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156A -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 Google Patents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156A
KR20090118156A KR1020080043777A KR20080043777A KR20090118156A KR 20090118156 A KR20090118156 A KR 20090118156A KR 1020080043777 A KR1020080043777 A KR 1020080043777A KR 20080043777 A KR20080043777 A KR 20080043777A KR 20090118156 A KR20090118156 A KR 20090118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odule
digital
sign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우전자
Priority to KR102008004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8156A/ko
Publication of KR2009011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댁내 노약자 또는 어린아이를 손쉽게 감시할 수 있는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는, 현관 또는 댁내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AV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듈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제공받아,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댁내 감시를 수행하는 휴대장치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휴대장치로 LCD 텃치 패널을 구비하여 GUI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GUI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AV 모듈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가정 내 위치에 관계없이 가정 내의 영상을 쉽게 습득할 수 있어, 룸별 영상을 수집하거나, 현관으로 근접한 외부인의 영상을 수집하거나, 댁내 보안 시스템의 일환으로 설치된 폐쇄회로의 카메라 영상을 수집하여, 가정 내의 노약자 또는 침입자를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043777
댁내, 가정, 전화기,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휴대장치, 영상, AV

Description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HOME CORDLESS TELEPHONE HAVING A FUNCTION OF WATCHING CIRCUMFERENCE}
본 발명은 가정용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정 내로 장착되는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가정용 무선 전화기로 선별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화기는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로 구성되는데, 현재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무선 전화기는 46/49Mhz 또는 900Mhz의 주파수를 주로 사용하며, AM 또는 FM 변조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전화기 구조를 살펴 보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는 고정장치 송수신부(10), 고정장치 베이스밴드부(12), 고정장치 제어부(16), 및 PSTN 인터페이스(14)로 구성되며 고정장치에서 공중 전화라인을 통하여 통화를 수행한다.
외부의 교환기에서 공중 전화라인을 통하여 통화를 요청하면 PSTN 인터페이스(14)는 링 신호와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링 신호를 제어부(16)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6)는 베이스밴드부(12)에 콜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밴드부(12)는 휴대장치에 주파수 동조를 맞추며 통화채널을 확보한다. 상기 확보된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밴드부(12)는 링 호출 신호를 송수신부(10)에 전송하고, 상기 송수신부(10)는 중간주파수를 증폭하고 믹서를 통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반송 신호와 혼합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휴대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종래의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는 휴대장치 송수신부(20)와, 휴대장치 베이스밴드부(22)와, 오디오 인터페이스(24)로 구성된다. 휴대장치의 송수신부(20)는 저잡음 증폭기를 통하여 미약해진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다루기 쉬운 주파수로 믹서기에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부(22)에 전달하고, 상기 베이스밴드부(22)는 상기 신호를 복호하여 링 신호에 따라 부저를 발생하도록 하고, 오디오 인터페이스(24)는 음성신호를 적절한 신호로 증폭하여 통화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근래에 들어 전술된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부가 기능이 탑재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가 기능을 통해 방범, 보안 등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연동을 구현하고 있다. 예컨대, 경보 시스템과의 연동되는 무선 전화기는 인체 감지를 위한 센서, 충격을 검출하는 센서, 가스를 검출하는 센서, 압력변화를 검출하는 센서 및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에게 전화선로를 이용하여 단순한 경보와 음성메시지를 알려주고 있다.
이는 외부로부터 집안으로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침입 사실을 무선 전화기를 통해 통지한다. 더구나, 외부 침입 사실은 근접한 사설 경호, 방범 회사 또는 가까운 경찰서 등으로 관련 메시지가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반면,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보안장치를 구성할 경우, 무선전화기 고정체와 감지센서를 구비한 이동체로 보안 시스템을 구성하고, 긴급상황이 발생할 때 고 정체로부터 녹음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면 고정체에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일방적으로 특정 지역으로 전송하여 보안 기능을 수행토록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 전화기는 음성 통화의 편의성을 넘어 다기능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토대로 생활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범, 보안 등의 부가 기능은 댁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실상 무선 전화기의 고유 기능을 축소 또는 배제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즉, 무선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기반으로 무선 전화기의 부가 기능이 접목되어야만 무선 전화기의 활용성 및 부가 기능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목적은 가정용 무선 전화기의 댁내 휴대성을 이용하여 가정 내의 영상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전화기를 휴대한 사용자의 댁내 위치에 관계없이 룸별 영상을 수집하거나, 현관으로 근접한 외부인의 영상을 수집하거나, 댁내 보안 시스템의 일환으로 설치된 폐쇄회로의 카메라 영상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가정 내에서의 내부 감시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정 내의 노약자를 감시토록 함으로써, 위험 상황에 따른 빠른 대처가 가능한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는, 현관 또는 댁내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AV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듈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제공받아,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댁내 감시를 수행하는 휴대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장치로 LCD 텃치 패널을 구비하여 GUI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GUI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AV 모듈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는 사용자의 가정 내 위치에 관계없이 가정 내의 영상을 쉽게 습득할 수 있어, 룸별 영상을 수집하거나, 현관으로 근접한 외부인의 영상을 수집하거나, 댁내 보안 시스템의 일환으로 설치된 폐쇄회로의 카메라 영상을 수집하여, 가정 내의 노약자 또는 침입자를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의 고정체 및 이동체 간의 영상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별도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음에 따라 시스템의 운용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는 무선 전화기의 고유 기능과 더불어, 현관 또는 댁내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AV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듈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고정장치(200)와, 상기 고정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제공받으며,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댁내 감시를 수행하는 휴대장치(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무선 전화기의 주파수대는 1.7Ghz/DECT방식과 2.4Ghz/디지털 방식으로 사용되며, 이외에 허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또는 무선 방식이 사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상기 휴대장치(300)는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컬러 LCD 패널을 보유하고,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상기 LCD 패널로 GUI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GUI를 토대로 전술된 다수의 AV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을 선별토록 한다. 상기 AV 모듈은 카메라 또는 카메라/마이크를 포함하는 AV 출력 모듈로써, 유선 또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고정장치(200)로 영상/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PSTN 통신망을 통해 음성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수행하고, 상기 음성 신호를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300)로 전송 제어하는 전화모듈(220)을 포함하여; 현관 또는 댁내 롬 별로 장착되어 해당 지역의 음성 및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AV 모듈(213)과, 상기 AV 모듈(213)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며, AV 선택 명령에 근거하여 다수 개의 AV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AV 모듈에 대한 영상/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AV 입출력 선택부(205)와, 상기 AV 입출력 선택부(205)로부터 제공되는 AV 신호로부터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고, 영상 신호에 대한 휘도 및 컬러 신호를 분리한 후, 각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한 엔코딩을 수행하는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1(203)와, 상기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1(203)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 분리 신호를 소정의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신호 압축을 수행하고, 압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207)의 운영 관리와 더불어, 상기 메모리1(207)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복원을 수행하고, 복원된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서1(201)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1(201)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300)로 전송하는 디지털 AV 송신부(209)로 구성된 AV 제어모듈(230)과, 상기 전화모듈(22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AV 선택 명령을 접수하고, 상기 AV 선택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AV 입출력 선택부(205)로 AV 모듈 선택을 지시하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AV 제어모듈(230) 및 전화모듈(220)을 선별적 또는 동시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전화모듈(220)은 무선 전화 운영 알고리즘에 따라 PSTN 접속 제어 및 DTMF 신호 인식을 토대로 통화제어를 실현하고, 아날로그 음성 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과 더불어, 디지털 음성신호를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전송을 제어하는 무선전화 프로세서1(215)와, 상기 무선전화 프로세서1(215)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휴대장치(300)와의 디지털 음성 송수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음성 송수신부1(217)와, 상기 무선전화 프로세서1(215)의 통화 제어에 응답하여 PSTN 망과의 접속을 수행하고, 음성 신호에 대한 유선 전송을 실행하는 음성 입출력부1(219)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40)는 전화 모듈(220)의 디지털 음성 송수신부1(217)와 접속되며, 상기 디지털 음성 송수신부1(217)로부터 수신된 AV 선택 명령 신호를 접수한다. 상기 AV 선택 명령 신호는 기 설정된 코드 정보로서, 상기 무선전화 프로세서1(215)에서 패치되지 못하는 정보이다. 즉, 상기 AV 선택 명령에 따른 코드는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200)로 구비되는 다수의 버튼에 의해 발생되는 코드 정보가 아닌 별도의 코드로 정의된다. 이는 전화모듈(220)과 AV 제어모듈(230)의 기능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240)에 의해 전화모듈(220) 및 AV 제어모듈(230)이 운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고정장치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301 단계에서 시스템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시스템의 초기화는 시스템으로의 전원 입력과 더불어 AV 모듈에 대한 장착을 전제로 한다.
즉, 댁내에는 다수 개의 AV 모듈(213)이 장착되는데, 룸 별로 장착되거나, 거실에 보안 카메라로써 장착되거나, 현관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AV 모듈(213)은 주변 환경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이며, 필요에 따라 음성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V 모듈(213)은 모듈화된 카메라 장치로써 영상 신호 및 음성를 제공한다. 따라서, 전술된 AV 입출력 선택부(205)는 입력되는 각 신호에 대한 별도의 증폭 기능을 갖지 않는다.
상기 각 AV 모듈(213)은 AV 입출력 선택부(205)의 입력 포트로 접속되며, 상 기 AV 입출력 선택부(205)는 내부 MUX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AV 모듈(213)을 선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AV 모듈(213)은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화면을 제공받는 것으로, 예컨대 안방에서 작은 방의 영상과, 현관의 영상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S303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AV 모듈(213)에 대한 선택 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AV 선택 명령은 상기 전화모듈(220)의 디지털 음성 송수신부1(217)로부터 제공받는 것으로, 상기 휴대장치(300)로 제공되는 GUI 화면을 근거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제어부(207)가 AV 선택 명령을 수신하면, S305 단계와 같이, 수신 명령에 대한 코드를 분석한다. 코드 분석은 무선 전화기의 통화 모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 요청 모드가 아닐 경우 상기 제어부(240)는 S307 단계에서 수신된 코드에 대한 테이블 명령을 패치한다.
테이블 명령이라 함은, 입력된 코드에 대한 코드 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 코드별 제어명령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부(240)는 S309 단계에서 AV 입출력 선택부(205)를 제어하여 AV 모듈(213)에 대한 선택 및 영상/음성 신호에 대한 선별을 수행한다.
즉, 상기 AV 입출력 선택부(205)는 상기 제어부(240)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AV 모듈(213)을 선택하기 위한 AV 선택 명령을 수신하며, AV 선택 명령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AV 신호가 인에이블된다. AV 입출력 선택부(205)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AV 신호를 상기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1(203)로 제공하며, S311 단계와 같이 수신된 영상의 신호 처리를 위해, 상기 AV 엔코더/디코더1(203)는 수 신된 AV 신호에 대한 영상 및 음성신호를 분리 추출한다.
추출된 음성신호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샘플링 신호에 의해 샘플링된 후, 양자화를 거쳐 디지트화된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영상신호는 휘도 및 컬러 신호로 분리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디지트화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는 영상처리 프로세서1(201)로 제공되며,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1(201)는 소정의 압축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메모리1(207)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207)는 데이터 복원을 위한 버퍼 역활을 수행하는 것으로, 메모리1(207)의 용량을 증대시켜 다수의 AV 모듈(213)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일정 시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1(207)의 부가 기능은 생략한다.
상기 메모리1(207)로 일정 량의 데이터가 저장되면,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1(201)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복원하여 상기 디지털 AV 송신부(209)로 전송한다. 즉, S313 단계와 같이 상기 디지털 AV 송신부(209)는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상기 휴대장치(3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40)는 무선 전화기의 전화통화 모드를 위한 전환 명령을 수신할 경우 예컨대, S315 단계와 같이 제어부(240)가 상기 무선전화 프로세서1(215)로부터 전화 착신을 요청받거나, 사용자에 의해 전화통화를 요구받을 경우, 제어부(240)는 S317 단계에서 상기 무선전화 프로세서1(215)로 통화 모드로의 전환 을 지시한다.
상기 무선전화 프로세서1(215)는 S319 단계와 같이, 전화통화 모드에 응답하여 전화통화 운영 알고리즘에 따라 PSTN 망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디지털 음성 송수신부1(217)를 통해 휴대장치(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디지털 음성 송수신부1(217)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PSTN 망으로 탑재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40)는 S321 단계에서 무선 전화의 통화모드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 통화모드가 종료되었음으로 판단되면 S323 단계에서 전화모듈(220)을 디스에이블시키고, S325 단계로 진입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현재 기동되고 있는 영상수신 모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S303 단계로 피드백되거나, 시스템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200)와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전화모듈(220)에 대한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전화모듈(440)을 포함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털 AV 송신부(209)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AV 수신부(403)와, 상기 디지털 AV 수신부(403)로부터 수신된 AV 신호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며, 영상 신호에 대한 휘도 및 컬러 신호를 분리한 후, 각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한 엔코딩을 수행하는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2(405)와, 상기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2(405)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 분리 신호를 소정의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신호 압축을 수행하고, 압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411)의 운영 관리와 더불어, 상기 메모리2(411)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복원을 수행하고, 복원된 영상 데이터를 휴대장치(300)로 구비되는 LCD(409)로 디스플레이하고,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423)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로 구성된 AV 디스플레이 모듈(42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LCD(409)는 텃치 패널을 구비하여 GUI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상기 GUI는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AV 모듈(213)을 선택하고, 선택된 AV 모듈(213)을 토대로 상기 LCD(409)로 다수의 영상을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된다. 물론, 상기 LCD(409)가 텃치 패널과 연동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AV 모듈(213)을 선택하기 위한 AV 선택 명령은 상기 휴대 전화모듈(440)의 키 패널(419)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키 패널(419)을 이용한 영상 선택은 LCD(409)를 통해 제공되는 지시 버튼에 의해 이루어지며, 휴대장치로 구비되는 고유의 키 버튼 코드와는 별도의 코드로 적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된 휴대장치(300)의 휴대 전화모듈(440)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에 대한 디지털 변환과 더불어, 디지털 음성신호를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고정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로부터 AV 선택 명령을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고유 코드를 상기 고정장치(200)의 전화모듈(220)로 전송하는 무선전화 프로세서2(413)와, 상기 무선전화 프로세서2(413)의 일측 포트에 접속되어 상기 고정장치(200)와의 디지털 음성 송수신을 수행하는 디지털 음 성 송수신부2(417)와, 상기 무선전화 프로세서2(415)의 타측 포트에 접속되어 통화음성에 대한 입출력 및 키 신호에 대한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음성 입출력부2(415)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모듈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는 LCD(409)로 GUI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GUI 메뉴는 전술된 다수의 AV 모듈(213)을 선택하여 임의의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도 5a와 같이 휴대장치(300)의 LCD(409)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GUI 메뉴는 텃치 패널을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로 장착된 AV 모듈(213)을 선택하여 해당 영상/음성을 수신하며, 사용자는 메뉴의 선택 버튼(503)을 텃치함으로써, 해당 영상/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는 LCD(409)로 GUI 메뉴를 제공함과 더불어, GUI 메뉴로부터 사용자의 선별 신호를 주시한다.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가 GUI 화면(501)으로부터 선택버튼(503)이 동작됨을 인식할 경우,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는 해당 버튼에 대한 고유 코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고유 코드정보는 휴대 전화모듈(440)의 키 패널(419)에 구비되지 않는 코드로서, 고유 코드정보가 무선전화 프로세서2(413)로 제공된다. 상기 무선전화 프로세서2(413)는 입력된 고유 코드정보를 디지털 음성 송수신부2(417)로 제공하며, 디지털 음성 송수신부2(417)는 설정된 주파수로 변조한 후, 상기 전화모듈(220)의 디지털 음성 송수신부1(217)로 전송한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고유 코드정보는 고정장치(200)의 AV 선택명령으로 상정되며, 이로부터 디지털 AV 송신부(209)는 선별된 어느 하나 이상의 AV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AV 수신부(403)는 고정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AV 신호는 상기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2(405)로 제공된다.
상기 AV 엔코더/디코더1(203)는 수신된 AV 신호에 대한 영상 및 음성신호를 분리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신호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샘플링 신호에 의해 샘플링된 후, 양자화를 거쳐 디지트화된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신호는 휘도 및 컬러 신호로 분리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디지트화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는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로 제공되며,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는 소정의 압축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상기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메모리2(411)로 제공함으로써,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버퍼링을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2(411)로 일정 량의 데이터가 저장되면,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복원하여 상기 LCD(409)로 제공한다. 이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위치에서의 영상을 제공토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상기 선택 버튼(503)을 이용하여 선별적인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음성 데이터는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에 의해 DA 컨버팅된 후, 상기 스피커(423)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위치에서의 동영상과 더불어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LCD(409)의 선택 버튼(503)을 이용하여 AV 모듈(213)을 선택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키 패널(419)의 키 신호를 이용하여 임의의 AV 모듈(213)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키 패널(419)의 키 신호가 다이얼링 신호 즉, DTMF 신호로 인식될 우려가 있음에 따라, 키 패널(419)의 특정 키 예컨대, '*, #' 키 신호를 연속 입력할 경우,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에서 AV 모듈(213) 선택을 위한 키 신호로 인지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사용자가 키 패널(419)을 동작시켜 다이얼링을 하고자 할 경우, 입력되는 숫자 버튼의 코드는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2(407)에서 인식되지 못하고, 상기 무선전화 프로세서2(413)에서 DTMF 신호로 변환 출력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가정 내의 영상을 선별적으로 감시할 수 있어 노약자에 대한 감시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취침중 외부 침입이 인지될 경우, 무선 전화기를 통해 외부 또는 거실의 상황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 내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댁내 영상을 수집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유료화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아 무선 전화기의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부터 무선 전화기의 시장 확대가 용이하게 실현될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종래 무선 전화기의 기능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G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3 :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1 205 : AV 입출력 선택부
207 : 메모리1 209 : 디지털 AV 송신부
213 : AV 모듈 215 : 무선전화 프로세서1
217 : 디지털 음성 송수신부1 220 : 전화모듈
230 : AV 제어모듈 403 : 디지털 AV 수신부
405 :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2 407 : 영상처리 프로세서2
409 : LCD 420 : AV 디스플레이 모듈
440 : 휴대 전화모듈

Claims (6)

  1.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로 구성되는 댁내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현관 또는 댁내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AV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모듈로부터 추출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제공받아,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댁내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기는 1.7Ghz/DECT방식 또는 2.4Ghz/디지털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컬러 LCD 패널을 보유하며, 상기 LCD 패널로 상기 다수 개의 AV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선택하기 위한 GUI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AV 모듈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며, AV 선택 명령에 근거하여 다수 개의 AV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을 선택하고, 선택된 AV 모듈에 대한 영상/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AV 입출력 선택부와, 상기 AV 입출력 선택부로부터 제공되는 AV 신호로부터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고, 영상 신호에 대한 휘도 및 컬러 신호를 분리한 후, 각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한 엔코딩을 수행하는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1와, 상기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1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 분리 신호를 소정의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신호 압축을 수행하고, 압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의 운영 관리와 더불어, 상기 메모리1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복원을 수행하고, 복원된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전송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서1와,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1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디지털 AV 송신부로 구성된 AV 제어모듈; 및
    상기 무선 전화기의 무선 통화라인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AV 선택 명령을 접수하고, 상기 AV 선택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AV 입출력 선택부로 AV 모듈 선택을 지시하며,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AV 제어모듈 및 전화 통화 모드를 선별적으로 운영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디지털 AV 송신부로부터 전송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AV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AV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AV 신호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며, 영상 신호에 대한 휘도 및 컬러 신호를 분리한 후, 각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대한 엔코딩을 수행하는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2와, 상기 디지털 AV 엔코더/디코더2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 분리 신호를 소정의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신호 압축을 수행하고, 압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의 운영 관리 및 상기 메모리2로 저장된 영상 데이터의 복원을 수행하고, 복원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장치로 구비되는 LCD로 디스플레이하고,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로 제공하기 위한 영상처리 프로세서2로 구성된 AV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LCD는 텃치 패널을 구비하여 GUI 기능이 제공되며, 상기 GUI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AV 모듈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KR1020080043777A 2008-05-13 2008-05-13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KR20090118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777A KR20090118156A (ko) 2008-05-13 2008-05-13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777A KR20090118156A (ko) 2008-05-13 2008-05-13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156A true KR20090118156A (ko) 2009-11-18

Family

ID=4160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777A KR20090118156A (ko) 2008-05-13 2008-05-13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81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165A (ko) *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호서텔넷 Dect 게이트웨이, 이의 작동 방법, 및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165A (ko) * 2015-01-09 2016-07-19 주식회사 호서텔넷 Dect 게이트웨이, 이의 작동 방법, 및 관리 서버의 작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8917B2 (en) Intercom/wireless door bell for multi-handset telephone system
KR100723932B1 (ko) 비상착신 기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그서비스 방법
US8611846B2 (en) One-way buffered communicator
JP5291288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1053905A (ja) セキュリティー機能付き携帯電話
JP4575694B2 (ja) テレビドアホンシステム
KR20000065502A (ko) 원격 화상 전송 장치
KR20090118156A (ko) 주변 감시 기능을 갖는 가정용 무선 전화기
KR20010019901A (ko) 부재중 방문자와 통화가능한 도어폰시스템
KR20020037116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감지 장치 및 방법
KR100557096B1 (ko) 양방향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데이터표시방법
KR100407450B1 (ko) 무선 영상 도어 키 시스템
JP2016005237A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方法
JP2001292442A (ja) 電話機による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10108621A (ko) 텔리 인터폰 시스템
KR20030033353A (ko) 도어폰
KR100756358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90049427A (ko) 비디오폰 장치
KR20050036397A (ko) 도어폰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3274050A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4791808B2 (ja) テレビインターホン装置
KR100826826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012422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196573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음성 및 화상제어장치
KR20030065907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