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316A - 가스분기관 - Google Patents

가스분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316A
KR20090116316A KR1020080042178A KR20080042178A KR20090116316A KR 20090116316 A KR20090116316 A KR 20090116316A KR 1020080042178 A KR1020080042178 A KR 1020080042178A KR 20080042178 A KR20080042178 A KR 20080042178A KR 20090116316 A KR20090116316 A KR 20090116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as
branch pipe
corrugated
corrug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남
백진호
Original Assignee
백인남
백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남, 백진호 filed Critical 백인남
Priority to KR102008004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6316A/ko
Publication of KR2009011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가스입상관과 이로부터 분기되어 수용가쪽으로 배설되는 분기관을 상호 안정적으로 배관되게 접속하여 사용하는 가스분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밀성과 내구성 및 시공시에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가스입상관에 분기관이 안정되게 밀착 배관되므로 인하여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도 크랙이 발생될 염려가 없도록 함은 물론 각 분기관의 내부 응력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가스분기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기관을 이루는 주름관의 외측면에 자외선차단튜브를 구성하므로 인하여 특히 하절기에 자외선을 차단하여 주름관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주름관이 플렉시블한 기능을 갖게 되므로 가스입상관이 기후 변화에 따른 선팽창계수에 의한 신장 및 하중으로 인하여 처진다거나 늘어나는 현상으로부터 분기관이 배관의 높이차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배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Figure P1020080042178
가스입상관, 연결관, 분기관, 주름관, 커플링너트, 연결소켓너트, 자외선차단튜브

Description

가스분기관{Branch pipe a gas}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가스입상관(gas vertical pipe)과 이로부터 분기되어 수용가쪽으로 배설되는 분기관을 상호 안정적으로 배관되게 접속하여 사용하는 가스분기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기밀성과 내구성 및 시공시에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가스입상관에 분기관이 안정되게 밀착 배관되므로 인하여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도 크랙이 발생될 염려가 없도록 함은 물론 분기관의 내부 응력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가스분기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최근에 취사 및 난방을 위한 연료의 수단으로 도시가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가스는 메인가스탱크 혹은 LNG탱크로부터 메인가스관이 땅속으로 매립된 상태로 배관되고, 이 메인가스관에서 다시 일반 가정이나 아파트 등으로 계속하여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가스입상관(gas vertical pipe)을 분기하는 방법으로 공급되고 있다. 이때, 메인 가스관과 각 가정으로 분기되는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통상 상기 연결부에 분기용 T형관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대략 가스입상관으로 부터 직각방향으로 각 가정이나 건물을 향하는 분기관은 서로 다른 깊이에서 직각되게 분기되므로 그 연결부에 분기용 T형관을 매개체로 가스입상관이 기후 변화에 따른 선팽창계수에 의한 신장 및 하중으로 인하여 처진다거나 늘어나는 현상으로부터 분기관이 배관의 높이차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분기용 T형관은 가스입상관과 분기용 T형관의 연결부에는 안정된 밀착과 기밀유지를 위해 받침판이 부착되고, 상부 가스입상관과 분기용 T형관이 서로 연통되게 가스입상관에 구멍을 천공작업에 의해 트여지게 한 후 마개를 덮고 플랜지로 체결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가스입상관의 직각방향으로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해 분기용 T형관으로 내부가 트여진 연결부가 대략 플랜지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어, 가스입상관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는 상기 구멍과 분기용 T형관의 내부를 거쳐 연결부에 이어진 분기관을 따라 각 가정이나 기타 건물 등으로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리고, 가스입상관으로부터 각 가정으로 분기되는 분기관을 배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분기용 T형관의 길이 만큼 가스입상관을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가스입상관의 상하 끝부분에 분기용 T형관의 상하 끝부분을 용접하여 분기관을 접속하고 또 층고의 높이 만큼 가스입상관을 짤라 분기용 T형관을 용접하여 연결하므로서 용접부위가 많았으며 가스입상관의 절단으로 토막이 많이 나와 재료의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상기한 분기용 T형관의 구조에 의하면, 분기용 T형관과 가스입상관의 안정된 설치를 위해 부착되는 받침판이 호형의 단면을 갖는 관의 일부를 절취한 것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기 받침판의 곡률과 가스입상관의 외경이 일치되지 않으므로 인하여 완전한 밀착성을 기대 할 수 없었고, 또한 상기 받침판과 분기용 T형관의 연결을 위해 주로 용접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받침판은 분기용 T형관의 직경을 감안하여 상부에서부터 하부를 향해 구멍을 뚫은 상태로 분기용 T형관을 근접시키게 되면 상기 받침판의 가장 정상부와 분기용 T형관의 일부는 근접되나 그 직각방향에서는 형상 차이에 의해 심한 틈새가 발생하게 되었으므로, 형상 및 곡선 차이에 의해 형성된 큰 틈새를 용접에 의해 완전하게 기밀 유지한 상태로 연결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리고, 가정하여 받침판에 뚫어지는 조립구멍의 형상괴 분기용 T형관의 외형이 설계에 의해 일치된다 하더라도 연결상태에서 그 이음부는 상기 받침판의 끝부분과 분기용 T형관의 끝부분이 각각 선 접촉을 이룰수 밖에 없으므로, 그 연결상태가 취약하고 선접촉상태에서 이음부의 내외측에 용접을 수행하더라도 틈새가 생길 염려가 있고, 약간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도 쉽게 크랙이 발생되어 가스누출의 염려가 상존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게 되고, 아울러 분기용 T형관으로부터 분기관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연결부의 길이가 매우 짧아 용접부의 부식방지를 위해 코팅처리를 수행한 상태에서 분기관의 용접작업을 수행할 때 그 열에 의해 코팅재료가 용융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될 염려가 있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입상관(10)에 구멍(10a)을 뚫 고, 상기 구멍(10a)에 직각형태로 용접되는 "-"자형 연결관(20)의 일측 끝부분을 상기 구멍(10a)의 외경을 감싸지게 단면형상을 호형면(20b)으로 형성하고, 그 대응측 외경면에 나사탭(20a)을 갖는 구성과;
상기 연결관(20)의 나사탭(20a)에 연결되는 금속재의 주름관(40)이 플렉시블(flexiable)한 기능을 갖는 분기관(30)을 연결하는 구성과;
상기 주름관(40)의 양쪽 끝부분에 걸림턱(40a)(40b)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40a)(40b)의 안쪽으로 걸림턱(50a)(50b)(51a)(51b)이 형성되어 절단부(50c)(51c)를 형성한 와셔(50)(51)를 끼운 구성과;
상기 주름관(40)의 외측면에 자외선차단튜브(90)를 씌우고, 걸림턱(60b)(61b)을 형성한 커플링 너트(60)(61)의 내면에 나사 탭(60a)(61a)을 형성한 구성과;
상기 커플링 너트(60)(61)의 내측으로 예리한 칼날 모양을 이룬 플랜지(80a)(81a)를 구비한 패킹(80)(81)을 게재하여 상기 와셔(50)(51)와 주름관(40)의 걸림턱(50a)((51a)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상기 연결관(20)과 연결소켓너트(70)를 나사식 죄임으로 접속하는 구성;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분기관은 기밀성과 내구성 및 시공시에 작업성이 편리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스입상관에 분기관이 안정되게 밀착 배관되므로 인하여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도 크랙이 발생될 염려가 없으며, 또한 배관후 사용시에 분기관이 플렉시블한 기능을 갖기 때문에 관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고, 누수의 위험성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기용 T형관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용접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됨은 물론 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일부 발췌한 확대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부호 10은 고층 아파트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가스입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가스입상관(10)에는 연결관(20)을 접속하기 위해 구멍(10a)을 뚫고, 상기 구멍(10a)에 직각형태로 용접되는 연결관(20)의 일측 끝부분이 상기 구멍(10a)의 외경을 감싸면서 안착되도록 단면형상을 상기 가스입상관(10)의 외경과 동일하게 호형면(20b)으로 형성하고, 그 대응측 외면에는 나사탭(20a)을 형성하였다.
도면 중 30은 가스입상관(10)으로부터 분기되어 수용가쪽으로 배관되는 분기관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분기관(30)을 이루는 주름관(40)은 금속재로 만들어져 플렉시블(Flexiable)한 기능을 갖도록 하고, 상기 주름관(40)의 양쪽 끝부분에는 걸림턱(40a)(40b)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턱(40a)(40b)의 안쪽에는 상하로 걸림턱(50a)(50b)(51a)(51b)이 형성되어 절단부(50a)(50b)를 구비한 와셔(50)(51)를 끼 워 하측의 걸림턱(50b)(51b)이 상기 주름관(40)에 안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주름관(40)의 양쪽 끝부분에 끼워진 와셔(50)(51)의 걸림턱(50a)(51a) 내측으로 나사탭(60a)(61a)을 형성한 커플링 너트(60)(61)를 끼워 상기 커플링 너트(60)(61)의 나사탭(60a)(61a)에 상기 연결관(20)의 나사탭(20a)과 연결소켓너트(70)의 나사탭(70a)을 나사식 죄임으로 연결한다.
또한, 주름관(40)의 외측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도록 자외선차단튜브(90)로 감싼다.
그리고, 상기 분기관(30)을 이루는 주름관(40)의 걸림턱(40a)(40b) 끝부분에 연결되는 연결관(20)과 연결소켓너트(70) 사이에 칼날 모양의 플랜지(80a)(81a)를 구비한 패킹(80)(81)을 게재하여 커플링 너트(60)와 연결소켓너트(70)를 나사식 죄임으로 접속하도록 한다.
또한, 분기관(30)을 이루는 주름관(40)의 길이는 가스입상관(10)과 수용가쪽으로 배관되는 연결관의 배관공사에 따라 적절히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스분기관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상태에서 분기관(30)을 이루는 주름관(30)의 외측으로 자외선차단튜브(90)르 씌운 주름관(40)의 일측으로 커플링 너트(60)를 끼운 다음 와셔(50)의 절단부(50c)를 약간 벌리고 와셔(60)를 끼우고, 주름관(40)의 걸림릭(40a) 면에 플랜지(81a)를 구비한 패킹(80)을 밀착시킨 후 연결관(20)을 커플링 너트(60)에 밀착시키고 커플링 너트 (6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잠그면 커플링 너트(60)의 나사탭(60a)과 연결관(20)의 나사탭(20a)이 나사식 죄임으로 연결된다. 이때 패킹(80)의 플랜지(80a) 부분은 주름관(40)의 걸림턱(40a)과 와셔(50) 사이의 틈새를 긴밀히 밀봉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분기관(30)의 대응측에는 커플링 너트(61)를 끼운 다음 와셔(60)의 절단부(60c)를 약간 벌리고 와셔(61)를 끼운 다음 커플링 너트(61)를 끼우고 주름관(40)의 걸림턱(40b) 면에 플랜지(81a)를 구비한 패킹(81)을 끼운 후 연결소켓너트(70)를 커플링 너트(61)에 밀착시켜 커플링 너트(61)를 시계방향으로 잠그면 커플링 너트(61)의 나사탭(61a)과 연결소켓너트(70)의 나사탭(70b)이 나사식 죄임으로 연결된다. 이때 패킹(81)의 플랜지(81a) 부분은 걸림턱(40b)과 와셔(51) 사이의 틈새를 긴밀히 밀봉하여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관과정을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고층 아파트의 외벽면에 설치되는 가스입상관(10)에 뚫은 구멍(10a)에 상기 구멍(10a)을 감싸지게 연결관(20)의 단면형상을 이룬 호형면(20b)을 상기 가스입상관(10)의 원주면에 밀착시킨 후 용접을 하면 가스입상관(10)에 연결관(20)이 직각으로 배관된다. 가스입상관(10)에 배관된 연결관(20)에 연결하기 위해 주름관(40)의 걸림턱(40a) 면에 패킹(80)을 게재한 후 커플링 너트(60)를 연결관(20)의 나사탭(20a)에 시계반대방향으로 나사식 죄임을 하면 커플링 너트(60)가 잠기면서 연결관(20)과 주름관(40)의 일측 끝단부가 긴밀히 접속되는데, 이때 패킹(80)의 예리한 플랜지(80a)의 끝부분이 주름관(40)과 와셔(50)의 걸림턱(50a) 사이 에 생기는 틈새를 긴밀히 밀봉하여 주게 된다. 상기 대응측 커플링 너트(61)의 나사탭(60a)에 나사식 죄임으로 연결된 연결소켓너트(70)에 수용가쪽으로 배관된 연결관(100)을 커플링 너트(61)의 시계방향으로 나사식 죄임을 하면 커플링 너트(61)가 잠기면서 수용가쪽의 연결관(100)과 주름관(40)의 타측 끝부분이 연결되어 분기관(30)이 설치되는데, 이때 패킹(81)의 예리한 플랜지(81a)의 끝부분이 주름관(40)과 와셔(51)의 걸림턱(51a)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긴밀히 밀봉하여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은 분기관(30)을 이루는 주름관(40)의 외측면에 자외선차단튜브(90)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특히 하절기에 자외선을 차단하여 주름관(40)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주름관(40)이 플렉시블한 기능을 갖게 되므로 가스입상관(10)이 기후 변화에 따른 선팽창계수에 의한 신장 및 하중으로 인하여 처진다거나 늘어나는 현상으로부터 분기관(30)이 배관의 높이차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플렉시블 튜브를 이용하여 접속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일부 발췌한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가스입상관 10a ; 구멍
20 ; 연결관 20a ; 나사탭
20b ; 호형면 30 ; 분기관
40 ; 주름관 40a, 40b ; 걸림턱
50, 51 ; 와셔 50a, 50b, 51a, 51b ; 걸림턱
60, 61 ; 커플링 너트 60a, 61a ; 나사탭
60b, 61b ; 걸림턱 70 ; 연결소켓너트
70a, 70b ; 나사탭 80. 81 ; 패킹
80a, 81a ; 플랜지 90 ; 자외선차단튜브

Claims (4)

  1. 가스입상관(10)에 구멍(10a)을 뚫고, 상기 구멍(10a)에 직각형태로 용접되는 연결관(20)의 일측 끝부분을 상기 구멍(10a)의 외경을 감싸지게 단면형상을 호형면(20b)으로 형성되어 그 타측의 외경면에 나사탭(20a)을 갖는 구성과;
    상기 연결관(20)의 나사탭(20a)에 연결되는 금속재의 주름관(40)이 플렉시블한 기능을 구비한 분기관(30)을 이룬 구성과;
    상기 주름관(40)의 양복 끝부분에 걸림턱(40a)(40b)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40a)(40b)의 안쪽으로 상하에 걸림턱(50a)(50b)(51a)(51b)을 형성한 와셔(50)(51)를 끼운 구성과;
    상기 걸림턱(50a)(50b)의 안쪽에는 와셔(50)(51)의 원주면에 감싸지게 안쪽 끝부분에 걸림턱(60b)(61b)을 형성한 커플링 너트(60)(61)의 내면에 나사탭(60a)(61a)을 형성한 구성과;
    상기 커플링 너트(61)의 나사탭(61a)에 연결소켓너트(70)의 나사탭(70a)을 나사식 죄임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30)을 이루는 주름관(40)의 외측으로 자외선차단튜브(90)를을 씌워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기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30)을 이루는 주름관(40)의 걸림턱(40a)(40b) 면과 상기 분기관(30)의 양쪽 끝부분에 팔각형을 이룬 커플링 너트(60)(61)에 의해 접속되는 연결관(20)과 연결소켓너트(70) 사이에 플랜지(80a)(81a)를 구비한 패킹(80)(81)을 게재하여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기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30)을 이루는 주름관(40)의 걸림턱(40a)(40b) 안쪽에 끼워지는 와셔(50)(51)의 걸림턱(50a)(51a)이 주름관(40)에 안치되어 커플링 너트(60)(61)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분기관.
KR1020080042178A 2008-05-07 2008-05-07 가스분기관 KR20090116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78A KR20090116316A (ko) 2008-05-07 2008-05-07 가스분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78A KR20090116316A (ko) 2008-05-07 2008-05-07 가스분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316A true KR20090116316A (ko) 2009-11-11

Family

ID=4160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178A KR20090116316A (ko) 2008-05-07 2008-05-07 가스분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3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9686A (zh) * 2014-04-04 2014-07-23 海宁欧康自动控制设备有限公司 一种管接组件和一种运输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9686A (zh) * 2014-04-04 2014-07-23 海宁欧康自动控制设备有限公司 一种管接组件和一种运输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5785A (en) Washing machine or ice maker outlet box installation with torque inhibiting water supply connection
EA023582B1 (ru)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170106604A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20160003644U (ko)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KR102162670B1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KR20090116316A (ko) 가스분기관
US6488316B1 (en) Flexible metal hose termination fitting with adapter for termination plate
KR101232319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914773B1 (ko)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CA2396765A1 (en) Sealed fitting for use with corrugated tubing
KR20190000418A (ko) 파이프 고정장치
US10179304B2 (en) Tank fit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97464B1 (ko) 배관 연결기구
KR100512467B1 (ko) 관 연결장치
KR200496804Y1 (ko) 앵커형 관체 연결구
JP2020063611A (ja) 配管部材、配管部材を接続する管継手及びそれらを用いた仮設配管路並びに仮設配管路の施工方法
KR102582477B1 (ko) 일체형 방폭 실링 피팅 장치 및 그 설치방법
JP2000046622A (ja) ガスメータの支持装置
CN213333022U (zh) 一种便于组合安装功能的钢塑引入管
KR200464849Y1 (ko) 맞춤형 벌크헤드 유니온
KR20090007590U (ko) 전선배관용 커플링
JP2011256939A (ja) 管用分岐継手
JP3156347U (ja) 水撃防止器付フレキシブル継手
US201303348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between a Fluid Supply and a Service Pipe in a Building
KR100886651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높이 조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