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6689B1 -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6689B1
KR101216689B1 KR1020120016928A KR20120016928A KR101216689B1 KR 101216689 B1 KR101216689 B1 KR 101216689B1 KR 1020120016928 A KR1020120016928 A KR 1020120016928A KR 20120016928 A KR20120016928 A KR 20120016928A KR 101216689 B1 KR101216689 B1 KR 10121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ns
comment
account
integrat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선우
이종호
송재연
이상섭
Original Assignee
권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선우 filed Critical 권선우
Priority to KR1020120016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SNS(Social Network Service) 계정 연동을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고, 환경설정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NS 계정에 대한 연동 동의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연동 동의 신호에 기초하여 SNS 계정을 연동 설정하는 SNS 계정 연동 설정부; 연동 설정된 SNS 계정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고,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연동 설정된 SNS 계정에 포스팅하는 포스트 등록부; 및 연동 설정된 SNS 계정으로부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하여 그 댓글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을 포스트와 연관시켜 하나의 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표시하는 댓글 통합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SN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개인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수단도 점차로 진화되어 왔다. 특히,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등장한 웹이라는 매체는 PC를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든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특성으로 이전에 있던 매체들이 가지고 있던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동시에 해결하는 매체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개인이 자신의 인터넷상의 가상 공간에서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 즉,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대두되었는데, 이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하 'SNS'라 함)라 한다.
SNS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싸이월드, 네이버, 다음 등이 제공하는 미니홈피, 블로그, 카페 등과 함께 최근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이 있다. 인터넷 유저들은 SNS를 통해 버디(Buddy)들과 정보를 공유하거나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더욱 돈독한 관계를 형성하거나, 또는 관심있는 분야에 대해 주제별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어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 나가기도 한다.
한편,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945883호(발명의 명칭: 모바일 SNS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등록일: 2010년 2월 26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여러 SNS 계정을 하나의 서버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SNS 계정에 흩어져 있는 댓글을 하나의 서버에서 하나의 페이지를 통해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SNS(Social Network Service) 계정 연동을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환경설정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NS 계정에 대한 연동 동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연동 동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SNS 계정을 연동 설정하는 SNS 계정 연동 설정부;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에 포스팅하는 포스트 등록부; 및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으로부터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하여 그 댓글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을 상기 포스트와 연관시켜 하나의 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표시하는 댓글 통합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 등록부는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상기 포스터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포스터 작성과 관련된 제1 SNS 계정을 제외한 나머지 공유 요청된 제2 SNS 계정에 상기 포스트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등록부는 상기 포스트 등록 시, 상기 제2 SNS 계정과 연관된 SNS 서버로부터 리턴(return)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시스템은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댓글에 대한 SNS 전파 선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SNS 전파 선택과 연관된 제3 SNS 계정에 상기 입력된 댓글을 전파하는 댓글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댓글 등록부는 상기 포스트 등록부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상기 제3 SNS 계정에 전파할 수 있다.
상기 댓글 통합 관리부는 상기 포스트의 클릭 또는 상기 포스트의 갱신하기 버튼 클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포스트의 고유 아이디 값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방법은 SNS 통합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SNS 계정 연동을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에서, 상기 환경설정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NS 계정에 대한 연동 동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연동 동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SNS 계정을 연동 설정하는 단계;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에서,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에서,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에 포스팅하는 단계;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에서,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으로부터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에서, 상기 조회된 댓글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을 상기 포스트와 연관시켜 하나의 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에서,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상기 포스터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포스터 작성과 관련된 제1 SNS 계정을 제외한 나머지 공유 요청된 제2 SNS 계정에 상기 포스트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에서,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댓글에 대한 SNS 전파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에서,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SNS 전파 선택과 연관된 제3 SNS 계정에 상기 입력된 댓글을 전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의 클릭 또는 상기 포스트의 갱신하기 버튼 클릭 시,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포스트의 고유 아이디 값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SNS 계정을 하나의 서버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SNS 계정에 흩어져 있는 댓글을 하나의 서버에서 하나의 페이지를 통해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각각의 SNS 계정과 연관된 SNS 서버에 접속하여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하나의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SNS 통합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NS의 댓글을 통합 관리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SNS 통합 관리 서버(120), 및 SNS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와 연동하는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접속 후 회원가입 및 로그인 등의 인증 절차를 통해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에서 제공하는 SNS 통합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SNS 계정 연동의 설정을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포스트 작성을 위한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포스트를, 상기 환경설정 페이지를 통해 연동 설정된 SNS 계정에 포스팅(Posting)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는 상기 SNS 계정에 해당하는 SNS 서버(130), 예를 들어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등에 상기 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는 상기 포스트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의 댓글 조회 요청에 따라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는 상기 포스트의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SNS 서버(130)로부터 상기 고유 아이디 값과 관련하여 저장된 댓글의 내용(데이터)을 조회할 수 있다.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는 상기 조회된 댓글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포스트와 연관시켜 하나의 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의 고유 아이디 값은 상기 포스트를 상기 SNS 계정에 포스팅할 때 생성 및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SNS 통합 관리 서버(120)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는 SNS 계정 연동 설정부(210), 포스트 등록부(220), 댓글 등록부(230), 댓글 통합 관리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NS 계정 연동 설정부(210)는 사용자 단말기에 SNS 계정 연동을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와 연관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 상기 웹 사이트의 페이지에서 환경설정 관련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SNS 계정 연동 설정부(210)는 상기 환경설정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NS 계정에 대한 연동 동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연동 동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SNS 계정을 연동 설정한다. 이로써,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는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환경설정 페이지에서 연동 설정하고자 하는 SNS 계정에 대해 동의 체크를 한 후 설정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동의 체크한 SNS 계정에 대해 연동 동의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연동 동의 신호를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의 통신부(미도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동 동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SNS 계정 연동 설정부(210)는 상기 수신된 연동 동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SNS 계정을 연동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환경설정 페이지에서 트위터, 페이스북의 계정을 연동하고자 동의 체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SNS 계정 연동 설정부(210)는 상기 동의 체크된 트위터, 페이스북의 계정을 연동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계정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하에 예를 들어 보았다.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웹사이트의 페이지에서 포스트 작성 관련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의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수신된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에 포스팅한다. 예컨대,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이 트위터와 페이스북인 경우,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계정에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포스트를 포스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포스트를 상기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계정과 연관된 SNS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SNS 서버에 상기 포스트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SNS 서버에 상기 포스트가 등록되면,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등록된 포스트의 내용을 상기 웹사이트의 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게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에는 포스트를 작성할 수 있는 작성창과, 상기 작성된 포스트를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체크박스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공유 체크박스를 통해 특정 SNS 계정에 대한 공유 요청을 하면,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의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SNS 계정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입력된 공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유 요청된 특정 SNS 계정에 상기 포스트를 등록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포스터 작성과 관련된 제1 SNS 계정을 제외한 나머지 공유 요청된 제2 SNS 계정에 상기 포스트를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포스트 작성과 관련된 제1 SNS 계정이 페이스북이고, 공유 요청된 제2 SNS 계정이 트위터, 미투데이 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페이스북의 계정에 작성된 포스트를 상기 트위터 및 미투데이의 계정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를 상기 트위터 및 미투데이의 계정에 등록(포스팅)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포스트 등록 시, 상기 제1 및 제2 SNS 계정과 연관된 SNS 서버로부터 리턴(return)되는 고유 아이디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는 상기 포스트 작성과 관련된 제1 SNS 계정(위의 예에서 페이스북), 및 공유 요청된 제2 SNS 계정(위의 예에서 트위터, 미투데이) 각각과 연관된 SNS 서버들로부터 상기 고유 아이디 값을 리턴 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등록된 포스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유 아이디 값은 상기 등록된 포스트의 댓글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등록된 포스트를 SNS 계정에서 찾아 그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상기 웹 사이트의 한 페이지(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통합하여 표시함으로써,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하나의 페이지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댓글 등록부(230)는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댓글에 대한 SNS 전파 선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포스트에 대해 댓글을 달고, 그 후에 전파하고자 하는 SNS 계정을 체크박스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박스를 통해 SNS 계정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선택된 SNS 계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SNS 전파 선택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댓글 등록부(2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SNS 전파 선택 메시지에서 상기 선택된 SNS 계정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SNS 전파 선택과 연관된 제3 SNS 계정에 상기 입력된 댓글을 전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댓글 작성과 관련된 제1 SNS 계정은 페이스북이고, 상기 SNS 전파 선택과 연관된 제3 SNS 계정은 트위터, 미투데이 라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댓글 등록부(230)는 상기 페이스북의 계정에서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댓글을 트위터 및 미투데이의 계정에 전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댓글 등록부(230)는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상기 제3 SNS 계정에 전파할 수 있다.
상기 댓글 통합 관리부(240)는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으로부터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하여 그 댓글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댓글 통합 관리부(240)는 상기 포스트의 클릭 또는 상기 포스트의 갱신하기 버튼 클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포스트의 고유 아이디 값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할 수 있다.
상기 댓글 통합 관리부(2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댓글 내용을 상기 포스트와 연관시켜 하나의 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표시한다. 즉, 상기 댓글 통합 관리부(240)는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 내용을,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으로부터 가져와서 하나의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SNS 계정을 하나의 서버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SNS 계정에 흩어져 있는 댓글을 하나의 서버에서 하나의 페이지를 통해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각각의 SNS 계정과 연관된 SNS 서버에 접속하여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하나의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120), 즉 상기 SNS 계정 연동 설정부(210), 상기 포스트 등록부(220), 상기 댓글 등록부(230), 상기 댓글 통합 관리부(24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NS의 댓글을 통합 관리하는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 페이지에서 연동하고자 하는 SNS 계정에 동의 체크를 한 후 설정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동의 체크된 SNS 계정에 대한 연동 설정이 완료된다. 연동 설정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 작성창에 포스트(메시지, 사진, 링크 등)를 작성한다. 이때, 공유하기 체크박스를 통해 타 SNS에 상기 작성된 포스트를 등록한다. 상기 포스트 등록 시, 타 SNS로부터 리턴되는 고유 아이디 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라인 페이지(모든 SNS의 기록을 한꺼번에 보여주는 페이지)를 통해 작성된 모든 포스트의 내용을 보여준다. 상기 포스트의 내용 아래에는 댓글을 입력할 수 있는 댓글 입력창이 배치되고, 그 밑에는 SNS 전파 선택에 관한 체크박스가 배치된다. 상기 댓글 입력창에 댓글을 쓰고, 상기 체크박스를 통해 SNS 전파 여부를 선택한다. 이미 각 SNS의 포스트의 고유 아이디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고유 아이디 값에 해당하는 댓글을 쓸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의 댓글을 받아와서 상기 타임라인 페이지(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그 내용을 보여줄 수 있다. 즉, 먼저 각 SNS의 포스트의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에 해당하는 댓글을 조회한다. 조회 시점은 해당 포스트를 클릭하거나, 갱신하기 버튼을 누를 때이다. 이후, 조회된 댓글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조회된 댓글 데이터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의 데이터임). 이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NS 통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상기 SNS 통합 관리 방법은 도 1의 SNS 통합 관리 서버(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10)에서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SNS(Social Network Service) 계정 연동을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환경설정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NS 계정에 대한 연동 동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연동 동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SNS 계정을 연동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720)에서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에 포스팅한다.
다음으로,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상기 포스트에 대한 공유 요청이 있으면(730의 "예" 방향), 단계(740)에서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포스터 작성과 관련된 제1 SNS 계정을 제외한 나머지 공유 요청된 제2 SNS 계정에 상기 포스트를 등록한다.
반면,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상기 포스트에 대한 공유 요청이 없으면(730의 "아니오" 방향),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단계(740)을 생략하고 다음 단계(750)으로 넘어간다.
다음으로, 상기 등록된 포스트에 대한 댓글이 입력되면(750의 "예" 방향), 단계(760)에서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입력된 댓글에 대한 SNS 전파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
하지만, 상기 등록된 포스트에 대한 댓글이 입력되지 않으면(750의 "아니오" 방향),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댓글의 입력을 기다릴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770)에서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SNS 전파 선택과 연관된 제3 SNS 계정에 상기 입력된 댓글을 전파한다.
다음으로, 단계(780)에서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으로부터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한다. 이를 위해,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포스트의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790)에서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조회된 댓글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단계(795)에서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댓글 내용을 상기 포스트와 연관시켜 하나의 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사용자 단말기
120: SNS 통합 관리 서버
130: SNS 서버
210: SNS 계정 연동 설정부
220: 포스트 등록부
230: 댓글 등록부
240: 댓글 통합 관리부
250: 제어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에 SNS(Social Network Service) 계정 연동을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환경설정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NS 계정에 대한 연동 동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연동 동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SNS 계정을 연동 설정하는 SNS 계정 연동 설정부;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에 포스팅하는 포스트 등록부;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댓글에 대한 SNS 전파 선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SNS 전파 선택과 연관된 제3 SNS 계정에 상기 입력된 댓글을 전파하는 댓글 등록부; 및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으로부터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하여 그 댓글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을 상기 포스트와 연관시켜 하나의 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표시하는 댓글 통합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는 포스트의 작성을 위한 작성창 및 작성된 포스트의 공유를 위한 공유 체크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등록부는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의 공유 체크 박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공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포스트 작성과 관련된 제1 SNS 계정을 제외한 나머지 공유 요청된 제2 SNS 계정에 상기 포스트를 등록하되, 상기 포스트 등록 시, 상기 제2 SNS 계정과 연관된 SNS 서버로부터 리턴(return)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상기 등록된 포스트와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SNS 전파 선택과 연관된 체크박스를 통해 SNS 계정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SNS 계정에 관한 공유 아이디 값을 포함하는 SNS 전파 선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댓글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SNS 전파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SNS 전파 선택 메시지에서 상기 공유 아이디 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공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상기 제3 SNS 계정에 전파하고,
    상기 댓글 통합 관리부는 상기 포스트의 클릭 또는 상기 포스트의 갱신하기 버튼 클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포스트의 고유 아이디 값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통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SNS 통합 관리 서버의 SNS 계정 연동 설정부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SNS 계정 연동을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의 SNS 계정 연동 설정부에서, 상기 환경설정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SNS 계정에 대한 연동 동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연동 동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SNS 계정을 연동 설정하는 단계;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의 포스트 등록부에서,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포스트 작성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의 포스트 등록부에서,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에 포스팅하는 단계;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의 댓글 통합 관리부에서,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으로부터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의 댓글 통합 관리부에서, 상기 조회된 댓글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용을 상기 포스트와 연관시켜 하나의 포스트 게시물 페이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의 댓글 등록부는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댓글에 대한 SNS 전파 선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SNS 전파 선택과 연관된 제3 SNS 계정에 상기 입력된 댓글을 전파하며,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는 포스트의 작성을 위한 작성창 및 작성된 포스트의 공유를 위한 공유 체크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의 포스트 등록부는 상기 포스트 작성 페이지의 공유 체크 박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에 대한 공유 요청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공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연동 설정된 SNS 계정 중 상기 포스트 작성과 관련된 제1 SNS 계정을 제외한 나머지 공유 요청된 제2 SNS 계정에 상기 포스트를 등록하되, 상기 포스트 등록 시, 상기 제2 SNS 계정과 연관된 SNS 서버로부터 리턴(return)되는 고유 아이디 값을 상기 등록된 포스트와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SNS 전파 선택과 연관된 체크박스를 통해 SNS 계정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SNS 계정에 관한 공유 아이디 값을 포함하는 SNS 전파 선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의 댓글 등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성된 SNS 전파 선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SNS 전파 선택 메시지에서 상기 공유 아이디 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공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상기 제3 SNS 계정에 전파하고,
    상기 SNS 통합 관리 서버의 댓글 통합 관리부는 상기 포스트의 클릭 또는 상기 포스트의 갱신하기 버튼 클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포스트의 고유 아이디 값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고유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상기 포스트에 대한 댓글을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통합 관리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16928A 2012-02-20 2012-02-20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1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928A KR101216689B1 (ko) 2012-02-20 2012-02-20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928A KR101216689B1 (ko) 2012-02-20 2012-02-20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689B1 true KR101216689B1 (ko) 2013-02-01

Family

ID=4789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928A KR101216689B1 (ko) 2012-02-20 2012-02-20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68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742B1 (ko) * 2014-02-25 2015-02-24 티라에스앤씨 (주) 복수의 sns 에 대한 게시물 배포를 위한 분산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04699682A (zh) * 2013-12-04 2015-06-10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101591604B1 (ko) * 2014-10-27 2016-02-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미디어 환경을 생성 및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62178B1 (ko) * 2017-01-06 2018-05-29 주식회사 파싱 맞춤형 포스팅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KR20190101299A (ko) 2018-02-22 2019-08-30 김우섭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9428A (ko)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넥스디네트웍스 Sns 통합 관리 마케팅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64A (ko) * 2002-10-28 2004-05-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게시판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20090287774A1 (en) 2008-05-15 2009-11-19 Kunal Punera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Social Network Information for Showing Reviews
KR20100000865A (ko) * 2008-06-25 2010-01-06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상품(또는 서비스) 리뷰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00010109A (ko) * 2008-07-22 2010-02-01 유비벨록스(주) 모바일 sns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한 장치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64A (ko) * 2002-10-28 2004-05-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게시판 통합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20090287774A1 (en) 2008-05-15 2009-11-19 Kunal Punera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Social Network Information for Showing Reviews
KR20100000865A (ko) * 2008-06-25 2010-01-06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상품(또는 서비스) 리뷰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20100010109A (ko) * 2008-07-22 2010-02-01 유비벨록스(주) 모바일 sns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한 장치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9682A (zh) * 2013-12-04 2015-06-10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101494742B1 (ko) * 2014-02-25 2015-02-24 티라에스앤씨 (주) 복수의 sns 에 대한 게시물 배포를 위한 분산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91604B1 (ko) * 2014-10-27 2016-02-0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혼합 미디어 환경을 생성 및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62178B1 (ko) * 2017-01-06 2018-05-29 주식회사 파싱 맞춤형 포스팅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KR20190101299A (ko) 2018-02-22 2019-08-30 김우섭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9428A (ko)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넥스디네트웍스 Sns 통합 관리 마케팅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53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 web portal
KR101216689B1 (ko)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700540B1 (en) Social event recommendations
US97156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bsite personalization from survey data
US11727141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ing privacy-related user consent across multiple computing devices
TW200842608A (en) System and method for related information search and presentation from user interface content
US96849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ndidate domain name generation
CN102165473A (zh) 视频共享站点中的视频推介
US11824828B2 (en) Linked web presence pages associated with a top level domain
US201401012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Presenting Information
US9363135B1 (en) Social vicinity service for social networks
CN103279361B (zh) 小书签驱动的文献统一分享装置与方法
JP6637174B2 (ja) スマート端末を用いる数字列基盤のリアルタイム情報流通システム及び情報流通方法
Chao et al. Social networking federation: A position paper
JP2010224700A (ja) Webサイト管理システム及びwebサイト管理方法
US201501062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ing name assets for display
US9665548B2 (en) Website creation system
US11250079B2 (en) Linked network presence documents associated with a unique member of a membership-based organization
KR20110048126A (ko) 공통 관심사에 의한 가상 게시판 생성 장치 및 그의 생성 방법
JP7249453B1 (ja) 契約管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US20220245124A1 (en) Verified entity attributes
KR20140135336A (ko) 전문가 감수를 수행한 정보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selo Fernández App móbil para que estudantes oferten pisos, habitacións e busquen compañeiros de piso ou pisos
WO2015125070A1 (en) Content-glass - multidimensional state oriented sharing
Ireland et al. Lab 2-Helping Hands Product Spec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