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662A -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662A
KR20090116662A KR1020090061532A KR20090061532A KR20090116662A KR 20090116662 A KR20090116662 A KR 20090116662A KR 1020090061532 A KR1020090061532 A KR 1020090061532A KR 20090061532 A KR20090061532 A KR 20090061532A KR 20090116662 A KR20090116662 A KR 20090116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touch screen
case
call
touc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125B1 (ko
Inventor
강현욱
Original Assignee
강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욱 filed Critical 강현욱
Priority to KR20090061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12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외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용 휴대폰의 외장케이스에 통화버튼과 종료버튼이 형성되어 외장케이스를 해제하지 않고도 통화 및 종료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는, 휴대폰 외부의 일면 이상을 케이싱하는 외장케이스이며, 상기 휴대폰은 터치스크린 휴대폰이고,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휴대폰의 스피커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의 통화 터치패드부와 종료 터치패드부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가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터치스크린, 통화 터치패드부, 종료 터치패드부, 통화버튼부, 종료버튼부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Exterior case for touch screen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외장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용 휴대폰의 외장케이스에 통화버튼과 종료버튼이 형성되어 외장케이스를 해제하지 않고도 통화 및 종료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현대사회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통신장치로서, 그 기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다양화 되고 있다.
휴대폰의 기능이 다양화 되면서 휴대폰 자체에 집적된 IT 기술은 복합적으로 발생되며 그에 따른 제품단가도 상승하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고단가의 휴대폰의 외장을 보호하거나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더하기 위해 최근에는 휴대폰의 외장케이스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고 시판되고 있다.
다만, 휴대폰의 외장케이스는 휴대폰의 외장보호와 심미감을 더해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휴대폰의 기본 기능인 통화시 외장케이스를 열고 통화를 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상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외장케이스에 카메라가 위치하는 부분이나 스피커가 위치하는 부분 그리고 측면 실행버튼이 위치하는 부분을 절개하여 외부로 노출시킨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으며, 나아가 외장케이스 자체에 PCB 기판을 내장하고 외장케이스 자체에 실행버튼을 장착하여 외장케이스 해제없이 기본적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외장케이스에 절개부를 갖는 제품들은 카메라 동작시 또는 디스플레이 부분의 모니터링 같은 기초적인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을 뿐 휴대폰의 기본기능인 통화시에는 외장케이스를 해제해야 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고, PCB를 내장한 외장케이스는 외장케이스 자체의 단가가 높아져 상용성이 낮아 문제가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휴대폰은 외장케이스의 외부에서 스위치에 의한 터치기능이 부여된 제품들은 전무한 상태에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 휴대폰에 있어서 외장케이스 외부에서 터치명령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는, 휴대폰 외부의 일면 이상을 케이싱하는 외장케이스이며, 상기 휴대폰은 터치스크린 휴대폰이고,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휴대폰의 스피커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의 통화 터치패드부와 종료 터치패드부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가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는 상기 외장케이스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탄성적으로 상하 동작되며, 상기 통화 터치패드부와 종료 터치패드부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는 금속, 도전설재질 또는 비금속재질에 니켈 또는 크롬으로 도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방식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technology)인 것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있어 적합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휴대폰에 있어서 외장케이스 외부에서 터치명령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터치스크린은 유리와 같은 기판위에 저항성분을 코팅하고 그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덮은 형태의 압력식 저항막 방식(Registive overlay), 열처리 된 강화 유리 양면에 투명한 특수전도성 금속을 코팅하여 제조하는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수광소자인 포토트랜지스터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옵토 매트릭스 프레임을 만들고 전면커버 주위에 장착하는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네모서리에 늘어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장력측정센서를 부착하는 적분식 장력측정 방식(Integral Strain Guage), 음파를 발사하는 트랜스미터를 유리의 한쪽 모서리에 부착하고 일정한 간역으로 음파를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부착하며 트랜스미터의 반대쪽에는 소리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부착하는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surface Acoustic Wave),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압력에 민감한 수정 발진자를 화면의 모서리에 부착한 형태의 피에조 효과 방식(piezo Electric)이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방식 중 저항막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이 휴대폰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이용되는 추세이며,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 휴대폰은 정전용량 방식에 한정하여 그 구성이 완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는 내부에 휴대폰(110)을 감싸는 형태의 본체(120)와 휴대폰을 안착 고정시키며 본체(120)의 배면부(120c)에 연결되어 형성된 안착부(12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20)는 측면부(120a), 전면부(120b) 및 배면부(120c)로 이루어지며, 전면부(120a)에는 상대방의 통화음성을 들을 수 있는 스피커(110a)와 대응되는 위치의 개구부(150)가 형성되며, 휴대폰(110)의 통화 터치패드부(도 2의 161)와 종료 터치패드부(도 2의 162)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화버튼부(130) 및 종료버튼부(140)가 형성된다.
본체(120)는 가죽 소재, 실리콘, 우레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착부(120d)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외장케이스(120)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며, 외장케이스의 구조는 도시된 것 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를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택트스위치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면(160)에는 터치동작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부인 통화 터치패드부(161)와 터치동작에 의해 통화후 종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부인 종료 터치패드부(162)가 위치된다.
통화버튼부(130)와 종료버튼부(140)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종료버튼부(14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종료 터치패드부(162) 위로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종료버튼부(140)가 지지부(140a) 및 가이드부(140b)를 매개로 탄성 누름 및 복귀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지지부(140a)는 본체(120)의 전면부(120b)를 매개로 장착된다.
통화버튼부(130) 및 종료버튼부(14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재질이거나 금속 도금된 상태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성형품에 니켈이나 크롬 도금시킨 것일 수 있으며, 통화 터치패드부(161)와 종료 터치패드부(162)와 터치되는 면만을 도금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장케이스는 특히 가죽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2장의 가죽이 접착된 형태(121)를 가지므로, 지지부(130a, 140a)는 외겹의 가죽(121a)과 내겹의 가죽(121b)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지지부(130a, 140a)와 통화버튼부(130) 및 종료버튼부(140)의 연결구조는 다양하게 제조가 가능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외장케이스가 씌워진 상태에서 통화버튼부(130) 또는 종료버튼부(140)를 누르면 통화버튼부(130) 또는 종료버튼부(140)의 하면의 금속면이 휴대폰의 통화 터치패드부(161)와 종료 터치패드부(162)와 접촉하게 되며 이는 곧 통화 터치패드 부(161)와 종료 터치패드부(162)의 위치에서 저항값 내지 정전용량의 변화가 있게 되어 휴대폰의 제어부에서 이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명령을 전달하여 통화 및 통화종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를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Claims (4)

  1. 휴대폰 외부의 일면 이상을 케이싱하는 외장케이스이며, 상기 휴대폰은 터치스크린 휴대폰이고,
    상기 외장케이스의 전면부에는 상기 휴대폰의 스피커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휴대폰의 통화 터치패드부와 종료 터치패드부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가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는 상기 외장케이스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탄성적으로 상하 동작되며, 상기 통화 터치패드부와 종료 터치패드부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버튼부 및 종료버튼부는 금속, 도전성재질 또는 비금속재질에 니켈 또는 크롬 도금으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터치스크린 방식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technology)인,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KR20090061532A 2009-07-07 2009-07-07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KR10110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1532A KR101106125B1 (ko) 2009-07-07 2009-07-07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1532A KR101106125B1 (ko) 2009-07-07 2009-07-07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662A true KR20090116662A (ko) 2009-11-11
KR101106125B1 KR101106125B1 (ko) 2012-01-20

Family

ID=4160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61532A KR101106125B1 (ko) 2009-07-07 2009-07-07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1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33Y1 (ko) * 2010-05-27 2010-10-18 손정호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272401B1 (ko) * 2011-10-21 2013-06-0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스크린용 보조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기기
KR200473244Y1 (ko) * 2012-07-11 2014-06-20 손정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0220B (zh) * 2012-12-18 2015-05-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触摸屏手机保护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425B1 (ko) * 2002-04-15 2004-10-12 학교법인 한양학원 드릴 혹은 해머드릴 작업용 집진 봉투
KR200381944Y1 (ko) 2005-01-14 2005-04-15 (주)중앙티앤씨 휴대전화 본체용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33Y1 (ko) * 2010-05-27 2010-10-18 손정호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272401B1 (ko) * 2011-10-21 2013-06-0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스크린용 보조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기기
KR200473244Y1 (ko) * 2012-07-11 2014-06-20 손정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125B1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910B2 (en) Ke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866660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concave displays
US9178970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convex displays
US20120250273A1 (en) Butt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106125B1 (ko) 터치스크린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CN104900439B (zh) 一种按键装置及具有该按键装置的终端
US20100090977A1 (en) Touch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2480656B (zh) 电子设备
US20200097085A1 (en) Display device and haptic feedback display method thereof
JP2013205551A (ja) 透光性パネル取付構造及び携帯型電子機器
CN204707111U (zh) 一种按键装置及具有该按键装置的终端
KR102355318B1 (ko) 가요성 재료용 장착 웨지
US20120256827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71166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20090011500U (ko) 휴대폰용 외장케이스
JP5994641B2 (ja) 携帯型電子機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の製造方法
KR100774611B1 (ko) 통신기기용 일체형 금속 전면커버
KR101460321B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JP2015186179A (ja) 電子機器
KR20090130775A (ko) 터치패널장치
JP2012181587A (ja) 情報処理装置
KR200467722Y1 (ko) 터치가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217589B1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 터치 패널
JPWO2016051721A1 (ja) タッチセンサおよび電子機器
JP5066129B2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