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656A - 고정구 - Google Patents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656A
KR20090116656A KR1020090039867A KR20090039867A KR20090116656A KR 20090116656 A KR20090116656 A KR 20090116656A KR 1020090039867 A KR1020090039867 A KR 1020090039867A KR 20090039867 A KR20090039867 A KR 20090039867A KR 20090116656 A KR20090116656 A KR 20090116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engaging
fastener
elastic
elastic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 다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9011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과제) 머리부와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삽입력(압입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지기둥과 머리부와의 연결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피부착부재(51)의 걸림구멍(52) 내로 압입되어 피부착부재(51)의 일측면 측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21)와 피부착부재(51)의 타측면에 맞닿는 기부(11)에 의해서 피부착부재(51)를 협지하는 고정구(1)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21)를,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며, 축방향의 도중의 외주에 걸림구멍(52)의 지름을 넘는 크기의 융기부(24)를 가지고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한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와, 최외측을 연결한 가상축의 지름이 걸림구멍(52)의 지름 미만인 지지기둥(25)으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기둥(25)의 선단에, 걸어맞춤부(21)를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할 때에 걸림구멍(52)의 중심과 걸어맞춤부(21)의 중심이 어긋나 있는 경우, 걸림구멍(52)의 가장자리에 맞닿는 머리부(31)를 형성하고, 이 머리부(31)와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고정구{FASTENER}
본 발명은 자동차나 전기기기의 내부에 부착되는 부품류(부착부재)를 보디나 기기 본체 등의 패널(피부착부재)에 고정하거나 혹은 패널(피부착부재)에 다른 패널(부착부재)을 고정할 경우에 사용하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정구는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의 일측면(하면) 측에 연이어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걸어맞춤부의 선단에 연이어 형성된 머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부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기부에 연이어 형성되며, 축방향의 도중의 외주에 피부착부재의 걸림구멍의 지름을 넘는 크기의 융기부를 가지며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한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와, 최외측을 연결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가상축(假想軸)의 지름이 피부착부재의 걸림구멍의 지름 미만인 지지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머리부는 하측으로 뾰족한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뿔형상의 상측(상면)에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 및 지지기둥이 연결되어 있다(특허문헌 1, 2, 3 참조).
상기 고정구는 패널(피부착부재)에 형성된 걸림구멍 내로 머리부를 가이드로 하여 걸어맞춤부(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를 하단측부터 압입하면,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가 융기부를 통해서 걸림구멍의 가장자리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가 축소되기(좁혀지기) 때문에, 기부가 패널의 타측면(표면)에 맞닿는(누름접촉되는) 상태까지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걸어맞춤부)를 걸림구멍 내로 압입할 수 있다.
그리고, 기부가 패널의 타측면(표면)에 맞닿는 상태까지 탄성 걸어맞춤다리부를 걸림구멍 내로 압입하면,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는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확대되려고(벌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각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에 형성된 융기부의 상단부분이 패널의 일측면(이면) 또는 걸림구멍의 일측면(이면) 측의 가장자리에 누름접촉하게 되며, 이로써 기부와 복수의 융기부에 의해서 패널을 협지(挾持)하기 때문에 고정구를 패널에 부착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2001-182725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 2001-355619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공개특허 2002-155915호 공보
종래의 고정구에는 패널의 걸림구멍의 중심에 걸어맞춤부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머리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머리부가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 및 지지기둥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피부착부재)의 걸림구멍과 이 패널에 부착되는 패널(부착부재)의 부착구멍과의 사이에 피치오차가 있으면, 머리부가 걸림구멍의 피치오차에 대응하여 변위할 수 없으므로 삽입력(압입력)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머리부의 걸림구멍 내로의 삽입력이 소정값(머리부와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 및 지지기둥과의 연결력) 이상이 되면, 머리부와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 또는 지지기둥과의 연결부분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머리부와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걸림구멍의 피치오차나 버(burr)가 존재하더라도 탄성 걸어맞춤다리부나 지지기둥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삽입력(압입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공극을 형성함에 의해서 길이 치수가 단축된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가요성을 조정함으로써 삽입력의 증가를 저지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융기부와 머리부의 선단과의 거리를 각각 다르게 하여 탄성 걸어맞춤다리부가 순차적으로 변형되게 함으로써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내용이다.
(1)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에 연이어 형성된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피부착부재의 걸림구멍 내로 압입되어 상기 피부착부재의 일측면 측에 걸어맞춰지는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피부착부재의 타측면에 맞닿는 상기 기부에 의해서 상기 피부착부재를 협지(挾持)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를,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며, 축방향의 도중의 외주에 상기 걸림구멍의 지름을 넘는 크기의 융기부를 가지며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한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와, 최외측을 연결한 가상축(假想軸)의 지름이 상기 걸림구멍의 지름 미만인 지지기둥으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기둥의 선단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상기 걸림구멍 내로 압입할 때에 상기 걸림구멍의 중심과 상기 걸어맞춤부의 중심이 어긋나 있는 경우, 상기 걸림구멍의 가장자리에 맞닿는 머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머리부와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에 기재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를 상기 지지기둥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상기 머리부 측의 선단을 상기 지지기둥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를 지지기둥에서 연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상기 (4)에 기재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휨량을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융기부는 상기 머리부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에서 머리부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상기 (1) 또는 상기 (2)에 기재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융기부는, 상기 융기부의 단차부에서 상기 머리부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까지의 거리가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8) 상기 (6)에 기재된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에서 상기 머리부의 선단까지의 거리는 걸어맞춤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나선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기둥의 선단에, 걸어맞춤부를 피부착부재의 걸림구멍 내로 압입할 때에 걸림구멍의 중심과 걸어맞춤부의 중심이 어긋나 있는 경우, 걸림구멍의 가장자리에 맞닿는 머리부를 형성하고, 이 머리부와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탄성 걸어맞춤다리부나 지지기둥이 파손되는 일이 없으며, 머리부 및 걸어맞춤부의 걸림구멍 내로의 삽입력(압입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머리부 및 걸어맞춤부의 걸림구멍 내로의 삽입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지지기둥과 머리부와의 연결부분에 필요 이상의 응력(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지지기둥과 머리부와의 연결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머리부 측의 선단을 지지기둥에 연결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축소(좁혀지는) 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걸림구멍 내로의 삽입력을 한층 더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머리부와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함에 의해서 길이 치수가 단축된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가요성을 조정함으로써 삽입력의 증가를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구의 선단에 머리부를 형성하되 머리부와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와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걸림구멍의 피치오차나 버가 존재하더라도 탄성 걸어맞춤다리부나 지지기둥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삽입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공극을 형성함에 의해서 길이 치수가 단축된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의 가요성을 조정함으로써 삽입력의 증가를 저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고정구의 정 면도, 도 3은 상기 고정구의 배면도, 도 4는 상기 고정구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고정구의 저면도, 도 6은 상기 고정구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도 2의 C-C선 절단 단면도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고정구의 좌측면도는 도 6의 우측면도와 좌우 대칭이 되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 8에는 탄성 걸어맞춤다리부에 있어서의 탄성 다리부와 융기부를 알기 쉽게하기 위해서 양자를 구획하는 점선을 그려 넣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고정구(1)는 기부(11)와, 이 기부(11)의 하면에 이 기부(11)와 직교하도록 연이어 형성된 걸어맞춤부(21)와, 이 걸어맞춤부(21)를 구성하는 지지기둥(25)의 선단(하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머리부(3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부(11)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외경을 가진 원형의 상측 턱부(12)와; 이 상측 턱부(12)의 하측의 중심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측 턱부(12)의 외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4개의 오목부(13a)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목부(13)(도 9도 참조)와; 이 목부(13)의 하단 외주에 이 목부(13)를 중심으로 하여 연이어 형성되며, 상측 턱부(12)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진 원형을 이루며, 내주(내측)에서 외주(외측)로 향해서 상측 턱부(12) 측으로 상승한 후에 하강하는 하측 턱부(14)(도 7도 참조)와; 이 하측 턱부(14)의 하측에 이 하측 턱부(14)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연이어 형성되며, 하측 턱부(14)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진 원형을 이루며, 내주(내측)에서 외주(외측)로 향해서 하강하는 원뿔면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밀착부(15)(도 7도 참조);로 구성되어 있 다.
상기 걸어맞춤부(21)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턱부(14){기부(11)}의 하측에 이 하측 턱부(14)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예를 들면, 4개) 연이어 형성되며,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한 수평단면형상이 부채꼴형상을 이루는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와; 하측 턱부(14){기부(11)}의 하측의 중심에 연이어 형성되며, 중심기둥(26)에서 방사상으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서 연장되는 4개의 돌출편(27)이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각 돌출편(27)의 최외측{최외연(最外緣)}을 연결한 가상축의 지름이 후술하는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의 지름에 못 미치고, 그 수평단면형상이 십자형상인 지지기둥(2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턱부(14){기부(11)}의 하측에 이 하측 턱부(14)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을 두고서 연이어 형성되며,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하고 그 수평단면형상이 부채꼴형상을 이루는 탄성 다리부(23)와; 이 탄성 다리부(23)의 축방향의 도중의 외주에 연이어 형성되며(도 6도 참조),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의 지름을 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한 융기부(24)(도 5도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의 머리부(31) 측의 선단(하단)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편(27){지지기둥(2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31)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으로 뾰족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며, 원뿔형상의 상측(상면)에 지지기둥(25)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기둥(25)의 하단에 머리부(31)가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와 머리부(31)와의 사이에, 예를 들면 지지기둥(25)에 대해서 머리부(31)가 변위하더라도 이 머리부(31)가 각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에 충돌하지 않는 공극(28)(도 2, 도 3 및 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고정구(1)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피부착부재로서의 패널(51)에는 고정구(1)를 걸어맞추기 위한 걸림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구멍(52)의 지름은 4개의 탄성 다리부(23)의 최외측(최외연)이 형성하는 지름, 4개의 돌출편(27)의 최외측(최외연)이 형성하는 지름, 및 머리부(31)의 최대 지름보다도 약간 큰 지름이고, 4개의 융기부(24)의 최외측(최외연)이 형성하는 지름보다도 약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부착부재로서의 부착패널(61)에는 고정구(1)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으로서의 열쇠형상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열쇠형상구멍(62)은, 상측 턱부(12)의 지름보다는 크나 하측 턱부(14)의 지름보다는 작은 지름의 원형을 이루는 관통구멍(63)과, 이 관통구멍(63)에 연이어 형성되며 목부(13)의 지름보다는 약간 크나 상측 턱부(12)의 지름보다는 작은 지름의 장원형을 이루는 걸어맞춤구멍(6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부착패널(61)을 패널(51)에 고정구(1)를 사용하여 부착할 때, 패널(51) 에 형성된 걸림구멍(52)의 피치와 부착패널(61)에 형성된 열쇠형상구멍(62)의 피치가 어긋나지 않은(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부착패널(61)에 형성된 열쇠형상구멍(62)의 관통구멍(63) 내로 고정구(1)의 상측 턱부(12)를 삽입하여 하측 턱부(14)를 부착패널(61)의 이면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목부(13)를 관통구멍(63) 내에 위치시킨 후, 고정구(1)를 부착패널(61)에 대해서 이동시켜서 목부(13)를 걸어맞춤구멍(64) 내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목부(13)를 걸어맞춤구멍(64)의 내측 가장자리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머리부(31)의 선단을 패널(51) 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머리부(31)를 그 선단측부터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하면, 4개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의 융기부(24)가 걸림구멍(52)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눌려짐으로써, 4개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4개의 탄성 다리부(23) 및 4개의 융기부(24)}가 축소되기(좁혀지기) 때문에, 탄성 밀착부(15)가 패널(51)의 표면에 맞닿는(누름접촉되는) 상태까지 걸어맞춤부(21)를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밀착부(15)가 패널(51)의 표면에 맞닿는 상태까지 걸어맞춤부(21)를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하면, 4개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가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확대되려고(벌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4개의 융기부(24)의 상단부분이 걸림구멍(52)의 이면측 가장자리에 누름접촉되게 되며, 이로써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밀착부(15)의 주연부{기부(11)}와 4개의 융기부(24){걸어맞춤부(21)}에 의해서 패널(51)을 협지하기 때문에 고정구(1)를 패 널(51)에 걸어맞출 수 있다(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패널(61)의 일부를 예를 들면 부착나사로 패널(51)에 고정함으로써, 부착패널(61)을 패널(51)에 부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부착패널(61)을 패널(51)에 고정구(1)를 사용하여 부착할 때,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의 피치와 부착패널(61)에 형성된 열쇠형상구멍(62)의 피치가 어긋나 있는(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부착패널(61)에 형성된 열쇠형상구멍(62)의 관통구멍(63) 내로 고정구(1)의 상측 턱부(12)를 삽입하여 하측 턱부(14)를 부착패널(61)의 이면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목부(13)를 관통구멍(63) 내에 위치시킨 후, 고정구(1)를 부착패널(61)에 대해서 이동시켜서 목부(13)를 걸어맞춤구멍(64) 내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목부(13)를 걸어맞춤구멍(64)의 내측 가장자리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머리부(31)의 선단을 패널(51) 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머리부(31)를 그 선단측부터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하면, 머리부(31)가 하측으로 뾰족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부(31){및 걸어맞춤부(21)}의 중심이 걸림구멍(52)의 중심에 대해서 어긋나 있어도, 머리부(31)의 원뿔면이 걸림구멍(52)의 가장자리에 맞닿음으로써, 머리부(31){및 걸어맞춤부(21)}의 중심이 걸림구멍(52)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머리부(31)가 안내되어 변위한다.
그리고, 4개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의 융기부(24)가 걸림구멍(52)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눌려짐으로써, 4개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4개의 탄성 다리부(23) 및 4개의 융기부(24)}가 축소되기(좁혀지기) 때문에, 탄성 밀착부(15)가 패 널(51)의 표면에 맞닿는(누름접촉되는) 상태까지 걸어맞춤부(21)를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밀착부(15)가 패널(51)의 표면에 맞닿는 상태까지 걸어맞춤부(21)를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하면, 4개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가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확대되려고(벌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4개의 융기부(24)의 상단부분이 걸림구멍(52)의 이면측 가장자리에 누름접촉되게 되며, 이로써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밀착부(15)의 주연부{기부(11)}와 4개의 융기부(24){걸어맞춤부(21)}에 의해서 패널(51)을 협지하기 때문에 고정구(1)를 패널(51)에 걸어맞출 수 있다(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패널(61)의 일부를 예를 들면 부착나사로 패널(51)에 고정함으로써, 부착패널(61)을 패널(51)에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기둥(25)의 선부(하단)에, 걸어맞춤부(21)를 패널(51)(피부착부재)의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할 때에 걸림구멍(52)의 중심과 걸어맞춤부(21)의 중심이 어긋나 있는 경우, 걸림구멍(52)의 가장자리에 맞닿는 머리부(31)를 형성하고, 상기 머리부(31)와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와의 사이에 공극(28)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걸림구멍의 피치오차나 버가 존재하더라도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나 지지기둥(2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머리부(31) 및 걸어맞춤부(21)의 걸림구멍(52) 내로의 삽입력(압입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머리부(31) 및 걸어맞춤부(21)의 걸림구멍(52) 내로의 삽입력을 낮게 억 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지지기둥(25)과 머리부(31)와의 연결부분에 필요 이상의 응력(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지지기둥(25)과 머리부(31)와의 연결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의 머리부(31) 측의 선단(하단)을 지지기둥(25)에 연결하였기 때문에,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의 축소(좁혀지는) 범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의 걸림구멍(52) 내로의 삽입력을 한층 더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 2 실시예에서는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와 돌출편(27)을 4개로 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와 돌출편(27)은 2개 이상이라면 몇 개라도 좋으며, 8개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심기둥(26)에서 돌출편(27)이 방사상으로 연이어 형성된 지지기둥(25)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지지기둥은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1장의 돌출편이어도 된다.
《제 2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고정구의 사시도, 도 12는 상기 고정구의 정면도, 도 13은 상기 고정구의 저면도, 도 14는 상기 고정구의 우측면도, 도 15는 상기 고정구의 종단면도, 도 16은 도 12의 D-D선 단면도, 도 17은 도 13의 E-E선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고정구(100)는 기부(11)와, 이 기부(11)의 하면에 이 기부(11)와 직교하도록 연이어 형성된 걸어맞춤부(21)와, 이 걸어맞춤부(21)의 선단(하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머리부(3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부(11)는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외경을 가진 원형의 상측 턱부(12)와; 이 상측 턱부(12)의 하측의 중심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측 턱부(12)의 외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4개의 오목부(13a)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목부(13)와; 이 목부(13)의 하단 외주에 이 목부(13)를 중심으로 하여 연이어 형성되며, 상측 턱부(12)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진 원형을 이루며, 내주(내측)에서 외주(외측)로 향해서 상측 턱부(12) 측으로 상승한 후에 하강하는 하측 턱부(14)와; 이 하측 턱부(14)의 하측에 이 하측 턱부(14)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연이어 형성되며, 하측 턱부(14)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진 원형을 이루며, 내주(내측)에서 외주(외측)로 향해서 하강하는 원뿔면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밀착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21)는 도 11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턱부(14){기부(11)}의 하면의 중심에 연이어 형성되며, 중심기둥(67)에서 방사상으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서 연장되는 4개의 돌출편(65)(65a,65b)과; 이 돌출편(65)에 연이어 형성되며,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한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와; 각 돌출편(65)의 최외측(최외연)을 연결한 가상축의 지름이 후술하는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의 지름에 못 미치고, 그 수평단면형상이 십자형상인 지지기둥(6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편(65a)은 탄성 밀착부(15)의 하단에서 머리부(31)까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편(65b)은 대략 중앙에서 분단되어 있다.
그리고, 각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는 도 11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턱부(14){기부(11)}의 하측에 이 하측 턱부(14)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을 두고서 형성되며,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의 지름을 넘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하고 그 수평단면형상이 부채꼴형상을 이루는 융기부(68)와; 이 융기부(68)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돌출편(65)(65a,65b)에 접속되도록 연이어 형성되며, 융기부(68)를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다리부(70);로 구성되어 있다. 또,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와 대향하는 중심기둥(67) 측에는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의 축소방향으로의 변형량(휨량)을 규제하는 규제부재(스토퍼)(7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가 필요 이상으로 휘어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31)는 도 11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으로 뾰족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며, 원뿔형상의 상측(상면)에 지지기둥(69)이 연결되어 있다.
또,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와 머리부(31)와의 사이에 공극(2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기둥(69)에 대해서 머리부(31)가 변위하더라도 이 머리부(31)가 각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와 직접 충돌하는 일이 없으므로,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나 지지기둥(69)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가 돌출편(65)(65a,65b)에서 연장된 탄성 다리부(70)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의 길이 치수가 공극(28)의 존재에 의해서 단축되더라도 가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돌출 편(65b)을 길이방향에서 2분할하였기 때문에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의 가요성을 일층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패널(61)을 패널(51)에 고정구(100)를 사용하여 부착할 때,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의 피치와 부착패널(61)에 형성된 열쇠형상구멍(62)의 피치가 어긋나 있는(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부착패널(61)에 형성된 열쇠형상구멍(62)의 관통구멍(63) 내로 고정구(100)의 상측 턱부(12)를 삽입하여 하측 턱부(14)를 부착패널(61)의 이면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목부(13)를 관통구멍(63) 내에 위치시킨 후, 고정구(100)를 부착패널(61)에 대해서 이동시켜서 목부(13)를 걸어맞춤구멍(64) 내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목부(13)를 걸어맞춤구멍(64)의 내측 가장자리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머리부(31)의 선단을 패널(51) 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머리부(31)를 그 선단측부터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한다. 그러면, 머리부(31)가 하측으로 뾰족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머리부(31){및 걸어맞춤부(21)}의 중심이 걸림구멍(52)의 중심에 대해서 어긋나 있어도, 머리부(31)의 원뿔면이 걸림구멍(52)의 가장자리에 맞닿음으로써, 머리부(31){및 걸어맞춤부(21)}의 중심이 걸림구멍(52)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머리부(31)가 안내되어 변위한다.
그리고, 4개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의 융기부(68)가 걸림구멍(52)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눌려짐으로써, 4개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4개의 탄성 다리부(70) 및 4개의 융기부(68)}가 축소되기(좁혀지기) 때문에, 탄성 밀착부(15)가 패 널(51)의 표면에 맞닿는(누름접촉하는) 상태까지 걸어맞춤부(21)를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밀착부(15)가 패널(51)의 표면에 맞닿는 상태까지 걸어맞춤부(21)를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하면, 4개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가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확대되려고(벌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4개의 융기부(68)의 상단부분이 걸림구멍(52)의 이면측 가장자리에 누름접촉되게 되며, 이로써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밀착부(15)의 주연부{기부(11)}와 4개의 융기부(68){걸어맞춤부(21)}에 의해서 패널(51)을 협지하기 때문에 고정구(100)를 패널(51)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각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가 돌출편(65)(65a,65b)에서 연장된 탄성 다리부(70)에 의해서 양단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의 길이 치수가 공극(28)의 존재에 의해서 단축되더라도 가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돌출편(65b)을 길이방향에서 2분할하였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지지되는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의 가요성을 일층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와 대향하는 중심기둥(67) 측에는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의 축소방향으로의 변형량을 규제하는 규제부재(71)를 각각 돌출형성하였기 때문에,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가 필요 이상으로 휘어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제 2 실시예에서는 탄성 밀착부(15)의 하단에서 머리부(31)까지 연속해서 형성된 돌출편(65a)과 대략 중앙에서 2분할되어 있는 돌출편(65b)을 교호로 배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모두 2분할된 돌출편으로 하여도 된다. 또, 연속해서 형성된 돌출편의 일부에 그 두께를 얇게 하는 박육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제 3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고정구의 사시도, 도 20은 상기 고정구의 정면도, 도 21은 상기 고정구의 저면도, 도 22는 상기 고정구의 우측면의 절반 단면도, 도 23은 도 21의 H-H선 단면도, 도 24는 도 20의 G-G선 단면도이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고정구(200)는 기부(11)와, 이 기부(11)의 하면에 이 기부(11)와 직교하도록 연이어 형성된 걸어맞춤부(21)와, 이 걸어맞춤부(21)의 선단(하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머리부(20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부(11)는 도 19 내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외경을 가진 원형의 상측 턱부(12)와; 이 상측 턱부(12)의 하측의 중심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측 턱부(12)의 외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며,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4개의 오목부(13a)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목부(13)와; 이 목부(13)의 하단 외주에 이 목부(13)를 중심으로 하여 연이어 형성되며, 상측 턱부(12)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진 원형을 이루며, 내주(내측)에서 외주(외측)로 향해서 상측 턱부(12) 측으로 상승한 후에 하강하는 하측 턱부(14)와; 이 하측 턱부(14)의 하측에 이 하측 턱부(14)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연이어 형성되며, 하측 턱부(14)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진 원형을 이루며, 내주(내측)에서 외주(외측)로 향해서 하강하는 원뿔면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밀착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21)는 도 19 내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턱부(14){기부(11)}의 하면의 중심에 연이어 형성되며, 중심기둥(67)에서 방사상으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서 연장되는 4개의 돌출편(65)과; 이 돌출편(65)에서 연이어 형성되며,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한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202a∼202d)와; 각 돌출편(65)의 최외측(최외연)을 연결한 가상축의 지름이 후술하는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의 지름에 못 미치고, 그 수평단면형상이 십자형상인 지지기둥(6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편(65)은 탄성 밀착부(15)의 하단에서 머리부(201)까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머리부(201)와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의 사이에 공극(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202a∼202d)와 탄성 밀착부(15)와의 사이에는 공극(204)이 형성됨과 아울러 융기부(203)(203a∼203d)에 있어서의 탄성 밀착부(15)와 대향하는 부위의 근방에 단차부(205)가 형성되어 있으며, 패널(51)의 걸림구멍(52)에 삽입됨에 따라서 일단 축소되었던 4개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202a∼202d)가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확장되려고 할 때에, 단차부(205)가 걸림구멍(52)의 이면측 가장자리에 누름접촉함으로써 패널(51)을 협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202a∼202d)는 도 19 내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턱부(14){기부(11)}의 하측에 이 하측 턱부(14)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을 두고서 세워지게 형성되며, 최대 지름 이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의 지름을 넘는 크기이고,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하고 그 수평단면형상이 부채꼴형상을 이루는 융기부(203)(203a∼203d)를 가지고 있다.
또,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a)의 융기부(203a)의 상기 머리부(201)의 선단(201a)에서부터의 높이, 즉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a)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a)에서 머리부(201)의 선단(201a)까지의 거리(La)와,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b)의 융기부(203b)의 상기 머리부(201)의 선단(201a)에서부터의 높이, 즉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b)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b)에서 머리부(201)의 선단(201a)까지의 거리(Lb)와,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c)의 융기부(203c)의 상기 머리부(201)의 선단(201a)에서부터의 높이, 즉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c)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c)에서 머리부(201)의 선단(201a)까지의 거리(Lc)와,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d)의 융기부(203d)의 상기 머리부(201)의 선단(201a)에서부터의 높이, 즉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d)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d)에서 머리부(201)의 선단(201a)까지의 거리(Ld)가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La〈Lb〈Lc〈Ld와 같이 구성한 경우,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에 삽입할 때에 융기부(203)(203a∼203d)의 선단이 원주방향을 따라서 차례로, 즉 나선형상으로 맞닿기 때문에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융기부(203a)의 단차부(205)에서 상기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a)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a)까지의 거리(Xa)와, 융기부(203b)의 단차 부(205)에서 상기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b)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b)까지의 거리(Xb)와, 융기부(203c)의 단차부(205)에서 상기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c)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c)까지의 거리(Xc)와, 융기부(203d)의 단차부(205)에서 상기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d)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d)까지의 거리(Xd)가 각각 다르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Xa〉Xb〉Xc〉Xd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에 삽입할 때에 융기부(203)(203a∼203d)의 선단이 걸림구멍(52)의 가장자리에 맞닿고서 단차부(205)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다르므로,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a∼202d)의 융기부(203a∼203d)의 상기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a∼hd)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a∼kd)에서 머리부(201)의 선단(201a)까지의 거리(La∼Ld)를 La〈Lb〈Lc〈Ld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La=Lc〈Lb=Ld 또는 La=Lc〉Lb=Ld와 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패널(51)에 형성된 걸림구멍(52)에 삽입할 때에 융기부(203)의 선단이 걸림구멍(52)의 가장자리에 2개소씩 교호로 맞닿기 때문에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거하여 여러 가지의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고정구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고정구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고정구의 배면도
도 4는 상기 고정구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고정구의 저면도
도 6은 상기 고정구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도 2의 C-C선 절단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고정구의 사시도
도 12는 상기 고정구의 정면도
도 13은 상기 고정구의 저면도
도 14는 상기 고정구의 우측면도
도 15는 상기 고정구의 종단면도
도 16은 도 12의 D-D선 단면도
도 17은 도 13의 E-E선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고정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고정구의 사시도
도 20은 상기 고정구의 정면도
도 21은 상기 고정구의 저면도
도 22는 상기 고정구의 우측면의 절반 단면도
도 23은 도 21의 H-H선 단면도
도 24는 도 20의 G-G선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200 - 고정구 11 - 기부
12 - 상측 턱부 13 - 목부
13a - 오목부 14 - 하측 턱부
15 - 탄성 밀착부 21 - 걸어맞춤부
22 - 탄성 걸어맞춤다리부 23 - 탄성 다리부
24 - 융기부 25 - 지지기둥
26 - 중심기둥 27 - 돌출편
28 - 공극 31 - 머리부
51 - 패널(피부착부재) 52 - 걸림구멍
61 - 부착패널(부착부재) 62 - 열쇠형상구멍(부착구멍)
63 - 관통구멍 64 - 걸어맞춤구멍
65a,65b - 돌출편 66 - 탄성 걸어맞춤다리부
67 - 중심기둥 68 - 융기부
69 - 지지기둥 70 - 탄성 다리부
71 - 규제부재 201 - 머리부
202 - 탄성 걸어맞춤다리부 203 - 융기부
204 - 공극 205 - 단차부

Claims (8)

  1. 기부(基部)(11)와 상기 기부(11)에 연이어 형성된 걸어맞춤부(21)를 가지며, 피부착부재(51)의 걸림구멍(52) 내로 압입되어 상기 피부착부재(51)의 일측면 측에 걸어맞춰지는 상기 걸어맞춤부(21)와 상기 피부착부재(51)의 타측면에 맞닿는 상기 기부(11)에 의해서 상기 피부착부재(51)를 협지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21)를,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며, 축방향의 도중의 외주에 상기 걸림구멍(52)의 지름을 넘는 크기의 융기부(24,68,203a∼203d)를 가지고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축소 가능한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66,202a∼202d)와, 최외측을 연결한 가상축의 지름이 상기 걸림구멍(52)의 지름 미만인 지지기둥(25,69)으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기둥(25,69)의 선단에, 상기 걸어맞춤부(21)를 상기 걸림구멍(52) 내로 압입할 때에 상기 걸림구멍(52)의 중심과 상기 걸어맞춤부(21)의 중심이 어긋나 있는 경우, 상기 걸림구멍(52)의 가장자리에 맞닿는 머리부(31,201)를 형성하고,
    상기 머리부(31,201)와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66,202a∼202d)의 사이에 공극(2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31.201)를 상기 지지기둥(25,69)에 일체적 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2)의 상기 머리부(31) 측의 선단을 상기 지지기둥(25)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202)를 지지기둥(69)에서 연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66)의 휨량을 규제하는 규제부재(7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a∼202d)의 융기부(203a∼203d)는 상기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a∼hd)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a∼Kd)에서 머리부(201)의 선단(201a)까지의 거리(La∼Ld)가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다리부(202a∼202d)의 융기부(203a∼203d)는, 상기 융기부(203a∼203d)의 단차부(205)에서 상기 머리부(201)의 후단의 반지름방향의 길이(ha∼hd)를 넘는 위치에 있는 부위(Ka∼Kd)까지의 거리(Xa∼Xd)가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203a∼203d)에서 상기 머리부(201)의 선단(201a)까지의 거리(La∼Ld)는 걸어맞춤부(21)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나선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KR1020090039867A 2008-05-07 2009-05-07 고정구 KR200901166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21007 2008-05-07
JP2008121007 2008-05-07
JP2009073428A JP5172758B2 (ja) 2008-05-07 2009-03-25 留め具
JPJP-P-2009-073428 2009-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656A true KR20090116656A (ko) 2009-11-11

Family

ID=4154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867A KR20090116656A (ko) 2008-05-07 2009-05-07 고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5172758B2 (ko)
KR (1) KR200901166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415A (ko) * 2019-11-21 2021-05-31 정지홍 파이프 고정장치
CN114901965A (zh) * 2020-01-07 2022-08-12 山内株式会社 减振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6519A (ja) * 2011-11-02 2013-05-20 Nifco Inc 留め具
JP5973259B2 (ja) * 2012-07-05 2016-08-23 株式会社ニフコ 留め具
JP2014052000A (ja) * 2012-09-05 2014-03-20 Nifco Inc クリップ
US9939003B2 (en) 2015-06-25 2018-04-10 Nifco America Corp. Clip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7985U (ko) * 1975-03-19 1976-09-24
JPH0315847Y2 (ko) * 1986-03-31 1991-04-05
JPH0231604Y2 (ko) * 1986-12-25 1990-08-27
JPH0533770Y2 (ko) * 1988-02-12 1993-08-27
US5468108A (en) * 1994-09-12 1995-11-21 Illinois Tool Works Inc. Spiral flex tree fastener
US5897278A (en) * 1998-02-05 1999-04-27 Southco, Inc. Turn fastener
US20020131841A1 (en) * 2001-03-14 2002-09-19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Self-tapping fastner and method for attaching weatherseals
JP4299471B2 (ja) * 2001-03-19 2009-07-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樹脂クリップ
JP2004100901A (ja) * 2002-09-12 2004-04-02 Nifco Inc 留め具
JP4292047B2 (ja) * 2003-09-30 2009-07-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JP2005188623A (ja) * 2003-12-25 2005-07-14 Daiwa Kasei Ind Co Ltd クリップ
JP2006112546A (ja) * 2004-10-15 2006-04-27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クリップ
JP4451341B2 (ja) * 2005-03-28 2010-04-1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JP2006292118A (ja) * 2005-04-13 2006-10-26 Daiwa Kasei Ind Co Ltd アンカー
US7481474B2 (en) * 2006-03-08 2009-01-27 Newfrey Llc Trim re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415A (ko) * 2019-11-21 2021-05-31 정지홍 파이프 고정장치
CN114901965A (zh) * 2020-01-07 2022-08-12 山内株式会社 减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72758B2 (ja) 2013-03-27
JP2010175081A (ja) 2010-08-12
JP2009293798A (ja) 2009-12-17
JP5048101B2 (ja)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6656A (ko) 고정구
US8495802B2 (en) Clip
JP4446794B2 (ja) 部材の結合構造
US9664225B2 (en) Fastening means for pre-assembly of a pin-shaped joining means in a through-hole of a structural element
US8328488B2 (en) Stud retainer apparatus
US8393058B2 (en) Clip
US11149768B2 (en) Fastener assembly having a component-isolating grommet
US20040020016A1 (en) Two-piece clip
US8834087B2 (en) Fastener clip assembly
US8434980B2 (en) Expansible anchor assembly and its fastening adaptor
CN105339685A (zh) 推入式紧固件
US11125261B2 (en) Rivet fastener assemblies
CN104632807A (zh) 夹具
US10801536B2 (en) Deformable body, and system comprising a deformable body and an anti-creepage ring
KR100903717B1 (ko) 제어 장치
JP2004245419A (ja) グロメット
EP4218661A1 (en) Implant assembly
CN108626159A (zh) 风扇底盘组件、风扇及其装配方法
CN213298553U (zh) 一种地线固定螺钉
KR20170010436A (ko) 고정안정성 증대용 결합면을 갖는 고정구
EP1447023A1 (en) Fitting arrangement for the attachment of an elongate member to a planar surface
CN220301325U (zh) 预制构件对接用连接件
US20210246984A1 (en) Sealing device
KR101761899B1 (ko) 가구용 받침다리
JP2569866Y2 (ja) 可撓電線管用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