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943A - 산소발생기저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소발생기저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9943A
KR20090119943A KR1020080081730A KR20080081730A KR20090119943A KR 20090119943 A KR20090119943 A KR 20090119943A KR 1020080081730 A KR1020080081730 A KR 1020080081730A KR 20080081730 A KR20080081730 A KR 20080081730A KR 20090119943 A KR20090119943 A KR 20090119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generator
diaper
acid
oxyge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9867B1 (ko
Inventor
노만균
Original Assignee
(주)고체산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체산소테크 filed Critical (주)고체산소테크
Publication of KR20090119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저귀에 산소를 발생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사용 시 기저귀가 접촉되는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를 발생하는 기저귀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는 사용 시 산소를 발생시켜 종래의 기저귀의 문제점이었던 통기성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부 짓무름, 염증 등의 증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저귀, 위생대, 생리대, 산소, 과산화수소, 피부, 냄새제거

Description

산소발생기저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OXYGEN GENERATING DIAPER AND OXYGEN GENERATING COM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기저귀(diap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저귀에 산소를 발생하는 물질을 첨가하여 기저귀에 접촉하는 피부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기능성 기저귀에 관한 발명이다.
본 기저귀를 사용하면 산소를 발생시켜 통기성을 좋게 하여 피부 짓무름, 염증 예방 및 냄새 발생 예방 등 피부건강을 좋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산소발생제에 의해 산소가 발생할 때 생성되는 과산화수소의 항균 및 소독효과로 인해 피부의 청결성은 더욱 좋아질 수 있다.
기저귀는 신생아들이 배출하는 오줌, 똥 등 분비물을 흡수, 저장하였다가 배출이 끝난 후 폐기하는 위생용품이다. 따라서 기저귀에는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된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소재로서 부직포와 흡수성 고분자와 같은 물질들이 사용된다.
그러나 일례로 기저귀를 사용하면 기저귀와 피부가 접촉하는 부위에 습도가 증가하며 증가된 습도와 체온으로 인하여 분비물 주위에는 각종 포도상구균과 같은 세균성 미생물이 생장한다. 생장한 미생물은 대사 산물로 각종 악취를 발산하며 피부를 자극하기도 한다. 이렇게 자극받은 피부는 염증 혹은 곰팡이, 짓무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기저귀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저귀에 산소 발생 물질을 첨가한 새로운 기능성 기저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기저귀에 적용한 산소발생제는 일회용 생리대, 수건(내프킨, 티슈) 등 각종 생활용품에도 적용하여 산소 발생 기능을 부여함으로서 사용되는 피부 주위에 위생감 및 청결성을 증진시키는 좋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저귀 내부에 산소를 발생하는 물질, 즉 산소발생제를 층상으로 첨가하여 오줌 등 배설물이 배출될 때 산소를 발생시켜줌으로써 기저귀 사용으로 인한 통기성 부족 및 피부에 염증, 곰팡이 발생이나 짓무름 현상을 해결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pH조절을 위한 물질과 촉매를 첨가하여 산소발생제의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예시한 단면도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기저귀는 부직포(1)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흡수층(2) 및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산소발생제층(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산소발생제 층은 체내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나 배설물에 포함된 수분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는 층이다.
일반적으로 산소를 발생하는 물질들은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초과산화칼륨, 과염소산염, 과산화칼슘, 과탄산나트륨 등 여러 종류의 물질들을 문헌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산화나트륨의 경우는,
Na2O2 + 2H2O ------→ 2NaOH + 1/2O2
과산화칼륨의 경우는,
K2O2 + 2H2O ------→ 2KOH + 1/2O2
의 화학식1 및 화학식2의 반응으로 산소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초과산화칼륨, 과염소산염 등은 강한 알칼리성이거나 흡습성이 매우 강하여 기저귀에 도포 혹은 장착하면 보관(유통기간) 도중 변질하거나 분해할 우려가 크므로 기저귀 용 산소발생제로는 사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산화마그네슘(magnecium peroxide),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또는 과탄산칼륨(kalium percarbonate) 등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산소발생제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산소 발생 물질도 수분과 만나면 알칼리성이 되므로 피부에 자극을 줄 수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구연산(citric acid), 인산칼륨(potassium monophosphate),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타르타릭산(tartaric acid), 글라이콜릭산(glycolic acid), 락틱산(lactic acid), 인산나트륨(sodium monophosphate), 시스테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cysteine hydrochloride), 6-아미노카프로익산(6-aminocaproic acid), 글리시리직산(glycyrrhizic acid) 등 물에 용해되며, 녹는점이 50℃이상인 고체상태의 산(acid) 중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중화제 또는 버퍼제(buffering agent)로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산소발생 성분과 중화제, 버퍼제만으로 혼합 제조한 산소발생제는 수분과 반응할 때 산소를 발생하지만 그 산소 발생 속도가 느리고 충분하지 못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산화망간(MnO2), 은(Ag), 요오드화칼륨(KI), 카탈라 제(catalase), 이스트와 같은 성분들이 촉매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촉매들 중 이산화망간, 은, 요오드화칼륨, 카탈라제는 색깔이 검거나 반응 후 붉은 색깔로 나타나 미관상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있고 가격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이스트의 경우 보관 도중 이스트의 독특한 냄새와 공정성(가열 시 안정성)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iron-TAML(iron-tetra amido macrocyclic ligands), 염화제1철(FeCl2), 염화제2철(FeCl3), 초산제1철(Ferrous acetate), 개미산제2철(Ferric formate), 글루콘산제2철(Ferrous gluconate), 페릭글리코포스페이트(Ferric glycophosphate), 질산제2철(Ferric nitrate), 옥살산제2철(Ferric oxalate), 페릭올쏘포스페이트(Ferric orthophosphate), 요오드화제1철(Ferrous iodide), 젖산제1철(Ferrous lactate),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황산제2철(Ferric sulfate)과 같은 철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촉매를 사용하여 산소 발생 속도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촉매는 사용된 산소발생제 1g에 대하여 0.001g 내지 0.05g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에 의해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기저귀에 설치되어 있다가 오줌, 똥 등 수분 배출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산소를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과산화칼슘을 사용하는 경우,
촉매
CaO2 + H2O -------→ Ca(OH)2 + 1/2O2
과산화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경우,
촉매
MgO2 + H2O -------→ Mg(OH)2 + 1/2O2
과탄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
촉매
Na2CO33/2(H2O2) +1/2H2O -------→ 2NaOH + H2CO3 + 3/4O2
상기와 같이 산소발생제 조성물이 산소를 발생하는 메카니즘의 첫 단계에서 우선 과산화수소가 먼저 생성되었다가 과산화수소는 iron-TAML(iron-tetra amido macrocyclic ligands), 염화제1철(FeCl2), 염화제2철(FeCl3), 초산제1철(Ferrous acetate), 개미산제2철(Ferric formate), 글루콘산제2철(Ferrous gluconate), 페릭 글리코포스페이트(Ferric glycophosphate), 질산제2철(Ferric nitrate), 옥살산제2철(Ferric oxalate), 페릭올쏘포스페이트(Ferric orthophosphate), 요오드화제1철(Ferrous iodide), 젖산제1철(Ferrous lactate),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황산제2철(Ferric sulfate)과 같은 철화합물에 의해 다음 식과 같이 물과 산소로 분해된다.
이와 같은 산소발생 메카니즘에서 생성된 과산화수소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강력한 산화작용으로 그 주위에 살균 혹은 항균 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촉매/물
CaO2 + 2H2O -------→ Ca+2 + 2OH- + H2O2
촉매/물
Na2(CO3)3/2(H2O2) -------→ 2Na+ + CO3 -2 + 3/2H2O2
촉매
H2O2 -------→ H2O + 1/2O2(산소기체)
산소발생제 조성물은 그 성분 중 과산화칼슘, 과산화마그네슘, 과탄산나트륨 혹은 과탄산칼륨이 상기 반응식들(화학식3, 화학식4, 화학식5)과 같은 반응에 의해 수용액 중에서 산소 발생과 함께 알칼리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산소발생제 조성물속에 포함된 중화제 혹은 버퍼제에 의해 산소 발생과 동시에 중화반응이 일어나면서 반응액의 pH는 6~8 부근으로 중성화가 된다.
상기의 중화제 또는 버퍼제(buffering agent)는 산소발생제 1g에 대하여 0.1g 내지 4g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소발생제 1g에 대하여 0.5g 내지 2.5g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에는 고체분말 상태의 과산화물 및 과탄산물이 고체 분말 상태의 산성 버퍼링제와 혼합되어 있으며 더욱이 습기에 민감한 물질들이다. 따라서 보관 도중 습한 공기와 접촉하거나 높은 온도로 보관되면 산소발생제 조성물로서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위해 안정제를 첨가시켜 그 보관 안정성을 개선시켰다.
즉, 알루미나(Al2O3), 실리케이트(SiO2), 제올라이트, 몰레큘러시브(molecular sieve), 황산소다(sodium sulfate), 황산칼슘(calcium sulfate),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등과 같은 무기물질들(알칼리금속이나 알칼리토금속의 황산염, 혹은 탄산염, 혹은 산화물, 혹은 염화물)의 분말을 산소발생제 1 g에 대하여 0.1~3.0g 범위로 첨가시켜 보관 시의 안정 성을 더 좋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성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기저귀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들이 가능하다.
첫째, 기저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흡수성 고분자에 혼합하여 흡수성 고분자를 부직포에 장착할 때 동시에 장착되게 하는 방법.
둘째, 분말 상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부직포로 포장하여 기저귀 내부에 삽입하는 방법.
셋째, 기존 기저귀 내부에 장착된 흡수대 혹은 방습포 위에 도 1과 같이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성형하여 부직포로 포장한 다음 장착하는 방법.
넷째,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일정크기의 정제로 제작하여 기저귀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다섯째, 산소발생제를 폴리비닐알코올(PVA)과 같은 수용성 폴리머와 혼합 코팅하여 직경 2mm 이하의 작은 알갱이로 제조하여 기저귀 내부에 살포 장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는 사용 시 산소를 발생시켜 종래의 기저귀의 문제점이었던 통기성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부 짓무름, 염증 등의 증상의 해결 및 산소발생제의 강력한 항균 효과로 인해 기저귀를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 할 수 있으므로 이 산소 기저귀를 사용하는 신생아들의 건강 유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 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1.5g, 인산칼륨(potassium monophosphate) 3.1g, 염화제1철(FeCl2) 0.03g을 막자사발에서 약 10분 동안 분쇄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증류수 10ml를 가한 결과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pH는 6.9로 측정 되었다.
<실시예 2>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3.0g, 인산칼륨(potassium monophosphate) 7.0g, 초산제1철(Ferrous acetate) 0.05g 을 막자사발에서 약 10분 동안 분쇄 혼합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오줌 15ml를 가한 결과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pH는 6.8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상온에서 120℃까지 DSC scanning한 결과 급격한 흡열이나 발열, 혹은 분해 반응이 없었으며 TGA로 60℃에서 24시간 시험한 결과 어떠한 분해반응 없이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3>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3.0g, 인산칼륨(potassium monophosphate) 7.0g, 실리케이트(SiO2) 3.0g, 글루콘산제2철(Ferrous gluconate) 0.05g 을 막자사발에서 약 10분 동안 분쇄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오줌 15ml를 가한 결과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pH는 6.7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산소발생제를 상온에서 120℃까지 DSC scanning한 결과 급격한 흡열이나 발열, 혹은 분해 반응이 없었으며 TGA로 60℃에서 24시간 시험한 결과 어떠한 분해반응 없이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4>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3.14g, 구연산(citric acid) 2.81g, 알루미나(alumina) 3.14g, 페릭글리코포스페이트(Ferric glycophosphate) 0.02g을 막자사발에서 약 10분 동안 분쇄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오 줌 15ml를 가한 결과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pH는 6.5로 측정 되었다.
<실시예 5>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1.5g, 인산칼륨(potassium monophosphate) 3.1g, 실리케이트(SiO2) 1.5g, 질산제2철(Ferric nitrate) 0.02g을 막자사발에서 약 10분 동안 분쇄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오줌 10ml를 가한 결과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pH는 6.9로 측정 되었다.
<실시예 6>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3.2g, 구연산(citric acid) 3.1g, 실리카(silica) 3.1g, 옥살산제2철(Ferric oxalate) 0.04g을 막자사발에서 약 10분 동안 분쇄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오줌 10ml를 가한 결과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pH는 7.2로 측정 되었다.
<실시예 7>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3.0g, 구연산(citric acid) 3.5g, 제올라이트(zeolite) 3.0g, 황산제1철(Ferrous sulfate) 0.03g 을 막자사발에서 약 10분 동안 분쇄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오줌 10ml를 가한 결과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pH는 7.0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상온에서 120℃까지 DSC scanning한 결과 급격한 흡열이나 발열, 혹은 분해 반응이 없었으며 TGA로 60℃에서 24시간 시험한 결과 어떠한 분해반응 없이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8>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3.0g, 인산칼륨(potassium monophosphate) 7.0g, 알루미나(alumina) 3.0gm, 요오드화제1철(Ferrous iodide) 0.06g 을 막자사발에서 약 10분 동안 분쇄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오줌 10ml를 가한 결과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pH는 6.8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상온에서 120℃까지 DSC scanning한 결과 급격한 흡열이나 발열, 혹은 분해 반응이 없었으며 TGA로 60℃에서 24시간 시험한 결과 어떠한 분해반응 없이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9>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3.0g, 인산칼륨(potassium monophosphate) 7.0g, 알루미나(alumina) 3.0g을 막자사발에서 약 10분 동안 분쇄한 후 황산제2철(Ferric sulfate) 0.03g을 첨가한 후 잘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오줌 15ml를 가한 결과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반응 종료 후 pH는 6.8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상온에서 120℃까지 DSC scanning한 결과 급격한 흡열이나 발열, 혹은 분해 반응이 없었으며 TGA로 60℃에서 24시간 시험한 결과 어떠한 분해반응 없이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들은 부직포로 만들어진 기저귀 내부에 도 1과 같은 형태로 삽입되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산소발생제 조성물 분말은 보관 도중 기저귀 내부에서 분산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 1의 패드(2) 제작 용 몰드 내부에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분말 3g을 충전한 후 1톤의 압력을 가하여 직사각형의 산소발생제 조성물 패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 패드를 도1과 같이 흡수층 바로 아래에 설치하여 그 위에 물 10ml를 가하였더니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산소가 발생한 부직포 표면에 pH paper(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pH는 7 정도의 중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 분말(0.04g)을 직경 9mm, 높이 3mm의 몰드에 넣고 약 1톤의 압력을 가하여 제작된 산소발생제 조 성물 정(tablet) 20개를 부직포 사이에 넣고 물 5ml를 가하였더니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산소가 발생한 부직포 표면에 pH paper(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pH는 7 정도의 중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7> 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 분말 1g을 가로 4cm, 세로 3cm의 부직포 팩(pack)에 충전하여 산소발생제 조성물 팩을 제조하여 부직포 사이에 삽입하고 그 위에 물 15ml를 가하였더니 산소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반응이 끝난 후 산소가 발생한 부직포 표면에 pH paper(인디케이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pH는 7 정도의 중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된 산소발생제 조성물 분말 14g을 200℃로 가열하여, 폴리비닐알코올 6g과 함께 200℃로 가열 용융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200℃로 예열된 소형압출기에 넣고 직경 1mm의 노즐을 통해 압출 분사시켜 국수가닥 모양의 PVA로 코팅된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국수가닥 모양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잘게 부수어 과립상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같이 PVA로 코팅된 과립상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물을 가하였더니 산소는 매우 느린 속도로 1 시간 이상에 걸쳐 서서히 발생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소발생제 층이 설치된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부직포 2:흡수층 3:산소발생제층

Claims (10)

  1. 기저귀에 있어서,
    부직포(1)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흡수층(2) 및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산소발생제층(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저귀.
  2. 산소발생제 조성물에 있어서,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산화마그네슘(magnecium peroxide),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또는 과탄산칼륨(kalium percarbonate)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산소발생제와,
    상기 산소발생제 1g에 대하여 고체산 0.1g ~ 4g과,
    0.001g ~ 0.05g의 촉매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촉매는 이산화망간(MnO2), 은(Ag), 요오드화칼륨(KI), 카탈라제(catalase), 이스트 및 철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산은 구연산(citric acid), 인산칼륨(potassium monophosphate),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아스코빅산(ascorbic acid),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타르타릭산(tartaric acid), 글라이콜릭산(glycolic acid), 락틱산(lactic acid), 인산나트륨(sodium monophosphate), 시스테인하이드로클로라이드(cysteine hydrochloride), 6-아미노카프로익산(6-aminocaproic acid), 글리시리직산(glycyrrhizic acid)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발생제 1g에 대하여 안정성 및 보관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물질을 0.1~3.0g 범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6. 상기 제 2항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통상적인 기저귀에 사용되는 흡수성고분자에 혼합하여 흡수성 고분자를 기저귀에 장착할 때 상기 산소발생제가 동시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저귀.
  7. 상기 제 2항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분말 상태로 기저귀 내부 부직포 사이에 삽입,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저귀.
  8. 상기 제 2항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소형의 부직포에 충전 포장한 다음 기저귀 내부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저귀.
  9. 상기 제 2항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정제(tablet) 형태로 제작하여 기저귀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저귀.
  10. 상기 제 2항의 산소발생제 조성물을 폴리비닐알코올(PVA)과 같은 수용성 폴리머와 혼합 코팅하여 직경 2mm 이하의 작은 알갱이로 제조하여 기저귀 내부에 살포 장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발생기저귀.
KR1020080081730A 2008-05-18 2008-08-21 산소발생, 살균 기능이 있는 기저귀 및 생리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KR101089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847 2008-05-18
KR20080045847 2008-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943A true KR20090119943A (ko) 2009-11-23
KR101089867B1 KR101089867B1 (ko) 2011-12-05

Family

ID=4160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730A KR101089867B1 (ko) 2008-05-18 2008-08-21 산소발생, 살균 기능이 있는 기저귀 및 생리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86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446B1 (ko) * 2009-09-28 2012-04-12 (주)고체산소테크 산소발생 및 살균 기능이 있는 산소기저귀 및 산소 생리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KR101365916B1 (ko) * 2012-01-30 2014-02-24 박형식 산소를 발생하는 수분 흡수기
EP2470221B1 (de) 2009-08-26 2016-03-23 Basf Se Geruchsinhibierende zusammensetzungen
WO2018000796A1 (en) * 2016-07-01 2018-01-04 Garry Tsaur A skin-friendly absorbent structure for providing oxygen
KR20180045775A (ko) * 2016-10-25 2018-05-04 게리 자우어 피부 미백 기능을 갖는 산소-제공 물질
KR101879807B1 (ko) * 2017-02-06 2018-07-18 주식회사 오투엠 고기능성 고체산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22707A1 (en) * 2019-12-19 2021-06-24 Solvay Sa Oxygen generating composition
KR102290662B1 (ko) * 2021-01-12 2021-08-18 주식회사 무이 아미고 항균과 동시에 산소를 발생시키는 공기 정화제 조성물
KR20220081037A (ko) * 2020-12-08 2022-06-15 캠아이티(주)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832831A (zh) * 2022-04-21 2022-08-0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复合纳米酶协同催化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18A (ko) 2015-06-23 2017-01-02 조대영 그래핀 시트
CN110786994B (zh) * 2019-10-24 2022-05-20 万明 双组分活氧抑菌卫生巾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2410B2 (ja) * 2004-04-08 2010-05-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酸素発生剤及びその使用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70221B1 (de) 2009-08-26 2016-03-23 Basf Se Geruchsinhibierende zusammensetzungen
KR101130446B1 (ko) * 2009-09-28 2012-04-12 (주)고체산소테크 산소발생 및 살균 기능이 있는 산소기저귀 및 산소 생리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KR101365916B1 (ko) * 2012-01-30 2014-02-24 박형식 산소를 발생하는 수분 흡수기
WO2018000796A1 (en) * 2016-07-01 2018-01-04 Garry Tsaur A skin-friendly absorbent structure for providing oxygen
KR20180045775A (ko) * 2016-10-25 2018-05-04 게리 자우어 피부 미백 기능을 갖는 산소-제공 물질
KR101879807B1 (ko) * 2017-02-06 2018-07-18 주식회사 오투엠 고기능성 고체산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143782A1 (ko) * 2017-02-06 2018-08-09 주식회사 오투엠 고기능성 고체산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22707A1 (en) * 2019-12-19 2021-06-24 Solvay Sa Oxygen generating composition
KR20220081037A (ko) * 2020-12-08 2022-06-15 캠아이티(주) 산소발생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0662B1 (ko) * 2021-01-12 2021-08-18 주식회사 무이 아미고 항균과 동시에 산소를 발생시키는 공기 정화제 조성물
CN114832831A (zh) * 2022-04-21 2022-08-02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复合纳米酶协同催化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832831B (zh) * 2022-04-21 2023-08-15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复合纳米酶协同催化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867B1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867B1 (ko) 산소발생, 살균 기능이 있는 기저귀 및 생리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KR101130446B1 (ko) 산소발생 및 살균 기능이 있는 산소기저귀 및 산소 생리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CN102947231B (zh) 块状及颗粒状处理剂、含有块状或颗粒状处理剂的便器及粪便吸收性物品
JP5812408B2 (ja) 排泄物処理剤
JP2002537904A (ja) 酸化剤および溶血剤を含んでなる製品
US9414601B2 (en) Material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when wet
EP1034800A1 (en) Articles having an odour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oxidising agent and an odour absorbing agent
AU773589B2 (en) Alkali-neutralising superabsorbent products
KR101609357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생리대 제조방법
EP1034801A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an odour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oxidising agent and a chelating agent
KR20090119942A (ko) 산소발생생리대와 그에 사용되는 산소발생제 조성물
JP2013006137A (ja) 顆粒状処理剤
JP2017006913A (ja) 塊状処理剤、顆粒状処理剤、および、塊状処理剤または顆粒状処理剤を備えてなる吸収性物品またはトイレ
EP2400995B1 (en) Odor-controlling bodily fluid absorber
JP6213982B2 (ja) 塊状処理剤
KR102109602B1 (ko) 라디칼을 이용하여 냄새와 세균억제가 가능한 애완동물 배변패드
KR101947606B1 (ko) 기능성 기저귀 및 그 제조방법
JPH0417058B2 (ko)
CN114288090B (zh) 一种具有氧气缓释功能的一次性卫生用品的制备方法
KR20010077483A (ko) 고 기능성 거정질 페그마타이트 미세분말을 이용한 각종생활, 건강, 의료용품 제조방법
KR101502083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기저귀 제조방법
KR101791314B1 (ko) 위생용품용 활성 미네랄 함유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6167376B2 (ja) 吸収性物品用処理剤および該処理剤を用いた吸収性物品の処理方法
CN116370198A (zh) 一种能产生氧气的一次性卫生用品
KR20070005076A (ko) 원적외선 방사 액상미네랄이 함유된 기능성 생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