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965A - 안경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965A
KR20090112965A KR1020080038774A KR20080038774A KR20090112965A KR 20090112965 A KR20090112965 A KR 20090112965A KR 1020080038774 A KR1020080038774 A KR 1020080038774A KR 20080038774 A KR20080038774 A KR 20080038774A KR 20090112965 A KR20090112965 A KR 20090112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mple
front frame
head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쓰오 미카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Priority to KR102008003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965A/ko
Publication of KR2009011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과제] 장시간에 걸쳐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끼워 지지했을 때에 사용자가 고통을 느끼지 않게 한 안경 프레임을 구성한다.
[해결수단] 렌즈를 유지하는 수지제 혹은 금속제의 프론트 프레임과, 이 프론트 프레임의 이면 양측에 일단이 고착되고, 중앙부가 안쪽으로 만곡하고 있는 한 쌍의 탄성체와, 이 탄성체의 타단에 각각 설치된 모던을 갖는 템플로 구성하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 혹은 타단의 한 쪽에 힌지가 연결되어 있는 안경 프레임.

Description

안경 프레임 {EYEGLASS FRAME}
이 발명은 렌즈를 유지하는 프론트 프레임의 이면 양측에 탄성체를 개재하여 템플을 부착한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의 프론트 프레임에 있어서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풀 림 타입의 것이나, 하프 림 타입이 존재한다. 그리고, 좌우 렌즈를 부착하는 림의 이면 양측에는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측부에 접촉하는 한 쌍의 템플이 소정의 확개 상태로부터 안쪽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 접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는, 최대로 바깥쪽으로 회전운동하여 정지한 상태로 템플이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귀부분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폭의 크기에 따라서, 주로 템플의 휘어진 상태를 조정하여 사용중에 사용자가 꽉 조이게 느끼지 않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는, 주로 템플의 휘어진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에 최적인 상태를 확보하려고 하고 있지만, 템플은 고정부와 일체가 되고 있으므로, 템플의 조정이 림에 부착하고 있는 고정부에 영향을 주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조정은 주로 템플을 조정함으로써 실시하므로, 아무래도 템플의 프론트 프레임측을 변위하지 않는 상태로 템플을 만곡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부분에는 템플의 내면의 일부가 점형상으로 접촉하는 조정이 되어 머리부분에의 접촉력이 커져, 머리부분에 고통이 생길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3-43427호
이 발명은, 소정의 확개 상태보다 안쪽으로 접기 가능하게 되어 있는 템플을, 탄성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하여 템플 전체를 변위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대해서 작은 접촉력 밖에 작용하지 않게 하여 장착감을 작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고통이 생길 우려를 없게 하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소정의 확개 상태보다 안쪽으로 접기 가능하게 되어 있는 템플을, 일단이 프론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체의 타단에 연결시켜 템플 전체를 탄성체에 의해서 변위 가능하게 하여,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대해서 템플에 연결한 모던이 면형상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대해서 작은 접촉력이 작용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장착감을 작게 하여 머리부분에 고통이 생길 우려를 없게 한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렌즈를 유지하는 프론트 프레임과, 이 프론트 프레임의 이면 양측에 각각 배열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템플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템플와의 사이에, 중앙부가 안쪽으로 만곡하고 있는 탄성체를 각각 배열설치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을 금속제 혹은 수지제로 하고, 또한, 상기 템플을 금속제 혹은 수지제로 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렌즈를 유지하는 금속제 혹은 수지제의 프론트 프레임과, 이 프론트 프레임의 이면 양측에 각각 배열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끼워 지지하는 금속제 혹은 수지제의 한 쌍의 템플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템플의 사이에, 중앙부가 안쪽으로 만곡하고 있는 탄성체를 각각 배열설치하고,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탄성체와의 사이에 각각 힌지를 배열설치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렌즈를 유지하는 금속제 혹은 수지제의 프론트 프레임과, 이 프론트 프레임의 이면 양측에 각각 배열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끼워 지지하는 금속제 혹은 수지제의 한 쌍의 템플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템플과의 사이에, 중앙부가 안쪽으로 만곡하고 있는 탄성체를 각각 배열설치하고, 또한, 상기 탄성체와 템플과의 사이에 각각 힌지를 배열설치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는, 렌즈를 유지하는 금속제 혹은 수지제의 프론트 프레임과, 이 프론트 프레임의 이면 양측에 일단이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중앙부가 안쪽으로 만곡하고 있는 한 쌍의 탄성체, 및 이 탄성체의 타단에 각각 설치된 모던을 갖는 템플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확개시에는, 템플만이 변위할 뿐만 아니라, 탄성체에 의해서 템플 전체가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진다. 게다가, 금속제 혹은 수지제의 프론트 프레임도 다소 확개하므로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대해서 템플에 설치된 모던의 내면이 면형상으로 접촉하게 되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대해서 접촉력이 작아지게 되어 장착감을 줄여, 사용중에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고통이 생 길 우려를 없앨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이 발명에 의한 안경 프레임(1)의 제 1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 2에는 개략 정면도가, 그리고 도 3에는 기울기 위쪽에서 본 개략도가 각각 나타나 있고, 또한 도 4에는 프론트 프레임과 탄성체와 템플과의 연결 상태의 개략도가 나타나 있다.
이 안경 프레임(1)은 금속제의 풀 림 타입으로서, 좌우 한 쌍의 렌즈(2,2)가 부착되고, 브리지부(4)로 연결되어 있는 프론트 프레임을 형성하는 림(3,3)과, 이 림(3,3)의 바깥쪽 끝단에 설치되어 렌즈(2,2)를 교환할 때에 렌즈(2,2)의 바깥둘레를 끼워 지지, 개방하는 고정부(5,5)와, 이 고정부(5,5)에 연결되는 탄성체(6,6)와, 이 탄성체(6,6)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귀부분의 상부를 누른 상태로 끼워 지지하는 템플(7,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림(3,3)의 양측의 고정부(5,5)에는 나사(8,8)가 설치되어, 이 나사의 나사식 맞춤상태에 따라서 림(3,3)을 개방 가능하고, 개방했을 때에 내부에 렌즈(2,2)를 위치하여, 이 후 단단히 조임으로써 렌즈(2,2)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림(3,3)의 양측의 고정부(5,5)에 연결된 탄성체(6,6)는, 중앙부가 안쪽으로 역U자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 탄성체(6,6)에는 힌지(10,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템플(7,7)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10,10)에 의해서 상기 템플(7,7)은 접어, 확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9, 9는 사용자의 코의 양측에 접촉하는 노이즈 패드, 11, 11은 템플(7)의 선단에 설치된 모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경 프레임(1)에 있어서, 우선, 접은 상태로부터 양 템플(7,7)을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사용을 개시하기 위해서 양 템플(7,7) 사이에 머리부분을 삽입, 즉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양 귀부분의 위쪽 사이를 양 템플(7,7)로 끼워 지지한다.
이 끼워 지지시에는, 양템플(7,7)을 확개하면 템플(7,7)이 힌지(10,10)를 지점으로 하여 확개할 뿐만 아니라, 경첩(10,10)과 연결하여 안쪽으로 만곡하고 있는 탄성체(6,6)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즉, 확개 상태의 양 템플(7,7) 사이를 머리부분보다 좁게 해둠으로써, 탄성체(6,6) 중 고정부(5,5)와의 반대측의 부분을 탄성변형시키는 것과, 탄성체(6,6)에 설치한 힌지(10,10)를 지점으로 하여 템플(7,7)이 바깥쪽으로 변위하는 것이 더불어, 템플(7,7) 자체가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면형상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안경 프레임의 경우와 같이 템플(7,7)의 일부가 머리부분과 접촉하여 그 부분의 머리부분에 큰 힘을 작용시켜 사용자가 강한 장착감을 느끼는 것과 달리, 템플(7,7)이 면형상으로 접촉하여 그 부분의 머리부분에 작은 힘이 작용하므로, 장시간에 걸쳐 사용해도 사용자가 강한 장착감을 느끼는 일이 없다.
게다가, 확실히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끼워 지지하고 있으므로 사용중에 어긋나거나 낙하하거나 할 우려는 전혀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풀 림 타입의 안경 프레임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일 없이, 하프 림 타입, 투 포인트 타입의 안경 프레임이더라도 좋 다. 안쪽으로 만곡한 탄성체(6,6) 및 이 탄성체(6,6)에 힌지(10,10)를 사이에 두고 연결한 템플(7,7)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면형상으로 접촉하여 작은 작용력으로 확실히 끼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시간에 걸쳐 사용했을 때이더라도 고통을 느낄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또한, 탄성체(6,6)와 템플(7,7)을 힌지(10,10)를 사이에 두고 연결했지만, 고정부(5,5)와 탄성체(6,6)를 힌지(10,10)를 사이에 두고 연결하더라도 좋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이 발명에 의한 안경 프레임의 제 2 실시의 형태가 나타나 있고, 도 5는 안경 프레임(21)의 개략 평면도, 도 6은 개략 정면도, 도 7은 기울기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이 안경 프레임은 수지제의 풀 림 타입으로서, 좌우 한 쌍의 렌즈(22,22)가 부착되는 것과 함께, 중앙부에 브리지부(24)가 설치된 프론트 프레임(23)과, 이 프론트 프레임(23)의 이면 양 바깥쪽 끝단부에 설치된 탄성체(25,25)와, 이 탄성체(25,25)의 상기 프론트 프레임(23)과의 반대측에 힌지(26,26)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의 귀부분의 상부를 눌러, 그 부위를 끼워 지지하게 되어 있는 템플(27,2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23)의 양측에 설치된 탄성체(25,25)는, 그 일단에 설치된 매설부(28,28)가, 프론트 프레임(23)의 바깥쪽 끝단부에 매설되는 것에 의해 프론트 프레임(23)의 양 바깥쪽 끝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양 탄성체(25,25)는 중앙부가 안쪽으로 역U자형상으로 만곡하고 있어 탄성이 크게 형성되고 있다.
상기 양 탄성체(25,25)의 타단에 힌지(26,26)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는 템플(27,27)은, 코어부(29,29)와, 이 코어부(29,29)를 덮는 덮개부(30,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체(25,25)의 끝단부와 코어부(29,29)와의 사이가 힌지(26,26)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템플(27,27)은, 그것을 구성하는 덮개부(30,30)가 상기 탄성체(25,25)와 반대측의 끝단부에서 모던(31,31)으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32, 32는 사용자의 코의 양측에 접촉하는 노이즈 패드이다.
따라서, 상기 경첩(26,26)에 의해서 상기 템플(27,27)은 도면에 나타내는 위치와 이 위치로부터 안쪽으로 접은 위치와의 사이를 접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경 프레임에 있어서는, 우선, 접은 상태로부터 양 템플(27,27)을 확개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을 개시하기 위해서 양 템플(27,27) 사이에 머리부분을 삽입하여 머리부분의 양 귀부분의 위쪽 사이를 끼워 지지한다.
이 끼워 지지할 때에 양 템플(27,27)을 확개하면 템플은 힌지를 지점으로 하여 확개할 뿐만 아니라 탄성체(25,25)를 탄성변형시킨다.
즉, 확개 상태의 양 템플(27,27) 사이를 머리부분보다 좁게 해 둠으로써, 탄성체(25,25)는 매설부(28,28)를 지점으로 하여 타단의 부분을 확대하여 탄성변형시키는 것과, 수지제의 프론트 프레임이 다소 변위하는 것이 더불어, 템플(27,27) 자체가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면형상으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일반적인 안경 프레임의 경우와 같이 템플(27,27)의 일부가 머 리부분과 접촉하여 그 부분의 머리부분에 큰 힘을 작용시켜 사용자가 강한 장착감을 느끼는 것과 달리, 템플(27,27)이 면형상으로 접촉하여 머리부분에 작은 힘이 작용하므로,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강한 장착감을 느끼는 일은 없다. 게다가, 확실히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끼워 지지하고 있으므로 사용중에 어긋나거나 낙하하거나 할 우려는 전혀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실시의 형태에서는 프론트 프레임을 금속제로 하고, 템플도 금속제로 한 것을 나타냈지만, 프론트 프레임을 금속제, 템플을 수지제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의 형태에서는 프론트 프레임을 수지제로 하고, 템플도 수지제로 한 것을 나타냈지만, 프론트 프레임을 수지제, 템플을 금속제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의 형태에서는 힌지를 탄성체와 템플과의 사이에 설치했지만, 탄성체와 고정부와의 사이에 설치해도 좋고, 또한, 상기 제 2 실시의 형태에서는 경첩을 탄성체와 템플과의 사이에 설치했지만, 매설부와 탄성체와의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한편,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풀 림 타입의 안경 프레임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일 없이, 하프 림 타입이더라도 좋고, 안쪽으로 만곡한 탄성체 및 이 탄성체에 힌지를 사이에 두고 연결한 템플을 채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부분에 면형상으로 접촉하여 작은 작용력으로 확실히 끼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시간에 걸쳐 사용했을 때이더라도 고통을 느낄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안경 프레임의 제 1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안경 프레임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안경 프레임을 기울기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안경 프레임의 프론트 프레임과 탄성체와 템플과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안경 프레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안경 프레임을 기울기 위쪽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안경 프레임 2, 22 : 렌즈
3 : 림 4, 24 : 브리지부
5 : 고정부 6, 25 : 탄성체
7, 27 : 템플 8 : 나사
9, 32 : 노이즈 패드 10, 26 : 힌지
11, 31 : 모던 23 : 프론트 프레임
28 : 매설부 29 : 코어부
30 : 덮개부

Claims (7)

  1. 렌즈를 유지하는 프론트 프레임과, 이 프론트 프레임의 이면 양측에 각각 배열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끼워 지지하는 한 쌍의 템플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템플과의 사이에, 중앙부가 안쪽으로 만곡하고 있는 탄성체를 각각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금속제인 안경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수지제인 안경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은 금속제인 안경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은 수지제인 안경 프레임.
  6. 렌즈를 유지하는 금속제 혹은 수지제의 프론트 프레임과, 이 프론트 프레임의 이면 양측에 각각 배열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끼워 지지하는 금속제 혹은 수지제의 한 쌍의 템플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템플의 사이에, 중앙부가 안쪽으로 만곡하고 있는 탄성체를 각각 배열설치하고, 또한,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탄성체와의 사이에 각각 힌지를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 레임.
  7. 렌즈를 유지하는 금속제 혹은 수지제의 프론트 프레임과, 이 프론트 프레임의 이면 양측에 각각 배열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끼워 지지하는 금속제 혹은 수지제의 한 쌍의 템플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템플과의 사이에, 중앙부가 안쪽으로 만곡하고 있는 탄성체를 각각 배열설치하고, 또한, 상기 탄성체와 템플과의 사이에 각각 힌지를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프레임.
KR1020080038774A 2008-04-25 2008-04-25 안경 프레임 KR20090112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74A KR20090112965A (ko) 2008-04-25 2008-04-25 안경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74A KR20090112965A (ko) 2008-04-25 2008-04-25 안경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65A true KR20090112965A (ko) 2009-10-29

Family

ID=41554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774A KR20090112965A (ko) 2008-04-25 2008-04-25 안경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9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0509A (ko) * 2013-03-08 2014-09-17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안경 프레임
KR20140111458A (ko) * 2013-03-11 2014-09-19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안경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0509A (ko) * 2013-03-08 2014-09-17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안경 프레임
KR20140111458A (ko) * 2013-03-11 2014-09-19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안경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0995B1 (ja) 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JP2008083299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レンズ取付け部の構造及びレンズの取付け方法
US7722188B2 (en) Eyeglass frame
JP4824513B2 (ja) 眼鏡フレーム
EP2107415B1 (en) Eyeglass frame
KR20090112965A (ko) 안경 프레임
JP4824473B2 (ja) 眼鏡フレーム
JP4824510B2 (ja) 眼鏡フレーム
JP4824509B2 (ja) 眼鏡フレーム
JP4824475B2 (ja) 眼鏡フレーム
JP2007206360A (ja) 眼鏡フレーム
JP3814615B2 (ja) 眼鏡フレーム
KR20090092948A (ko) 안경 조립체
JP4084130B2 (ja) メガネフレーム
JP5190533B2 (ja) 眼鏡フレーム
CN220105449U (zh) 一种具有弹性铰链结构的眼镜
TWI504966B (zh) 眼鏡框
CN220289968U (zh) 一种战术眼镜
JP3022723U (ja) バネ式ブリッジを備えた眼鏡フレーム
JP2007322789A (ja) 眼鏡フレーム
JP3143907U (ja) 医療用ルーペ付き眼鏡の鼻への負担軽減部材
JP2001305489A (ja) 眼鏡のノーズパッド並びに眼鏡及びその製造方法
JP4824474B2 (ja) 眼鏡フレーム
JP2023040338A (ja) 眼鏡レンズのクッション材及びクッション材を備えた眼鏡
JP2007206361A (ja) 眼鏡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919

Effective date: 201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