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122A -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 Google Patents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122A
KR20090117122A KR1020080043027A KR20080043027A KR20090117122A KR 20090117122 A KR20090117122 A KR 20090117122A KR 1020080043027 A KR1020080043027 A KR 1020080043027A KR 20080043027 A KR20080043027 A KR 20080043027A KR 20090117122 A KR20090117122 A KR 20090117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hthalate
oral pharmaceutical
magnesium
dependent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식
김윤식
임창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08004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122A/ko
Publication of KR2009011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95Tabletting processes; Dosage units made by direct compression of powders or specially processed granules, by eliminating solvents, by melt-extrusion, by injection molding, by 3D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4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6Polysaccharides, e.g. gum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6Polysaccharides, e.g. gums; Cyclodextrin
    • A61K9/2866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93Tablet coat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 등과 같은 용출 프로파일이 pH 의존적이고 조해성을 갖는 유효 약물 및 지연방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과립 또는 정제를 제조하고, 상기 과립 또는 정제를 pH 의존적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는 pH 의존적 고분자 코팅에 의해 공지의 제제와 유사하게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산성 조건에서의 용출지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코팅에 의해 제제 개체 간의 용출 편차를 최소화하면서 일정하게 약물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다. 또한, pH 의존적 고분자 코팅은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제조 원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는 소화불량, 구역, 구토 등의 증상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Oral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Dimecrotate Magnesium}
본 발명은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필름 코팅된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과 같이 용출 프로파일이 pH 의존적이고 조해성을 갖는 유효 약물 및 지연방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과립 또는 정제로 제조하고, 상기 과립 또는 정제를 pH 의존적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Magnesium dimecrotate)은 3-(2,4-디메톡시페닐)-2-부타노익산에 마그네슘염을 결합시킨 화합물로서, 소화불량,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약물로 알려져 있으며, 담즙 분비를 촉진시키고 소화효소를 활성화 시키는 동시에 진경 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간세포의 티시에이 사이클(TCA cycle)에 직접 작용하여 간 기능을 개선시키고 간 독성을 유발하는 암모니아의 배출을 촉진시켜 간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어 간 및 담도계 질환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화제이다.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에 관한 종래의 제제는 프랑스 바이오코텍스사(Laboratories BIOCODEX)에서 만든 헤파디알 정(HEPADIALTM)으로서, 상기 제제는 당의로 코팅된 당의정이다. 상기 시판 제제는 산성 조건에서는 용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알칼리와 물에서 용출이 이루어지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당의정 제제는, 당의 코팅으로 인하여 제제간 용출 편차가 커 신뢰성이 낮고, 제조방법이 까다로우며 제조시간이 오래 걸려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 제제의 용출 편차의 문제를 해결하고 용이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제제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당의정 제제가 가진 기술적 문제점인 복잡한 제조 과정 및 제제 개체간 용출 편차를 개선할 수 있고, 시판 제제와 동등한 정도의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신규한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신규한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의 pH를 갖는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약물의 방출을 억제하고, pH가 약 5 이상인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약물의 방출을 촉진하는,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 이러한 신규 약제학적 제제를 사용하여, 소화 불량, 구토 등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유효 약물로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 및 (ii) 지연방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과립 후 정제를 제조하고, 상기 정제를 pH 의존적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유효 약물인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은 체내 pH에 따라 용출 프로파일이 달라지는 물질로서 약물을 공기 중에 방치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인 조해성을 갖는 물질이다.
이러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은 종래 수분 흡습성 및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백당을 입혀 당의정으로 제제화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백당을 입히는 데에는 당의 코팅팬을 이용하여 백당액을 뿌리고 건조시키는 작업을 수 차례 반복해야 하며 일정 농도의 백당액을 입히고 난 후에는 시광팬으로 옮겨 시광 공정을 하는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고, 균일한 코팅막을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용출 편차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는 pH 의존적 고분자 코팅(이하, 경우에 따라 '코팅 제제'라고 약칭함)에 의해 시판 제제와 대등한 용출 양상을 나타내는 바 산성조건에서 용출지연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균일한 코팅에 의해 제제 개체 간의 용출 편차를 최소화하면서 일정하게 약물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약효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pH 의존적 고분자 코팅은 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제조 원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3-(2,4-디메톡시페닐)-2-부테노익산에 마그네슘염을 결합시킨 화합물, 또는 이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의 혼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Figure 112008032977123-PAT00001
(1)
이러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은 지방질의 소화 흡수를 촉진하여 담즙 생성 및 분비를 촉진하고, 담관 및 오디괄약근 평활근의 이완을 통한 진경 작용, 암모니아의 해독 및 리포트로픽 활성(lipotropic activity)을 통한 간기능 개선에 유효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제제는 유효 약물로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을 포함하고, 소화불량, 구토 등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는 유효 약물 및 지연 방출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을 과립 또는 정제화한 후 pH 의존적 고분자로 코팅하여 제조되 는 바, 상기 약물은 바람직하게는 약리학적 유효량으로 포함되며, 상기 약제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에는 경우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붕해 촉진제 등 기타 첨가제, 보조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약물의 첨가량은 전체 과립 또는 정제의 1 ~ 90 중량%일 수 있는 바, 유효 약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소정의 약리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투여되는 과립의 양이 많아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90 중량%를 초과하면 유효 물질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 서방성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더욱 바람직한 첨가량은 10 ~ 70 중량%이다.
상기 지연방출제는 알긴산, 알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약리학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투여되는 화합물의 양이 치료하는 장애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약리학적 유효량은, (1) 질환의 진행 속도를 역전시키는 효과; (2) 질환의 그 이상의 진행을 어느 정도 금지시키거나 어느 정도 느리게 하는 효과; 및/또는 (3) 질환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을 어느 정도 경감(바람직하게는,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는 양을 의미한다.
용어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physiologically acceptable)'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붕해 촉진제는 약물 방출속도를 개선시키고, 약물이 표적 부위에서 빠 른 속도로 용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약물의 체내 이용률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붕해 촉진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 칼슘, 전분글리콘산나트륨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제를 코팅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pH 의존적 고분자는, 예를 들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틸 프탈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딘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트리멜리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아세테이트 말레에이트, 카르복시메틸 에틸 셀룰로오스,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유효 약물이 위 및 위장관을 통과할 때 서서히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pH 의존적 고분자는 위의 pH 범위(1-3 정도)와 장의 pH 범위(5-7 정도)를 걸쳐있는 수성 매질에서 유효 약물의 용해 속도를 조절하는 물질 일 수 있다.
상기 pH 의존성 고분자의 코팅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소망하는 정제 대비 1 ~ 15 %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제 대비 3 ~ 9%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백분율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중량 백분율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예를 들어 코팅 피막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가소제, 코팅 조성물 내 성분들의 분산 및 용해를 돕기 위한 분산제 또는 용해 보조제, 피막 형성 시 피막끼리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활택제, 기타 차광제, 색소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구연산 트리에틸, 글리세롤, 트리아세틴, 디에틸 프탈레이트, 디부틸 프탈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또는 트리에틸사이트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 또는 용해 보조제로는 구연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나트륨 등의 알칼리화제나 폴리소르베이트 80,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택제로는 탈크,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소디움 스테아릴 푸마레리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광제로는 산화티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색소로는 알루미늄 레이크계 색소나 아이언 옥사이드계 색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기타 공지의 물질들, 예를 들어, 유당, 백당, 전분, 탄산칼슘, 미결정셀룰로오스, 콜로이달실리콘 디옥사이드, 글리세롤디스테아린산 또는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등이 더 첨가될 수 있다.
본 응용에서의 제제 및 투여에 관한 기술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8th edition, 199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단계(1) 내지 (3)을 포함하는 상기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i) 유효 약물로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 및 (ii) 지연방출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과정(1)에 따른 혼합물에 결합제를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
(2-2) 상기 과정(2)에 따른 과립에 윤활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과정(2-2)에 따른 정제를 pH 의존적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과정(2)에 따라 만든 과립을 타정하지 않고, 즉, 상기 단계(2-2)를 생략하고, 과립에 대하여 직접 단계(3)의 코팅 단계에서 pH 의존적 고분자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즉, 유효 약물 및 지연방출제 등의 약제 조성물을 혼합한 후, 과립화하는 과정을 통해 정제를 제조하는 바, 상기 유효 약물은 약리학적 유효량으로 포함되고, 지연방출제는 유효 약물의 타겟에 따라 종류 및 함량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의 과립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건식 또는 습식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립화는 유동층 건조기 등을 이용한 과립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과립물은 탈크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의 윤활제와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로 압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정제는 pH 의존적 고분자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소제, 분산제, 활택제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필름코팅기, 유동층 과립기를 이용한 코팅 등에 의해 필름코팅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름 코팅층이 형성된 정제, 과립제, 펠렛, 산제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들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16]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 및 혼합량(1정 해당량)의 약제 조성물을 스피드 믹서에 넣고 약 3 분간 혼합하였다. 혼합물에 결합액을 첨가하여 연합한 후 제18호 메쉬체를 통하여 제립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후 제 25호 메쉬체를 이용하여 과립하였다. 이 과립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첨가하여 5 분 동안 혼합 후 통상의 압력을 이용하여 타정기 상에서 타정하여 정제(나정)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08032977123-PAT00002
[표 2]
Figure 112008032977123-PAT00003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8에서 제조된 정제(나정)에 대하여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용출시험 제 2 법(패들법)에 따라 'pH 6.8에서 용출시험'을 수행하고, 용출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양을 UV분광분석법 28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08032977123-PAT00004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9~16에서 제조된 정제(나정)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1의 방법에 따라 'pH 6.8에서 용출시험'을 수행하고, 용출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양을 UV분광분석법 280 nm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08032977123-PAT00005
상기 표 3 및 4의 결과들을 참조하면, 필름 코팅 하기 전의 정제(나정)의 경우에는 초반 용출률이 매우 높고, 거의 직선적인 용출 패턴을 나타내며, pH 6.8에서 대략 2 시간 동안의 지속 방출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4 및 16에서 제조된 정제(나정)에 대하여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용출시험 제 2 법(패들법)에 따라 '물에서 용출 시험'을 수행하였고, 용출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양을 UV분광분석법 28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08032977123-PAT00006
상기 표 5에 따르면, pH 6.8에서와는 달리 물에서는 대략 45분 정도의 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바 급격한 용출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7 ~ 22]
상기 실시예 14 및 16에서 제조된 정제(나정) 하기 표 5의 코팅 조성물을 이 용하여 코팅을 실시하여 코팅 제제를 제조하였다.
[표 6]
Figure 112008032977123-PAT00007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17 ~ 22에서 제조된 코팅 제제와 시판 제제(HEPADIALTM) 대하여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용출시험 제 2 법(패들법)에 따라 물에서 '용출 시험'을 수행하고, 용출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양을 UV분광분석법 28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112008032977123-PAT00008
상기 표 7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제제는 pH 의존적 고분자를 사용한 필름코팅을 통해 90분 이상의 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바 나정에 비해 크게 용출이 지연되었고, 당의정 제제인 시판 제제에서와 유사하게 초기 용출률이 지연되는 용출 프로파일을 얻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용출 패턴은 시판 제제에 거의 동등한 정도로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pH 의존성 고분자의 함량이 높을수록 용출 패턴이 시판 제제와 비교하여 더 지연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판 제제의 경우에는 당의 코팅막이 벗겨지는 30분 시점부터 60분까지 급속하게 용출이 상승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제제 간 용출 편차에 있어서도 45분 내지 60분 시점에서는 무려 ± 13.3 ~ 19.5의 큰 값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시판 제제의 경우 일정 시점이 지난 후에는 당의 코팅이 전체적으로 떨어져 나가면서 용출이 급격하게 일어나고, 코팅의 균일성이 낮아 제제 간 코팅량 의 격차가 크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반면, 본 발명의 코팅 제제들의 용출 패턴은 시판 제제에 비해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매우 완만한 용출 패턴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제 간 용출 편차에 있어서도 최대 ± 6.7의 용출 편차를 나타내고, 전체적으로는 ± 0 ~ 3 정도로서 용출 편차가 매우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제제의 경우에는 코팅막이 서서히 녹아가면서 용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급격한 용출을 상당히 제어할 수 있고, 코팅막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코팅 제제는 완만한 용출 패턴과 낮은 용출 편차를 나타내는 바, 균일한 약효를 발휘할 수 있어서 시판제제에 비해 신뢰성이 훨씬 높다는 장점이 있다.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20에서 제조된 제제와 시판 제제(HEPADIALTM) 대하여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용출시험 제 2 법(패들법)에 따라 pH 1.2 및 pH 4.0에서 용출 시험을 수행하였고, 용출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양을 UV분광분석법 280 nm 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08032977123-PAT00009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0의 제제의 경우 pH 1.2의 강산성 조건에서 극히 미량의 용출을 발휘하고 있는 바, 시판 제제와 거의 유사한 용출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pH 4.0의 산성 조건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20의 제제가 시판 제제와 거의 대등한 용출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는 당의정 제제와 달리 pH 의존적 고분자 코팅에 의해 산성 조건에서 용출이 지연되게 방출되도록 설계하여 유효 약물의 초반 용출지연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특히 균일한 코팅에 의해 제제 개체 간 용출 편차를 최소화하면서 일정하게 약물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pH 의존적 고분자 코팅은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제조 원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는 소화불량,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을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3에서 실시예 20-22에 따른 제제와 시판제제의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용출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9)

  1. (i) 유효 약물로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 및 (ii) 지연방출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의 과립 또는 정제를 제조하고, 상기 과립 또는 정제를 pH 의존적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H 의존적 고분자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프탈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틸 프탈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딘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트리멜리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아세테이트 말레에이트, 카르복시메틸 에틸 셀룰로오스,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H 의존적 고분자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H 의존성 고분자는 정제 대비 1 ~ 15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H 의존성 고분자는 정제 대비 3 ~ 9%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방출제는 알긴산, 알긴산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제제가 25 내지 100 mg의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8. 제 1 항에 따른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학적 제제의 제조방법:
    (1) (i) 유효 약물로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 및 (ii) 지연방출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과정(1)에 따른 혼합물에 결합제를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
    (2-2) 상기 과정(2)에 따른 과립에 윤활제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과정(2-2)에 따른 정제를 pH 의존적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
  9. 제 1 항에 따른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약학적 제제의 제조방법:
    (1) (i) 유효 약물로서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 및 (ii) 지연방출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과정(1)에 따른 혼합물에 결합제를 첨가하여 과립화하여 과립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과정(2)에 따른 과립을 pH 의존적 고분자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는 단계.
KR1020080043027A 2008-05-08 2008-05-08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KR20090117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027A KR20090117122A (ko) 2008-05-08 2008-05-08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027A KR20090117122A (ko) 2008-05-08 2008-05-08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122A true KR20090117122A (ko) 2009-11-12

Family

ID=4160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027A KR20090117122A (ko) 2008-05-08 2008-05-08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71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99B1 (ko) * 2011-04-04 2011-09-16 주식회사 누보 규산염을 포함하는 담수작물 재배용 발포성 정제형 비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99B1 (ko) * 2011-04-04 2011-09-16 주식회사 누보 규산염을 포함하는 담수작물 재배용 발포성 정제형 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9080B2 (ja) レベチラセタムの徐放性製剤
US6946146B2 (en) Coating for a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KR101609279B1 (ko) 왁스를 포함하는 서방형 제형
US20090017114A1 (en) Tranexamic acid formulations with reduced adverse effects
JP6976946B2 (ja) 生理活性の強い、urat1のインヒビターを含む医薬組成物
KR20210016420A (ko) 글루코키나제 활성화제 및 sglt-2 억제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병용물, 조성물, 및 병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JP2012514624A (ja) 浸食マトリックス中に1またはそれ以上のフマル酸エステルを含む医薬製剤
KR100678421B1 (ko) 염산 탐스로신 함유 방출조절 제제
JP2023026623A (ja) エソメプラゾール及び炭酸水素ナトリウムを含む、優れた溶解特性を備えた薬学的製剤
US20030224045A1 (en) Combination immediate release sustained release levodopa/carbidopa dosage forms
TW20120650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morphone and naloxone
US9387178B2 (en) Modified release tranexamic acid formulation
JP2019513800A (ja) メサラジンの経口薬学的組成物
WO2007037259A1 (ja) 生体内での崩壊性を向上させたパルス製剤
KR102078805B1 (ko) 토파시티닙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P3445360B1 (en)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nicotinamide
KR20170061219A (ko) 방출제어형 경질캡슐 제제
JP2007507491A (ja) 徐放性製剤
AU2017304029A1 (en) Formulation having improved pH-dependent drug-release characteristics, containing esomeprazol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L192648B1 (pl) Preparat farmaceutyczny o kontrolowanym uwalnianiu, zawierający inhibitor ACE jako substancję aktywną
EP2968179B1 (e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KR20090117122A (ko) 디메크로틴산 마그네슘의 경구용 약제학적 제제
KR102471545B1 (ko) 덱스란소프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pH 의존성 타블렛-인-캡슐 복합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7370124B2 (ja) エルロチニブ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錠剤
WO2022125007A1 (en) Prolonged release mirabegron for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