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596A -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596A
KR20090123596A KR1020080049755A KR20080049755A KR20090123596A KR 20090123596 A KR20090123596 A KR 20090123596A KR 1020080049755 A KR1020080049755 A KR 1020080049755A KR 20080049755 A KR20080049755 A KR 20080049755A KR 20090123596 A KR20090123596 A KR 20090123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stopper
loading table
charging table
heat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294B1 (ko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29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27B9/2407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the conveyor being constituted by rollers (roller hearth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40Arrangements of controlling or monito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27D2019/0071Regulation using position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재(B)가 적치되는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B)를 1본씩 롤러테이블(33)이 있는 위치까지 하강에 의해 이송시키는 분리대(19)와; 상기 분리대(19)와 연동되게 상기 분리대(19)의 상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분리대(19)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으로 하강되어 상기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을 막는 스토퍼(3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재(B)1본이 낙하한 후 다음 소재(B')가 밀려오면 스토퍼(31)가 하강하여 이 소재(B')가 정지하도록 하므로 소재의 2본 낙하가 방지되어 조업의 안정성 및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11), 2본 낙하

Description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 billet abnormal falling on heating furnace billet charging table}
본 발명은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테이블에 소재(예컨데, 빌렛) 2본이 연속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공정의 기본이 되는 열간압연공정은 연속주조에 의하여 제조된 슬라브나 불룸, 빌렛 등의 중간 소재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고온으로 재가열한 후 조압연, 사상압연 등의 과정을 거쳐 냉각설비에서 냉각시켜 최종 강재로 생산하는 것이다.
가열로는 일반적으로 가열대상물을 자체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열시키는 장치로, 가열로의 입구측에는 가열로로 소재를 장입하기 위한 소재 장입 테이블이 구비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소재 장입 테이블의 구성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소재 장입 테이블(3)은 실질적으로 소재(B)가 적치되고 이송되는 테이블로, 소재 장입 테이블(3)에서 소재(B)가 이송되는 출측 하부에는 가열로(미도시)와 연결된 롤러테이블(5)이 구비된다. 롤러테이블(5)은 소재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소재(B)가 낙하하면 이 소재(B)를 가열로 내부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소재 장입 테이블(3)에서 소재(B)가 가열로로 이송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소재 장입 테이블(3)에 적치된 소재(B)가 이송되어 롤러테이블(5)에 1본씩 낙하되고, 그에 따라 롤러테이블(5)이 소재(B)를 이송하여 가열로 내부로 장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소재(B)를 롤러테이블(5)로 낙하하는 작업은 소재(B) 1본씩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소재(B)를 롤러테이블(5)로 1본씩 낙하시키는 설비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 소재(B)가 낙하된 롤러테이블(5)의 상부로 다음 소재(B')가 또 낙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소재 2본(B,B')이 연속적으로 낙하되면 소재(B)가 롤러테이블(5)에 걸려 장입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와이어로 낙하된 소재(B)를 걸어 크레인으로 제거하게 되는데, 소재(B)의 중량이 크고 소재(B)가 가열로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함으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 또는 화상을 입을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재(B)를 제거하는 작업시간이 최소 30분 이상 소요되므로 작업시간 지연에 따른 제품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유발하는 소재 2본 낙하는 소재가 터치바(미도시) 가 미는 관성에 의해 밀려 다음 소재와 충돌하거나 소재가 휘어진 경우에도 발생하는데, 그 발생횟수가 월 평균 10회에 달하고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적인 구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 1본의 낙하와 동시에 다음 소재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스토퍼기능을 갖는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재가 적치되는 소재 장입 테이블의 출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를 1본씩 롤러테이블이 있는 위치까지 하강에 의해 이송시키는 분리대와; 상기 분리대와 연동되게 상기 분리대의 상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분리대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재 장입 테이블의 출측으로 하강되어 상기 소재 장입 테이블의 출측을 막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대는 공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일측이 지지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분리대의 상방으로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양단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분리대에 고정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소재 장입 테이블 출측에 위치되는 스토퍼부, 그리고 연동부와 스토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부는 상기 스토퍼부 보다 소재의 높이 이상의 간격만큼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분리대가 상기 소재 장입 테이블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된 높이는 상기 소재 장입 테이블과 롤러테이블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에 승하강 가능한 분리대와 이 분리대의 하강에 의해 함께 하강되어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을 막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이는 소재가 롤러테이블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다음 소재가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으로 밀려오더라도 분리대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소재의 2본의 연속 낙하가 방지되어 조업안정성을 가져오는 것은 물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상세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열로(미도시)의 입구측에 가열로로 소재를 장입하기 위해 소재(B)가 적치되어 이송되는 소재 장입 테이블(11)이 구비된다.
소재 장입 테이블(11)은 소재(B)가 적치되는 상부면을 구비하고, 이 상부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레일이 구비되어 소재(B)를 아 래에서 설명될 분리대(19)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소재 장입 테이블(11)은 소재(B)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3)와 이 감지센서(13)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소재(B)가 분리대(19)에 1본씩 이송되게 위치선정을 해주는 터치바(15)를 가지며,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를 구비한다. 제어부(17)는 감지센서(13)의 감지결과로 구동모터 및 터치바(15)의 작동을 제어한다.
소재 장입 테이블(11)에서 소재(B)가 이송되는 출측에는 분리대(19)가 구비된다. 분리대(19)는 납작한 판형상으로 공압실린더(21)의 피스톤로드(23)에 그 선단이 지지된다. 분리대(19)는 공압실린더(21)의 공압에 의해 상승되고 상부에 소재(B)가 올려지면 그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공압실린더(21)는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에 구비된 프레임(25) 상에 설치된다. 프레임(25)은 본 발명의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의 기본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플레이트(27)와 이 고정플레이트(27)에 대해 승하강되는 스토퍼(31)를 지지한다. 프레임(25)은 분리대(19)의 위치를 고려하여 소재 장입 테이블(11)로부터 분리대(19)의 폭 이상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고정플레이트(27)는 대략 납작한 사각형상으로 프레임(25)의 상면에 소재 장입 테이블(11)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고정플레이트(27)의 돌출된 면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원형의 관통공(29)이 형성된다. 관통공(29)은 고정플레이트(27)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두 곳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정플레이트(27)에는 소재(B)가 분리대(19)로 이송되고 하강되는 과정에서, 다음 소재(B')가 추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31)가 구비된다. 스토퍼(31)는 전체적으로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ㄷ'자 형상의 봉프레임으로, 양단이 고정플레이트(27)의 관통공(29)에 삽입 설치된다.
스토퍼(31)는 관통공(29)에 삽입되어, 분리대(19)에 고정되는 연동부(31a)와 소재 장입 테이블(11) 출측에 위치되는 스토퍼부(31b), 그리고 연동부(31a)와 스토퍼부(31b)를 연결하는 연결부(31c)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분리대(19)의 하강에 의해 스토퍼(31)도 함께 하강시키므로 스토퍼부(31b)가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을 막아 다음 소재(B)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연결부(31c)는 스토퍼(31)의 하강되는 정도를 규제하게 된다.
스토퍼(31)에서 연동부(31a)와 스토퍼부(31b) 사이의 간격은 분리대(19)의 폭만큼 이격되고, 연동부(31a)의 길이는 스토퍼부(31b)의 길이보다 소재(B)의 높이 이상의 간격만큼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소재(B)가 분리대로 이송시 소재(B)와 스토퍼부(31b)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소재(B)가 이송되어 분리대(19)가 하강하면 스토퍼부(31b)가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을 막아 다음 소재(B')가 낙하하는 것을 막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분리대(19)는 스토퍼(31)가 고정플레이트(27)의 상부로 돌출된 높이(X)만큼 하강된다. 그에 따라 고정플레이트(27)의 상부로 돌출된 스토퍼(31)의 높이를 소재 장입 테이블(11)과 롤러테이블(33) 사이의 간격(Y)과 같은 치수로 설계한다.
롤러테이블(33)은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하방에 설치된다. 롤러테이블(33) 은 일측이 분리대(19)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가열로의 입구와 연결된다. 롤러테이블(33)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의 구동력이 의해 회전되는 다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4b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의 사용상태가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a의 상태는 크레인에 의해 소재(B)가 소재 장입 테이블(11)에 적치되어 이송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를 초기상태라고 하고 이때, 분리대(19)는 공압에 의해 상승되어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에 소재 장입 테이블(11)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소재(B)가 이동레일에 의해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으로 이송된다. 소재(B)가 이송되어 설정된 위치까지 도달하면 이를 감지한 감지센서(13)에 의해 이동레일이 정지되면서 소재(B)는 이송 완료되고, 다음으로 터치바(15)가 전진하여 소재(B)를 분리대(19)의 상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바(15)가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소재(B) 1본을 분리대(19) 상부로 이송시켜 주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B)의 무게에 의해 분리대(19)가 하강한다. 분리대(19)는 롤러테이블(33)이 있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는데, 분리대(19)가 하강하면 스토퍼(31)도 함께 하강하므로 스토퍼부(31b)가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을 막게 된다.
이에 따라 소재(B)가 롤러테이블(33)측으로 하강하는 동안 다음 소재(B')가 소재 장입 테이블(11)의 출측으로 밀려오더라도 분리대(19)측으로 낙하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분리대(19)가 롤러테이블(33)이 있는 위치까지 하강하면 롤러테이블(33)이 작동하여 소재(B)를 가열로 내부로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재(B)가 가열로에 장입되고, 공압실린더(21)는 공압을 이용하여 분리대(19)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스토퍼(31)는 연동부(31a)의 단부가 분리대(19)에 고정되어 있어 분리대(19)가 상승되어 원위치로 가게 되면 상기 스토퍼(31)도 함께 원위치로 간다.
물론, 스토퍼(31)가 원위치로 가게 됨에 의해 장입 테이블(11) 출측에 위치된 다음 소재(B')도 스토퍼(31)에 걸리지 않은 상태로 분리대(19)의 상부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위에서 설명된 순서로 소재(B)의 가열로 장입이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소재 장입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상세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소재 장입 테이블 13:감지센서
15:터치바 17:제어부
19:분리대 21:공압실린더
23:피스톤로드 25:프레임
27:고정플레이트 29:관통공
31:스토퍼 31a:연동부
31b:스토퍼부 31c:연결부
33:롤러테이블 B:소재

Claims (6)

  1. 소재가 적치되는 소재 장입 테이블의 출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재를 1본씩 롤러테이블이 있는 위치까지 하강에 의해 이송시키는 분리대와;
    상기 분리대와 연동되게 상기 분리대의 상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분리대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상기 소재 장입 테이블의 출측으로 하강되어 상기 소재 장입 테이블의 출측을 막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는 공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일측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분리대의 상방으로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양단이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분리대에 고정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의 반대편에 구비되고, 소재 장입 테이블 출측에 위치되는 스토퍼부,
    그리고 연동부와 스토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스토퍼부 보다 소재의 높이 이상의 간격만큼 더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대가 상기 소재 장입 테이블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된 높이는 상기 소재 장입 테이블과 롤러테이블 사이의 간격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KR1020080049755A 2008-05-28 2008-05-28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KR10099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755A KR100997294B1 (ko) 2008-05-28 2008-05-28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755A KR100997294B1 (ko) 2008-05-28 2008-05-28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596A true KR20090123596A (ko) 2009-12-02
KR100997294B1 KR100997294B1 (ko) 2010-11-29

Family

ID=4168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755A KR100997294B1 (ko) 2008-05-28 2008-05-28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2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7232A (zh) * 2014-11-25 2015-03-25 无锡市晶瑜冶金机械有限公司 用于步进炉的步进装置
CN105241251A (zh) * 2015-12-01 2016-01-13 无锡市晶瑜冶金机械有限公司 步进框架升降调节装置
KR20170001453A (ko) 2015-06-26 2017-01-04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817B1 (ko) * 2011-10-20 2013-09-12 주식회사화신 가열로용 이송받침판 정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7232A (zh) * 2014-11-25 2015-03-25 无锡市晶瑜冶金机械有限公司 用于步进炉的步进装置
KR20170001453A (ko) 2015-06-26 2017-01-04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가이드 장치
CN105241251A (zh) * 2015-12-01 2016-01-13 无锡市晶瑜冶金机械有限公司 步进框架升降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294B1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294B1 (ko) 가열로 소재 장입 테이블의 소재 이상낙하 방지장치
KR101482397B1 (ko) 열처리소재 자동취출장치
CN102888508B (zh) 加热炉水梁和立柱的更换结构及方法
KR1014244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671189A (zh) 短棒喂料机及其喂料方法
US4116619A (en) Multiple beam furnace
RU264048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методом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совмещенной с прокаткой
CN104724491A (zh) 一种多孔烧结砖自动分坯机及其分坯方法
EP0257540B1 (en) Processing steel slabs
CN206154767U (zh) 一种成型机模具台移出机构
JP6969610B2 (ja) 抜枠鋳型用鋳造ライン及び抜枠鋳型用鋳造ラインの作動方法
KR101938583B1 (ko) 가열로용 대차
KR20180117669A (ko) 단순 롤 스탠드 구조에서 인라인 롤 교체
KR100408674B1 (ko) 슬라브 크롭 적재장치
KR20090016220A (ko) 가열로 추출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6323413B2 (ja) グレートバーの押え治具及び押え方法並びにサイドウォール交換方法
CN204528613U (zh) 一种多孔烧结砖自动分坯机
CN110172354A (zh) 一种用于焦炉炉头散焦的转运处理装置及其操作方法
CN217604655U (zh) 一种熔炼炉的进料装置
KR100765072B1 (ko) 가열로 설비의 결번 슬라브 홀딩 장치
CN217995680U (zh) 废钢转运装置
CN212688148U (zh) 推钢式加热炉防止钢坯粘钢的装置
CN218258820U (zh) 一种稳定式称重架
JP4935420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熱間圧延設備
JP3845877B2 (ja) 金属精錬炉の補修用遮断デッ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