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750B1 -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 Google Patents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750B1
KR102641750B1 KR1020230129064A KR20230129064A KR102641750B1 KR 102641750 B1 KR102641750 B1 KR 102641750B1 KR 1020230129064 A KR1020230129064 A KR 1020230129064A KR 20230129064 A KR20230129064 A KR 20230129064A KR 102641750 B1 KR102641750 B1 KR 10264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terminal
emergency bell
emergency
hidden camera
rssi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포스
이승우
이건무
이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포스, 이승우, 이건무, 이도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포스
Priority to KR102023012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1Wireless intrusion detection systems [WIDS];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s [W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 화장실에 기설치되는 비상벨을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 의심 기기를 탐지할 수 있는 비상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된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선택된 관리기관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며, 선택된 방범 대상 공간에서 불특정 외부단말의 접속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기설정된 판단기준과 비교 분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외부단말에 대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를 송신하는 비상벨장치; 및 상기 비상벨장치에서 송신하는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 및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판단 결과를 제공정보로 가공하여 관리기관에 제공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Emergency bell system with hidden camera de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공중 화장실에 기설치되는 비상벨을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 의심 기기를 탐지할 수 있는 비상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방범 및 범죄 예방을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범 방법으로는 CCTV 감시 시스템이 이용되어 왔으나, 설치위치가 노출되어 있고 카메라로 습득한 화상 정보의 분석 위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음향 정보의 이용에는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상기 CCTV 감시 시스템의 경우, 여성이 생활하는 숙소나 화장실 등 영상 수집이 어려운 곳에는 설치가 불가하기 때문에 해당 공간에 대한 감시는 물론 범죄 상황에서 신속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 들어 주로 공공장소 중 감시 사각지대 등에서 불특정인을 대상으로 하는 강력범죄 등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법으로 전국 지자체 및 공공, 민간 등에서 비상벨 시스템을 설치 및 운영 중에 있으며 적용 범위 또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비상벨이란 재해, 재난, 사건, 사고로부터의 인명 및 재산 보호, 방범, 범죄 예방 등의 목적으로 구축되는 시스템으로서 해당 비상 상황을 신속히 관계자에게 전달하여 구조 등의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최근까지 적용되고 있는 비상벨 시스템의 형태로는 크게 비상호출시스템, 비상벨 및 비상통화시스템, CCTV와 연동한 비상벨 시스템 등이 있다.
이러한 비상벨 시스템은 신속한 비상상황의 전달 및 범죄 예방 등의 효과를 상시 얻기 위하여 적용된 것이지만, 현장에서 사용자의 호기심이나 장난에 의해 작동되는 허위 신고 사례도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원격지에서 근무하는 관리자나 담당자는 비상벨의 작동에 따른 알림 신호와 신고자와의 통화에 의지하여 현장 상황을 유추할 수 있을 뿐, 신고자의 허위 신고나 상황 발생의 진위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이를 정확히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경찰 등의 관리 인력이 직접 현장으로 출동을 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관리 인력의 현장 투입 등으로 인한 비용 발생의 문제는 물론 특히 관리 인력의 현장 투입으로 다른 방범 관리 구역에 대한 공백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이러한 공백 시간이 길어질수록 시민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비상벨 장치는 공중 화장실에 있어 범죄의 표적이 될 수 있는 여자 화장실을 대상으로도 설치되는데, 이러한 여자 화장실의 경우 물리적인 위해 등의 범죄뿐 아니라 최근 들어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을 시도하는 몰래카메라 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 비상벨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상벨의 작동에 따른 알림이나 통화 시도 및 관리자 호출의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을 뿐, 몰래 카메라 범죄를 예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부가 기능이 부재하며, 화장실의 특성상 화장실 내부를 CCTV로 감시하기 어려운 실정이고 몰래카메라를 검사할 수 있는 장비를 소지한 검사원이 화장실을 일일이 순회하여 검사하는 방법의 경우 특정 전파를 송출하면서 고정 설치되는 몰래 카메라 기기만을 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바, 기존 설치된 비상벨 장치를 이용하여 공중 화장실에서 몰래 카메라 기기를 감시하고 이를 관리기관에 알릴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4502호(2014.08.20)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범 관리 대상 구역으로서 공중 화장실에 기설치되는 비상벨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몰래 카메라 의심 기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관리기관으로 알릴 수 있는 몰래 카메라 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이하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 칭함)은, 입력된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선택된 관리기관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며, 선택된 방범 대상 공간에서 불특정 외부단말의 접속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기설정된 판단기준과 비교 분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외부단말에 대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를 송신하는 비상벨장치; 및 상기 비상벨장치에서 송신하는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 및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판단 결과를 제공정보로 가공하여 관리기관에 제공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외부단말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듈이 탑재된 단말이며, 상기 비상벨장치는, 방범 대상 공간 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외부단말의 접속을 실시간 감지하고 감지된 외부단말의 특정 정보를 수집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수집된 외부단말의 특정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외부단말을 모니터링하고 외부단말의 접속 유지시간이 기설정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외부단말을 몰래카메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판단부는, 하나 이상의 예외단말이 사전 등록되고,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등록된 예외단말을 배제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외부단말의 특정 정보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MAC주소인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감지부는, 감지된 외부단말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 수신 신호 강도 지표)값을 더 수집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특정 외부단말의 접속이 끊긴 후 신규로 다른 외부단말의 접속이 감지될 경우 신규 외부단말의 RSSI값과 접속이 끊긴 이전 외부단말 간의 RSSI값을 비교하고, 상호 RSSI값이 유사 범위 내라면 동일한 외부단말로부터 MAC주소가 변경된 것으로 분석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비상벨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수집되는 외부단말의 RSSI값을 전달받고, 전달된 RSSI값의 변화를 통해 외부단말의 이동을 분석하며 이동성을 갖는 외부단말을 대상으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비상벨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수집되는 외부단말의 RSSI값을 전달받고, 전달된 RSSI값을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미터(m) 단위의 거리 추정값으로 산출하는 거리추정부;를 더 포함하고,
[수학식 1]
상기 판단부는, 상기 거리추정부에서 산출되는 거리 추정값을 통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외부단말의 이동을 모니터링하고, 이동성을 갖는 외부단말을 대상으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거리추정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RSSI값이 '0'을 초과할 경우 거리 추정값을 0m로 산출하며, RSSI값이 '-100' 미만일 경우 거리 추정값을 산출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거리추정부는,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거리 추정값 m이 '0'보다 작을 경우 거리 추정값 m을 '0'으로 설정하며,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거리 추정값 m이 '10'보다 클 경우 거리 추정값 m을 '10'으로 설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방범 관리 대상 구역으로서 공중 화장실에 기설치되는 비상벨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몰래 카메라 의심 기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관리기관으로 알림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현장 확인 및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몰래카메라 의심 기기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비상벨 장치가 접속된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MAC 주소 정보만을 활용하게 되므로, 화장실의 이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몰래카메라 의심 기기와 그 소유주를 특정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몰래 카메라를 통한 불법 범죄 행위를 수사함에 있어 증거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MAC 주소 변경을 추적 및 탐지하여 동일한 기기로부터 발생한 MAC 주소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특히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 수신 신호 강도 지표)를 기반으로 기기의 거리를 보다 정확히 추정하여 기기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대상으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신뢰도 있는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상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벨장치의 몰래카메라 판단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벨장치의 몰래카메라 판단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리추정부의 적용으로 산출된 RSSI의 세기에 따른 거리(m) 추정값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벨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음성판단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발생판단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성 저장 구간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범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방범관리 현장에 설치되는 비상벨장치(10)와, 방범관리 현장별로 설치된 각 비상벨장치(10)와 개별 통신하며 비상벨장치(10)로부터 상태정보 등을 수집하여 모니터링하는 관제서버(20)를 포함한다.
비상벨장치(10)는 비상 상황 시 사용자의 주도로 작동되어 경보를 울릴 수 있으며, 선택된 관리기관(30)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비상 통화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리기관(30)"이라 함은, 비상벨장치(10)가 설치된 현장을 담당하는 지구대나 지자체의 치안 센터, 지자체의 소방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관리기관(30)은 비상벨장치(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당 비상벨장치(10)와 연결되어 신고 당사자인 사용자와 통화를 시도하고, 통화를 통해 취득한 정보들로 하여금 비상 상황의 경중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기관(30)은 비상 상황의 경중을 고려하여 경찰 등의 관리 인력을 해당 방범관리 현장으로 출동 및 투입시켜 범죄 등의 비상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비상벨장치(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범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방범관리 현장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방범관리 현장으로서 공중화장실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벨장치(10)는 공중화장실에 설치될 경우 일반적인 비상벨로서의 기능에 더하여 몰래카메라로 의심되는 기기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알릴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벨장치(10)는 선택된 방범 대상 공간 즉 공중화장실 등의 공간에서 불특정 외부단말(40)의 접속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기설정된 판단 기준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접속된 외부단말(40)에 대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제서버(20)는 비상벨장치(10)에서 송신하는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 및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판단 결과를 제공정보로 가공하여 관리기관(30)에 제공하게 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현장 확인 및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외부단말(40)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듈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일 수 있으며, 비상벨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몰래카메라 의심 기기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단말(40)은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탑재되며 카메라가 구비되어 불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영상 등을 촬영 및 저장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액션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벨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41)와, 기록부(142) 및 판단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41)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어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외부단말(40)과의 상호 통신을 통해 방범 대상 공간 내에서 외부단말(40)의 접속을 실시간 감지할 수 있다.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41)는 접속된 외부단말(40)의 특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바, 이러한 특정 정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판단부(143)에서 몰래 카메라 의심 기기를 판단함에 있어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단말(40)의 특정 정보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MAC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MAC주소는 16진수의 문자 12자리로 되어 있는 고유정보이므로,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탑재된 외부단말(40)마다 그 주소가 상이할 뿐 아니라, 고유정보의 식별을 통해 해당 외부단말(40)과 그 소유주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상벨장치(10)는 외부단말(40)의 특정 정보로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MAC주소를 수집하고 이를 몰래 카메라 의심 기기의 판단에 주요 데이터로서 활용하게 되므로, 민감한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향후 몰래카메라 기기로 확정될 경우 수사정보로서 관리기관(20)에 제공되어 범죄자의 추적에 보다 신뢰도 높은 정보로 활용될 수 있게 한다.
기록부(142)는 상기 감지부(141)에서 수집되는 외부단말(40)의 특정 정보는 물론 판단부(143)에서 처리되는 판단결과와 몰래카메라로 판단된 외부단말(40)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판단부(143)는 감지부(141)에서 감지된 외부단말(40)을 모니터링하고 외부단말(40)의 접속 유지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43)는 파악된 외부단말(40)의 접속 유지시간이 기설정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외부단말(40)을 몰래카메라 의심 기기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판단 결과와 해당 외부단말(40)에 대한 특정 정보 즉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MAC주소 등을 상기 기록부(142)에 기록함과 더불어 관제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비상벨장치(10)는 특정 외부단말(40)이 공중화장실 등의 방범 대상 공간에서 충분히 오래 있는 경우 몰래 카메라 기기로 의심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해당 외부단말(40)을 몰래카메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공중화장실을 이용하는 실제 사용자의 경우 통상 이용 시간이 30분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기준시간은 30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상벨장치(10)는 특정 외부단말(40)이 몰래카메라 의심 기기로 판단될 경우, 스피커 등을 통해 경고 안내방송이 출력되게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안내방송의 출력은 몰래카메라 의심 기기로 판단된 외부단말(40)의 접속이 해지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정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탑재된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및 액션캠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비상벨장치(10)의 최초 설치 시에 검색된 블루투스 장비는 몰래 카메라 의심 기기 목록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판단부(143)는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하나 이상의 예외단말이 사전 등록되고,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등록된 예외단말을 배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상벨장치(10)는 접속이 감지된 외부단말(40)의 MAC 주소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탑재하고 있는 일부 기기에서는 보안 및 기타 이유로 주기적인 MAC 주소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MAC 주소의 변화는 동일 MAC 주소를 기반으로 외부단말(40)을 식별하게 되는 비상벨장치(10)에 혼란을 주게 되는 바, 몰래카메라 여부 판단 결과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비상벨장치(10)는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외부단말(40)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 수신 신호 강도 지표)값을 이용하여 동일 외부단말(40)로부터 MAC 주소의 변화가 있는지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비상벨장치(10)의 감지부(141)는 접속이 감지된 외부단말(40)의 RSSI값을 더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43)는 감지부(141)에서 특정 외부단말(40)의 접속이 끊긴 후 신규로 다른 외부단말(40)의 접속이 감지될 경우, 신규 외부단말(40)의 RSSI값과 접속이 끊긴 이전 외부단말(40) 간의 RSSI값을 비교하고, 상호 RSSI값이 유사 범위 내라면 동일한 외부단말(40)로부터 MAC 주소가 변경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RSSI값의 유사 범위는 ±5일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비상벨장치(10)는 신규 외부단말(40)이 감지되면, 이전 감지된 외부단말(40)의 RSSI값과 비교 분석하여 동일한 블루투스 통신모듈로부터 MAC 주소가 변경된 것인지 추적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몰래카메라 여부 판단에 보다 신뢰도 있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상벨장치(10)는 동일한 외부단말(40)로 판단되면 이전 MAC 주소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기록부(142)에 기록되게 할 수 있고, 새로운 외부단말(40)이라고 판단되면 신규 MAC 주소 정보로서 기록부(142)에 기록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비상벨장치(10)는 감지부(141)에서 수집되는 외부단말(40)의 RSSI값을 전달받고, 전달된 RSSI값의 변화를 통해 외부단말(40)의 이동을 분석하며 이동성을 갖는 외부단말(40)을 대상으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의 신호는 RSSI 단위로 측정되며, '0'이 최대이고, '-99'가 최소이므로, 외부단말(10)이 비상벨장치(10)의 근접 위치에 있을수록 '0'에 가깝고, 반대로 외부단말(10)이 비상벨장치(10)에서 멀어질수록 '-99'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외부단말(40)의 이동 여부는 신호의 세기가 많이 바뀌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이 있는 기기가 몰래카메라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반면에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탑재된 기기 중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스피커 등과 같이 이동하지 않는 기기의 경우 몰래카메라로 활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상벨장치(10)는 감지부(141)에서 수집된 RSSI값의 변화를 통해 접속이 감지된 외부단말(40)의 이동 거리를 추정하고, 이동하는 외부단말(40)만을 대상으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RSSI값을 기반으로 거리를 추정하는 과거 방법에 있어, 신호 강도와 실제 거리 사이에 1 : 1 비율로 가정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 신호와 거리 간의 관계는 한정된 실내 공간 내에서 다양한 장애물들로 인하여 비례하지 않으며, 특히 RSSI값이 미약할수록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외부단말(40)가 이동함을 정확히 분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 등의 실제 환경에서 RSSI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거리 추정 알고리즘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몰래카메라를 들고 이동하는 상황을 더 정확하게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비상벨장치(10)는 감지부(141)에서 수집되는 외부단말(40)의 RSSI값을 전달받고, 전달된 RSSI값을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미터(m) 단위의 거리 추정값으로 산출하는 거리추정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43)는 상기 거리추정부(144)에서 산출되는 거리 추정값을 통해 감지부(141)에서 감지된 외부단말(40)의 이동을 모니터링하고, 이동 하는 외부단말(40)을 대상으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은 실험데이터의 기반으로 회귀분석 및 최소제곱법을 사용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때 실험은 RSSI의 신호의 장애를 일으킬 위험이 있는 물체를 모두 제거한 공터에서 진행하고, '0' 미터에서 '10' 미터까지 10 cm단위로 RSSI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다.
수학식 1에 나타난 '1.0611','-1.822'는 RSSI 값의 제곱항과 일차항에 대한 계수로, 이 값들은 RSSI와 거리 사이의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1에 나타난 '904.2716'는 상수항으로 모든 것이 고려된 후에 더해지는 보정 값이며, '1.4749'와 '244.1579'는 분모에 있는 RSSI의 일차항과 상수항에 대한 계수로, 이 값들은 RSSI 값이 거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거리추정부(144)는 감지부(141)로부터 전달된 RSSI값이 '0'을 초과할 경우 거리 추정값을 '0'm로 산출할 수 있으며, RSSI값이 '-100' 미만일 경우 거리 추정값을 산출하지 않는다.
또한 거리추정부(144)는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거리 추정값 m이 '0'보다 작을 경우 거리 추정값 m을 '0'으로 설정하며,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거리 추정값 m이 '10'보다 클 경우 거리 추정값 m을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벨장치(10)는 입력된 작동신호에 연동하여 고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신호를 출력 및 송신하면서, 선택된 관리기관(30)과의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일 예로 상기 비상벨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벨모듈(100)과 통화연결모듈(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벨모듈(100)은 사용자 주도로 비상벨장치(10)가 작동될 경우 알림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상기 관제서버(20)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알림신호는 비상벨장치(10)의 작동에 따른 작동신호 입력 시점 정보와, 비상벨장치(10)의 작동에 따른 다양한 상태 이벤트 정보 및 해당 비상벨장치(10)가 설치되는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전 부여된 고유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상벨모듈(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경보음 출력용 스피커와 경광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림신호의 출력에 연동하여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경광등을 작동시켜 현장의 비상상황 내지 범죄상황 등을 주변으로 알릴 수 있게 한다.
상기 비상벨모듈(100)은 작동신호의 입력 수단으로서 버튼 작동에 의해 작동신호가 입력되게 하는 작동버튼(101)과, 사용자의 음성 인식에 의해 작동신호가 입력되게 하는 음성인식부(102) 및 제 1마이크(103)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버튼(101)은 물리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장의 최소화와 조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마이크(103)는 현장 주변의 음향과 함께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상기 음성인식부(102)는 상기 제 1마이크(103)를 통해 입력되는 주변 음향과 사용자 음성에서 사용자의 음성만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따른 음절이나 단어가 사전에 기저장된 특정 음절이나 단어와 일치할 경우 자동으로 작동신호가 입력되게 한다.
이때 상기 특정 음절이나 단어는 비상상황 내지 범죄상황에서 사람들이 흔히 낼 수 있는 음절 또는 단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범죄 상황에서 본능적으로 나오게 되는 사람의 비명이나 도움 및 구조 요청에 사용되는 다양한 음절 또는 단어일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부(102)를 통한 작동신호의 입력은, 범죄자의 물리적인 행위에 따라 사용자가 작동버튼(101)을 조작하지 못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비상벨장치(10)에 인접 위치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비상벨장치(10)의 작동과 신고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통화연결모듈(110)은 상기 비상벨모듈(100)에서 알림신호가 출력됨과 연동하여 선택된 관리기관(30)과의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상기 통화연결모듈(110)와 관리기관(30) 간은 공지의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VoIP 인터넷망에 의한 상호 연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화연결모듈(110)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제 2마이크(111)와, 통화 연결된 관리기관(30)의 담당자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 2마이크(111)와 스피커(112)는 통화를 위한 송수화기로 활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통화연결모듈(110)은 연결된 관리기관(30)의 담당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범죄를 포함한 비상상황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며, 비상상황 시에는 사용자에게 담당자의 육성을 통한 초동 대처를 지시 및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기관(30)에서는 통화 대응을 통해 실제 비상상황으로 판단되면, 즉시 긴급출동 명령을 내려 현장으로 관리 인력이 출동 및 투입되게 한다.
상기 관제서버(20)는 공지의 다양한 통신망 중 적합한 하나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비상벨장치(10)와 연결되며, 상기 비상벨장치(10)에서 송신하는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한 알림신호를 제공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관리기관(30)에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관제서버(20)는 상기 비상벨장치(10)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비상벨장치(10)에 대한 이상유무와 유지보수시기 등을 추정 또는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공정보는 웹(Web) 또는 앱(App) 환경에서 알림신호가 시작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가공된 것으로, 다양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와 함께 비상벨장치(10)의 작동 시점, 이벤트 정보 및 해당 비상벨장치(10)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고, 이를 관리기관(30)의 관리자단말 등에서 표시되게 함으로써 관리기관(30)의 담당자가 용이하게 상황 발생과 현장 위치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비상벨장치(10)는 사용자의 음성뿐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음향 등을 실시간 녹음하며, 상기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작동신호 입력 시점으로부터 이전의 일정 시간 녹음된 음성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신호를 상기 알림신호와 함께 상기 관제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제서버(20)는 상기 비상벨장치(10)에서 송신하는 알림신호와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관리기관(30)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한 음성신호를 제공정보로서 상기 관리기관(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비상벨장치(10)의 비상벨모듈(100)은 음성녹음부(104)와 음성저장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녹음부(104)는 비상벨모듈(100)의 작동 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제 1마이크(103)를 통해 현장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이때 현장의 음성은 사용자의 목소리뿐 아니라 현장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사물의 움직임에 따른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녹음부(104)의 음성 녹음 동작은 실시간으로 실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성저장부(105)는 상기 음성녹음부(104)에서 녹음된 현장의 음성을 저장하는 것으로, 기설정된 특정 구간에 대한 음성만을 저장한다. 그리고 음성저장부(105)는 저장용량을 고려하여 저장된 음성신호를 상기 관제서버(20)로 송신한 후 저장공간에서 해당 음성신호를 삭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음성저장부(10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벨장치(10)에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시점(t1)으로부터 설정된 이전 시간(t2)까지의 녹음된 음성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t2는 t1으로부터 30초 이전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음성저장부(105)에 의해 저장된 일정 구간의 음성은 상기 관제서버(20)로 전송되고 상기 관리기관(30)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제서버(20)에서 관리기관(30)으로 전달될 수 있는 바, 관리기관(30)의 담당자는 비상벨장치(10)의 작동 이전의 녹음된 음성을 청취하여 상황 발생 시점으로부터 이전에 대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정보를 취합하여 비상벨장치(10)의 오작동이나 허위 신고 여부 등에 대한 판단은 물론 관리 인력의 현장 출동 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상벨장치(10)는 이상음성판단모듈(120)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입력된 음성에 대한 텍스트 또는 음성주파수 중 하나 이상을 비교 분석하며 그 분석 결과를 상기 관제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이상음성판단모듈(120)은 기계 학습을 통해 학습된 구조요청 시 기준 음성 주파수가 기저장되며, 사용자의 음성 인식에 의해 작동신호가 입력될 경우 음성 인식에 사용된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와 기저장된 기준 음성 주파수를 비교하여 상호 양 음성 주파수 간 유사도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상기 관제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제서버(20)는 상기 비상벨장치(10)에서 송신하는 알림신호와 양 음성 주파수 간 유사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관리기관(30)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한 양 음성 주파수 간 유사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공정보로서 상기 관리기관(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비상벨장치(10)의 이상음성판단모듈(120)은 기준주파수저장부(121)와 제 1비교분석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주파수저장부(121)는 기준 음성 주파수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기준 음성 주파수는 위급 상황이나 범죄 상황에서 구조를 요청할 경우 실제 사람이 발성하는 다양한 음성들을 사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공지의 다양한 기계 학습 기법 중 하나의 기계 학습으로 학습시켜 도출된 음성 주파수로, 비상벨장치(10)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주파수와의 상호 비교를 위한 데이터로서 활용된다.
상기 제 1비교분석부(122)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인식에 의해 작동신호가 입력될 경우 음성 인식에 사용된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 즉 상기 제 1마이크(103)를 통해 입력되는 구조 요청시 사용자 음성에 대한 주파수와 기저장된 기준 음성 주파수를 비교하여 상호 양 음성 주파수 간 유사도를 분석한다.
상기 제 1비교분석부(122)에 의한 분석 결과는 유사도에 따라 복수의 단계 형태로 제공되거나 숫자 등을 제공되게 함으로써 유사 정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상음성판단모듈(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벨장치(10)가 음성 인식을 통해 작동될 경우 음성 인식에 활용된 사용자의 음성 주파수와, 기저장된 기준 음성 주파수를 상호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가 관리기관(30)으로 전달되어 담당자가 확인하게 됨으로써, 담당자가 사용자의 음성이 실제 위급 상황이나 범죄 상황 시 발성하는 음성 인지 여부를 식별하여 상황 발생의 진위 여부는 물론 관리 인력의 현장 출동 여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상벨장치(10)는 상황발생판단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발생판단모듈(130)은 구조요청으로 인식될 수 있는 복수의 특정 단어가 기저장되며, 사용자의 음성 인식에 의해 작동신호가 입력될 경우 음성 인식에 사용된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와 기저장된 특정 단어를 비교하여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를 상기 관제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제서버(20)는 상기 비상벨장치(10)에서 송신하는 알림신호와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관리기관(30)의 요청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한 상황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제공정보로서 상기 관리기관(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비상벨장치(10)의 상황발생판단모듈(130)은 STT(Speech To Text)변환부(131)와, 특정단어저장부(132) 및 제 2비교분석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TT변환부(131)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인식에 의해 작동신호가 입력될 경우 음성 인식에 사용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음성인식부(102)로부터 전달받고 전달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다.
상기 특정단어저장부(132)는 구조요청이나 위급 상황 또는 범죄 상황으로 인식될 수 있는 복수의 특정 단어가 저장된다. 일 예로 상기 특정 단어는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 비명 소리 또는 폭력 행위시 발생되는 다양한 충격음, 폭행을 당하며 맞는 소리를 나타내는 "으악", "사람 살려", "쿵", "퍽퍽" 등의 단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비교분석부(133)는 상기 STT변환부(131)에서 변환되는 텍스트와 상기 특정단어저장부(132)에 저장된 특정 단어를 상호 비교 분석한다.
즉 상기 제 2비교분석부(133)는 상기 STT변환부(131)에서 변환되는 텍스트에 있어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어들 중 상기 특정단어저장부(132)에 기저장된 특정 단어가 포함되는지를 분석하게 되며, 텍스트에 특정 단어가 포함될 경우 이를 상황 발생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황발생판단모듈(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벨장치(10)가 음성 인식을 통해 작동될 경우 음성 인식에 활용된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 후, 구조요청이나 위급 상황 또는 범죄 상황으로 인식될 수 있는 특정 단어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즉 상황 발생 여부를 관제서버(2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황발생판단모듈(130)의 판단 결과를 상기 관리기관(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기관(30)의 담당자는 상기 이상음성판단모듈(120)의 분석 결과와 함께 상황발생판단모듈(130)의 판단 결과를 제공정보로서 확인이 가능한 바, 복합적인으로 제공되는 제공정보를 통해 현장의 상황 발생에 대한 진위 여부를 더욱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비상벨장치 20 : 관제서버
30 : 관리기관 100 : 비상벨모듈
101 : 작동버튼 102 : 음성인식부
103 : 제 1마이크 104 : 음성녹음부
105 : 음성저장부 110 : 통화연결모듈
111 : 제 2마이크 112 : 스피커
120 : 이상음성판단모듈 121 : 제 1비교분석부
122 : 기준주파수저장부 130 : 상황발생판단모듈
131 : STT변환부 132 : 제 2비교분석부
133 : 특정단어저장부 141 : 감시부
142 : 기록부 143 : 판단부
144 : 위치추정부

Claims (9)

  1. 입력된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선택된 관리기관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며, 선택된 방범 대상 공간에서 불특정 외부단말의 접속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기설정된 판단기준과 비교 분석을 통해 접속된 상기 외부단말에 대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하며, 그 판단 결과를 송신하는 비상벨장치; 및
    상기 비상벨장치에서 송신하는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 및 모니터링하고, 수신한 판단 결과를 제공정보로 가공하여 관리기관에 제공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비상벨장치는
    감지된 외부단말의 특정 정보 및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수신 신호 강도 지표)값을 수집하고,
    상기 외부단말의 특정 정보가 변경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정보 변경 전 상기 외부단말의 제1 RSSI값과 상기 특정 정보 변경 후 상기 외부 단말의 제2 RSSI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RSSI값 및 제2 RSSI값의 차이가 일정 값 이하인 경우 상기 특정 정보 변경 전 및 후의 상기 외부 단말을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단말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모듈이 탑재된 단말이며,
    상기 비상벨장치는,
    방범 대상 공간 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외부단말의 접속을 실시간 감지하고 감지된 외부단말의 특정 정보를 수집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수집된 외부단말의 특정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외부단말을 모니터링하고 외부단말의 접속 유지시간이 기설정한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외부단말을 몰래카메라로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하나 이상의 예외단말이 사전 등록되고,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등록된 예외단말을 배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단말의 특정 정보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의 MAC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벨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수집되는 외부단말의 RSSI값을 전달받고, 전달된 RSSI값의 변화를 통해 외부단말의 이동을 분석하며 이동성을 갖는 외부단말을 대상으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벨장치는,
    상기 감지부에서 수집되는 외부단말의 RSSI값을 전달받고, 전달된 RSSI값을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미터(m) 단위의 거리 추정값으로 산출하는 거리추정부;를 더 포함하고,
    [수학식 1]

    상기 판단부는,
    상기 거리추정부에서 산출되는 거리 추정값을 통해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외부단말의 이동을 모니터링하고, 이동성을 갖는 외부단말을 대상으로 몰래카메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추정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전달된 RSSI값이 '0'을 초과할 경우 거리 추정값을 0m로 산출하며, RSSI값이 '-100' 미만일 경우 거리 추정값을 산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추정부는,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거리 추정값 m이 '0'보다 작을 경우 거리 추정값 m을 '0'으로 설정하며,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거리 추정값 m이 '10'보다 클 경우 거리 추정값 m을 '10'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KR1020230129064A 2023-09-26 2023-09-26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KR10264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9064A KR102641750B1 (ko) 2023-09-26 2023-09-26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9064A KR102641750B1 (ko) 2023-09-26 2023-09-26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750B1 true KR102641750B1 (ko) 2024-02-27

Family

ID=9005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9064A KR102641750B1 (ko) 2023-09-26 2023-09-26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7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502B1 (ko) 2008-05-02 2014-08-27 주식회사 드림넷코리아 비상벨 시스템
KR20160035767A (ko) * 2014-09-24 2016-04-01 주식회사 코너스톤스마트 블루투스 및 방향센서를 이용한 미아 찾기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532210B1 (ko) * 2022-06-09 2023-05-15 채령 고정형 @(Crazy A)불법촬영카메라 탐지 배선반 시스템
KR102578878B1 (ko) * 2023-04-21 2023-09-15 (주)세이프티랩 자가 관리형 비상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502B1 (ko) 2008-05-02 2014-08-27 주식회사 드림넷코리아 비상벨 시스템
KR20160035767A (ko) * 2014-09-24 2016-04-01 주식회사 코너스톤스마트 블루투스 및 방향센서를 이용한 미아 찾기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2532210B1 (ko) * 2022-06-09 2023-05-15 채령 고정형 @(Crazy A)불법촬영카메라 탐지 배선반 시스템
KR102578878B1 (ko) * 2023-04-21 2023-09-15 (주)세이프티랩 자가 관리형 비상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7152B2 (ja) 危機監視システム
US8552863B2 (en) Integrated mobile identification system with intrusion system that detects intruder
KR101841882B1 (ko) 무인방범 시스템 및 방법
US9779614B2 (en) System and method of alerting CMS and registered users about a potential duress situation using a mobile application
US20070183604A1 (en) Response to anomalous acoustic environments
US11676478B2 (en) Monitoring security
KR102488741B1 (ko) 현장 상황 식별성이 향상된 비상벨 시스템
KR101031868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101342448B1 (ko) 원격 감시 장치와 그 방법
KR102084687B1 (ko) 불법촬영 보안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136251A (ko) 무동작 인식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1750B1 (ko) 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갖는 비상벨 시스템
CN218273143U (zh) 一种数字孪生监控系统
JP2005309965A (ja) 宅内セキュリティ装置
US118695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bell based on sound
KR20010077720A (ko) 영상 전송용 보안 시스템
KR101509223B1 (ko) 모니터링 자동 포착기능이 구비된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 처리방법
US20220189267A1 (en) Security system
KR101416076B1 (ko) 감시카메라 비상호출 시스템
KR20020066920A (ko) 음성경비시스템
KR100803951B1 (ko) 직원사칭 가정 출입 범죄 예방을 위한 rfid 보안장치
KR0173182B1 (ko) 음성모니터링 경보시스템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WO2024009526A1 (ja) デジタル侵入検知システム
KR20050096277A (ko) 통합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