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397A -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397A
KR20090115397A KR1020080041241A KR20080041241A KR20090115397A KR 20090115397 A KR20090115397 A KR 20090115397A KR 1020080041241 A KR1020080041241 A KR 1020080041241A KR 20080041241 A KR20080041241 A KR 20080041241A KR 20090115397 A KR20090115397 A KR 20090115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mergency bell
patrol
bell
b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4502B1 (ko
Inventor
신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넷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넷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넷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04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50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비상벨; 상기 다수의 비상벨을 연결하는 회선; 상기 회선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정합기; 그리고 상기 비상벨과 연결되어 상기 비상벨들을 제어하는 메인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여 비상벨에 순찰 관리 기능 등 다른 시스템을 부가할 수 있다.
비상벨, 뉴런, 임피던스 정합기

Description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The Security System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여 비상벨에 순찰 관리 기능 등 다른 시스템을 부가할 수 있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벨 시스템(1)은 다수의 비상벨(11, 12, 13, 14)이 연결된 다수의 중계기(21, 23)와, 상기 중계기(21, 23)들을 연결하는 메인장치(30)와, 상기 메인장치(30)를 제어하는 컴퓨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컴퓨터(40)에는 비상벨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메인장치(30)에 연결된 상기 중계기(21, 23)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그 제어방식은 상기 컴퓨터(40)가 상기 중계기들(21, 23)로부터 임의의 비상벨 정보를 요구{이하, 폴링(Polling)}하면, 중계기가 요구받은 비상벨에 대한 정보를 받아 메인장치(30)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Polling & Response 방식).
즉, 상기 비상벨 시스템(1)은 컴퓨터(40)가 상기 메인장치(30)로부터 중계 기(21, 23)를 폴링하고, 중계기(21, 23)가 비상벨(11, 12, 13, 14)을 폴링하는 2 단계의 정보 송수신과정을 통해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방식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은 메인장치가 중계기를 폴링했을 때 대답이 없으면 기다렸다가 다시 폴링하는데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비상벨 시스템에 설치된 비상벨의 수량이 많아지면 경보 전달의 지연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상벨 시스템에서 비상벨은 메인장치가 중계기로 정보를 폴링할 때에만 중계기를 통해 메인장치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일방향 통신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므로, 만약 하나의 비상벨에 불량이 발생하면 그와 연결된 비상벨 전체에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비상벨 시스템(1)은 주차장, 은행 등의 장소에 설치되는데, 비상시에만 사용되므로 시스템에 대한 사용 빈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비상벨 시스템에 추가적인 시스템을 부가하여 그 활용면에서 효용을 높이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벨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기(母器, 50)와 자기(子器, 61, 62)들의 연결방식처럼 하나의 모기(50)에 자기(61, 62)가 1:1로 연결되도록 별도의 회선(L1,L2)을 구비하는 인터폰 연결 방식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비상벨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방향 전송 방식에 의한 폴링과 응답이 이루어지고, 정보를 전달해야 할 경우에 인터폰 연결 방식을 따라 별도의 회선(L1,L2)에 차례대로 정보를 전달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때문에 기존의 비상벨 시스템에 설치된 회선을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부가 시스템을 구 현하기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설치된 회선을 공용으로 사용하면서 부가적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의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비상벨; 상기 다수의 비상벨을 연결하는 회선; 상기 회선에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정합기; 그리고 상기 비상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부가 시스템을 포함하는 비상벨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가 시스템은 상기 비상벨 내부에 장착되는 순찰용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정합기는 상기 비상벨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선은 뉴런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 비상벨들 사이의 이동시간이 설정되는 이동시간 설정단계; 소정의 비상벨에 탑재된 순찰용 리더기가 순찰용 태그를 인식하는 인식단계; 상기 인식단계에서 인식한 정보가 다른 비상벨들로 전달되는 전달단계; 각 비상벨에 탑재된 순찰용 리더기들의 실질적인 태그 인식시간과 상기 이동시간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는 비교단계를 포함하는 비상벨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비상벨에 번호를 부여하는 번호 부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비상벨의 부여된 번호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실질적인 시간과 설정된 시간을 비교하여 불일치할 경우 비상으로 판단하는 비상 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상벨에 부가 시스템을 용이하게 부가하거나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비상시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비상벨 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뉴런 네트워크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비상벨 시스템에 대한 정보의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 시스템과 결합하여 그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비상벨의 구성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딩 설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 및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딩 된 주소간에 전송되는 패킷의 구조들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폰 방식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벨 시스템(101)은, 임의의 장소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비상벨(110)과, 상기 다수의 비상벨(110)을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회선(L)과, 상기 회선(L)에 결합되어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정합기(150)와, 상기 비상벨(11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부가 시스템(160)과, 상기 비상벨(110)과 부가 시스템(160)의 중앙 통제실 역할을 하는 메인장치(130)와, 상기 메인장치(130)를 제어하는 컴퓨터(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비상벨(110)은 임의의 장소에 설치 부착되는 비상벨 본체(111)와, 비상벨 본체(111)에 설치되어 비상시 발광하는 비상벨 경광등(113)과, 사용자가 비상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비상버튼(115)과, 비상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117)와, 음성을 통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11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비상벨(110)은 주차장, 공용 시설 주차장, 화장실 등 보안이 취약한 곳에 설치되어 외부인의 출입시 또는 화재시의 비상 상태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설치된 다수개의 비상벨(110)은 상호간에 일정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위치되어 신호를 주고받게 된다.
이러한 다수의 비상벨(110)들은 회선(L)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선(L)은 뉴런 네트워크(Neuron Network) 방식으로 다수의 비상벨(110)들을 바인딩하여, 바인딩된 다수의 비상벨(110)들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된 뉴런 네트워크 방식의 바인딩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노드(Node)들(예컨대, 비상벨, 메인장치, 부가시스템등)은 상호 통신할 노드(Node)에 대한 서로의 주소(Address)를 가지고 있으며, 각 노드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주소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가 다른 노드들의 주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모든 노드들은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이러한 뉴런 네트워크 상에서는 경보 또는 하나의 이벤트(event)가 발생되면 각 노드들은 해당 경보 또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노드에 이벤트가 발생하고 그 이벤트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노드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노드에 바인딩된 다른 노드들로 어나운스(announce)하게 된다. 이때, 이벤트에 대한 정보가 어나운스된 노드들 중 해당 이벤트에 대한 해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제2 노드는 해당 이벤트에 대한 해소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제공된 해소 정보에 의하여 상기 이벤트가 해소되면 그 결과물을 상기 제2노드는 물론 다른 노드들도 공유하게 된다.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각의 노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뉴런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이를 뉴런 네트워크 방식이라 하며, 이런 뉴런 네트워크 방식 하에서는 점차 각 노드들 간에 공유 정보가 많아짐에 따라 상기 공유 정보들을 공유하 므로 정보 네트워킹이 스마트(smart)해지게 된다.
또한, 각각의 노드는 충돌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자기가 보낸 정보가 충돌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예컨대, 제1 노드에 포함된 충돌 감지 회로에 의하여 상기 제1 노드가 보낸 정보가 제2노드의 정보와 충돌했음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노드는 정보를 다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정보의 송신은 CDMA 방식으로써 전형적인 이더넷 전송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뉴런 네트워크 회선(L)이 사용되는 본 실시 예에서는 다수의 비상벨(110)들은 상호 통신할 다른 비상벨(110)들의 주소를 가지며, 상기 회선(L)에 바인딩되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비상벨(110)들은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점차 정보가 많아지면서 스마트해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는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며 네트워크 전송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더넷 네트워크 기반의 뉴런 방식을 채용하게 된다. 따라서 비상벨 시스템에 새로운 부가 시스템을 추가로 확장할 경우 별도의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상에 접속하는 것으로 확장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메인장치나 컴퓨터가 폴링(Polling)하는 방식이 아니라 각 노드들이 상호 통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비상벨(110)에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 비상벨은 하나의 네트워크에 바인딩된 컴퓨터(140)나 메인장치(130) 그리고 타 시스템 연동 게이트웨이(gateway)로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바인딩은 비상벨 시스템(101)을 최초 설치할 때 현장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 장비는 컴퓨터 또는 전용 설정 장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바인딩은 뉴런 네트워크 상에서도 그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바인딩의 예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주소가 1-255번지까지를 갖는 다수의 노드들이 바인딩되어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바인딩1 그룹이 존재할 경우, 다른 바인딩2,3,4 그룹 역시 바인딩1 그룹과 동일한 자기주소를 갖도록 설정하면서 다수의 바인딩 그룹들을 서로 바인딩하여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상에 경보 또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생된 경보 또는 이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주소를 포함하는 패킷(packet)을 상기 네트워크에 바인딩된 모드 뉴런기기(예컨대, 비상벨)로 전송된다. 이때, 전송되는 패킷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SYN은 데이터의 시작을, FLG은 패킷종류를, SA는 자기 주소를, BA# 은 바인딩주소를, FLA는 데이터 정합성 확인을, D는 데이터를, END는 데이터의 끝을 의미한다.
그리고 뉴런 네크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모든 뉴런기기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킷을 수신하면 먼저 바인딩 주소(BA#)가 자기 것인지 확인하고, 바이딩주소가 자기것일 때에만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D0~D7)를 처리하게 된다. 즉 전송된 바인딩 주소가 자기 것이 아닌 경우에는 전송된 데이터를 무시하고 전송된 바인딩주소가 자기 것이면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게 된다. 전송 및 수신이 완료되었다면 수신 완료 신호를 송신자에게 보내게 되는데 이때 보내는 패킷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처럼 뉴런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는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은 경보나 이벤트가 발생되면 네트워크의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며 이벤트 발생이 없는 때에는 네트워크 상에 동기 신호만 발생되므로 네트워크를 휴지 상태가 되도록 운영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란 스스로 살아 있다는 신호를 발생하는 라이브(LIVE) 신호이며 메인장치나 컴퓨터는 일정시간 이 신호가 들어오지 않으면 비상벨 또는 다른 부가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경보를 발하고 오프라인 표시를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101)에 적용되어 부가 시스템(16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새로운 인터폰 연결 방식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폰은 하나의 회선(L)을 통해 다수의 자기(61, 62)들이 하나의 모기(51)와 연결되고, 상기 모기(51)는 임피던스 정합기(150)를 사이에 두고 다른 모기(52)와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임피던스 정합기(150)는 어느 하나의 출력단과 다른 하나의 입력단을 연결할 때 서로 다른 두 연결단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를 보정하여 양자의 임피던스가 같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모기(51, 52)들과, 자기(61, 62)들 및 임피던스 정합기(150)는 모두가 하나의 회선(L)을 통해 연결되도록 이어져 있으며, 회선(L)의 사이에 배치된 임피던스 정합기(150)는 모기(51, 52)들 상호간의 임피던스 차이를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기(150)는 어느 하나의 모기(51, 52)가 통화하려고 하는 자기(61, 62)를 매우 빠른 속도로 스위칭하여 상호 연결해줌으로써 하나의 회 선(L)을 통해 여러 사람과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새로운 인터폰 연결방식은, 종래의 인터폰 방식의 연결(도 2참조)에서 모기(50)과 각 자기(61,52)가 별도의 회선(L1, L2)을 통해 1:1로 연결되어 새로운 시스템을 부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비상벨 시스템(101)에 구비된 임피던스 정합기(150)는 다수개의 비상벨(110)과 연결된 다른 다수의 비상벨(110)들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를 보정하여 새로운 부가 시스템(160)의 확장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뉴런 네트워크에 부가될 부가 시스템(160)은 근처의 뉴런 네트워크를 찾아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추가가 가능하며 부가 시스템(160)의 기기를 제거하고 뉴런 네크워크 상의 컴퓨터에 접속된 해당 바인딩을 해제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부가 시스템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 개의 네트워크에 비상벨(110) 또는 다른 부가 시스템(160)의 기기가 너무 많이 부착되었을 경우 네트워크 상에 임피던스가 급격이 떨어져 데이터 전송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비상벨(110) 또는 부가 시스템(160)의 일정한 수량마다 임피던스 정합기(150)를 추가해야 한다. 임피던스 정합기(150)는 무한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 정합기(150)를 설치한 수량만큼 뉴런 네트워크는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 정합기(150)는 상기 비상벨(110)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임피던스 정합기(150)가 각각의 비상벨(110)에 충분한 전원을 공급하여 비상벨(110)의 수량이 많거나 거 리가 너무 떨어져 있을 경우라도 비상벨(110)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임피던스 정합기(150)에 사용되는 전원으로 직류(DC)를 사용할 경우 선로의 전압강하 손실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공급되는 전원은 교류(AC)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그 크기는 24V일 수 있다. 이 경우, 비상벨(110)은 자체적으로 정류기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교류를 내부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101)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수의 비상벨(110)들의 개수가 많아지더라도 임피던스 정합기(150)에 의해 상호간에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고 비상벨(110)에 다른 시스템을 용이하게 부가하거나 반대로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부가 시스템(1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확장성이 용이해지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루는 다수의 비상벨(110)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시스템(160)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순찰관리 시스템(161)으로 이루어진다.
순찰관리 시스템(161)은 여러 장소에 설치되는 상기 비상벨(110)들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비상벨(110)과 함께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순찰관리 시스템(161)은 비상벨 본체(111)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순찰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순찰용 리더기(163)와, 순찰 정보를 표시하는 순찰용 경광등(113)와, CCTV(1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순찰용 리더기(163)는 임의의 순찰 태그를 인식하며, 인식된 순찰 태그 정보를 다른 비상벨(110)들과 공유하도록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순찰 태그는 RFID 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순찰용 경광등(113)은 사용자가 순찰 태그를 순찰용 리더기(163)에 가져다 댈 때, 정보를 인식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CCTV(167)는 비상벨 본체(111)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어 비상벨(110)이 설치된 장소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CCTV(167)의 촬영은 비상벨(110)이 작동한 시점에만 작동할 수도 있으며 상시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순찰관리 시스템(161)은 종래의 비상시에만 사용되던 비상벨 시스템에 부가되어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비상시가 아닌 평상시에도 사용자는 순찰용으로 비상벨 시스템(101)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벨(110)과 부가 시스템(본 실시예의 순찰관리 시스템(161))은 중앙 통제실 역할을 하는 메인장치(130)와 연결되어 중앙에서 그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장치(130)의 전면에는 비상벨(110)의 위치가 표시되는 표시부(131)가 마련된다. 상기 표시부(131)는 다수의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LED는 각 비상벨(110)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메인장치(130)는 모듈(module)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메인장치(130)에는 서로 구획되게 다수의 모듈(M)이 배치되며, 각각의 모듈(M)은 비상벨(110)을 위치가 표시된 다수의 LED가 배치되는데, 각 모듈(M)은 비상벨 시스템(101)을 이루는 뉴런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메인장치(130)에서 하나의 모듈(M)에는 16개 LED가 포함된 표시부(131)로 비상벨(110)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고, 1개의 메인장치(130)에 상기와 같은 8개의 모듈(M1~M8)이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장치(130)의 모듈형태는 전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그 개수는 무한대로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인장치(130)에는 컴퓨터(140)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비상이 발생한 위치에 있는 비상벨(110)과의 긴급 통화가 가능한 인터폰(133)과, 상기 인터폰(133)의 음성을 녹음하거나 비상벨(110)에 설치된 CCTV(167)로부터 찍힌 영상을 녹화할 수 있는 기록부(135)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비상벨(110)에 경보가 발생하면 메인장치(130)에 경보음이 발생하면서 자동으로 해당 위치의 비상벨(110)과 인터폰(133)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기록부(135)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 등으로 구성되어, 경보나 유사발생시 비상벨(110)에서 오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로 연결하여 녹음 및 녹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비상벨(1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신호는 별도의 전송 회로를 구축하며 단방향으로 전송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뉴런 네트워크에서 사용된 UTP선을 사용한다. 또한 임피던스 정합기(150)에 장착된 스위칭 회로를 통하여 다수개의 비상벨(110)에 장착된 CCTV(167)의 영상이 동시에 상기 기록부(135)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임피던스 정합기(150)의 스위칭은 동시에 전송되는 영상이 있을 때 이루어진다.
또한, 하나의 뉴런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메인장치(130)는 비상벨(110) 또는 순찰관리 시스템(161)으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정보를 공유하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시스템의 통제가 가능하다. 또한, 메인장치(130)와 연동되어 다수의 비상벨(110)과 순찰관리 시스템(161)은 이벤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101)은 쌍방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장치(130)와 연결된 컴퓨터(140)는 비상벨 프로그램과 순찰용 프로그램을 통합하는 통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상기 비상벨(110)과 순찰관리 시스템(161)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컴퓨터(140)에 포함된 통합 프로그램은 비상벨 시스템(101)에 연결된 모든 장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프로그램에는 비상벨(110)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맵(MAP) 기능이 부가되어, 경보가 발생하면 프로그램 화면 상에 경보 이벤트가 발생하고 맵에 위치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비상벨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비상벨 시스템(101)을 비상용도로 사용할 경우를 설명한다.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비상벨(110)에 설치된 비상버튼(115)을 누를 수 있다. 이때, 해당 비상벨(110)의 비상버튼(155)이 눌려지면, 입력된 정보가 중앙의 통제실인 메인장치(130)로 전송되는 동시에 다른 비상벨(110)들로 전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101)은 다수의 비상벨(110)들이 뉴런 네트워크 방식의 회선(L)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번만 신호를 보내도 바인딩된 다른 비상벨(110)에서 동시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바인딩된 곳이라면 동시 에 같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다른 비상벨(110)이 설치된 여러 지역에서 동시에 그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은 비상벨(110)에 설치된 스피커(117) 또는 비상벨 경광등(113)의 작동여부, 즉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청각이 모두 구현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을 순찰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비상벨(110)에는 순찰을 위한 임의로 번호를 부여하는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수의 비상벨(110) 모두에 번호가 부여되면, 순찰자는 부여된 번호순서대로 비상벨(110)이 위치한 곳을 경로삼아 차례로 순찰하는 순찰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순찰자는 RFID 카드 등으로 구성되는 순찰용 태그를 소지하면서 경로를 이동해 나간다. 이때, 소정의 비상벨(110)을 지날 경우, 순찰자가 순찰용 태그를 순찰용 리더기(163)에 가져다 대면, 비상벨(110)에 탑재된 순찰용 리더기(163)는 순찰용 태그를 인식하게 된다(S300).
이어서 순찰용 리더기(163)가 인식한 정보는 다른 비상벨(110)들로 전달된다(S400). 이때, 다수의 비상벨(110)들은 뉴런 네트워크를 구성하면서 상호 바인딩되어 있으므로, 바인딩된 비상벨(110)들 각각에는 순찰용 리더기(163)로부터 인식된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한편, 순찰자가 처음의 비상벨(110)에 탑재된 순찰용 리더기(163)에 순찰용 태크를 인식하는 단계로부터 다음 번호에 해당하는 비상벨(110)까지의 이동시간, 즉 각 비상벨(110)들 사이의 이동시간을 앞서 설정할 수 있다(S200).
이는, 다수의 비상벨(110)들은 2개의 비상벨(110) 사이의 떨어진 거리와 사용자의 이동 속도 등을 고려하면 계산될 수 있으므로 각 경로에 위치한 비상벨(110)들 사이의 이동시간이 설정가능하다.
따라서, 순찰자가 소정의 비상벨(110)에 탑재된 순찰용 리더기(163)를 태그한 시간과, 다음 번호의 비상벨(110)에 탑재된 순찰용 리더기(163)가 태그 정보를 인식한 시간을 상기 이동시간과 비교하면, 순찰활동이 잘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순찰용 경광등(165)은 이러한 순찰자의 순찰활동에 따라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시간이 지나게 되면 순찰용 경광등(165)이 발광하면서 순찰속도가 지연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순찰자의 태그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이동시간과 많이 차이가 나게 되어 순찰용 경광등(165)이 발광할 경우, 그 지연된 정보가 다른 비상벨(110)들과 메인장치(130)로 전달되면 비상벨 시스템(101)은 이를 비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순찰자의 순찰활동에 지연이 생길 경우, 제3 자에 의해 순찰 경로를 방해받았거나 순찰자의 근무태만 등으로 순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으로 판단하여 비상벨(110)의 스피커(117) 또는 비상벨 경광등(113)을 작동시켜 비상을 알리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101)은 고유의 비상시 용도로 활용될 수 있 으며, 순찰기능 등 부가 시스템(160)을 용이하게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상벨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인터폰 방식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비상벨의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인딩 설정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b 및 5c는 본 발명의 바인딩된 주소간에 전송되는 패킷의 구조들.
도 6은 본 발명의 인터폰 방식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메인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비상벨 시스템        110 : 비상벨
111 : 비상벨 본체          113 : 비상벨 경광등
115 : 비상버튼             117 : 스피커
119 : 마이크               130 : 메인장치
131 : 표시부               133 : 인터폰
135 : 기록부                 M : 모듈
140 : 컴퓨터               150 : 임피던스 정합기
160 : 부가 시스템          161 : 순찰관리 시스템
163 : 순찰용 리더기        165 : 순찰용 경광등
167 : CCTV

Claims (11)

  1.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비상벨;
    상기 비상벨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뉴런망을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회선(L);
    상기 회선(L)과 결합 되고, 다수개의 비상벨 간에 발생 되는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임피던스 정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벨은,
    상호 간에 통신 가능한 노드(Node)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노드는 각각 마련된 주소(address)를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비상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상벨은 순찰 관리를 위한 부가 시스템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시스템은
    순찰자가 순찰시 상기 순찰자의 정보를 입력 받는 순찰용 리더기;
    상기 순찰용 리더기의 정보 입력 유무에 따라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순찰용 경광등;
    해당 비상벨이 설치된 영역을 촬영하는 폐쇄 회로 텔레비전(Closed-circuit television)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벨은
    다수개의 비상벨 중 어느 하나의 비상벨에 경보가 발생 되면, 다른 하나의 비상벨이 상기 어느 하나의 비상벨에 발생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비상벨과 부가 시스템은 회선을 통해 연결된 메인장치를 더 포함하고 , 상기 메인장치는 비상벨과 부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시스템.
  7. 다수개의 비상벨에 임의로 번호가 부여되는 단계;
    상기 비상벨에 부여된 번호 순서대로 순찰이 이루어지면서, 현재의 순찰 상태가 체크 되는 단계;
    현재의 순찰 상태에 따라 비상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제어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찰 상태가 체크 되는 단계는,
    순찰자가 비상벨에 부여된 번호 순서대로 순찰이 이루어지면서 발생 되는 이동시간과, 기 설정된 이동시간이 상호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제어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찰 상태를 체크 하는 단계는,
    각각의 비상벨 사이를 이동하는 순찰자의 이동 속도와, 비상벨 상호 간에 이격된 이격 거리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제어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순찰 상태를 체크 하는 단계는
    순찰자의 이동시간과 기 설정된 이동시간 간에 시간차가 발생될 경우에는 순찰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제어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비상벨을 제어하는 단계는
    비상벨에 마련된 스피커 또는 비상벨 경광등을 작동시켜 비상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벨 제어방법.
KR1020080041241A 2008-05-02 2008-05-02 비상벨 시스템 KR101434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241A KR101434502B1 (ko) 2008-05-02 2008-05-02 비상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241A KR101434502B1 (ko) 2008-05-02 2008-05-02 비상벨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692A Division KR20140100457A (ko) 2014-07-16 2014-07-16 비상벨 시스템에서의 비상벨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397A true KR20090115397A (ko) 2009-11-05
KR101434502B1 KR101434502B1 (ko) 2014-08-27

Family

ID=4155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241A KR101434502B1 (ko) 2008-05-02 2008-05-02 비상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29B1 (ko) 2017-11-22 2020-06-01 주식회사 디앤샤인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비상벨 장치
KR102088750B1 (ko) 2017-11-30 2020-03-16 주식회사 디앤샤인 폴대형 무선 비상벨 장치
KR102144503B1 (ko) 2019-05-16 2020-08-14 (주)휴먼케어 노약자용 비상벨
KR102259889B1 (ko) 2021-01-05 2021-06-02 (주)이레씨즈 무선 비상벨의 실시간 동작 및 고장상태 점검장치, 그리고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45738B1 (ko) 2021-10-21 2022-09-21 주식회사 디앤샤인 작동 편의성과 식별력이 향상된 비상벨 장치
KR102488741B1 (ko) 2022-01-04 2023-01-17 이승우 현장 상황 식별성이 향상된 비상벨 시스템
KR102573461B1 (ko) 2023-05-18 2023-09-06 주식회사 디앤샤인 스마트 인공지능 다기능 비상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641750B1 (ko) 2023-09-26 2024-02-27 주식회사 더포스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118B1 (ko) * 1993-06-23 1995-10-25 세창통산주식회사 무선순찰 체크장치 및 체크방법
KR19990013107A (ko) * 1997-07-31 1999-02-25 박정옥 경비 시스템의 경비용 센서 자동 점검 방법
JP2006099394A (ja) * 2004-09-29 2006-04-13 Horiba Ltd 火災検知システムおよび火災検知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257873B1 (ko) * 2012-12-12 2013-04-23 국방과학연구소 침입 탐지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침입 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502B1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502B1 (ko) 비상벨 시스템
US20070076094A1 (en) Surveill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mesh network
KR101195703B1 (ko) 중계기능을 갖는 아이피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CN103404088A (zh) 用于将增强的位置信息提供给紧急应答器以对紧急呼叫做出响应的IP语音(“VoIP”)系统、组件和方法
JP2003319375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4674372B2 (ja) 警報システム
EP3923568A1 (en) Video conferencing system for reconfigurable rooms
KR101611956B1 (ko) 다채널용 카메라 장치
US11158174B2 (en) Security system with distributed audio and video sources
ES2786752T3 (es) Sistema de interfono para complejos de múltiples viviendas
EP3040956A1 (en) A multi-channel public announcement and voice alarm system architecture to support addressable devices
KR20070010554A (ko) 실시간 비상벨 보안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보안감시방법
JP3550983B2 (ja) 集合住宅用警報監視システム
CN108781240B (zh) 对讲系统
CN210324327U (zh) 门禁装置及门禁系统
US8791819B2 (en) Intercom exchange
JP2003163666A (ja) 構内通信システム
JP5775999B2 (ja) ネットワーク対応型の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6253954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3295373A (zh) 基于gprs的无线网络联网监控报警系统
CN110089133A (zh) 用于监测至少一个扬声器线的方法和装置
KR100987481B1 (ko) 엘리베이터 방범시스템
WO2009022238A2 (en) Utility outlets capable of presenting images
JP2010268069A (ja) 通話システム
KR20140100457A (ko) 비상벨 시스템에서의 비상벨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