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354A -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354A
KR20090112354A KR1020080038192A KR20080038192A KR20090112354A KR 20090112354 A KR20090112354 A KR 20090112354A KR 1020080038192 A KR1020080038192 A KR 1020080038192A KR 20080038192 A KR20080038192 A KR 20080038192A KR 20090112354 A KR20090112354 A KR 20090112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curtain
opening
slab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013B1 (ko
Inventor
김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8003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01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1/00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25Supports; Baskets; Containers;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6Monitoring the characteristics (composition, quantities, temperature, pressure) of at least one of the gases of the kiln atmospher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로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가열로에 구비되는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가 가능한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는 슬라브가 유입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가열로에 구비되어 가열로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열차단 커튼이 구비되는 개폐도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가열로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높이를 확인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작동을 통해 검출된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열차단 커튼의 하단부 높이가 장입되는 슬라브의 상부면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가열로의 내부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열차단 커튼이 가열로로 장입되는 슬라브들 사이에 물리게 되어 발생하는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가열로, 열차단, 열차단 커튼, 높이제어, 슬라브

Description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APPATARUS FOR CONTROLLING HEIGHT OF CURTAIN ON REHEATING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로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가열로에 구비되는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가 가능한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로는 슬라브를 재가열하여 원하는 형태의 재료로 압연 등의 공정을 거쳐 가공하기 위한 장치의 일종이다.
가열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열로(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슬라브(17)의 가열시 내부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고, 또는 외부로 방출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열로의 개구부에 열차단 커튼(14)이 구비되는 개폐도어(12)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 개폐도어(12)는 가열로(11)의 어느 일 측에 구비되는 구동부(13)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 위치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슬라브(17)가 유입되는 개구부를 차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슬라브(17)는 이송장치(미도시)를 따라 이동되어 장입대(16)에 얹혀진 상태로 대기되며, 푸셔(18)에 의해 워킹빔 등과 같은 구 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부(15)로 밀려 가열로(11)의 내부로 장입된다.
이 경우, 푸셔(18)의 작동거리(스크로크)의 오차가 발생하거나, 이송부 등과 푸셔의 작동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앞서 장입된 슬라브와 뒤를 이어 장입되는 슬라브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면서 열차단 커튼이 두 슬라브 사이에 물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장입되는 슬라브들의 무게는 상당한 중량을 갖기 때문에 열차단 커튼이 두 슬라브 사이에 물려진 상태로 이송되는 경우, 열차단 커튼이 파손되거나, 또는 개폐도어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열차단 커튼이 두 슬라브 사이에 물리게 되는 경우는 슬라브의 장입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장입된 슬라브의 장입 상태가 불량한 경우, 장입된 슬라브를 역장입 시켜야만 하는데, 이때, 뒤를 이어 장입되어야하는 슬라브가 이송되어 역장입되는 슬라브와 간격이 좁혀지게 되면서 열차단 커튼이 두 슬라브 사이에 물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에도 열차단 커튼이 파손되거나, 또는 개폐도어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열차단을 위하여 구비되는 열차단 커튼은 슬라브의 상부면과 항상 일정한 길이의 영역이 마찰되어 열차단 커튼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이 경우, 열차단 커튼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차단 커튼이 구비되는 가열로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가열로의 내부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열차단 커튼이 가열로로 장입되는 슬라브들 사이에 물리게 되어 설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설비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가열로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가열로의 열차단 커튼의 높이를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설비사고 및/또는 설비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열차단 커튼이 슬라브들 사이에 물린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작업의 중단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가열로 내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열차단 커튼의 마모시 교체를 위한 비용 및/또는 부품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가열로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가열로의 열차단 커튼의 높이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는 슬라브가 유입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가열로에 구비되어 가열로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열차단 커튼이 구비되는 개폐도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가열로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높이를 확인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의 작동을 통해 검출된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열차단 커튼의 하단부 높이가 장입되는 슬라브의 상부면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폐도어에는 구동부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열차단 커튼은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구동부에 의해 개폐도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감지부의 작동을 통해 검출된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열차단 커튼의 하단부 높이가 장입되는 슬라브의 상부면 높이에 위치하도록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구동부의 작동을 함께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는 가열로에 구비되어 가열로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개폐도어와; 개폐도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차단 커튼과; 개폐도어에 구비되며, 열차단 커튼을 개폐도어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가열로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높이를 확인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의 작동을 통해 검출된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열차단 커튼의 하단부 높이가 장입되는 슬라브의 상부면 높이에 위치하도록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열차단 커튼은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커튼 홀더부와; 커튼 홀더부에 매달리도록 장착되는 단열매트와; 장입되는 슬라브의 폭과 상응하는 폭으로 단열매트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상태로 커튼 홀더부에 매달리도록 장착되는 스테인리스 메쉬와; 스테인리스 메쉬의 단부에 결합되며, 교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열매트는 이중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스테인리스 메쉬는 어느 일 측 단열매트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보강부재는 스테인리스 메쉬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로의 내부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열차단 커튼이 가열로로 장입되는 슬라브들 사이에 물리게 되어 발생하는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로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가열로의 열차단 커튼의 높이를 제어 가능하도록 하여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브 사이에 열차단 커튼이 물리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열차단 커튼이 슬라브에 물린 상태를 해결하거나, 설비사고로 인하여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단 커튼의 마모시 교체를 위한 비용 및/또는 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가열로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두께에 따라 가열로의 열차단 커튼의 높이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일 예를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열로(110)의 개구부 측 영역에 내부의 열이 방출되지 않도록 개폐도어(120)가 구동부(130)에 의해 승강하여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도어(120)의 일 측에는 가열로(110)의 내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하여 열차단 커튼(140)이 구 비된다. 이 경우, 상기 열차단 커튼(140)은 단열매트(142)가 장착부(141)에 의해 개폐도어(120)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열매트(142)에는 스테인리스 메쉬(142)로 슬라브(170)의 폭과 상응하는 영역이 감싸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단열매트(142)는 이중으로 배치되고, 어느 일 단열매트(142)에 스테인리스 메쉬(142)가 감싸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개폐도어(120)는 가열로(11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차단 커튼(140)은 개폐도어(120)와 슬라브(170) 사이의 틈새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로(110)의 개구부를 통해 슬라브(170)가 이송되어 장입될 수 있도록 워킹빔과 같은 이송부(150)가 구비되어 복수의 슬라브(170)가 차례로 가열로(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150)의 일 측에는 슬라브(170)가 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가열로(110)의 내부로 장입을 위하여 대기하게 되는 장입대(160)가 구비되고, 상기 장입대(160)의 일측에는 장입대(160) 위에 위치되는 슬라브(170)를 밀어 이송부(150)로 옮기기 위한 푸셔(180)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로(110)로 장입을 위해 슬라브(170)가 이송되는 어느 일 위치에는 슬라브(170)의 높이를 확인하는 감지부(1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91)는 도시된 것과 같이, 장입대(160)의 일 측 영역에 배치되어 장입되기 전 슬라브(170)의 높이를 측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부(191)는 이송장치에 의해 장입대(160)로 옮겨져 푸셔(180)에 의해 다시 이송부(150)로 옮겨지는 슬라브(170) 및 상기 슬라브(170)를 밀게 되는 푸셔(180)의 작동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부(191)는 종래에 알려진 측정장치 또는 측정기구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191)로부터 측정(확인)되는 슬라브(170)의 높이를 검출하여 개폐도어(12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2)는 구동부(130) 자체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부(130)와 연결되는 독립된 제어부(192)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브(170)가 상기 가열로(110)의 내부로 장입되기 위하여 이송되는 경우, 감지부(191)에 의해 높이가 측정되어 제어부(192)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191)에서 송출되는 슬라브(170)의 높이정보를 통해, 상기 제어부(192)에서는 검출된 슬라브(170)의 상부면에 상기 열차단 커튼(140)의 하단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구동부(130)를 작동시켜 개폐도어(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작동 등에 의해 두 슬라브(170)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는 경우에도 열차단 커튼(140)의 단열매트(142) 및/또는 스테인리스 메쉬(143)가 끼이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가열로(110)의 개구부 측 영역에 내부의 열이 방출되지 않도록 개폐도어(120)가 구동부(130)에 의해 승강하여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120)의 일 측에는 가열로(110)의 내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하여 단열매트(142) 또는 단열매트(142)와 스테인리스 메쉬(142)가 구비되는 단열매트(142)가 구비되는 열차단 커튼(140)이 장착부(141)에 의해 개폐도어(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차단 커튼(140)의 장착부(141)는 상기 개폐도어(12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120)에는 상기 열차단 커튼(140)의 장착부(141)를 승강하기 위한 구동부(1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열차단 커튼(140)의 높이 조절은 상기 개폐도어(120)에 구비되는 구동부(193)를 작동하여 열차단 커튼(140)의 장착부(141)를 개폐도어(12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열차단 커튼(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열차단 커튼(140)의 이동과 함께 상기 개폐도어(120)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열차단 커튼(14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열차단 커튼(140)의 단열매트(142)에는 스테인리스 메쉬(142)로 슬라브(170)의 폭과 상응하는 영역이 감싸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단열매트(142)가 이중으로 배치되고, 어느 일 단열매트(142)에 스테인리스 메쉬(142)가 감싸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가열로(110)로 장입을 위해 슬라브(170)가 이송되는 어느 일 위치에는 슬라브(170)의 높이를 확인하는 감지부(19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 고, 상기 감지부(191)는 장입되기 전 슬라브(170)의 높이를 측정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191)로부터 측정(확인)되는 슬라브(170)의 높이를 검출하여 개폐도어(120)에 구비되는 구동부(193)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어부(192)는 상기 감지부(191)로부터 측정되는 슬라브(170)의 높이를 검출하여 개폐도어(12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제어부(192)는 개폐도어(120)에 구비되는 구동부(193)와 개폐도어(12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130)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브(170)가 상기 가열로(110)의 내부로 장입되기 위하여 이송되는 경우, 감지부(191)에 의해 높이가 측정되어 제어부(192)로 송출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191)에서 송출되는 슬라브(170)의 높이정보를 통해, 상기 제어부(192)에서는 검출된 슬라브(170)의 상부면에 상기 열차단 커튼(140)의 하단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구동부(130)를 작동시켜 개폐도어(120) 및/또는 열차단 커튼(140)의 장착부(141) 위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작동 등에 의해 두 슬라브(170)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는 경우에도 열차단 커튼(140)의 단열매트(142) 및/또는 스테인리스 메쉬(143)가 끼이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차단 커튼(140)에 구비되는 스테인리스 메쉬(14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단부에 보강부재(14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 우, 보강부재(144)는 상기 스테인리스 메쉬(143)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 예로는 보강부재 바디(144a)에 걸림축(144b)을 구비하여 상기 스테인리스 메쉬(143)의 단부에 매달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재(144)의 바디(144a)는 상기 스테인리스 메쉬(143)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부재(144)의 바디(144a)도 스테인리스 메쉬(143)와 같이 스테인리스 재질의 메쉬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인리스 메쉬(143)와 스테인리스 메쉬(143)가 구비되는 단열메트(142)의 길이는 보강부재(144)의 하단부가 스테인리스 메쉬가 구비되지 않는 단열매트(142)의 하단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짧은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보강부재(144)가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열차단 커튼(140)의 단부가 이동하는 슬라브(170)의 상부면과 접촉하여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 보강부재(144) 만을 스테인리스 메쉬(143)로부터 분리하여 새로운 보강부재(144)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된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는 각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차단 커튼이 구비된 개폐도어가 가열로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가열로 내부의 열을 차단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의 일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의 일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열차단 커튼의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강부재의 일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0 ... 가열로 120 ... 개폐도어
130,193 ... 구동부 140 ... 열차단 커튼
141 ... 단열매트 143 ... 스테인리스 메쉬
144 ... 보강부재 150 ... 이송부
160 ... 장입대 170 ... 슬라브
180 ... 푸셔 191 ... 감지부
192 ... 제어부

Claims (6)

  1. 슬라브가 유입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가열로에 구비되어 가열로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열차단 커튼이 구비되는 개폐도어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가열로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높이를 확인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작동을 통해 검출된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열차단 커튼의 하단부 높이가 장입되는 슬라브의 상부면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에는 구동부가 더 구비되고, 열차단 커튼은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구동부에 의해 개폐도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의 작동을 통해 검출된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열차단 커튼의 하단부 높이가 장입되는 슬라브의 상부면 높이에 위치하도록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구동부의 작동을 함께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3. 가열로에 구비되어 가열로 내부의 열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개폐도어와;
    상기 개폐도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열차단 커튼과;
    상기 개폐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열차단커튼을 개폐도어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가열로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슬라브의 높이를 확인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작동을 통해 검출된 슬라브의 높이에 따라 열차단 커튼의 하단부 높이가 장입되는 슬라브의 상부면 높이에 위치하도록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구동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 커튼은
    개폐도어에 구비되는 커튼 홀더부와;
    상기 커튼 홀더부에 매달리도록 장착되는 단열매트와;
    장입되는 슬라브의 폭과 상응하는 폭으로 상기 단열매트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커튼 홀더부에 매달리도록 장착되는 스테인리스 메쉬와;
    상기 스테인리스 메쉬의 단부에 결합되며, 교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매트는 이중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테인리스 메쉬는 어느 일 측 단열매트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열차 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스테인리스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KR1020080038192A 2008-04-24 2008-04-24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KR100967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192A KR100967013B1 (ko) 2008-04-24 2008-04-24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192A KR100967013B1 (ko) 2008-04-24 2008-04-24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354A true KR20090112354A (ko) 2009-10-28
KR100967013B1 KR100967013B1 (ko) 2010-06-30

Family

ID=4155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192A KR100967013B1 (ko) 2008-04-24 2008-04-24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0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38B1 (ko) * 2013-12-06 2015-03-19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결함 방지기능을 갖는 열간 압연설비
KR20210076791A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코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410B1 (ko) * 2013-05-20 2014-08-14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도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62B2 (ja) * 1984-02-14 1994-04-2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加熱炉のスラブ出口のシール装置
KR100268850B1 (ko) 1996-12-13 2000-10-16 이구택 연주기의 디버러커터 높이 자동 조절 장치
KR100942105B1 (ko) * 2002-12-24 2010-02-12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의 장입도어 제어장치
KR100613263B1 (ko) 2005-09-26 2006-08-22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용 내화 커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38B1 (ko) * 2013-12-06 2015-03-19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결함 방지기능을 갖는 열간 압연설비
KR20210076791A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코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013B1 (ko) 201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013B1 (ko) 가열로 열차단 커튼의 높이 제어장치
KR101529357B1 (ko) 코크스 노의 노 커버에 있는 장입 구멍 프레임으로부터 커버판을 들어올리고 장입 구멍 프레임을 클리닝하기 위한, 석탄 장입 카트 상의 장치
KR20100123862A (ko) 코크스로의 노 챔버 장입 장치
KR20100048329A (ko) 코크스 오븐의 연소실 온도 자동 측정 장치
RU2497058C2 (ru) Печной агрегат
WO2015187384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e-stacking, pre-heating and charging metal ingots for a melting furnace
KR101754054B1 (ko) 번인 테스트 장치용 슬라이딩 개폐도어 및 개폐 제어 시스템
KR101597261B1 (ko) 원료의 장입 레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CA3003901C (en) Glass sheet mold apparatus and method
EP1932796A1 (en) Door device for elevator
KR101280463B1 (ko) 전기로의 용융물 높이측정장치
KR101129179B1 (ko) 코크스오븐 장입차의 드롭슬리브 센터링장치
KR20170020958A (ko) 보열설비 및 그 제어방법
JP5408797B2 (ja) 注湯設備
KR102372479B1 (ko) 금속 검출장치
JP6038262B1 (ja) 管の熱処理装置および熱処理方法
CN107388841A (zh) 一种温度在线检测装置
CN105460720A (zh) 电梯
KR20110130682A (ko) 온도 측정 장치
KR101548301B1 (ko)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
KR20160010204A (ko) 가열로 내부로의 소재 장입 장치
KR101204828B1 (ko) 가열로
KR101462165B1 (ko) 대상물 이송 장치
KR102104241B1 (ko) 다층식 열처리로와 이를 이용한 금속소재의 가열을 위한 운용방법
KR101220561B1 (ko) 불량재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