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097A -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 잉곳과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 잉곳과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097A
KR20090122097A KR20080071627A KR20080071627A KR20090122097A KR 20090122097 A KR20090122097 A KR 20090122097A KR 20080071627 A KR20080071627 A KR 20080071627A KR 20080071627 A KR20080071627 A KR 20080071627A KR 20090122097 A KR20090122097 A KR 20090122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weight
ingot
mold
sludg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129B1 (ko
Inventor
김재춘
Original Assignee
(주)부국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국테크 filed Critical (주)부국테크
Publication of KR2009012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81Embedding aggregates to obtain particular properties
    • B28B23/0093Heavy aggregates or scrap material for making heav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런스웨이트의 형상 또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형상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몰드집에 시멘트 1 ~ 99 중량% 와 철강제품 제조시 발생되는 폐기 철 슬러지 1 ~ 99 중량% 를 혼합한 조성물을 채우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몰드에 혼합되어 채워진 조성물의 슬러지 공극을 외력을 가해 제거하여 비중을 1.5 ~ 7로 맞추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폐자재에 속하는 철강 슬러지를 이용하여 원가를 절감시키면서 크기의 성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새로운 용도로 사용 가능한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 잉곳과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밸런스 웨이트, 중장비, 슬러지, 잉곳

Description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 잉곳과 그의 제조방법{Balance Weight and Ingot for making Balance Weight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밸런스웨이트의 형상 또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형상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몰드집에 시멘트 1 ~ 99 중량% 와 철강제품 제조시 발생되는 폐기 철 슬러지 1 ~ 99 중량% 를 혼합한 조성물을 채우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몰드에 혼합되어 채워진 조성물의 슬러지 공극을 외력을 가해 제거하여 비중을 1.5 ~ 7로 맞추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에 관한 것이다.
밸런스 웨이트는 장치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대형 건설에 사용되는 중장비 등에 차체를 지탱하기 위하여 밸런스 웨이트를 요구하고 있거나, 기타 산업 기자재 저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요구하는 산업분야 중에서 중장비에 관하여 살펴보면, 이와 같은 중장비로 분류되는 장치로는 수송기능을 보유하면서 짐칸의 앞쪽이 들려 서 짐칸에 실은 물건(주로 흙, 자갈 등)을 뒤로 쏟아낼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덤프트럭과 땅을 파거나 땅을 파서 나온 흙을 트럭에 싣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포크레인이 있다.
또한, 조선소에나 제철소에서 무거운 물건을 위로 들어 올리는데 사용되는 크레인과 토목공사를 할때 토양을 밀어버리거나 흙 등을 트럭위에 싣거나 할때 사용되는 불도저와 토목공사시 다짐작업이나 도로포장 공사시 다짐작업을 할 때 사용되는 로울러와 무거운 물건을 들어서 트럭위에 올리거나 높은데에 올리는데 사용되는 지게차가 있다.
기타, 믹스트럭, 펌프카, 트레일러, 유압절단기, 119구조용 중장비 등등 밸런스 웨이트를 필요로 하는 중장비는 헤아릴 수 없이 많으며, 각 장비마다 특징적인 크기와 비중의 밸런스 웨이트 정격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장치들이 요구하는 밸런스 웨이트를 제작하기 위하여 밸런스 웨이트 형상이 성형된 몰드를 이용하여 시멘트로 성형하며, 부족한 비중을 충족시키기 위하어 고철 덩어리를 내부에 충진 시켰다.
상기 고철을 이용하여 밸런스 웨이트를 형성시키는 종래의 방법은 밸런스 웨이트 외형이 성형된 케이스에 바인더와 고철을 넣어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고철의 투입량에 의하여 비중이 결정되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에 사용되는 고철 덩어리는 충분히 재사용이 가능한 고철임에도 불구하고 밸런스 웨이트로 제작되어 철강 제품으로의 재가공이 불가능하였고, 최근의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생산원가의 상승을 부추키는 주원인이 되었다.
또한 내부에 충진되는 고철의 형상에 의하여 밸런스 웨이트의 크기 조성이 자유롭지 못하고 투입되는 양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싱 내부에 투입되는 고철의 위치를 정확히 조절할 수 없어서 생산된 밸런스 웨이트의 무게 중심이 모두 불일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자재에 속하는 철강 슬러지를 이용하여 원가를 절감시키면서 크기의 성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새로운 용도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 잉곳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밸런스 웨이트의 형상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몰드에 바인더 1 ~ 99 중량% 와 철강제품 제조 및 가공시 발생되는 폐기 철 슬러지 1 ~ 99 중량% 를 혼합한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을 채우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몰드에 혼합되어 채워진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의 내부에 포함된 슬러지 공극을 제거하면서 비중을 1.5 ~ 7로 맞추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의 바인더는 시멘트 또는 케미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폐기 철 슬러지 대신 고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밸런스 웨이트 제작시 비중 조절용으로 투입시키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형상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몰드에 바인더 1 ~ 99 중량% 과 철강제품 제조 및 가공 시 발생되는 폐기 철 슬러지 1 ~ 99 중량% 를 혼합한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조성물을 채우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몰드에 혼합되어 채워진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조성물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의 내부에 포함된 슬러지 공극을 제거하면서 비중을 1.5 ~ 7 로 맞추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제조방법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의 바인더는 시멘트 또는 케미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폐기 철 슬러지 대신 고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단계의 외력은 상기 슬러지 공극을 제거하여 목표 비중에 접근되도록 상기 몰드에 가해지는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몰드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기 슬러지 공극을 제거함으로써, 목표 비중에 접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술적 요지 이외에 상기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밸런스 웨이트와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폐자재에 속하는 철강 슬러지를 이용하여 원가를 절감시키면서 크기의 성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새로운 용도로 사용 가능하여 생산된 제품의 무게 중심이 모두 일치하는 고품질의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 잉곳과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방법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밸런스 웨이트의 새로운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밸런스 웨이트 잉곳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밸런스 웨이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폐자재에 속하는 슬러지를 이용하여 밸런스 웨이트 자체를 제작하는 방법의 기술과 밸런스 웨이트의 비중 조절을 위하여 밸런스 웨이트에 투입되는 잉곳을 제작하는 방법의 기술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생산되는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 제작용 잉곳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런스 웨이트는 밸런스 웨이트용 몰드에 시멘트와 비중 조절을 위한 고철을 투입하여 고철의 투입량에 의하여 목표 비중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생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대처하는 것으로서, 목표 비중이 미리 설정된 밸런스 웨이트와, 투입 갯수만으로 목표 비중에 접근시킬 수 있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밸런스 웨이트 자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단계는 밸런스 웨이트의 형상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밸런스 웨이트가 사용되는 중장비와 같은 장치의 전체 크기는 정해져 있으므로, 각 장치마다 밸런스 웨이트의 크기와 비중은 장치의 전체 크기에 의하여 정해지게 된다.
상기 몰드은 밸런스 웨이트 자체의 크기와 모양이 형성된 대형의 금형이다.
본 발명의 제2단계는 상기 몰드에 시멘트 1 ~ 99 중량% 와 철강제품 제조시 발생되는 폐기 철 슬러지 1 ~ 99 중량%를 혼합한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을 채우는 단계이다.
상기 배합비는 장착될 장비의 밸런스 웨이트 정격 비중에 따라 가변되며 일반적으로 (바인더 2) : (폐기 철 슬러지 8) 정도의 배합비면 일반적인 장치의 밸런스 웨이트 정격 비중을 만족하는 것으로 실험되고 있다.
상기 슬러지는 철판 가스 절단중 형성되는 폐 슬러지 또는 단조 작업 중 남는 폐 슬러지, 철강 회사에서 철강, 철판의 생산 중에 남는 폐 슬러지, 철광의 제련 중에 발생되는 폐 슬러지 등으로서 주로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폐기물로 분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폐기 철 슬러지는 비중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예시한 폐기 철 슬러지 이외에 이모노가루, 철광석 등과 같이 모든 철 부산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기타 고철도 투입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후술하는 제3단계의 공정에 의해서도 큰 특징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비중 형성을 위하여 투입되는 폐기 철 슬러지는 내부에 슬러지 공극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의 몰드에 투입된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 내부의 슬러지 공극을 제거하여 비중을 1.5 ~ 7로 맞추는 단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밸런스 웨이트는 그 크기와 비중이 정격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단계에서는 장치의 정격에 맞게 크기와 비중을 조정하는 작업이며, 상기 제2단계의 배합비에 의하여 어느 정도 정해지는 비중은 제3단계에서 정격 비중으로 접근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의 슬러지 공극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를 하부 금형틀로 삼아 상측에서 프레스로 가압하여 슬러지를 압착시킴으로써 공극을 제거하고 비중을 맞추는 방법이다.
이러한 슬러지 공극제거 방법으로는 구체적으로 유압 프레스나 단조 프레스, 메가 크랭크 프레스로 가압시키는 방법 등이 있으며, 가압하는 압력에 따라 비중이 조절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는 자연 건조 또는 오븐 건조가 있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밸런스 웨이트는 밸런스 웨이트의 형상을 형성시키기 쉬울 뿐만 아니라, 폐기물로 버려져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폐 슬러지를 새로운 산업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밸런스 웨이트의 비중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밸런스 웨이트를 요구하는 장비 종류마다 다르게 가지고 있는 밸런스 웨이트 정격을 쉽게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밸런스 웨이트는 가압 방향에 따라 압축된 내부 슬러지에 의하여 일정한 물리적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징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밸런스 웨이트 자체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를 예를들어 소형 블럭과 같은 일정 형상으로 형성시켜, 어떠한 장치의 요구 정격이 있더라도 소형 블럭의 투입 갯수를 조절하여 그 정격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밸런스 웨이트 잉곳을 제공하는 또 다른 기술적 요지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요지에 해당되는 상기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은 종래의 기술방식으로 밸런스 웨이트를 제작할 때 투입되던 고철 자체를 대용하는 물품이라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기술방식에서 밸런스 웨이트를 밸런스 웨이트용 몰드에 시멘트와 고철을 투입시키되 고철의 투입량에 의하여 비중을 충족시키고 생산한 것에 대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밸런스 웨이트용 몰드(110)에 시멘트(100)와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10)을 투입시키되 상기 밸런스 웨이트 잉곳(10)의 투입갯수에 의하여 비중을 충족시키고 생산할 수 있게 한다.
종래 방식의 고철 투입시에는 투입되는 고철의 크기와 형상이 제각기 달라서 중량만을 고려하여 투입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전체 밸런스 웨이트의 형상을 성 형 하기가 힘들고, 무게 중심을 정확히 잡기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음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투입갯수의 조절이 쉽고 밸런스 웨이트 잉곳 생산시 블록형, 구형 등으로 모먕의 성형이 쉬워 투입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투입 후에도 전체 밸런스 웨이트의 무게 중심을 정확히 잡을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밸런스 웨이트 잉곳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밸런스 웨이트의 단면도로서, 밸런스 웨이트용 몰드(110)에 투입된 본 발명의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10)의 용도를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의한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10)에 의하면 크기와 비중은 미리 정형화되어져 있어서, 희망하는 크기의 밸런스 웨이트 몰드에 투입시킬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10)의 갯수를 미리 산정할 수 있어 밸런스 웨이트의 제작 공정을 크게 간편하게 하면서 무게 중심이 정확히 형성되는 우수한 품질의 밸런스 웨이트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제작방법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단계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형상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몰드는 밸런스 웨이트 제작용 몰드에 투입되는 밸런스 웨이트 잉곳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므로 밸런스 웨이트 잉곳의 크기와 모양이 형성된 소형 몰드이며, 후술하는 압력형 또는 진동형에 따라 금형틀이나 형상틀로 그 명칭이 변경하여 보아도 무방하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모양은 일반적인 철강괴의 형상이나, 직육면체, 정육면체, 원뿔형, 원형 등 희망하는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단계는 상기 몰드에 바인더 1 ~ 99 중량% 와 폐기 철 슬러지 1 ~ 99 중량%를 혼합한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조성물을 채우는 단계이다.
상기 배합비는 잉곳의 설계 기준에 따라 가변될 것이며, 상기 바인더는 시멘트, 케미칼 또는 기타 접착제 등이 있다.
상기 슬러지는 철판 가스 절단중 형성되는 폐 슬러지 또는 단조 작업 중 남는 폐 슬러지, 철강 회사에서 철강, 철판의 생산 중에 남는 폐 슬러지, 철광의 제련 중에 발생되는 폐 슬러지 등으로서 주로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폐기물로 분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폐기 철 슬러지는 비중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예시한 폐기 철 슬러지 이외에 이모노가루, 철광석 등과 같이 모든 철 부산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기타 고철도 투입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제3단계에서 종래 기술과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폐기 철 슬러지에는 내부 공극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의 몰드에 혼합되어 채워진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조성물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의 내부에 포함된 슬러 지 공극을 제거하면서 비중을 1.5 ~ 7 로 맞추는 단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장비의 밸런스 웨이트는 그 크기와 비중이 정격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단계에서는 본래의 밸런스 웨이트의 정격에 맞게 투여할 수 있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비중을 조정하는 작업이며, 상기 제2단계의 배합비에 의하여 어느 정도 정해지는 비중은 제3단계에서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정격 비중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조성물의 슬러지 공극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첫번째 방법으로는 압축형 공극 제거 방법이 있고 두번째로는 진동형 공극 제거 방법이 있다.
상기 압축형 공극 제거방법은 상기 몰드를 하부 금형틀로 삼아 상측에서 프레스로 가압하여 슬러지를 압착시킴으로써 공극을 제거하고 비중을 맞추는 방법이다.
이때 프레스의 가압량에 따라 비중이 조절되므로 목표 비중이 설정되며, 프레스의 가압량으로 비중을 맞추면 된다.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경우에는 상기한 밸런스 웨이트 자체의 제작과 달리 진동형 공극 제거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진동형 공극 제거방법은 상기 몰드를 형상틀로 삼아 진동을 가하면 상기 슬러지의 공극 틈으로 시멘트 등의 바인더를 침투시켜 공극을 제거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슬러지 공극제거 방법으로는 구체적으로 유압 프레스나 단조 프레스, 메가 크랭크 프레스로 가압시키는 방법, 바이브레이팅 작업 공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는 자연 건조 또는 오븐 건조가 있다.
이와 같이 생산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에 의하면 크기와 비중이 정형화되어져 희망하는 크기의 밸런스 웨이트 몰드에 투입시킬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갯수를 미리 산정할 수 있어 밸런스 웨이트의 제작 공정을 크게 간편하게 하면서 우수한 품질의 밸런스 웨이트를 생산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밸런스 웨이트의 제조방법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밸런스 웨이트의 새로운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밸런스 웨이트 잉곳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밸런스 웨이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100 : 시멘트
110 : 밸런스 웨이트용 몰드

Claims (10)

  1. 밸런스 웨이트의 형상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몰드에 바인더 1 ~ 99 중량% 와 철강제품 제조 및 가공시 발생되는 폐기 철 슬러지 1 ~ 99 중량% 를 혼합한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을 채우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몰드에 혼합되어 채워진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의 내부에 포함된 슬러지 공극을 제거하면서 비중을 1.5 ~ 7로 맞추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바인더는
    시멘트 또는 케미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폐기 철 슬러지 대신 고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 제조방법.
  4. 밸런스 웨이트 제작시 비중 조절용으로 투입시키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의 형상이 형성된 몰드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몰드에 바인더 1 ~ 99 중량% 과 철강제품 제조 및 가공 시 발생되는 폐기 철 슬러지 1 ~ 99 중량% 를 혼합한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조성물을 채우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몰드에 혼합되어 채워진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조성물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밸런스 웨이트 조성물의 내부에 포함된 슬러지 공극을 제거하면서 비중을 1.5 ~ 7 로 맞추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상기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바인더는
    시멘트 또는 케미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폐기 철 슬러지 대신 고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외력은
    상기 슬러지 공극을 제거하여 목표 비중에 접근되도록 상기 몰드에 가해지는 진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몰드를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기 슬러지 공극을 제거함으로써, 목표 비중에 접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제조방법.
  9. 제1항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밸런스 웨이트.
  10. 제4항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밸런스 웨이트용 잉곳.
KR20080071627A 2008-05-23 2008-07-23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 잉곳과 그의 제조방법 KR100944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8091 2008-05-23
KR1020080048091 2008-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097A true KR20090122097A (ko) 2009-11-26
KR100944129B1 KR100944129B1 (ko) 2010-02-24

Family

ID=4160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1627A KR100944129B1 (ko) 2008-05-23 2008-07-23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 잉곳과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587B1 (ko) * 2012-05-11 2013-10-18 박정숙 재사용되는 세탁기용 밸런스 웨이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6776A (en) 1977-11-30 1979-06-19 Daitetsu:Kk Balance weight
KR100240754B1 (ko) 1997-12-26 2000-01-15 신현준 제강 슬래그와 폐철류를 이용한 고내구성 중장비용 평형추 제조 방법
KR100376506B1 (ko) * 1998-12-12 2003-05-17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지를이용한용철제조용미분환원철의괴상화방법
KR100345298B1 (ko) * 1998-12-24 2002-09-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내용출성이 우수한 평형추의 성형물_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587B1 (ko) * 2012-05-11 2013-10-18 박정숙 재사용되는 세탁기용 밸런스 웨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4129B1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1219B (zh) 高强度聚酯复合井盖及其制备方法
CN102189689B (zh) 利用破碎-分选废弃电路板制备市政窨井盖的方法
CN102921925A (zh) 一种降低铁基表面复合材料浇注温度的方法
KR100944129B1 (ko) 밸런스 웨이트 및 밸런스 웨이트 잉곳과 그의 제조방법
KR20200036847A (ko) 콤팩트 재료를 얻기 위한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진 콤팩트 재료
CN103240834A (zh) 碳纤维树脂基复合材料的制作方法
CN104741173B (zh) 一种复合材料磨辊的制造方法
WO2008050831A1 (fr) Procédé de production d'un matériau solide granuleux à partir de cendres de charbon comme matière première et appareil associé
CN111196694A (zh) 一种利用固体废料制备电梯配重块的生产方法
CN205437016U (zh) 一种铸造用旧砂回收处理装置
CN107199521B (zh) 一种利用废料制作磨块的工艺
CN104552697A (zh) 一种降噪块的成型制备方法
CN204109115U (zh) 一种预制小型混凝土构件的车载式振捣装置
Josan et al. Using special additions to preparation of the moulding mixture for casting steel parts of drive wheel type
Mehrotra Strategies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of hardmetal production
CN105057019A (zh) 建筑垃圾粉碎器
KR100958844B1 (ko) 카운터 웨이트용 충진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카운터 웨이트용 충진재
KR100481962B1 (ko) 산업차량의 카운터웨이트 제조방법
CN201687006U (zh) 一种高强度聚酯复合井盖
CN111574118A (zh) 一种建筑垃圾再利用方法
CN101804657A (zh) 一种渣钢分割板的制备方法
CN214167302U (zh) 一种利用球墨铸铁管制作的大型导向柱
CN203380352U (zh) 一种陶瓷金属复合耐磨材料用预制体
JP5019144B2 (ja) 建設機械用カウンタウエイト及びそのリサイクル法
KR101277777B1 (ko) 소결식 잉곳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