기존 냉각장치(130)와는 다르 게, 장치헤드(10)내에 유입된 냉각수의 수위를 조정하여 냉각수 분사를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노즐유닛의 높이를 조정하여 냉각수 분사를 조정하도록 하기 때문에, 냉각수 분사를 결정하고 조정하는 냉각수 분사 조정이 매우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헤드(10)는 압연라인 예를 들어, 조압연기(도 1의 110)의 출측으로 소재(100)인 후판재의 이송경로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과 같이 소재 이송경로 상부에 여러 개의 장치헤드(10)들이 앞에서 설명한 냉각수 공급 분기라인(132')과 연계되면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 냉각장치의 장치헤드(10)는 도 3과 같이 냉각수가 유입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형태의 본체(12)와 그 상부를 덮는 커버(14)가 조립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장치헤드(10)의 양측에, 메인밸브(132a)가 설치된 냉각수 메인 공급라인(132)에서 각각의 장치헤드로 분기되는 냉각수 공급 분기라인(132')이 연결되어 있어, 메인밸브(132a)와 개폐밸브(132b)의 작동에 따라 냉각수가 장치헤드(10)의 내부로 공급 저장된다.
한편, 상기 각각의 장치헤드에 연결되는 분기라인(132')에는 냉각수 공급을 조정하는 전기 작동밸브인 개폐밸브(132b) 즉, 온/오프(ON/OFF)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본 발명 냉각장치(1)에서 장치헤드(10)에 냉각수(W)가 공급되어 노즐유닛(30)의 상단 보다 낮은 수위(La)이면 냉각수의 분사가 차단되고, 냉각수 수위가 노즐유닛의 상단 보다 높은 수위(Lb)이면 냉각수가 노즐유닛을 통하여 장치헤드 외부로 분사되어 이송되는 소재(도 1의 100) 또는 압연라인의 설비 예를 들어 도 1의 이송테이블(120) 냉각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제1,2 형태의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30)(50)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형태의 본 발명의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30)은, 상기 장치헤드(10)내에 고정 설치되면서 분사구멍(32a)을 형성하여 외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메인노즐(32) 및, 상기 장치헤드(30)상에 장착되는 구동유닛과 연계되면서 상기 메인노즐(32)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승강토록 제공되어 높이 차로 냉각수 분사를 조정토록 제공된 승강노즐(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구동유닛(70)의 작동으로 승강노즐(34)이 승강하는 상태에 따라 실제 냉각수 분사가 신속하게 조정되는 것이다.
즉, 장치헤드(10)내의 유입 저장된 냉각수의 수위가 상기 승강노즐의 하강위치 보다 높기만 하면, 상기 승강노즐(34)의 승강에 따라 장치헤드의 냉각수 수위에 상관없이 냉각수 분사가 조정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기존의 도 2와 같이 장치헤드의 내부 냉각수 수위를 조정하여 냉각수 분사를 조정하는 것에 비하여, 노즐유닛(30)의 승강노즐(34)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냉각수 분사를 수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소재가 이송되는 경우 소재에 냉각수 분사를 지속하다가 소재 이송이 중단되는 경우 이송테이블 등의 압연라인 설비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냉각수를 분사하는 등의 여러 냉각수 분사 시점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냉각수 분사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의 승강노즐(34)은, 메인노즐(32)의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노즐(34)의 상단부에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공(36)들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냉각수 유입공(36)들은 승강노즐(34)의 승강폭이 작아도 냉각수의 유입으로 냉각수 분사를 가능하게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노즐(34)은 장치헤드(10)내에 별도의 고정대(미부호)로서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38)의 내측에서 승강시 지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38)의 내면에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승강노즐(34)과의 마모를 억제하도록 내마모성 물질이 코팅 처리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노즐(32)의 하단부에는 도 3과 같이 냉각수 분사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메인노즐(32)은 장치헤드(10)의 본체(12)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조립홈(미부호)에 스크류 체결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30)은, 실제로는 장치헤드의 본체에 그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조립되어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노즐유닛의 승강노즐(34)과 연계되고 장치헤드(10)상에 장착되는 구동유닛(70)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구동유닛(70)은 상기 노즐유닛즐(30)의 메인노즐 상부에 그 외곽측으로 포위 배치되는 승강노즐(34)과 연결되고 장치헤드를 통과하는 승강로드(72) 및 상기 승강로드(80)와 연계되고 장치헤드 상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을 구현토록 제공된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수단이 작동하여 승강로드(72)가 승강되면 상기 승강노즐(34)도 메인노즐의 외곽에서 승강되면서 냉각수 분사를 조정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72)의 하단부에 십자 지지대(72a)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가 승강노즐(34)의 상단부에 브라켓트를 통하여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의 승강수단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장치헤드(10)의 상부에 배치된 구동박스(82)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드(72)와 연결되는 랙블록(84)과, 상기 랙블록에 맞물리고 모터(86)로서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기어(88)를 포함하여 기어 구동형 승강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72)와 연결되고 장치헤드(10) 상에 수직하게 배치된 구동실린더(90) 예를 들어, 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장치헤드의 커버(14) 상부에 배치된 구동박 스(82)내의 모터(86)가 구동되면 이에 연결된 구동기어(88a)와 피동기어(88b)가 회전 구동되고, 상기 피동기어(88b)와 연결된 축에 조립된 피니언기어(88)는 구동박스내에 배치되는 레일부재(미도시)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랙블록(84)을 승강시키고, 이에 따라서 일체로 승강노즐과 연계된 승강로드(72)가 승강되게 된다.
또는, 도 4와 같이, 구동실린더(90)를 사용하는 경우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는 승강로드(72)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3과 같이 여러개의 승강노즐(34)에 하나의 승강로드가 연결되어 그룹화하면서 한번에 여러개의 승강노즐을 승강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 4와 같이 각각의 노즐유닛 승강노즐에 각각의 승강로드를 연계하여 승강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실제 장치헤드(10)에는 상당한 량의 노즐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감안할 때, 하나의 승강로드에 여러개의 승강노즐이 연계되도록 하는 것이 설비 간소화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각각의 승강노즐에 각각 개별 작동되는 승강로드와 구동유닛으로 장치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노즐유닛의 냉각수 분사 시점을 개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예컨대, 노즐유닛의 냉각수 분사를 개별 조정하도록 각각의 구동유닛을 연계하면 실제 압연공정에서 소재 냉각상태에 따라 소재 품질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전체적인 냉각장치의 구조는 복잡하지만 냉각 정도를 소재 폭방향 또는 진행방향으로 다변화 조정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도 4에서는 하나의 모터(86)에 한 쌍의 모터축을 갖는 모터를 도시하였는데, 이 경우 하나의 모터로 2개의 노즐유닛을 승강시키는 점에서 모터 단위 비용은 높지만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도 4에서 각각의 개별 모터 또는 구동실린더(90)를 사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5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50)은, 장치헤드(10)내에 고정 설치되면서 분사구멍(52a)을 형성하여 외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1 노즐(52)과, 상기 제1 노즐(52)에 연결되되 높이 가변을 가능하게 하는 주름관(54) 및, 상기 주름관(54)와 연결되되 장치헤드 상에 장착된 앞에서 설명한 구동유닛(70)과 연계되어 승강되는 제2 노즐(5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노즐(52)을 장치헤드(10)의 본체 바닥의 구멍에 조립하고, 상기 제1 노즐과 승강로드(72)가 연결되어 승강되는 제2 노즐(56)사이에 제2 노즐의 승강에 따른 높이 차(△h)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보상하는 주름관(54)을 조립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노즐(56)이 연결된 승강로드(72)(이와 같은 승강로드의 구동유닛(70)의 승강수단(80)(90)을 통한 승강은 도 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에 의하여 승강되면 그 높이차를 상기 주름관(54)이 수축되거나 팽창(펼쳐지)되면서 보상하게 되고, 제2 노즐의 높이에 따라 냉각수 분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압연라인 냉각장치(1)에서 냉각수 공급 분기라인(132')에 설치된 개폐밸브는 도시하지 않는 장치제어부와 연계되고, 장치제어부에는 상기 장치헤드(10)내에 설치된 냉각수 수위를 감지하는 여러 개의 냉각수 수위 감지센서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장치제어부는 구동유닛(70)의 기어 구동형 승강수단(80)의 모터(86) 또는 구동실린더(90)의 공압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노즐유닛의 승강노즐(34) 또는 제2 노즐(56)의 승강을 장치헤드 내의 냉각수 수위에 대응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냉각장치(1)의 작동은 소재 또는 설비 냉각단계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소재가 통과하지 않을 때, 고온에 의한 노즐 유닛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냉각수를 흘려서 냉각시키는 경우에도 냉각수 분사 조정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압연라인 냉각설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압연라인 냉각장치(상부 냉각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라인 냉각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냉각장치에서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과 구동유닛을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도 3과 다른 형태의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압연라인 냉각장치 10.... 장치헤드
12.... 헤드본체 30,50....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
32....메인노즐 34.... 승강노즐
36,58.... 냉각수 유입공 38.... 가이드
52.... 제1 노즐 54.... 주름관
56.... 제2 노즐 70.... 구동유닛
72.... 승강로드 80.... 기어 구동형 승강수단
82.... 구동박스 84.... 랙블록
86.... 모터 88.... 피니언기어
90.... 구동실린더

Claims (8)

  1. 냉각수가 유입되고 압연라인에 배치되는 장치헤드; 및,
    상기 장치헤드의 내부에 냉각수를 분사토록 구비된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압연라인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헤드는, 압연라인의 소재 이송경로 상부에 배치되면서 개폐밸브를 구비한 냉각수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라인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은,
    상기 장치헤드 내에 고정 설치되면서 분사구멍을 형성하여 외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메인노즐; 및,
    상기 장치헤드 상에 장착되는 구동유닛과 연계되면서 상기 메인노즐의 내측 또는 외측에서 승강토록 제공되어 높이 차로 냉각수 분사를 조정토록 제공된 승강노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라인 냉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의 승강노즐은, 메인노즐의 외측에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고, 장치헤드 내에 설치된 가이드로서 승강이 지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라인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가변형 노즐유닛은,
    상기 장치헤드 내에 고정 설치되면서 분사구멍을 형성하여 외부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에 연결되되 높이 가변을 가능하게 하는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과 연결되되 장치헤드 상에 장착된 구동유닛과 연계되어 높이 차로 냉각수 분사를 조정토록 승강되는 제2 노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라인 냉각장치.
  6.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노즐 또는 제2 노즐의 상부에는 냉각수 유입공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라인 냉각장치.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승강노즐 또는 제1 노즐과 연결되고 장치헤드를 통과하는 승강로드; 및
    상기 승강로드와 연계되고 장치헤드 상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을 구현토록 제공된 승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라인 냉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장치헤드 상부에 배치된 구동박스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드와 연결되는 랙블록과, 상기 랙블록에 맞물리고 모터로서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기어 구동형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로드와 연결되고 장치헤드 상에 배치된 구동실린더;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라인 냉각장치.
KR1020080050201A 2008-05-29 2008-05-29 압연라인 냉각장치 KR10100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01A KR101008071B1 (ko) 2008-05-29 2008-05-29 압연라인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201A KR101008071B1 (ko) 2008-05-29 2008-05-29 압연라인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164A true KR20090124164A (ko) 2009-12-03
KR101008071B1 KR101008071B1 (ko) 2011-01-13

Family

ID=4168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201A KR101008071B1 (ko) 2008-05-29 2008-05-29 압연라인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0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932B1 (ko) * 2013-02-22 2013-11-29 한국기계연구원 냉각수 분사노즐
KR101461847B1 (ko) * 2014-03-14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냉각 방법
KR20190069190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34B1 (ko) * 2012-04-26 2014-02-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의 내권부 냉각장치
KR101726763B1 (ko) * 2015-12-17 2017-04-13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KR102298624B1 (ko) 2020-08-27 2021-09-06 현대로템 주식회사 압연설비 냉각라인용 가장자리 마스크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6830A (en) 1981-03-24 1982-09-28 Kawasaki Steel Corp Cooling method for rolling material
JPS62260022A (ja) * 1986-05-01 1987-11-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鋼板の冷却装置
JPH08155528A (ja) * 1994-11-30 1996-06-18 Nkk Corp 金属板の冷却装置
KR100402134B1 (ko) 1999-12-27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주수개폐 성능이 우수한 층류냉각 헤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932B1 (ko) * 2013-02-22 2013-11-29 한국기계연구원 냉각수 분사노즐
KR101461847B1 (ko) * 2014-03-14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냉각 방법
KR20190069190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071B1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071B1 (ko) 압연라인 냉각장치
US201200369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slabs, thin slabs, profiled elements, or similar
RU2456352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рельсов
KR101085262B1 (ko) 탄소강에 베이나이트 조직을 연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2741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cooling
WO2014103164A1 (ja) 熱延鋼帯の冷却方法および冷却装置
KR20120082137A (ko) 고주파 열처리 장치
CN102061363A (zh) 一种中厚钢板直接淬火的装置及其工艺
US73544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atenting steel wires
KR101481616B1 (ko) 압연소재 냉각장치
JP7406093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CN106929643B (zh) 一种底部喷液破淬火水汽膜实验装置及方法
JP2009220158A (ja)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KR20220041697A (ko) 열처리된 금속에 분사된 냉각수를 제거하는 담금질장치
US7374624B1 (en) Vertical plate dip quench
KR20130034355A (ko) 강판 냉각장치
US4575052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quenching a steel plate
KR101394447B1 (ko) 열간압연장치 및 열간압연재의 제조방법
KR20130075595A (ko) 고온소재 냉각 장치 및 방법
CN214383785U (zh) 带钢回火装置及带钢热处理系统
KR101446710B1 (ko) 냉각대의 강판 평탄화 장치
KR20090005504A (ko) 고온 소재 이송롤 냉각장치
CN201250280Y (zh) 热镀锌气雾冷却喷箱
JP4409321B2 (ja) 円筒物の外面焼入方法
CN114317912B (zh) 一种淬火介质可快速流动的淬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