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314A -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및 이를 이용한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 Google Patents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및 이를 이용한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314A
KR20090112314A KR1020080038127A KR20080038127A KR20090112314A KR 20090112314 A KR20090112314 A KR 20090112314A KR 1020080038127 A KR1020080038127 A KR 1020080038127A KR 20080038127 A KR20080038127 A KR 20080038127A KR 20090112314 A KR20090112314 A KR 20090112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community
overseas
establisher
lo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은
정재욱
김인정
최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8003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314A/ko
Publication of KR20090112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27Filtering policies
    • H04L63/0236Filtering by address, protocol, port number or service, e.g. IP-address or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개설자 커뮤니티에 대한 상기 제1 개설자의 새글 등록을 알리는 제1 로그 정보를 수신하면 제1 로그 정보에 포함된 제1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국내 IP 주소인지 해외 IP 주소인지를 파악하고,제1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인 경우에 기 저장된 위치테이블-개설자별 제1 커뮤니티의 주소에 대응된 IP 주소별로 해외지역 식별정보가 매칭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해외지역을 파악하며, 이때 파악한 해외지역을 포함하는 세계 지도를 생성한 후특정 웹페이지에 상기 세계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세계 지도의 해당 해외지역 상에 상기 제1 개설자의 새글이 올라왔음을 알리는 새글등록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계 각국에서 올라오는 새글을 실시간으로 지도상으로 인터넷 접속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같은 지역을 블로거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같은 지역 블로거 간에 소속감이나 네트워크를 강화시킬 수 있다.
커뮤니티, 블로그, 실시간 표시, 새글등록, 지도

Description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Method for searching a activity region of the community manager and method to inform new writing based the searching a activity region}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의 커뮤니티(community)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터넷 커뮤니티를 개설한 개설자가 활동하는 지역을 파악하고, 개설자별 활동 지역을 기반으로 특정 인터넷 기반 커뮤니티에 새로이 게시되는 새글을 실시간으로 지도상에 표시하는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에는 블로그, 미니홈피, 카페, 게시판 등 다양한 종류의 커뮤니티가 존재한다. 이러한 커뮤니티는 개설자는 물론 방문자도 글이나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공개 또는 비공개 정보로 올릴 수 있게 하여, 개설자와 방문자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커뮤니티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광고나 검색 또는 오프라인상의 홍보를 하지 않으면 타인이 알지 못하며, 그로 인해 커뮤니티의 방문자는 개인적으로 알고 있거나 타인을 통해 알게 되거나 또는 인터넷 검색 사이트를 비롯한 타 사이트를 통해 특정 커뮤니티에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접속 방법은 전 세계인이 사용하는 커뮤니티 중에서 극히 제한적인 커뮤니티만 접속하게 하는 문제와, 좀더 많은 커뮤니티를 알고 접속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의 커뮤니티는 개설자가 글이나 동영상, 사진 등의 새글을 올리는 경우에 해당 커뮤니티 내에서만 새글이 올려졌음을 표시할 뿐 불특성 다수가 이를 확인하지 못하여 커뮤니케이션 영역 확대를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블로그나 미니홈피 등 일부 커뮤니티의 경우는 특정인을 멤버로 하여 멤버 중 누구라도 자신의 커뮤니티에 새글을 올리면 다른 멤버들의 커뮤니티에 해당 멤버가 새글을 올렸음을 알게 해주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새글이 올라왔음을 알려주는 것은 특정 커뮤니티(또는 개설자)를 멤버로 등록한 특정인들에게만 국한될 뿐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특정인의 커뮤니티가 존재하고 있음을 불특정 다수가 확인하여 쉽게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특정인의 커뮤니티에 새글이 올라오면 실시간으로 이를 불특정 다수에게 알리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통해 제1 개설자 커뮤니티를 개설한 제1 개설자의 활동지역을 파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제1 커뮤니티에 대한 웹 로그정보를 수집하는 제1 단계; 수집한 웹 로그정보 중에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에서의 상기 제1 개설자에 관련한 제1 로그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로그정보에 포함된 제1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인지를 파악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인 경우에 해외지역별 IP 주소 형태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IP 주소에 대응된 제1 해외지역을 판단하는 제4 단계; 및 위치테이블에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의 주소에 대응하여 상기 제1 IP 주소와 상기 제1 해외지역을 매칭시킨 위치정보를 등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위치테이블에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의 주소에 대응하여 제2 IP 주소가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수집한 웹 로그정보에서 상기 제1 IP 주소에 대한 사용시간 분포와 상기 제2주소에 대한 사용시간 분포를 비교하여 사용시간 분포가 큰 IP 주소와 이에 대응된 해외지역을 상기 위치테이블에 등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4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IP 주소와 상기 제1 해외지역을 판단하면,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의 컨텐츠를 검사하여 상기 제1 해외지역에 관련된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5 단계의 진행을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4 단계에서 파악한 제1 해외지역에 대하여 제1 해외지역의 GMT(Greenwich Mean Time)와 상기 제1 해외지역에 속한 블로그의 주요 활동 시각을 매칭시켜 정확도 순위-주요활동 시각일수록 순위가 높아짐-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위치테이블에 상기 정확도 순위를 추가로 등록한다.
상기에서 제1 커뮤니티는 블로그, 카페, 미니홈피, 게시판 중 하나이며, 상기 해외지역은 국가 또는 국가내 행정구역상의 지역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특정 웹 사이트 상에 구축된 제1 개설자 커뮤니티에 등록되는 상기 제1 개설자의 새글을 알리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에 대한 상기 제1 개설자의 새글 등록을 알리는 제1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로그 정보에 포함된 제1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국내 IP 주소인지 해외 IP 주소인지를 파악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인 경우에 기 저장된 위치테이블-개설자별 제1 커뮤니티의 주소에 대응된 IP 주소 별로 해외지역 식별정보가 매칭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해외지역을 파악하는 제3 단계; 상기 파악한 해외지역을 포함하는 세계 지도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특정 웹페이지에 상기 세계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세계 지도의 해당 해외지역 상에 상기 제1 개설자의 새글이 올라왔음을 알리는 새글등록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로그 정보에 대한 새글이 비공개용인지 공개용인지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제2 내지 제5 단계는 공개용 새글인 경우에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개설자 커뮤니티가 새글 등록 표시를 허용하였는지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제2 내지 제5 단계는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가 새글 등록을 허용한 경우에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IP 주소가 상기 위치테이블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각 해외지역별 IP 주소 형태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소에 해당하는 해외지역을 파악한 후 상기 위치테이블에 상기 제1 IP 주소와 상기 파악한 해외지역을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새글등록 표시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를 제1 개설자 커뮤니티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나라별로 활동하는 블로거 리스트와 해당 블로거들의 새글 리스트를 제공하여 블로그 이용자에게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계 각국에서 올라오는 새글을 실시간으로 지도상으로 인터넷 접속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같은 지역을 블로거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같은 지역 블로거 간에 소속감이나 네트워크를 강화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카페, 미니홈피, 게시판, 블로그 등의 커뮤니티 중 블로그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당업자라면 카페, 미니홈피, 게시판 등의 커뮤니티에 관한 실시 예 또한 블로그를 예로 하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이는 블로그를 포함하는 각 커뮤니티에 관한 실시 예가 서비스 환경, 서비스 방법, 개설자 위치 파악 방법 등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일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그 개설, 각 블로그별 정보 저장과 관리 등을 담당하는 블로그 관리서버(100)가 인터넷 상에 구축되며 블로그 관리서버(100)를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00)가 블로그 관리서버(100)와 연결된다. 물론 데이터베이스(200)는 블로그 관리서버(10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로그 관리서버(100)가 인너넷 상에 위치함으로써, 국내 및 해외 인터넷 사용자는 접속 위치나 통신망의 종류에 상관없이 블로그 관리서버(100)에 접속하면 블로그를 개설하거나, 자신이 개설한 블로그를 이용할 수 있으며, 타인이 개설한 블로그를 방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관리서버(100)와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관리서버와 데이터베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블로그 관리서버(100)는 로그정보 수신부(110), 개설자로그 추출부(120), 위치필터링부(130), 로그정보 파악부(140), 새글등록 처리부(150), 위치테이블 관리부(160), 맵생성부(170)와 블로그 표시부(180)를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200)는 로그 DB(210), 해외 IP(Internet Protocol) DB(220), 위치정보 DB(230), 맵 DB(240)와 블로그 DB(250)를 포함한다.
로그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가 블로그 관리서버(100)에서 관리하는 임의의 블로그를 사용함에 따라 생성되는 각종 로그 정보를 블로그 관리서버(100) 내부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각종 로그 정보를 로그 DB(210)에 저장한다.
여기서 블로그 사용에 따라 생성되는 로그 정보는 블로그 개설자만 관련된 제1 로그 정보와, 개설자와 방문자 모두에 관련된 제2 로그 정보와, 방문자만 관련된 제3 로그 정보로 분류된다. 제1 로그 정보는 개설자만 사용할 수 있는 특정 기능이나 페이지에 관련하여 발생한 로그 정보이고, 제2 로그 정보는 개설자와 방문자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나 페이지에 관련하여 발생한 로그 정보이며, 제3 로그 정보는 방문자만 사용할 수 있는 특정 기능이나 페이지에 관련하여 발생한 로그 정보이다. 제1 내지 제3 로그 정보에는 블로그 주소(예; http://blog.daum.net/XXXXXX), 로그를 발생시킨 블로그 접속자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한다.
개설자로그 추출부(120)는 로그 DB(210)에 저장된 로그 정보 중 제1 로그 정보를 추출한다.
위치필터링부(130)는 개설자로그 추출부(120)에 의해 추출된 제1 로그 정보에 포함된 IP 주소를 IP 주소 형태별 국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해외 IP DB(220)에 적용하여 IP 주소에 해당하는 위치를 파악한다. 이때 위치는 국가이거나 국가 내에 특정 행정구역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IP 주소는 국가별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분되게 사용하고 있으 며, 일부 국가는 국가와 더불어 행정구역 상의 지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IP 주소를 통해 파악한 국가는 해당 블로그 개설자 즉, 블로거가 위치한 국가가 된다.
이러한 블로그 개설자가 위치한 국가를 파악하는 기능에 더하여, 위치필터링부(130)는 지역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음의 제1 내지 제3 필터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위치필터링부(130)는 하나의 블로그에 대해 개설자가 위치한 국가가 복수의 국가로 추출되는 경우에 사용 시간 분포가 큰 국가를 개설자가 위치한 국가로 설정하는 제1 필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 시간 분포가 크다는 것은 하루 24시간 중에서 블로그에 접속한 시각이 제각각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시간을 구애받지 않고 블로그에 접속하는 주거 지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 시간 분포가 작다는 것은 특정 시간대의 이용이 많은 것을 의미하며 이는 그 시간대에 그 지역으로 이동하고 다시 돌아온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 시간 분포가 작은 지역은 방문지역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국가가 추출되는 경우는 예컨대, 개설자가 해외 여행 중이거나 동일 로그인 정보를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한 복수의 사람이 공유한 경우에 발생한다.
위치필터링부(130)는 추출한 국가를 검증하는 제2 필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검증은 실제 블로그 내 컨텐츠 중 해당 국가에 관련된 컨텐츠가 있는지의 유무를 검색하여, 해당 국가에 관련된 컨텐츠가 있으면 추출한 국가를 개설자 위치로 결정하고, 해당 국가에 관련한 컨텐츠가 없으면 다시 한번 다른 종류의 제1 로그정보를 추출하여 국가를 파악한다. 일반적으로 해외에서 활동하는 블로그의 경우 대부분이 그 나라에 대한 정보가 담긴 UCC(User Created Contents)를 가지고 있다.
위치필터링부(130)는 특정 지역의 GMT(Greenwich Mean Time)와 해당 지역에 속한 블로그의 주요 활동 시각 매칭을 통해 정확도 순위를 산출하는 제3 필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분명 블로그의 주요 활동 시각에 위치한 지역(국가)가 개설자가 주로 활동하는 국가일 것이다. 그러므로 정확도 순위는 주요 활동 시각에 위치한 지역이면 높은 순위를 부여하고, 주요 활동 시각에서 멀어질수록 낮은 순위가 부여된다. 정확도 순위는 위치테이블에 포함되는 것이 양호하다. 추후 동일 블로그에 대해 파악한 국가가 위치테이블에 저장된 국가와 다를 경우 GMT를 기반으로 한 정확도 순위를 기준으로 정확도 순위가 높은 국가를 위치테이블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로그정보 파악부(140)는 로그정보 수신부(110)에 수신된 각종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 로그 정보 중 개설자에 의해 새글이 등록되는 경우에 발생한 로그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파악하여 새글등록 이벤트를 알린다.
새글등록 처리부(150)는 로그정보 파악부(140)의 새글등록 이벤트에 따라 동작하여 새글등록 이벤트가 발생한 블로그의 주소를 이용하여 개설자가 위치한 국가(또는 지역)을 파악하고, 전세계 지도 상에 상기 파악한 국가에 새글등록 표시를 한다. 이때 새글등록 표시는 블로그 관리서버(100)가 관리하는 특정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에서 이루어지며, 새글의 간략정보(또는 전문정보)와 블로그 주소가 지도의 해 당 국가 상에 표시되게 한다. 그리고 새글등록 표시는 블로그 주소와 링크되어 사용자가 새글등록 표시를 클릭하면 해당 블로그로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위치테이블 관리부(160)는 위치정보 DB(230)에 저장되는 정보를 추가, 수정, 삭제한다. 위치정보 DB(230)에는 위치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으며, 위치테이블은 적어도 개설자가 위치한 지역(즉, 국가)과 개설자 단말의 IP 주소가 매칭되어 있으며, 블로그 주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테이블 관리부(160)는 위치필터링부(130) 또는 새글등록 처리부(150)의 요청에 따라 추가 정보를 위치테이블에 등록하고, 서비스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 수정 또는 삭제가 이루어진다. 서비스 운용자의 요구는 위치테이블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나 위치테이블의 업데이트 또는, 블로그 개설자가 다 국가를 여행중이거나 실제 정보와 다를 경우에 블로그 개설자의 정보 변경 요청을 받은 경우에 발생한다.
맵생성부(170)는 새글등록 처리부(150)의 요청에 따라 새글을 올린 개설자가 위치한 지역을 포함하는 특정 지도를 맵 DB(240)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이때 생성한 특정 지도는 전세계 지도이거나 특정 대륙(아시아,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북아메리가, 아프리카 등)에 대한 지도이며, 디폴트값으로 정해지거나, 개설자가 위치한 지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로 전세계 지도가 맵 DB(240)에는 전세계 지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블로그 표시부(180)는 블로그 주소에 대응한 블로그의 컨텐츠를 블로그 DB(250)로부터 읽어들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블로그 표시부(180)의 실행은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 상에 특정 블로그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가 지도상에 표시된 새글등록 표시를 선택한 경우, 특정 블로그로의 링크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등이다. 물론 블로그 표시부(180)는 블로그 내에서 컨텐츠 호출이나 다른 블로그로의 이동 요청시에도 실행하여 해당 컨텐츠나 블로그를 블로그 DB(250)로부터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테이블에 기록될 위치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위치테이블에 기록될 위치정보 생성 방법을 순서도로서, 위치테이블을 최초 생성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적어도 블로그 개설자 단말의 IP 주소와 블로그 개설자가 위치한 지역(국가) 정보를 포함한다.
블로그 관리서버(100)는 자신을 통해 블로그를 개설한 개설자가 위치한 국가를 파악하고, 파악한 개설자 식별정보(예; IP 주소)와 국가를 매칭 정보로 관리하기 위하여 개설자 식별정보와 국가를 테이블 값으로 하는 위치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블로그 관리서버(100)는 로그정보 수신부(110)와 로그 DB(210)를 통해 각 블로그별 로그 정보를 수집한다(S301). 그런 다음 개설자로그 추출부(120)는 로그 DB(210)에 수집된 로그 정보 중 블로그 개설자에 관련된 제1 로그 정보(예; 리퀘스트 로그(Request Log) 등)를 추출하고(S302), 추출한 제1 로그정보를 위치필터링부(130)에 제공한다.
위치필터링부(130)는 제1 로그정보에 포함된 IP 주소를 파악하고, 파악한 IP 주소가 국내 IP 주소인지 해외 IP 주소인지를 분석한다(S303).
위치필터링부(130)는 이 분석(S303)에서, IP 주소가 국내 IP이면 해당 IP 주소에 대한 위치정보 생성을 중단하고,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이면(S304) 해외 IP DB(220)를 이용하여 IP 주소에 해당하는 국가를 파악한다(S305).
제1 로그정보를 통해 파악된 IP 주소와 국가 정보가 파악되면 위치테이블 관리부(160)는 IP 주소와 국가 정보를 매칭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테이블값으로 하여 위치테이블을 생성한다(S306).
여기서 제1 로그정보에는 블로그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위치테이블 관리부(160)는 위치테이블 생성시 테이블값으로 블로그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렇게 하나의 블로그에 대하여 개설자 단말의 IP 주소 및 개설자가 위치한 국가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테이블을 생성한 후, 본 발명은 로그 DB(210)에 저장된 나머지 블로그들에 대한 개설자 단말의 IP 주소 및 개설자가 위치한 국가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이러한 반복에 따라 파악한 정보를 기 생성한 위치테이블에 추가한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하나의 블로그에 대하여 개설자 단말의 IP 주소 및 개설자가 위치한 국가를 파악하면 위치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은 로그 DB(210)에 저장된 모든 블로그에 대하여 개설자 단말의 IP 주소 및 개설자가 위치한 국가를 파악한 후에 위치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테이블에 기록될 위치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 치테이블에 기록될 위치정보 생성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위치정보는 적어도 블로그 개설자 단말의 IP 주소와 블로그 개설자가 위치한 지역(국가)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테이블에 기록될 위치정보 생성 방법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과정 S301 내지 S305 과정과 동일하게 각 블로그별 로그 정보를 수집하고(S401), 제1 로그 정보를 추출하며(S402), IP 주소 분석을 통해 해외 IP 주소만을 가려낸다(S403, S404). 그런 다음 해외 IP 주소에 한하여 IP 주소에 해당하는 국가를 파악한다(S405).
위치필터링부(130)는 IP 주소에 대응된 국가를 파악하면, 위치테이블에 동일한 블로그 주소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 동일한 블로그 주소가 없으면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과정으로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위치필터링부(130)는 위치테이블에 동일한 블로그 주소가 있으면 기 저장된 국가와 상기 S405 과정에서 파악한 국가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S406).
상기 비교(S406) 과정에서, 위치필터링부(130)는 저장된 국가와 상기 S405 과정에서 파악한 국가가 동일하면(S407), 더 이상의 위치정보 생성 동작을 하지 않지만, 저장된 국가와 상기 S405 과정에서 파악한 국가가 동일하지 않으면(S407), 서로 다른 국가 중 하나를 선택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한다.
이 필터링 과정은 위치필터링부(130)의 제1 내지 제3 필터링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달성된다. 여기서는 제1 필터링 기능을 이용한 필터링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기 저장된 국가를 제1 국가라 하고 S405 과정에서 파악한 국가를 제2 국가라 한다.
위치필터링부(130)는 로그 DB(210)에서 해당 블로그에 관련한 로그 정보 중 제1 국가에 로그 정보와 제2 국가에 관한 로그 정보를 분류하고, 제1 국가에 대한 사용 시간 분포와 제2 국가에 대한 사용 시간 분포를 구한 다음 사용 시간 분포를 비교한다(S408).
위치필터링부(130)는 상기 비교(S408)에서 사용 시간 분포가 큰 국가를 개설자가 위치한 국가로 선택한다(S409).
이렇게 국가를 선택하고 IP 주소와 블로그 주소가 파악되면 위치필터링부(130)는 위치테이블에서 해당 IP 주소에 대한 정보 즉, 지역(국가) 정보를 갱신한다(S410).
이하, 첨부한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블로그 개설자가 자신의 블로그에 새글을 작성하면, 로그정보 수신부(110)는 내부로부터 로그 정보를 수신하고(S501), 이를 로그정보 파악부(140)에 제공한다. 그러면 로그정보 파악부(140)는 수신한 로그 정보를 분석하여(S502), 개설자가 새글을 등록시키는 것에 대한 로그 정보인지를 파악한다(S503).
분석한 로그 정보가 새글을 등록시키는 것에 대한 로그 정보가 아니면 로그정보 파악부(140)는 다음 로그 정보가 수신되기를 대기한다. 그러나 로그정보 파악부(140)는 분석한 로그 정보가 새글을 등록시키는 것에 대한 로그 정보이면 새글등 록 처리부(150)에 해당 로그 정보를 제공하여 새글 등록 표시를 지시한다.
이에 새글등록 처리부(150)는 로그 정보를 통해 공개글인지 비공개글인지를 파악하고(S504), 공개글인 경우에 로그 정보를 통해 파악한 블로그(즉, 블로그 주소)가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파악한다(S505).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블로그이면 위치테이블에 위치정보를 추가할 필요가 없지만 기존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블로그이면 위치테이블에 위치정보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새글등록 처리부(150)는 상기 파악(S505)에서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블로그라고 판단하면 로그 정보를 통해 파악한 IP 주소가 해외 IP가 아니면(S506), 로그정보를 삭제하여 이후의 과정을 중단한다(S507). 반면에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블로그이면서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이면(S506), 새글이 스팸인지를 확인한 후(S510), 스팸이 아니면 위치테이블을 통해 IP 주소 또는 블로그 주소에 대응된 국가를 파악한다(S511).
한편, 새글등록 처리부(150)는 상기 파악(S505)에서 기존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블로그라고 판단하면 IP 주소가 해외 IP인 경우에(S508), 새글등록 표시를 거부한 블로그인지를 판단한다(S509).
이 판단(S509)에서 등록 거부한 블로그이면 이후의 과정을 중단하고, 등록 거부한 블로그가 아니면(즉 새글등록 표시를 허용한 블로그이면) 새글이 스팸인지를 확인한 후(S510), 스팸이 아니면 위치테이블을 통해 IP 주소 또는 블로그 주소에 대응된 국가를 파악한다(S511).
이렇게 국가를 파악하면 새글등록 처리부(150)는 국가에 대응된 지도 정보를 맵 DB(240)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S511 과정을 통해 파악한 국가와 주변 국가가 표시된 지도를 생성하고(S512), 생성한 지도의 해당 국가 상에 새글등록 표시를 한다(S513).
여기서, 새글등록 처리부(150)는 등록되지 않은 블로그인 경우에 새글등록 표시를 하는 동시에 위치테이블에 위치정보가 추가되게 한다.
이러한 새글등록 표시는 블로그 관리서버(100)가 관리하는 특정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특정 웹페이지 또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인터넷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새글의 내용과 새글이 올라오는 블로그 주소 및 국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새글 등록 표시가 특정 웹페이지(또는 홈페이지)에서 이루어지고 이를 불특정 다수가 확인할 수 있게 되면, 각국마다 활동중인 블로거(또는 블로그 주소)를 알 수 있게 되고, 또한 자신이 있는 국가나 지역에 활동중인 블로거를 알게 된다. 그리고 자신과 유사한 성격의 블로그를 관리하는 블로거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결국 블로그 관리서버는 세계 지도 또는 특정 나라들이 표시된 외국 지도 상에 새글등록을 표시하는 본 발명의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을 이용함과 더불어, 새글이 올라온 블로그를 국가별로 분류하고 리스트로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면 지역 블로거 간의 소속감이나 네트워크가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새글을 나라별로 매칭하여 활용하면 여행, 지역정보, 뉴스 등 다양한 부가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로그 관리서버는 위치테이블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특정 블로그 주소에 대응된 국가를 질의하는 경우에 쉽게 해당 나라를 찾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그 관리서버와 데이터베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위치테이블에 기록될 위치정보 생성 방법을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위치테이블에 기록될 위치정보 생성 방법을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Claims (14)

  1. 제1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통해 제1 개설자 커뮤니티를 개설한 제1 개설자의 활동지역을 파악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뮤니티에 대한 웹 로그정보를 수집하는 제1 단계;
    수집한 웹 로그정보 중에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에서의 상기 제1 개설자에 관련한 제1 로그정보를 추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로그정보에 포함된 제1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인지를 파악하는 제3 단계;
    상기 제1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인 경우에 해외지역별 IP 주소 형태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IP 주소에 대응된 제1 해외지역을 판단하는 제4 단계; 및
    위치테이블에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의 주소에 대응하여 상기 제1 IP 주소와 상기 제1 해외지역을 매칭시킨 위치정보를 등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위치테이블에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의 주소에 대응하여 제2 IP 주소가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수집한 웹 로그정보에서 상기 제1 IP 주소에 대한 사용시간 분포와 상기 제2주소에 대한 사용시간 분포를 비교하여 사용시간 분포가 큰 IP 주소와 이에 대응된 해외지역을 상기 위치테이블에 등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제4 단계를 통해 상기 제1 IP 주소와 상기 제1 해외지역을 판단하면,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의 컨텐츠를 검사하여 상기 제1 해외지역에 관련된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5 단계의 진행을 지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 파악한 제1 해외지역에 대하여 제1 해외지역의 GMT(Greenwich Mean Time)와 상기 제1 해외지역에 속한 블로그의 주요 활동 시각을 매칭시켜 정확도 순위-주요활동 시각일수록 순위가 높아짐-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에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위치테이블에 상기 정확도 순위를 추가로 등록하는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뮤니티는 블로그, 카페, 미니홈피, 게시판 중 하나인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외지역은 국가 또는 국가내 행정구역상의 지역인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7. 제1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특정 웹 사이트 상에 구축된 제1 개설자 커뮤니티에 등록되는 상기 제1 개설자의 새글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에 대한 상기 제1 개설자의 새글 등록을 알리는 제1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로그 정보에 포함된 제1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국내 IP 주소인지 해외 IP 주소인지를 파악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인 경우에 기 저장된 위치테이블-개설자별 제1 커뮤니티의 주소에 대응된 IP 주소별로 해외지역 식별정보가 매칭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해외지역을 파악하는 제3 단계;
    상기 파악한 해외지역을 포함하는 세계 지도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특정 웹페이지에 상기 세계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세계 지도의 해당 해외지역 상에 상기 제1 개설자의 새글이 올라왔음을 알리는 새글등록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그 정보에 대한 새글이 비공개용인지 공개용인지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에 상기 제2 내지 제5 단계는 공개용 새글인 경우에 수행하는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가 새글 등록 표시를 허용하였는지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에 상기 제2 내지 제5 단계는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가 새글 등록을 허용한 경우에 수행하는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IP 주소가 상기 위치테이블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각 해외지역별 IP 주소 형태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주소에 해당하는 해외지역을 파악한 후 상기 위치테이블에 상기 제1 IP 주소와 상기 파악한 해외지역을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새글등록 표시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를 제1 개설자 커뮤니티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뮤니티는 블로그, 카페, 미니홈피, 게시판 중 하나인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외지역은 국가 또는 국가내 행정구역상의 지역인 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테이블은,
    상기 제1 커뮤니티에 대한 웹 로그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한 웹 로그정보 중에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에서의 상기 제1 개설자에 관련한 제1 로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로그정보에 포함된 제1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IP 주소가 해외 IP 주소인 경우에 해외지역별 IP 주소 형태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IP 주소에 대응된 제1 해외지역을 판단하는 단계와, 위치테이블에 상기 제1 개설자 커뮤니티의 주소에 대응하여 상기 제1 IP 주소와 상기 제1 해외지역을 매칭시킨 위치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거쳐 새로운 상기 위치정보가 추가되는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KR1020080038127A 2008-04-24 2008-04-24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및 이를 이용한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KR20090112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127A KR20090112314A (ko) 2008-04-24 2008-04-24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및 이를 이용한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127A KR20090112314A (ko) 2008-04-24 2008-04-24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및 이를 이용한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314A true KR20090112314A (ko) 2009-10-28

Family

ID=4155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127A KR20090112314A (ko) 2008-04-24 2008-04-24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및 이를 이용한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3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161B1 (ko) * 2021-02-24 2022-06-08 주식회사 메이코더스 리뷰 커뮤니티를 통한 판매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20165494A (ko) * 2021-06-08 2022-12-15 홍석추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161B1 (ko) * 2021-02-24 2022-06-08 주식회사 메이코더스 리뷰 커뮤니티를 통한 판매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20165494A (ko) * 2021-06-08 2022-12-15 홍석추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7081A1 (en) Social graph search system
CN104115147B (zh) 位置感知应用搜索
CN103189885B (zh) 服务器和信息管理方法
US20150294020A1 (en) System and/or method for evaluating network content
KR101216689B1 (ko)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65738A1 (en) Providing location dependent information
CN109087053B (zh) 基于关联拓扑图的协同办公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13977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ankings, searching, and generating reports of profiles and personal information
KR20090112314A (ko) 커뮤니티 개설자의 활동지역 파악 방법 및 이를 이용한위치기반 새글 알림 방법
JP2006236165A (ja) 口コミ情報共有装置
JP2004078689A (ja) 検索システム及び検索プログラム並びに検索方法
JP2006133841A (ja) 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方法、サーバ装置、情報端末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0282304A (ja) データ管理検索システム
CN109214765A (zh) 访客智能管理方法、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675533B2 (ja) ホームページ運用方法及び会員管理方法
KR20000050178A (ko) 인터넷을 통하여 지역별로 선별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및 시스템
JP2005339418A (ja) ホームページ作成システム
KR20060132251A (ko) 게시물 등록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83589A (ko) 북마크 공유관리 서버, 이를 이용한 북마크 공유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6422A (ko) 인스턴트 메신저와 웹 연동 시스템 및 방법
JP707087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08418B1 (ko) 피투피를 이용한 개인홈페이지의 컨텐츠 공유 및 판매방법그리고 그 시스템
JP2010211473A (ja) 情報管理サーバ及びシステム
JP200708736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7272637A (ja) 会合場所決定作業支援装置及び会合場所決定作業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