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238A - 경면(鏡面)장신구 - Google Patents

경면(鏡面)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9238A
KR20090119238A KR1020080045154A KR20080045154A KR20090119238A KR 20090119238 A KR20090119238 A KR 20090119238A KR 1020080045154 A KR1020080045154 A KR 1020080045154A KR 20080045154 A KR20080045154 A KR 20080045154A KR 20090119238 A KR20090119238 A KR 20090119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cutting
pendant
gem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민
Original Assignee
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성민 filed Critical 지성민
Priority to KR102008004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9238A/ko
Publication of KR20090119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안쪽이 비어있는 커팅보석을 유동가능하도록 부착하고, 또한 장식부분 저체의 내면을 경면상(鏡面狀)으로 만들어, 보석 본래의 광채를 발휘하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과 서로 다른 색조의 식체를 삽입하여 여러 가지의 색채를 즐길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위하여 본 발명은 장신구 본체에 저체와 개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안쪽이 비어있는 장식부를 만들고, 저체의 내면을 경면의 모양으로 형성하고, 개체에 창부분을 개구함과 동시에 커팅보석을 유동가능하도록 부착합니다. 또한 다른 색조의 식체를 장식부에 삽입합니다.
경면상, 이지상, 조지면

Description

경면(鏡面)장신구{Gogyeong-myeon accessories}
본 발명은, 장신구 본체의 장식부분 안쪽을 빈 상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커팅한 보석을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부착하고 또한 장식 부분의 저체 안쪽을 거울 모양으로 만든 장신구에 관한 내용입니다.
장식부에 보석을 부착하는 장신구는, 보석보다 빛나게 할 수 있어서 장신구의 매력을 강하게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림6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기재에 설치한 마감 틀의 소정 위치에 장식 본체를 설치하고, 이 본체를 기재 대비 일정한 공간을 둔 위치에 설치하며, 해당 장식에 여러 방면에서 입사광과 반사광을 비추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스 등의 장신구가 개발되었습니다(특허출원 8-21901).
여기에서 장신구 120은, 기재121의 표면을 경면의 모양으로 하여 자연광의 반사를 본체124(여기에서는 보석을 의미하고 있다.)의 아랫면 124a에서 빛을 비추거나 본체124의 위쪽에서 비춘 굴절광을 아래쪽의 공간125에서 방사시킨다. 또는 기재121의 표면을 이지상(梨地狀) 등 조지면(粗地面)으로 하여 공간125에서 비춘 빛을 난반사시키도록 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신구120은, 고정된 본체124를 통과하여, 기재121을 통하여 반사된 빛을 단순히 시각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에 불과하며, 본체124에 의하여 발생하는 빛은 단조로운 투명광입니다. 따라서 반사된 빛에 따라 본체124의 명도가 증가하는 일은 있어도, 본체124가 보석 본래의 광채(브리리언시)를 발휘한다고 하는 기술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다이아몬드 등의 커팅한 보석을 장식부에 부착한 반지 등의 장신구에 있어서, 커팅한 보석을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하고, 또한 장식 부분의 저체 안쪽을 거울면으로 만들어 보석 본래의 광채(브리리언시)를 발휘하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장식부의 다른 색조의 본체를 삽입하여, 창 부분을 통하여 여러 종류의 색체로 되어있는 광채(브리리언시)를 즐기실 수 있는 장신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합니다.
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목 1에 기재된 발명은 장신구 본체에 저체와 개체로 형성되는 안쪽이 비어있는 장식부를 만들어, 앞서 말한 저체의 안쪽면 을 거울 모양으로 만들고, 앞서 말한 개체 부분에 창을 열어놓음과 동시에 커팅한 보석을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한 장신구라고 하는 점을 그 특징으로 합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앞서 말한 커팅한 보석은, 앞서 말한 개체에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된 지지대로 고정된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서 3에 기재된 장신구에서, 앞서 말한 장식부분에 앞서 말한 커팅 보석을 다른 색조의 본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삽입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합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장신구에 있어서, 앞서 말한 커팅보석은, 앞서 말한 개체에 움직일 수 있는 연결된 지지대로 고정함과 동시에, 개체의 뒷면에는 앞서 말한 커팅 보석과 다른 색조의 본체를 고정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합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앞서 말한 장신구가, 펜던트, 반지, 피어스, 귀걸이, 브로치, 목걸이, 팔찌로 구성된 일련의 장신구들 중의 하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장식부의 저체의 거울 면이 움직이는 커팅보석에서 비추는 빛을 반사시키고, 다시 그 빛은 창을 통하여 방출되므로, 장신구는 보석 본래의 광채(브리리언시)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개체에 매달아 놓은 커팅보석이 장신구를 착용하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이므로 장신구가 강한 광채(브리리언시)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개체의 개구부에 연결된 커팅된 보석은 미묘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장신구가 빛나 보이는 광채(브리리언시)를 발휘할 수가 있습니다.
청구항4 또는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장식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된 본체의 색조가 거울면에 반사되어 보석의 광채(브리리언시)와 본체의 다른 색조의 광채(브리리언시)가 겹쳐저, 장신구가 만화경과 같은 아름다움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장신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으로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그림1에서, (a)는 제1펜던트의 개체의 뒷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입니다. (b)는 제1펜던트의 저체의 안쪽을 보여주는 평면도입니다. 또한 그림2에서 (a)는 제1펜던트를 보여주는 사시도, (b)는 그 단면과 입사광이 지나가는 길을 설명해 놓은 그림입니다.
제1펜던트 10에서 제1펜던트 본체 11은, 장식부 12와 부착부 14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펜던트 본체 11은, 예를 들면 금, 플라티나(백금), 은 등의 귀금속을 소재로 하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커팅보석15는, 예를 들면 크게 커팅된 다이아몬드, 합성다이아몬드, 모조다이아몬드 등의 무색투명 보석인데, 이것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루비 등의 유색투명한 보석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장식부12는, 예를 들면, 개체부분 16과 저체부분 18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모두 평면의 원모양, 단면 커팅된 모양의 판상부재가 되며, 양쪽을 합친 안이 비어있는 장식부12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장식부12의 전체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평면다각모양이건 평면하트모양이건 상관이 없다고 하는 사실은 당연합니다.
개체 16의 중앙에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을 받아들이며, 또한 저체18에 따라 반사된 빛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든다면 기하학적 규모와 같은 장식적인 모양으로 되어 있는 개구부 20이 형성되어 그것과 거의 동일한 모양으로 약간 크기를 축소시켜, 중앙에 개개부20을 형성한 지지대22가 소정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고리24를 사이에 두고 개체 16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지지대22는, 개체 16에 대하여 아주 조금 움직일 수 가 있게 되고, 또한 개체 16과 지지대22의 사이에는 기하학적 규모의 간격인 창 부분 26이 형성됩니다.
또한 개체16과 지지대22를 연결시키는 고리24 중에서 위쪽 고리 24a에는 고리모양 본체에 커팅된 보석15를 아래쪽에서 삽입시켜 안정시키고, 짧게 올라오는 복수의 28b를 접어서 커팅된 보석15를 고정시킨 지지대 28이 고리24b 및 고리28a를 사이에 두고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지지대 28의 형상과 커팅된 보석15의 지지대28의 고정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소위 말하는 중복고리고정과 레일고정에 따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석좌28과 지지대22의 연결방법에도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중요한 것은 지지대22에 커팅된 보석 15을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부착할 수 있다면 되는 것입니다.
한편, 저체18의 안쪽 18a는 연마되어 거울 모양으로 만들어지며, 개구부 20과 창 부분 26에 따라 커팅된 15에 비추어지는 빛이 커팅된 보석15가 흔들림으로써 광채(브리리언시)를 만들면서 빛을 비추고, 또한 그 빛을 반사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내면18a는 이지상과 같이 지면상으로서 난반사를 시키도록 만들어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다른 광택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내면18a는 곡면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평면과 요철면이라도 상관은 없으며, 반사면의 형태에 따라서 각종 반사기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저체18의 꼭지 부분에는 보다 사이즈가 큰 고리 모양의 매단 부분인 14가 부착되며, 고리 목걸이 29 등을 안쪽 방향에서 삽입시킬 수 있습니다.
제1펜던트 10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커팅된 보석15를 고정시킨 석좌28을 개체 16의 뒷면에 연결시킨 후, 개체16과 저체18을 짜맞추어, 예를 들면 로 부착 등의 방법으로 양쪽을 고정시켜 안쪽이 비어있는 장식부12를 만들며, 또한 저체18 또는 16에 매단 부분 14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시키면 되는데, 물론 로스트워크스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성형해도 좋습니다.
이와 같은 제1펜던트10은, 목걸이 체인29를 목에 걸어서 착용할 수 있으며, 몸에 부착한 상태라면 장식부12의 내부에서 지지대28이 소위 공중에 매달린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몸이 움직이면 그 움직임을 미묘하게 반영하여 커팅된 보석15가 움직이며, 개구부20 및 창문 부분26에서 커팅된 보석15에 비춘 빛은 광채(브리리언시)를 만들면서 빛을 비추고, 저체18의 안쪽18a로 반사되어 개체16의 창 부분 26을 통하여 외부에 방출됩니다. 즉, 많은 광채(브리리언시)을 만든 반사광이 장식본체12를 보는 사람에게는 시각적으로 인식이 되어, 제1펜던트10은 강하게 빛나 장신구로서의 매력을 발휘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림3에서 (a)는 제1반지 제1개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b)는 그 측면도이입니다. 또한 그림4는 제1반지와 입사광의 길을 보여주는 설명도입니다.
제 1반지 30의 제1반지 본체 31은, 장식부 32와 링 부분 34로 구성됩니다.
제 1반지 본체31은, 예를 들면 금, 플라티나, 은 등의 귀금속을 소재로 하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커팅보석35는 예를 들면, 작게 커팅된 다이아몬드, 합성다이아몬드, 모조다이아몬드 등의 무색투명한 보석인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루비 등의 유색투명한 보석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장식부32는, 예를 들면 제1개체36과 저체38로 분리할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모두 평면 원형모양, 단면 컵모양의 판상부재이며, 쌍방을 거듭 합쳐서 속이 빈 장식부32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장식부32의 전체형상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면 평면다각모양이건 평면하트모양이건 상관이 없다는 것은 당연합니다.
제1개체36의 중앙에는, 외부에서 빛을 받아들이고 또한 저체에 의하여 반사된 빛을 시인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큰 꽃모양과 같은 장식적 모양이 열리고, 작은 꽃모양과 같은 장식적 형상으로 되어 있는 대좌42가, 양쪽 끝 2곳에 설치된 윤환36a 및 윤환42a를 사이에 두고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대좌42는, 제1개체36에 비해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가 있으며, 또한 제1개체36과 대좌42의 사이에는 틈으로 되어 있는 창부분46이 형성됩니다.
또한, 대좌42에 있어서 복수의 소정장소에는, 구멍 부분이 열리며(표시하지 않았습니다), 이 구멍 부분에 커팅보석35를 올려놓은 후, 그 주위를 모으듯이 누르는 방법 즉 파 내어서 커팅보석35를 고정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커팅보석35의 대좌42로 고정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츠메의 고정과 레일의 고정에 의한 것도 가능하다는 점은 물론입니다. 또한 대좌42와 제1개체36의 연결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중요한 것은 제1개체36에 대좌42가 유동가능하도록 부착할 수 있다면 된다는 점입니다.
한편, 제체38의 내면(표시하지 않음.), 제1펜던트10과 마찬가지로 연마된 경면상이 되며, 외부에서 움직이는 보석 35에 입사하여, 광채(브리리언시)를 발생시키면서 출사한 빛을 반사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내면을 이지상에서와 같이 조지면상으로 함으로써 난반사를 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다른 광택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또한, 내면은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평면과 요철면이라도 지장은 없으며, 반사면형태에 따라서는 각종 반사기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링부분 34는, 일반적인 반지의 측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위쪽 일부가 떨어져 있는 고리모양이며, 그 단면형상은 장방형이어서 소위 말하는 납작하게 펴서 만든 반지라고 불리우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링부분 34의 단면형상에 물론 제한은 없으며, 원형, 반원형 등 다른 모양을 채용할 수도 있습니다.
제1반지30을 완성하려면, 커팅보석35를 고정시킨 대좌42를 제1개체36에 연 결시킨 후, 제1개체36과 저체38을 조합하고, 예를 들면 로부착 등의 수단으로 양쪽을 고착시켜 가운데가 빈 장식부32를 만들며, 또한 장식부32의 아래쪽에 링부34를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부착하면 되는데, 물론 로스트왁스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일체적으로 성형하여도 좋습니다.
이와 같은 제1반지30은, 링부34에 손가락을 통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장식부32의 대좌42는 유동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몸이 움직이면 그 움직임을 미묘하게 반영하여 대좌42가 유동하며, 위쪽에서 커팅보석35에 입사한 바깥쪽의 빛은 광채(브리리언시)를 발생시키면서 출사하고, 저체38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창부46을 통하여 외부에 방출됩니다. 또한 창부46에서 입사한 빛도 저체38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마찬가지로 커팅보석35에 입사하여 광채(브리리언시)를 발생시키면서 창부46에서 방출됩니다. 이 제1반지30은 장신구로서의 아름다움을 발휘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그림5는 제1반지의 제2개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입니다.
제2개체76은, 제1개체36과 대략 비슷하게 장식적 형상이 개구되며, 또한 동일한 장식적형상으로 작은 대좌82가 양쪽 끝의 두 군데에 설치된 윤환76a 및 윤환82a를 사이에 두고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대좌82는, 제2개체76과 유동이 가능해지며, 제2개체76과의 사이에는 간격으로 되어 있는 창부86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는 점은 제1개체36과 동일한 모양입니다.
그러나, 제1개체36과는 달리, 대좌82의 표면에는 특히 커팅보석15를 고정시 킬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장식적 모양의 조각82a를 사용하면 장신구로서의 아름다움을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2개체76에 있어서는 뒷면의 대략 중앙에 반륜환87이 돌설되며, 또한 반윤환87에는 조하환88을 연결시키고 제1펜던트10으로 사용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석좌28에 의하여 커팅보석15를 고정시켜, 석좌28에 조하환88을 고착시킴으로써 커팅보석15가 매달리게 됩니다.
제1반지30에 제2개체76을 부착해도, 제1개체36과 대략 비슷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습니다. 즉, 몸이 움직이면 대좌82가 움직여서 창부 86에서 비춘 바깥쪽의 빛은 커팅보석15에서 광채(브리리언시)를 내면서 빛을 발하고, 저체38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창부86을 통하여 외부에 방출됩니다. 따라서, 제1반지30은 장신구로서의 아름다움을 발휘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림5에 있어서 (a)는 제2펜던트의 제1개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입니다. (b)는 제2펜던트의 장식부 단면도, (c)는 제2펜던트와 입사광의 길을 보여주는 설명도입니다.
제2펜던트 50에서 제2펜던트본체 51은, 장식부52와 조하부54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2펜던트 본체51은, 예를 들면 금, 플라티나(백금), 은 등의 귀금속을 소재로 하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커팅보석15는, 예를 들면 크게 커팅된 다이아몬드, 합성다이아몬드, 모조다이아몬드 등의 무색투명 보석인데, 이것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 면 루비 등의 유색투명한 보석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장식부12는, 예를 들면, 개체56과 저체58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그 경우에는 모두 평면의 원모양, 단면 컵 모양의 판상부재가 되며, 양쪽을 합친 안이 비어있는 장식부12를 만들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장식부52의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평면다각모양이건 평면하트모양이건 상관이 없다고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제1개체56의 중앙에는 예를 들면, 원형상으로 개구되며, 또한 환상체로 제1커팅보석55를 아래쪽에서 삽입시켜 착좌시키고, 짧게 올라오는 여러 개의 츠메 부분68b를 구부려 제1커팅보석55를 고정시킨 석좌68이복수의 윤환68a에 따라 개구부분에 유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개구부 및 석좌68의 형상과 제1커팅보석55의 석좌68로의 고정방법에 특히 제한은 없으며, 소위 복륜고정과 레일고정에 따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석좌68과 제1개체56의 연결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중요한 점은 제1개체56의 제1커팅보석55가 유동가능하도록 부착되도록 하면 된다는 점입니다.
이와 같은 석좌68은 제1개체56 비해 약간 유동이 가능해집니다.
제1개체56의 주변에는 바깥쪽의 빛을 받아들이고 또한 저체의 내면58a에 따라 반사된 빛을 방출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8개의 하트모양으로 되어 있는 창문부분66이 개구되어 있습니다. 또한, 창문부분66의 형상과 그 수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습니다. 원형과 기타 형상이라도 상관없습니다. 또한 두 개의 창문부분66에서도 보다 많은 창문부분66을 개구해도 상관없습니다.
한편, 저체18의 안쪽 18a는 연마되어 거울 모양으로 만들어지며, 외부에서 제1커팅보석55로 비추어지는 빛과 창부분66에서 얻은 빛이 제1커팅보석55가 흔들림으로써 광채(브리리언시)를 만든 출사광을 반사시킬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내면58a는 이지상과 같이 지면상으로서 난반사를 시키도록 만들어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다른 광택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내면58a는 곡면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평면과 요철면이라도 상관은 없으며, 반사면의 형태에 따라서 각종 반사기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제2펜던트50에 있어서는, 안쪽이 비어있는 장식부52에 식체로서 예를 들면, 제2커팅보석70을 회동자재로 삽입할 수 있습니다. 제2커팅보석70은, 제2펜던트50을 착용하면 자유롭게 움직이며, 창부분66에서 입사한 빛을 받아들여 여러 종류의 광채(브리리언시)를 만듭니다.
또한, 제2커팅보석70의 소재는, 예를 들면, 크게 커팅된 루비 등의 유색투명한 보석인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미러볼, 비즈 등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제1커팅보석55와 제2커팅보석70의 색조가 다른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저체58의 정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타원형 모양으로 굽어있는 굵은 선으로 된 조하부54가 부착됩니다.
제2펜던트50을 완성하려면, 제1커팅보석55를 고정시킨 석좌68을 제1개체56의 개구부에 연결시켜, 제2커팅보석70을 내부에 삽입시킨 후, 제1개체56과 저체58을 조합하여, 예를 들면 로부착 등의 방법으로 양쪽을 고정시켜 장식부52를 만듭니다. 또한 저체에 조하부54를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부착해도 좋지만, 물론 로스트왁 스캐스팅 등의 방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습니다.
이와 같은 제2펜던트50은, 조하부54에 목걸이체인69 등을 통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는 석좌68을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몸이 움직이면 그 움직임을 미묘하게 반영하여 제1커팅보석 55는 움직이며, 외부에서 들어온 빛은 광채(브리리언시)를 발생시키면서 빛을 발하고, 저체58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창부분66을 통하여 방출됩니다.
또한 제2펜던트50에 있어서는, 창부분66을 통하여 장식부52에 들어간 빛이 제2커팅보석70에도 입사하여, 제2커팅보석70은 회동하므로, 여러 가지 반사광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제1커팅보석55와 제2커팅보석70의 색조가 다른 경우에는 복수의 색조에 따라 반사광을 만들며, 제2펜던트50은 마치 만화경과 같이 강하게 빛을 발하여 장신구로서의 아름다움을 발휘할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그림7은 제2펜던트의 제2개체를 표시한 측면도입니다.
제2개체96은, 제1개체36과 대략 비슷하게 장식적 형상이 개구되며, 또한 동일하게 장식적 형상으로 작은 대좌102가 양쪽 끝 2개소에 설치된 윤환96a 및 윤환102a를 사이에 두고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대좌102는, 제2개체96과 유동이 가능하며, 제2개체96과의 사이에는 틈으로 되어 있는 창부분106을 형성한다는 점은, 제1개체36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대좌102에 있어서 복수의 소정장소에는, 구멍 부분이 열리며(표시하지 않았습니다), 이 구멍 부분에 제1반지30으로 사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커팅보석35를, 예를 들면 파 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커팅보석 35의 대좌102로 고정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또한 대좌102와 제2개체96의 연결방법에도 특별한 제한은 없습니다.
또한 제2개체96에 있어서는, 제1펜던트10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커팅보석15가 역시 동일한 석좌108에 의해 고정되어, 석좌108을 고정시킴으로써 식체로서 대좌102의 뒷면 중간쯤에 부착됩니다.
여기에서 커팅보석35와 커팅보석15의 소재에 제한은 없지만, 커팅보석35와 커팅보석15는 색조가 다른 것이 바람직합니다.
제2펜던트50에 제2개체96을 사용한 경우의 효과는, 제1개체56을 사용한 경우와 대개 비슷하며, 커팅보석35와 커팅보석15의 색조가 다름으로써 복수의 색조에 따른 반사광을 만들며, 제2펜던트50은 마치 만화경과 같이 강하게 광채를 보여 장신구로서의 아름다움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앞서 말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유리하게 적용되는 경우로서, 커팅보석을 개체와 저체로 구성되어 있는 장식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는데, 적어도 안이 비어있는 장식부라면 커팅보석의 광채를 반사시키는 경면을 몇 가지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장식부가 개체와 저체로 분리할 수 있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커팅보석을 기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를 가지는 브로치 등의 장신구에 부착하는 다른 커팅형상의 보석과 작은 입자의 제1커팅보석, 제2커팅보석, 제3커팅보석 등 보다 많은 보석을 개체에 매다는 등, 디자인만의 차이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도1](a)는 제1펜던트의 개체의 뒷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입니다.
(b)는 제1펜던트와 저체의 내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입니다.
[도2](a)는 제1펜던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그 단면과 입사광의 길을 나타내는 설명도입니다.
[도3](a)는제1반지의 제1개체를 표시하는 평면도이고, (b)는 그 측면도입니다.
[도4]제1반지와 입사광의 길을 보여주는 설명도입니다.
[도5]제1반지와 제2개체를 보여주는 측면도입니다.
[도6](a)는 제2펜던트의 제1개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입니다. (b)는 제2펜던트의 장식부의 단면도. (c)는 제2펜던트의 입사광의 길을 보여주는 설명도입니다.
[도7]제2펜던트의 제2개체를 보여주는 측면도입니다.
[도8]종래의 경면장신구를 보여주는 사시도입니다.
[부호의 설명]
10 제1펜던트
11 제1펜던트 본체
12 장식부
13 장식체
14 조하부
15 커팅보석
16 개체
18 저체
18a 내면
20 개구부
22 대좌
24 윤환
24a 윤환
24b 윤환
26 창부분
28 석좌
28a 윤환
28b 조부
29 목걸이체인
30 제1반지
31 제1반지본체
32 장식부
34 링부분
35 커팅보석
36 제1개체
36a 윤환
38 저체
42 대좌
42a 윤환
46 창부분
50 제2펜던트
51 제2펜던트 본체
52 장식부
54 조하부
55 제1커팅보석
56 제1본체
58 저체
58a 내면
66 창부분
68 석좌
68a 윤환
68b 조부
69 목걸이 체인
70 제2커팅보석
76 제2개체
76a 윤환
82 대좌
82a 윤환
82a 조각
86 창부분
87 반윤환
88 조하환
96 제2개체
96a 윤환
102 대좌
102a 윤환
106 창부분
108 석좌
120 장신구
121 기재
124 식재
124a 아랫면
125 공간

Claims (6)

  1. 장신구본체의 밑 부분과 앞면(뚜껑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중간 장식부분을 설계, 앞의 밑부분의 내면을 경면상태로 만들어, 앞의 뚜껑면을 창문처럼 열수 있도록 보석을 절단하여 유동가능하도록 덧붙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2. 앞의 카트된 보석이 앞뚜껑의 표면을 매어달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청구항1에 기대한 장신구.
  3. 앞의 카트된 보석은 앞의표면(뚜껑)을 유동가능하도록 연결된 물건을 얹어 놓는 중앙자리에 고정된것을 특징으로 하는것을 청구항 1에 기재한 장신구.
  4. 앞의 장식부분에 앞서 기재한 카트된 보석과 다른색의 장식물을 자유자재로 넣을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한 청구항1에서 3에기재한 장신구.
  5. 앞의 카트된 보석은 앞의표면(뚜껑부분)에 유동가능한 연결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것은 물론 뚜껑부분의 안쪽은 앞의 카트된 보석과 다른 장식물을 고정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에 기재한 장신구.
  6. 앞의 장신구를 펜던트, 반지, 귀걸이, 브로치, 목걸이, 팔찌등 모든 장신구가 가능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5까지 기재한 장신구.
KR1020080045154A 2008-05-15 2008-05-15 경면(鏡面)장신구 KR20090119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154A KR20090119238A (ko) 2008-05-15 2008-05-15 경면(鏡面)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154A KR20090119238A (ko) 2008-05-15 2008-05-15 경면(鏡面)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238A true KR20090119238A (ko) 2009-11-19

Family

ID=4160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154A KR20090119238A (ko) 2008-05-15 2008-05-15 경면(鏡面)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92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462A1 (ko) * 2019-07-23 2021-01-28 서희주 유동성 난집을 구비한 보석 난집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462A1 (ko) * 2019-07-23 2021-01-28 서희주 유동성 난집을 구비한 보석 난집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35689A1 (en) Gemstone jewelry with enhanced appearance
WO2019124168A1 (ja) 装飾用部品及びこれを備えた物品
JP6986763B2 (ja) 装身具
JP3172937U (ja) 自然光の下ではダイヤモンドの透明な輝きを放ち紫外線ライトの下では青紫色に輝く天然蛍光ダイヤモンドの特殊効果と自然光の下ではダイヤモンドの透明な輝きを放ち紫外線ライトの下では透明な輝きを放つ天然非蛍光ダイヤモンドの特殊効果とを組み合わせた装飾品
JP2012161564A (ja) 装身具
KR200488439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090119238A (ko) 경면(鏡面)장신구
US20110252829A1 (en) Jewelry articles having a solitaire cut appearanc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08007444A1 (fr) Faux ongle incrusté d'une pierre précieuse, structure de montage d'une pierre précieus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faux ongles incrustés de pierres précieuses
US20030188550A1 (en) Holder for jewelry and adornment having the same
JP4319240B1 (ja) 鏡面装身具
JP2006312069A (ja) 宝石の取付構造及び宝石の取付方法、宝石を備えたつけ爪
FR2893824A1 (fr) Objet susceptible de prendre des configurations differentes
KR200425708Y1 (ko)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
KR200488746Y1 (ko) 쥬얼리 장신구
KR102210833B1 (ko) 장신구용 장식구의 카멜레온 세팅방법
KR102307660B1 (ko)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JP3237685U (ja) 装身具
CN211559010U (zh) 一种炫丽首饰品
KR102418593B1 (ko) 일면에 젬이 장착된 소켓이 마련되고 타면은 커팅과 폴리싱 마감된 펜던트에 의해 양면착용이 가능한 귀금속 목걸이
KR200451626Y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
JP3856809B2 (ja) 宝石を備えたつけ爪及び宝石の取付構造、宝石を備えたつけ爪の製造方法
JPH1156423A (ja) 宝石入り装身具
JP4585577B2 (ja) 反射宝石装身具
JP2007167395A (ja) 宝石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