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299A -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299A
KR20190101299A KR1020190020627A KR20190020627A KR20190101299A KR 20190101299 A KR20190101299 A KR 20190101299A KR 1020190020627 A KR1020190020627 A KR 1020190020627A KR 20190020627 A KR20190020627 A KR 20190020627A KR 20190101299 A KR20190101299 A KR 20190101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social network
blockchain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747B1 (ko
Inventor
김우섭
Original Assignee
김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섭 filed Critical 김우섭
Priority to PCT/KR2019/00225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64354A1/ko
Publication of KR2019010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만드는 가치 있는 데이터에 대해 알맞은 보상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Block chain based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사용자간의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정보공유,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인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해주는 온라인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우리가 만드는 가치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류 역사상 가장 막대한 규모의 부를 축적하고 있다. 우리가 서비스를 사용하며 생산한 데이터는 인공지능과 만나 점점 새로운 종류의 자산으로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생산의 주체인 우리 대부분은 그에 대한 수혜나 보상을 거의 받지못하고 있다.
한국둥록특허 10-1216689호 (2012.12.21 등록) -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만드는 가치 있는 데이터에 대해 알맞은 보상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이 사용자 노드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확정된 블록으로 등록시키고,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의 가치에 상응하는 코인을 상기 사용자 노드에게 보상으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에는 행동 정보, 사진, 글, 해시태그 및 추천 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치 평가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 노드에 대한 평판을 가중치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평판은 상기 사용자 노드에서 생성된 모든 사용자 맥락 데이터에 대한 타 사용자의 추천 량에 상응하는 좋아요 점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평판은 상기 좋아요 점수를 순서대로 나열하고 소정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가지는 정규분포에 따라 상대적으로 평판점수가 배분된 결과일 수 있다.
상기 보상 지급 단계에서 상기 보상은 단위시간 채굴량에 대해 상기 데이터 점수의 비율을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쿼리가 입력되면, 상기 쿼리에 상대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사용자 노드를 조회하여 마스킹하고, 상기 쿼리를 보낸 업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업체 단말에 대해 상기 쿼리를 입력하기 위한 선행 조건으로 상기 코인을 이용한 결제가 요구될 수 있다.
상기 가치 평가 단계는, 위치 기반으로 복수의 섹터를 구역화하는 단계; 임의의 두 섹터 간의 교집합에 속하는 사용자 노드를 계산 노드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계산 노드에서 상기 두 섹터에 속하는 모든 사용자 노드의 데이터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 노드에서 상기 두 섹터에 속하는 모든 사용자 노드의 평판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점수에 상기 평판이 반영된 계산 결과 값을 검증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노드에서 상기 모든 사용자 노드에 대해 자체 계산한 검증 결과 값과 상기 계산 결과 값을 비교하고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 결과 값과 상기 계산 결과 값이 동일하면 상기 계산 노드에 대해 계산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고, 상기 검증 결과 값과 상기 계산 결과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계산이 틀린 상기 검증 노드 및 상기 계산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계산 노드에 의한 계산은 퍼블릭 블록체인 레이어에서 수행되고, 상기 검증 노드에 의한 계산 및 검증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레이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검증 노드는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레이어에서 타 검증 노드와 검증 결과 값을 비교하여 계산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점수 계산 단계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점수(DSNn)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LD는 위치 입력 수, AD는 행동 입력 수, PIC는 사진 입력 수, TL은 글 입력 수, TAG는 해시태그 입력 수, LIK는 추천 수이고,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는 각 맥락 데이터의 데이터 점수 비율(가중치)임-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노드; 및 상기 사용자 노드로부터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에 대해 가치를 평가하며,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확정된 블록으로 등록시키고, 상기 가치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노드에 코인을 지급하는 SNS 플랫폼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쿼리를 상기 SNS 플랫폼에 전송하는 업체 단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SNS 플랫폼은 상기 쿼리에 상대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사용자 노드를 조회하여 마스킹하고, 상기 쿼리를 보낸 업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만드는 가치 있는 데이터에 대해 알맞은 보상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국내 SNS 관련 소비자 불만 사항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생태계(리빈 생태계) 속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페이스북의 좋아요가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광고의 예시,
도 4는 모바일 광고 시장 규모 및 전망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의 해결해야 할 과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전자 상거래의 시장 (예상) 규모(단위: 10억달러)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리빈 서비스) 시스템의 아키텍처,
도 8은 연도별로 발행되는 빈의 하루 발행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리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출시(배포) 후 연차별 빈의 누적 발행량,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리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평판의 상대도수 분포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인터넷의 기본 취지인 정보 공유와 사람 간의 소통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많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흥망 이후 2018년 현재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트위터가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이 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들은 사용자의 생활방식, 관심사, 개인정보 등을 분석한 다음 서비스 이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한다. 이러한 수익 모델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업들을 거대 기업으로 만들었다. 한 예로 페이스북의 2016년 광고 매출은 약 268억 달러로 이는 페이스북 전체 매출의 약 97.3%를 차지한다. 광고 매출액이 견인하는 페이스북의 영업 이익도 매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콘텐츠 생산자들이 시간과 노력을 들여 생산한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를 끌어모아 수익을 창출했으나, 서비스 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한 콘텐츠 생산자들에게 돌아가는 수익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들은 원치 않는 광고 속에 노출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스마트폰이 보급된 후 모바일 광고 시장은 매해 성장하여 2016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1,435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광고 수익의 대부분은 페이스북과 구글과 같은 광고 중개 업체가 독점하였으며, 광고에 노출된 사용자에게 돌아간 사례는 극히 드물다. 특히 최근 들어 네이티브 광고로 비롯된 불필요한 광고 속에 사용자들의 부정적 인식이 증가하는 경향이 보고되고 있다.
도 1은 국내 SNS 관련 소비자 불만 사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과도한 상업 광고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들의 가장 큰 불만 사항임을 보여준다. 인터넷 공간에서 광고는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광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서비스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기부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아름다운 형태의 경제 활동임이 틀림없다. 지구촌의 많은 사람이 기부를 필요로 하고 있고, 실제로 많은 수혜를 입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부자가 직접 수혜자를 만나서 기부금을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기부자는 적십자, 유니세프와 같은 기부 단체를 이용한다.
그러나, 여러 기부단체의 기부 중개 비용은 여러 차례 사회적 논란이 되었다. CNN의 보도로는 2010년 아이티의 지진 발생 시 적십자는 5억 달러 이상의 기부금을 모집하였으나, 단 6채의 집을 짓는 데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 한국의 기부 재단 중 하나인 사랑의 열매는 재단 운용비에 과도한 비용을 지출하여 많은 기부자에게 실망을 안겨준 사건이 있었다.
블록체인은 신뢰 기반 네트워크로서 중개기관이 가져가는 중개비용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는 기술이다. 비트코인은 화폐를 관리하는 중개기관 없이 화폐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계약의 체결과 이행을 위한 중개기관이 필요 없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광고와 기부에도 중개비용을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광고의 경우, 광고주가 광고 대상을 직접 선택하고 시청자에게 광고비를 줄 수 있다면, 중개기관에서 취득하는 중개 이득을 배제하여 더 효과적으로 광고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부의 경우 기부자가 기부 수혜자를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하여 재단 운영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직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리빈(Liveen)과 그 생태계 안에서 활용되는 코인인 빈(Veen)을 중심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리빈과 빈은 광고와 기부, 그리고 전자 상거래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리빈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써, 사용자의 콘텐츠를 평가하여 합당한 보상을 빈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생산된 빈은 거래소를 통해 현금화할 수 있고, 광고와 기부에서 화폐로 사용할 수 있다. 광고주와 기부자는 리빈에서 생산된 콘텐츠를 기반으로 광고 대상과 기부 수혜자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주와 기부자는 빈을 통해 광고 시청자와 기부 수혜자에게 광고비, 기부액을 직접 송금할 수 있다.
리빈은 빈을 통해 구호 물품을 구매하거나, 광고된 물품을 구매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맥락 데이터를 통해 채굴된 빈으로 직접 물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물품 구매로 획득한 빈은 다시 광고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부자로 받은 기부금을 통해 직접 구호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호 물품도 전자상거래를 통해 살 수 있다. 기부로 획득한 빈의 양 만큼은 식료품, 의료품, 교육 물품 등의 구호 물품으로 구매할 수 있는데, 이 물품은 일반 물품과 달리 비영리로 공급될 예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생태계(리빈 생태계) 속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리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리빈 플랫폼은 도 2를 통해 볼 수 있듯이, 빈이라는 매개 화폐를 통해 유기적으로 연동되어 하나의 생태계를 구축한다. 즉, 데이터를 생산한 사용자에게 가치를 부여하고, 그 가치를 활용하여 기부와 광고, 데이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며,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은 자신들이 생산한 가치를 다시 판매할 수 있다. 이는 블록체인을 통해 가치를 주고받는 가치의 인터넷의 철학과도 통한다.
현대 시대의 가장 가치 있는 자원은 정보이다. 이러한 시대에 대중은 자신의 정보를 공개하여 자신의 정직함에 신뢰를 얻고, 이를 곧 이윤으로 이끌 수 있어야 한다. 리빈과 빈의 가치는 소비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이익을 소수의 기득권자가 아닌 생산과 소비의 주체에게 돌아가게 하고자 함에 있다. 다국적 디지털 공룡 기업들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무분별하게 활용하여 부를 축적하였고, 그 프라이버시에 대한 보상을 당사자들에게 지급하지 않았다. 이러한 정보의 집중화는 정보를 통제하는 일부에게 부를 집중시켰고, 대다수 참여자들은 장기적으로 손실을 입어왔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이러한 집중화를 분권화로 이끄는 기술이다. 리빈과 빈은 정보의 생산자에게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 정보의 분권화를 실천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 생태계의 정당성을 높인다. 따라서 리빈은 분권화된 소비 자본주의를 구현하고자 한다.
관련 시장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이하 현재 한국 또는 전 세계 광고시장과 기부 시장의 문제점들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통해 리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플랫폼은 기존의 문제점들을 타산지석으로 삼고, 블록체인 철학인 탈중앙화를 달성하여 근본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1) 기부 시장
많은 선진국에서 좋은 기부 정책을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2013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던 기부 추세가 꺾였다. 그 이유는 기부 단체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의 문제에서 온다고 보고되고 있다. 대다수의 나라에서 세제 혜택을 받기 위해 기부단체로 등록되어 운영되는데, 이때 많은 기부 단체 설립에 공익성이 확보를 위한 법률이 부족한 현실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서류 미비 여부와 홈페이지를 갖추었는지 정도를 기준으로 보고 있다. 이는 기부 단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부족할 뿐 아니라, 검토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기부단체에 대한 불신은 기부자들이 기부를 망설이게 하고, 기부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심어 주어 기부를 감소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기부자들이 낸 기부금의 사용처에 대한 신뢰도 문제이다. 앞에서 언급했던 아이티의 사례도 심각하지만, 더 구체적인 사례도 있다. 2014년 대한민국의 한 뉴스에 따르면, 기부금이 재단 임직원의 유흥비로 사용되는 등의 문제가 보도된 적이 있다. 미국과 같은 기부 선진국들도 이러한 문제를 갖고 있기는 마찬가지이다. 2016년 워싱턴 포스트지에 의하면, 트럼프는 트럼프 재단의 기부금 약 30만 달러를 자신의 법적 문제 해결에 사용하였다고 보도된 바 있다. 이처럼 기부금 사용처에 대한 투명성 문제는 기부금 사용 명세의 공시에 대한 의무가 없는 나라에서 불신이 더욱 팽배하다.
세계 각국에서는 기부문화의 확산을 위해 오랜 기간 세금 혜택 등의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제도상의 한계로 인해 부정적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법은 기부자가 수혜자에게 직접 기부하는 것이다. 그러나 국제적 기부 환경을 보았을 때, 기부자와 수혜자는 지리적으로 매우 멀리 떨어진 경우가 많아 직접 소통할 수 없다. 게다가 많은 기부 수혜자들은 은행 계좌를 갖지 못하여 기부금을 받을 방법이 없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식료품이나 약품으로 구매 후 기부가 행해지는데, 이는 또 다른 중개 업자를 양산하고 있다. 따라서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에서는 직접 기부(peer-to-peer donation) 플랫폼이 서비스 중이다. 한 조사에 의하면 미국의 전체 기부금액 중 직접 기부가 전체의 33%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기부자와 수혜자가 거리가 가까운 때에만 한하여 가능한 서비스이므로 근본적 해결책이라고 볼 수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리빈 기부 플랫폼은 해당 지역에 자주 거주하는 등의 데이터를 토대로 특정 조건에 맞는 기부자를 직접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빈 지갑에서 빈을 직접 송금하는 방식으로 기부할 수 있다. 이 코인은 거래소를 통해 현지화로 환전하거나, 재단에서 운영하는 비영리 쇼핑몰인 기부 몰을 통해 식료품, 의약품, 장난감 등을 구매할 수 있다. 빈 운영 재단은 비영리로 기부몰을 운영할 예정이고, 운영 자금은 또 리빈 광고몰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으로 조달될 예정이다.
2) 광고 시장
모바일 광고 시장은 휴대폰 보급과 동시에 지속해서 성장해 왔다.
도 3은 페이스북의 좋아요가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광고의 예시이며, 도 4는 모바일 광고 시장 규모 및 전망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의 해결해야 할 과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전자 상거래의 시장 (예상) 규모(단위: 10억달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광고시장의 시장 규모와 전망을 보여준다(단위: 10억달러).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광고 시장은 이미 1,000억 달러를 넘었고, 지속적해서 성장하고 있다. 모바일 광고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무작위로 노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가로 기업들은 이익 기반으로 급속도로 성장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 수익은 광고 플랫폼을 중개하는 중개 기관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독식하고 있다. 이는 구글과 같은 검색 서비스 제공자뿐 아니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한 마찬가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페이스북의 '좋아요'가 데이터의 생산자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말해주는 공익 광고가 도시되어 있다. 이 광고는 아무리 많은 공감을 끌어낸 좋은 콘텐츠를 생산하여도 생산자에게 아무런 혜택이 없음을 풍자한 것이다. 즉, 페이스북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들은 사용자들이 생산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지만 이를 제공한 데이터의 생산자에겐 그 혜택이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광고는 사용자들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광고는 인터넷과 모바일의 경제뿐만 아니라, 시장 경제를 움직이는 하나의 큰 축으로 필수적 경제활동이다. 이를 고려할 때 광고 시장의 자본 흐름을 개선하여 정당한 광고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광고주의 관점에서 현재의 광고 방식은 광고의 효과를 직접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불합리한 점이 있다. 광고주들은 광고로 큰 비용을 지급하고 있지만, 매출 증가량과 같은 유의미한 광고 결과를 직접 확인하기 어렵다. 도 4에 의하면 모바일 광고 시장 규모는 매해 증가하지만, 그 증가율은 점점 하락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원인 중 하나는 미국의 한 마케팅 보고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모바일 광고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광고 기여도의 투명성 문제, 광고 분석 도구의 부족을 꼽았다. 도 5는 이 보고서에서 조사한 내용을 보여준다. 광고 효과 측정의 불확실성은 광고 시장의 확장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자본 규모가 큰 기업은 적극적인 광고가 가능하지만, 지역 단위의 소규모 사업체나 자본 규모가 약한 벤처, 스타트업 기업은 광고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지역 단위의 사업체는 마땅한 광고 수단이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인터넷이나 모바일 광고의 경우 사용자가 절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광고 대상을 구분해 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현재의 지역 광고는 지역 신문사나 지역 텔레비전 프로그램, 전단지 배포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중매체 광고는 많은 광고 비용이 발생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광고 자본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목적으로 보상 광고 서비스(시청자가 광고를 시청하면 일정 광고비를 보상으로 지급하는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국내의 캐시슬라이드는 휴대폰의 잠금화면에 광고를 시청하면 가상의 사이버 머니를 부여한다.
이 사이버 머니는 커피, 음식 등의 상품권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 서비스에서는 보상 금액을 상품 종류에 따라 다른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광고의 경우 광고비의 약 35%를 광고를 시청한 시청자에게 준다. 이 서비스는 낮은 보상 수준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사용자가 늘고 높은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는 모바일 광고 시장의 극히 일부분일 뿐 아니라 보상 수준도 높지 않아 직접광고(peer-to-peer advertisement)를 실현하였다고 말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빈 광고 플랫폼은 광고비의 약 90%를 사용자에게 보상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맥락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주가 원하는 맞춤형 직접 광고 대상자를 선별할 수 있고, 광고비 또한 스스로 책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방식으로 리빈은 중개기관이 없이 보상 광고가 가능하다. 광고주는 본인의 예산과 광고 시청자에게 맞게 맞춤형 광고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광고 시청자들에게 보상을 지급하여 원치 않는 광고 시청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리빈 사용자의 맥락 데이터는 광고 대상자의 관심 분야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맞춤 광고를 위한 핵심 데이터로 사용된다. 보상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광고는, 광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리빈 광고 플랫폼은 광고주에게도 광고 효과 분석 방안을 추가로 마련할 수 있다. 리빈은 광고몰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광고로 시청한 상품을 빈을 사용하여 직접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를 본 사용자의 구매 비율이나 구매 결정까지의 시간이 나 시청 횟수 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리빈 플랫폼은 광고주에게 광고 효과를 분석할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마케팅 도구로 제공할 예정이다.
3) 개인 데이터 거래 시장
데이터는 많은 글로벌 회사에서 미래의 부를 창출하는 자원으로 보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이를 가속화 하는데 그 이유는 데이터는 인공지능의 추론을 위한 원천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듯이 최근 이러한 데이터를 사고 파는 다양한 데이터 마켓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개인 데이터 거래의 경우 사회적으로 큰 쟁점이 되기도 한다. 최근 BBC는 우버에서 영국 국민 270만 명의 데이터가 유출된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우버는 10만 달러의 대가를 지불하고 이를 회수했는데, 이는 불법 시장에서 개인 데이터 거래에 대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불법적 데이터 거래 시장은 2020년까지 약 1억 5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합법적인 데이터 거래 또한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다. 구글과 페이스북의 개인 데이터의 활용과 거래가 법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견해가 있을 뿐 아니라, 제삼자 데이터 제공에 동의하였다는 명분으로 데이터 브로커에 의해서 재판매 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의 주요 대형마트 중 하나인 홈플러스는 경품추첨의 명분으로 수집된 개인 데이터를 인당 약 4달러의 비용으로 보험사에 판매하여 약 900만 달러를 벌어들인 적이 있다. 그리고 세계적 기업 애플은 중국 고객의 개인정보를 판매하여 73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린 바 있다. 이러한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개인 데이터 유출 사고는 제 삼의 중개 기관이 부당하게 이득을 취하려고 하는 상황에서 대부분 발생한다. 즉, 재화나 서비스의 판매를 위해 수집된 개인 데이터가 있어야 하는 다른 사람(혹은 기업/기관)에게 판매하고, 판매 수익금을 판매업자가 독식하는 데서 비롯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데이터 중개업자를 배제하고 본인의 데이터를 직접 거래 하는 시도가 있다. 유럽의 신테프(SINTEF) 연구소는 딥세이티(Dipseity)라는 연구를 통해 개인 데이터를 통해 화폐로 지급하는 연구를 발표한 바 있다. 자신이 생산한 데이터를 필요한 사람에게 제공하고 그 대가를 직접받는 직접 데이터 거래 시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리빈은 자신이 지정한 데이터를 직접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여 정당한 데이터 거래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4) 전자 상거래 시장
온라인 전자 상거래 시장은 매해 지속해서 성장하여 2017년에는 약 3조 달러에 이른다. 일반적으로 전자 상거래 중개업체가 판매자에게 구매자를 연결해주고 중개 수수료를 요구한다. 아마존의 경우 판매금의 15%에서 최대 45%의 수수료를 요구하고, 이베이의 경우에도 약 10%의 판매 수수료가 책정된다. 이 두 회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전자 상거래에서 수수료 비율을 판매액으로 책정하는데, 이는 제품의 판매 원가를 고려한다면 과도한 금액이다. 이러한 수수료 문제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더욱 심각해진다. 한국의 백화점은 판매금의 약 40%의 비용이 수수료로 지급되는 것으로 보도된 바 있다. 과도한 중개 수수료로 인해 상품값이 불필요하게 상승하며 이런 부담은 고스란히 소비자가 부담하게 된다.
그리고 소규모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소매업의 경우 아마존과 이베이 같은 전자 상거래 사이트를 이용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상품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없고, 대형 포털 사이트의 주 페이지에 상품을 알리기도 쉽지 않다. 따라서 기존 전자 상거래 시장은 3D 프린터로 대변되는 소규모 생산 시장이나, 미용실과 같은 지역 기반 서비스 시장에 적용이 어렵다.
리빈은 기부 몰과 광고 몰이라는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운영한다. 기부 몰과 광고 몰은 빈을 통화로 사용하는 전자 상거래 서비스이다. 기부 몰에서는 기부 수혜자가 생필품과 의료, 교육 물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기부 몰은 빈 운영 재단에서 직접 운영하고, 어떠한 물품으로 교환하여도 판매 수수료를 받지 않는다. 광고 몰의 경우 광고주나 상품 판매자에 의해 선정된 광고 대상자가 자연스럽게 광고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이해관계자들을 직접 연결해준다.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중개 수수료(광고비)가 최소화되어 저렴한 금액에 물품 구매가 가능해지고,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리빈 사용자들의 맥락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들이 원하는 구매 대상자를 선정하여 효율적인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매자를 설정하고 광고를 연계함으로써 지역 광고와 연계된 효과적인 상품판매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광고비 보상을 통해 소비자에게 더욱 저렴한 가격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장에서는 소비 생태계 개선을 위한 빈과 리빈 서비스의 전체적인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이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리빈 서비스) 시스템의 아키텍처이다.
빈(Veen)은 이더리움의 스마트 계약 플랫폼에 알트코인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빈 코인(Veen Coin)과 빈 지갑(Veen Wallet)은 스마트 계약으로 구현되며 리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Liveen Social Network Service)나 리빈 플랫폼(Liveen Platform)에서 이를 호출하여 빈의 거래 내역을 처리한다. 그리고 리빈 서비스의 맥락 데이터 관리를 위한 리빈 사설 블록체인(Liveen Private Blockchain)이 있다. 이는 빅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블록체인이며 주로 리빈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가 생산한 콘텐츠를 안전하게 보관하거나 사용자가 생산한 데이터의 가치를 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블록체인은 사용자가 생산한 데이터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빈을 배분하는 데이터 가치 합의이라는 합의 방식을 따른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리빈 질의어(Liveen Query) 모듈은 리빈 사설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으로 제공되며, 이는 사용자의 맥락 데이터를 분석하고 판단하여 플랫폼에서 원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등 통계 처리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의 적용에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리빈 플랫폼은 공통 플랫폼(Liveen Common Platform)과 기부(Liveen Charity Platform), 광고(Liveen Advertising Platform), 상거래(Liveen Commerce Platform) 플랫폼으로 구성된다. 이더리움과 같은 스마트 계약 플랫폼은 지속적인 운영비가 발생함에 따라 향후 빈 운영 재단에서 제공하는 자체 공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대체될 수 있다.
빈은 리빈에 의해 발행되고, 기부, 광고, 상거래에서 활용 가능한 코인을 의미한다. 그리고 1/1,000 빈을 피노(Fino)라 명명한다. 즉 1,000 피노는 1빈이 된다.
Figure pat00008
빈은 리빈에서 생산된 데이터의 가치를 기반으로 발행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서 제안하는 작업증명(proof of work)이나 지분증명(proof of stake)과 같은 전기를 사용한 채굴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이 필요하다. 작업증명으로 대변되는 전기 기반의 채굴 방식은 많은 전력량을 사용하여 환경 문제를 일으킨 바 있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명분을 내세워 중국 내에서의 채굴을 전면 금지하는 조치를 세웠다. 이러한 문제는 분산 원장에 화폐 거래 내역을 기록하고 내역에 신뢰를 얻기 위해 게임의 법칙을 적용하여 경쟁적인 채굴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때문에 발생한 부작용이다. 이는 암호화폐 생태계의 하나의 단점으로 지적되면서 암호화폐 회의론자에게 공격의 대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빈과 리빈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경쟁의 규칙을 합의하는 방식이 아닌 분배의 규칙을 합의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그 방식은 블록체인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임을 고려할 때,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데이터의 양과 질에 의해 가치를 측정하고 가치를 통해 보상을 분배하는 합의 방식이다. 리빈은 원장에 거래 기록이 아닌 사용자가 생산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므로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새로운 합의 방법으로 트랜젝션의 가치를 판단하고 협의하는 가치 합의(CoV, Consensus of Value)이라는 기법을 적용한다. 리빈에서는 가치 합의 방식의 합의 모델을 제공하며, 이 합의 모델은 원장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양과 질에 따라 가치를 측정하는 다양한 블록체인에서 변형되어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리빈에서의 데이터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의 규칙을 설명한다.
이더리움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계약으로 빈의 총량을 발행한 뒤 특정 규칙에 따라 빈이 배분된다. 리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게시되고 충분한 사용자가 모일 때까지는 일정 수준 이상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예컨대 총 발행량을 150억개라 할 때 모두 채굴 완료되는 시점까지 완만하게 발행량을 줄임으로써 급격한 서비스 이탈자를 막고자 정규분포곡선을 따르는 토큰 발행 모델을 채택하였다. 빈의 총량은 150억 개며, 발행되는 빈의 양은 연단위로 달라진다. 또한 지속적인 빈의 공급을 위해 재단은 매월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일정량의 빈을 매입하여 빈 가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매입 백분율 범위는 매월 재단 이사회의 결정을 통해 정해진다.
도 8은 연도별로 발행되는 빈의 하루 발행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행되는 빈의 양은 리빈 서비스의 운영 상황에 따라 빈 운영 재단에 의결을 거쳐 변경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리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출시(배포) 후 연차별 빈의 누적 발행량이다.
연차별로 발행되는 빈이 시장에 모두 풀리는데 예컨대 총 10년이 소요될 수 있다. 모든 빈이 발행되고 난 이후에는 광고, 데이터 거래, 기부 때문에 빈이 유통되며, 사용자들은 효과적인 광고나 기부를 위해 개인 맥락 데이터를 생산하게 된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리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들은 일정 시간(예컨대, 한 시간) 내에 생산된 데이터와 평판을 조합하여 한 시간에 발행된 코인을 배분하게 된다. 즉 특정 시간 동안 생산된 모든 맥락 데이터들을 사용자별로 점수를 산정하고 시간당 발행량(단위시간 채굴량)을 점수 비율로 반영한다. 그리고 채굴된 빈의 10%는 리빈의 운영비용으로 할당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표 1은 사용자 맥락 데이터의 종류와 데이터 점수의 비중, 최대 제한을 보여준다. 본 표에 대한 내용은 테스트 후에 변경될 수 있다. 최대 제한의 경우 무분별한 데이터 생산을 막기 위해 단위 시간인 한 시간 동안 한 사용자가 생산할 수 있는 맥락 데이터이다. 추천의 경우 '좋아요'와 '싫어요'를 두 개씩으로 각각 허용하는데, 이는 본인의 평판 점수를 높이기 위해 다수의 '싫어요' 가 기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사용자가 비공개로 설정한 데이터는 데이터 점수 산정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그리고 무의미한 데이터의 생산을 막기 위해서 데이터 생산량에 생산된 사용자의 평판을 적용한다. 평판(REP)은 10점 만점으로 이루어 지며, 생산된 데이터에서 다른 사용자들의 추천 량(좋아요/싫어요)에 의해 본인의 평판이 결정된다. 따라서 데이터 점수(DataScore)를 산정하는 수식은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수학식 1]
Figure pat00011
예를 들면 위치기록 12개, 행동기록 6개, 사진 3장, 글 200자, 해시태그 10개, 추천 수 3개인 경우 평판이 8점이라면 432점을 획득하게 된다. 이렇게 산정된 모든 사람들의 데이터 점수는 비율에 따라 채굴된 빈이 배분된다. 다음은 단위시간의 채굴량(QoM)에 따른 특정 사용자의 보상(Reward) 빈을 결정하는 수식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채굴량의 10%(QoM/10)는 리빈의 운영비로 산정된다. 운영비로 사용하고 남은 빈은 재단에서 소각한다. 데이터 점수(DataScore)와 보상(Reward)을 산정하는 공식은 리빈 서비스의 운영 상황에 따라 빈 운영 재단의 의결하에 변경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12
보상을 산정하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총 5명의 사람이 1000, 600, 500, 500, 400의 데이터 점수를 획득한 경우 1000점 획득자의 경우 0.33점의 상대점수를 얻게 되고, 단위 시간에 채굴되는 빈의 양이 10,000 이라 가정할 때 서비스 운영비 1,000 빈을 제외한 9,000 빈 중에 2,970 빈을 획득하게 된다. 사용자가 획득한 빈은 빈 운영 재단의 정책에 따라 특정 주기로 콘텐츠 제공자에게 분배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리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평판의 상대도수 분포 그래프이다.
리빈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기부, 광고, 전자 상거래를 위한 플랫폼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서비스는 보상 기반의 자신생활 기록, 즉 맥락 데이터를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써 데이터의 양과 사용자의 평판에 따라 빈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사용자가 생산한 맥락 데이터는 본인 또는 다른 사용자가 검색하여 조회할 수 있고, 본인의 생활 기록이 아닌 경우는 '좋아요'와 '싫어요'로 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인의 추천은 맥락 데이터 생산자의 평판으로 적용된다. 또한 부적합 평가를 받은 콘텐츠 업로더에 대해선 벌금 조치를 통해 페널티를 부과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의무를 시스템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서비스에는 자신의 빈을 타인에게 송금하거나 타인으로부터 수금하는 빈지갑을 포함한다. 이뿐 아니라, 본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은 기부를 받거나 광고를 시청할 수 있다. 광고는 가장 많은 광고비를 획득 수 있는 순서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한 광고를 시청한 경우 등록된 광고비가 사용자의 지갑으로 입금된다. 광고의 시청이 끝나면 다음 높은 광고비가 책정된 광고로 대체된다.
리빈 사용자들은 특정 위치에 기록된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콘텐츠에 '좋아요'와 싫어요'로 평가할 수 있는데 평가 수는 한 시간에 각 두 개씩으로 제한된다. 그리고 한 콘텐츠는 사용자당 단 하나의 추천만 가능하다. 추천은 익명으로 진행되며, 사용자가 비공개로 설정한 콘텐츠는 볼 수 없다. 사용자는 자신의 메인 화면에서 자신이 기록한 콘텐츠를 조회할 수 있다. 또 평가에는 '부적합' 항목이 있는데, 이는 광고물이나 음란물과 같은 소셜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해서이다. 인터넷 플랫폼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그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을 비롯하여 독일, 영국, 프랑스 등에선 소셜 미디어와 포털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독일은 '명백히 불법적(clearly criminal)'인 게시물을 방치하는 소셜 미디어 사업자에게 최대 5천만 유로의 벌금을 부과하는 법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리빈은 '부적합' 항목을 통해, 법에 근거한 강제적 모니터링이 아닌, 기업의 사회적 의무를 시스템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시간에 한 개의 '부적합' 추천을 할 수 있다. 소셜 데이터 중에 '부적합' 평가를 특정 기준 이상을 받게 되면 해당 데이터를 게시한 사용자는 벌금을 내야 한다. 벌금의 기준과 양은 서비스 개시 시에 결정되어 공지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맥락 데이터를 생산하면 빈을 획득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해당 사용자의 평판이 적용된다. 평판은 자신이 생산한 맥락 데이터를 다수의 다른 사용자로부터 '좋아요'와 '싫어요'로 평가받고, 이를 종합하여 계산한다. 최초 가입 사용자는 5점으로 시작하며, '좋아요'가 많을수록 높아지고 '싫어요'가 많을수록 낮아진다. 평판은 상대적으로 계산되는데, 특정 사용자의 모든 콘텐츠에서 발생한 '좋아요' 개수에 '싫어요' 개수를 빼고 이를 좋아요 점수(Like Score)라 한다.
[수학식 3]
Figure pat00013
이 좋아요 점수를 가장 높은 순서대로 나열 후 평균 5와 표준편차 2인 정규분포에 따라 평판점수를 배분한다. 평판 점수는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상대평가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체 시스템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게끔 유도하기 위해 정규분포를 채택했다. 전체 사용자를 모집단으로 하고 평균 평판은 5점이며, 표준 편차 2의 분포가 된다. 아래의 식은 이를 정규분포 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수학식 4]
Figure pat00014
도 11을 참조하면, 평판의 상대도수 분포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표 2는 평판의 상대도수 분포표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15
예를 들어 좋아요 점수가 상위 1.7% 이면, 9.0점을 받고, 좋아요 점수가 상위 15.2%이면 8.0점을 받게 된다.
평판은 소숫점 첫째자리까지 고려하여 100분위로 나누어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평판 산정 방식은 리빈 서비스의 테스트나 운영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빈 플랫폼은 리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축적된 맥락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부, 광고, 전자 상거래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이하에서는 플랫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리빈 플랫폼은 맥락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질의를 통해 대상자를 선정한다. 즉 사용자가 등록한 위치 데이터, 소셜 데이터, 개인 이력 데이터를 통해 원하는 대상자를 추출할 수 있는데, 다양한 조건문으로 이루어 진다. 표 3은 리빈 질의어의 사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Figure pat00016
이 질의는 마케팅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교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며, 단순한 질의부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판단까지 적용될 예정이다. 이는 리빈 질의어가 활성화 되면, 많은 인공지능 개발자들이 리빈의 맥락 데이터를 활용하여 판단 로직을 만들고, 이를 판매할 수 있는 생태계 플랫폼 개발을 리빈 사업의 연구 과제로 진행할 예정이다.
전술한 비와 같이, 리빈 플랫폼을 통해 기부를 주고받을 수 있다. 기부자는 리빈 질의어를 통해 특정 기부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에라리온 거주하는 2010년에서 2015년생 중에 학교에 가장 오랜 시간 머무르는 100명을 조회해줘." 와 같은 질의가 가능하다. 기부자는 질의로부터 추출된 사용자의 맥락 데이터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도 있고, 단순 질의를 통해 바로 기부도 가능하다. 기부는 리빈 지갑을 통한 송금으로 진행되며, 원하면 수혜자에게 기부자를 공개할 수도 있고, 공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리빈은 이러한 직접 기부 방법을 통해 기부 중개로 발생하는 비용을 없애거나 최소화하여 원활한 기부 문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기부 수혜자는 기부받은 금액을 거래소를 통해 환전할 수 있고, 거래소가 없는 국가의 경우 비영리 기부 쇼핑몰에서 지정된 물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리빈 광고 플랫폼은 리빈 질의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대상에게 광고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는 광고 대상자의 수와 광고비를 직접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서울에 주로 거주하는 20 30대 중 '피자' 해시태그를 가장 많이 건 100명에게 1빈으로 광고를 해줘"와 같은 광고가 가능하다.
이때 광고주는 최소 110빈이 필요한데 전체 광고비의 10%는 기부 및 광고 플랫폼 유지비로 책정되기 때문이다. 만약 광고 대상자가 광고를 시청하지 않으면, 시청하지 않은 광고비는 광고주에게 반환된다. 이러한 직접 광고는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주에게도 효율적일 뿐 아니라, 광고를 시청하는 시청자들도 보상을 받기 때문에 시청한 광고가 긍정적 이미지를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동안의 광고 수익은 광고 중개업자가 독점하였다면, 리빈 플랫폼에서의 광고는 90%의 광고비를 광고 시청자들에게 돌려줌으로써, 중개 비용을 최소화하였을 뿐 아니라 광고주와 시청자를 직접 연결하는 직접 광고(Peer-to-peer Advertisement)를 실현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리빈 광고 플랫폼은 광고주들에게 광고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다. 리빈의 광고와 광고 몰의 상품 구매 내역와 연동하여 이를 보여주는 광고 및 상품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현재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가장 큰 문제점인 광고 효과 분석 미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더불어 마케팅 대상 선정에 대한 효과 등의 분석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20대를 대상으로 광고를 했을 때의 효과와 30대를 대상으로 광고를 했을 때의 효과를 비교하여 향후 마케팅 대상 선정에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리빈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광고주에게 효과적으로 광고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리빈은 향후 데이터 거래 중개 플랫폼으로 발전할 예정이다. 리빈 사용자가 설정한 개인 정보나 소셜 서비스에서 생산된 맥락 데이터들을 원하는 이에게 합당한 금액으로 직접 거래를 할 수 있다.
리빈 소셜 서비스 사용자들은 지정된 항목(예: 주소, 메일 주소 등)을 등록하고 등록한 개인정보에 대해 가치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 기능은 현재 개인 정보 보호라는 문제의 소지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가능성만 염두에 두고자 한다. 그러나 불법 또는 합법적인 제삼자의 개인 정보거래의 문제가 지속해서 문제가 되고, 본인이 생산한 데이터 거래가 활성화되는 시점에는 재단과 운영기관과의 협의로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를 실시한다.
리빈은 빈을 사용하여 물품이나 서비스를 살 수 있는 전자 상거래 쇼핑몰을 제공한다. 이 쇼핑몰은 기부 몰과 광고 몰로 구분되는데, 기부 몰은 기부금을 통해 구호물품을 구매할 수 있고, 광고 몰은 광고된 상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기부 몰의 경우 수혜자는 기부액 만큼에 해당하는 구호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데, 이는 구호에 적합한 식료품, 의료, 의약품, 교육 용품으로 제한한다. 기부 몰은 비영리로 저렴하게 운영하여 기부금의 중개 비용을 최소화하는 운영 정책을 갖는다. 광고 몰의 경우 광고된 상품을 광고주가 자유롭게 등록하고, 광고 후에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다. 상품을 판매한 판매자의 경우 자신이 소비한 광고료를 즉각적으로 매출로 연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고의 효과를 바로 측정할 수 있다.
리빈의 전자 상거래 플랫폼은 3D 프린터와 소매 서비스로 대변되는 개인 생산 시장에서 전자상거래의 분권화를 목적으로 한다. 즉 개인이 생산한 물품을 직접 리빈 서비스에 등록하고 소비자가 비용을 지급하면, 직접 배송이나 직접 서비스 공급을 할 수 있다. 기존의 상거래 플랫폼에서는 지역 기반의 소매 제품의 경우 다양한 사람에게 자신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판매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리빈의 리빈 질의어를 통해 판매 가능한 대상을 선정하고, 광고와 연계하여 판매함으로써 효과적인 광고와 판매를 할 수 있다.
리빈과 빈은 기부와 광고, 데이터 거래, 전자 상거래의 분권화를 통해 중개에 의한 수수료를 최소화하고 이를 참여자들에게 이익을 주는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리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콘텐츠를 데이터의 양과 제공자의 평판에 맞게 빈을 지급하여 데이터 제공에 대한 보상을 준다. 여기서 생산된 데이터는 리빈 질의어에 의해 기부 대상, 광고 대상, 판매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기부자와 광고주, 판매자는 빈을 통해 직접 기부와 직접 광고, 직접 판매를 진행한다. 광고의 경우 소셜 서비스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하게 되는데, 이때 자신에게 할당된 광고비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광고는 자연스레 전자 상거래와 연동하여 광고를 시청한 시청자는 해당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빈과 빈은 생산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는 생태계가 조성되고, 사용자는 기부 운영비용, 광고 중개비용, 상거래 중개비용을 배제한 상태에서 효과적인 광고, 판매와 저렴한 광고 시청, 구매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빈은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만드는 가치 있는 데이터에 알맞은 보상을 제공해주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관심사를 기반으로 다양한 양질의 콘텐츠를 작성하고 공유하며, 그 콘텐츠의 가치에 따라 코인으로 보상을 받는다. 이렇게 받은 코인은 거래소를 통해 실물화폐로 교환할 수 있고, 광고 플랫폼과 실물 거래를 위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연계되어 사용할 수 있다. 리빈에서 보상은 사용자의 데이터 생산량과 다른 사용자들이 평가한 결과에 비례하여 결정되며, 특정 단위로 발행되는 코인을 사용자가 제공한 데이터 기여량에 맞게 배분하여 제공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축적한 맥락 데이터는 맞춤형 광고와 맞춤형 기부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가 되며, 광고주와 기부자는 이 정보를 통해 특정 조건에 맞는 대상에게 광고나 기부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맥락 데이터를 생산하는 사람이 코인을 발행하고 광고와 기부, 실물거래에 코인을 소비할 수 있는 생태계가 만들어 지는 것이다. "당신이 곧 당신의 데이터다"라는 말처럼 사용자의 데이터는 지금 이 순간에도 일어나고 있으며, 생산의 주체는 바로 사용자 자신이다. 리빈을 통해 사용자는 데이터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광고, 데이터 거래, 기부와 전자상거래의 분권화를 이루고 신뢰를 보장하여 진정한 보편적 인류 가치 실현에 기여할 것이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적용되는 SNS 플랫폼(10)(즉, 리빈 플랫폼)은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에 기반한 데이터 플랫폼이다. 그 동안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이 불공정하게, 일방적으로 수집해 간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보상을 빈이라는 암호화폐를 통해 제공한다.
리빈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리빈 플랫폼에 자신들의 현재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활동 행위 및 다양한 미디어 자료들을 플랫폼에 제공한다(단계 ①, 정보 업로드(나의 방문지(GPS), 나의 행동/해시태그, 공개 가능한 나의 정보 등)). 이러한 정보 업로드 행위에 의해 빈이 채굴될 수 있다.
리빈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올린 데이터를 수집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정량화된 평가를 진행한다. 이 평가 방식을 가치 합의(Consensus of Value)(이하 CoV라 함)라 할 수 있다. CoV에 의해 사용자들의 데이터 가치는 정량화된 점수로 환산될 수 있고, 환산된 점수에 기초하여 사용자들에게 빈 토큰의 형태로 되돌려줄 수 있다.
그 외에도 사용자들은 좋아요/싫어요 평가와 같은 콘텐츠 평가(단계 ②), 사용자 데이터에 기반한 타겟 광고 시청(단계 ③)을 수행할 수 있고, 각 행위마다 빈을 제공받을 수 있다.
리빈 플랫폼에 누적된 사용자들의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될 수 있다. 광고업체 혹은 상거래업체들은 비용 측면에서 무의미한 전방위적 광고 살포보다 타겟팅된 광고를 원한다. 이 때 리빈 플랫폼에 쌓여진 위치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 데이터들은 이런 업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업체 혹은 상거래업체들은 특정 조건 검색을 조합하여 리빈 플랫폼으로 쿼리를 보내고, 리빈 플랫폼은 받은 쿼리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조회하여 나온 사용자들을 마스킹(masking)한 뒤 광고업체/상거래업체들에게 돌려 줄 수 있다(단계 ④). 광고업체/상거래업체가 이러한 쿼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빈 토큰을 리빈 플랫폼에 결제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리빈 플랫폼은 광고업체/상거래업체들에게 데이터 기반으로 타겟을 설정하고 타겟 광고를 할 수 있게 하는 중개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다(단계 ⑤). 이 경우에도 광고업체/상거래업체는 이러한 중개 플랫폼을 사용하기 위해 빈 토큰을 결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특히, SNS 플랫폼(10))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특히 데이터 가치 평가 방법은 전술한 CoV로서, 리빈 플랫폼에 저장되는 사용자들의 데이터(예컨대, 현재 위치 데이터, 현재 행동, 사진, 글, 해시태그, 추천 등)를 가치 평가하는 알고리즘이다. 총 6가지 데이터에 대해 가중치를 달리 부여하고, 데이터 생산자인 사용자의 평판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보상은 상이해진다.
리빈 플랫폼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리빈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노드 형태로 참여해 ??는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형태의 사용자 레이어(User Layer)와,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확정하여 블록화를 담당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레이어(Private Blockchain Layer)가 합쳐진 이중 티어(Two-tier)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일 수 있다.
도 13에서 섹터(Sector)는 가변적인 지역 범위를 의미한다. S1과 S2 지역이 겹쳐지는 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용자 N4와 N5는 S1과 S2에서 발생되는 사용자들 N1~N12의 데이터의 가치를 계산하는 계산 노드가 될 수 있다(CALS1S2).
마찬가지로 S2, S3 지역이 겹쳐지는 곳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용자 N10, N11, N12는 S2, S3 지역에서 활동하는 사용자들 N4~N15의 데이터의 가치를 계산하는 계산 노드가 될 수 있다(CALS2S3).
계산 노드에 의해 계산된 결과 값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레이어를 구성하고 있는 검증 노드들(V1~Vn)에게 알려줄 수 있다. 섹터는 사용자들의 지역 분포에 따라 랜덤하게 구역화되기 때문에, 섹터 간 교집합에 위치해 있어 계산 노드가 될 수 있는 사용자들도 매 시간마다 랜덤하게 바뀔 수 있다.
S1~S3까지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리빈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는 트랜잭션 형태로 프라이빗 블록체인 레이어로도 전파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 레이어인 퍼블릭 블록체인 뿐만 아니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형성하고 있는 노드들(V1~Vn)도 전파 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섹터 간 데이터 가치 계산을 독자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라이빗 블록체인 레이어의 노드들은 앞서 사용자 레이어에서 전달받은 계산 결과 값인 CALS1S2, CALS2S3가 정확한 값인지 자체적으로 계산한 검증 결과 값과 비교한다. 만약 사용자 레이어에서 전파된 계산 결과 값이 틀린 계산 값이라면, 해당 계산 결과 값을 제공한 퍼블릭 블록체인 노드는 계산 보상을 받지 못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라이빗 블록체인 레이어에서 틀린 값을 계산한 노드 역시 검증자(Validator) 역할에서 제외되고, 영구 퇴출되게 할 수 있다.
결과 값을 비교하여 같다라고 판명되면, 검증 노드는 결과 값에 해당하는 트랙잭션들을 블록화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에 도움을 준 섹터 교집합에 속한 계산 노드들에게 추가적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CoV 로직은 다음과 같다.
SNS 플랫폼(10)은 현 시점에서 섹터를 구역화한다(단계 S100). 섹터의 구역화는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섹터들 간의 교집합에 속하는 사용자 노드를 계산 노드로 선정한다(단계 S105).
계산 노드는 양 섹터에 속하는 모든 일반 사용자 노드들(Nn)에서 제공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점수(데이터 스코어, DSNn)를 수학식 5와 같이 계산한다(단계 S110). 수학식 5는 수학식 1과 유사하다.
[수학식 5]
Figure pat00017
LD는 위치 입력 수, AD는 행동 입력 수, PIC는 사진 입력 수, TL은 글 입력 수, TAG는 해시태그 입력 수, LIK는 추천 수이고,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
Figure pat00020
,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
Figure pat00023
는 각 맥락 데이터의 데이터 점수 비율(가중치)이다(표 1 참조).
여기서, 사용자는 위치 입력을 12개 이상, 행동 입력을 12회 이상 올릴 수 있으나, 표 1에 따른 제한값이 각각 12개, 12회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이상의 행동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 수 없다. 사진, 글, 해시태그, 추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여기서, 사용자 행동 각각에 대한 제한값은 예시적인 것으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계산 노드는 일반 사용자 노드들에 대한 평판(REPNn)을 수학식 6과 같이 계산한다(단계 S115).
[수학식 6]
Figure pat00024
sort는 정렬 함수이고, #of LIK는 좋아요 횟수, #of DIS는 싫어요 횟수이다.
여기서, REPDist는 Reputation Distribution으로, 수학식 4, 도 11 및 표 2와 같이 분포될 수 있다.
정규분포곡선 N(5, 22)에 맞춰 사용자들의 평판(REPNn)을 순서대로 정렬하고, 그 순위에 따라 평판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상위 1.7%에 해당되는 사용자는 100%, 하위 1.7%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1.7%만큼 데이터 점수에 가중치를 받게 된다. 평판 관리의 가중치를 높게 부여하는 경우, SNS 서비스를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섹터 내의 모든 일반 노드들에 대한 데이터 점수와 평판 계산이 완료되면,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있는 검증 노드들이 계산 결과 값(섹터 결과 값)을 받아 자체적으로 계산한 검증 결과 값과 같은지 비교 검증한다(단계 S120).
만약 계산 결과 값이 검증 결과 값과 동일한 경우, 계산이 제대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검증 노드는 해당 결과 값에 상응하는 트랙잭션에 대한 블록을 확정하고, 해당 결과 값을 계산한 계산 노드에게 보상을 지급한다(단계 S125). 보상은 일정 량의 빈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계산 결과 값이 검증 결과 값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고, 결과 값을 잘못 계산한 검증 노드 및/또는 계산 노드에게 패널티를 부여한다(단계 S130).
예를 들어, 검증 노드에서의 계산 오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내에 속하는 타 검증 노드에서 계산된 검증 결과 값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수의 검증 노드에서 계산된 검증 결과 값이 올바른 것으로 가정하고, 이 값에서 벗어난 계산 값은 이상점(outlier)으로 간주하여 계산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1차 검증 이후에는 계산 노드에서의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계산 오류가 없는 것으로 인정된 검증 결과 값과 동일하지 않은 계산 결과 값을 나타내는 계산 노드에서 계산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계산에 따른 보상 지급과 패널티 부여가 완료되면, 데이터를 입력한 사용자 노드(Nn)에게 보상을 지급한다(단계 S135). 지급할 보상은 수학식 2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S100 내지 S135를 일정 시간(예컨대, 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전술한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특히 데이터 가치 평가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SNS 플랫폼 (리빈 플랫폼)

Claims (14)

  1.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이 사용자 노드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확정된 블록으로 등록시키고,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의 가치에 상응하는 코인을 상기 사용자 노드에게 보상으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에는 행동 정보, 사진, 글, 해시태그 및 추천 수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 평가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점수를 계산하고, 상기 사용자 노드에 대한 평판을 가중치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상기 사용자 노드에서 생성된 모든 사용자 맥락 데이터에 대한 타 사용자의 추천 량에 상응하는 좋아요 점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상기 좋아요 점수를 순서대로 나열하고 소정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가지는 정규분포에 따라 상대적으로 평판점수가 배분된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지급 단계에서 상기 보상은 단위시간 채굴량에 대해 상기 데이터 점수의 비율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플랫폼은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쿼리가 입력되면, 상기 쿼리에 상대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사용자 노드를 조회하여 마스킹하고, 상기 쿼리를 보낸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체 단말에 대해 상기 쿼리를 입력하기 위한 선행 조건으로 상기 코인을 이용한 결제가 요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 평가 단계는,
    위치 기반으로 복수의 섹터를 구역화하는 단계;
    임의의 두 섹터 간의 교집합에 속하는 사용자 노드를 계산 노드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계산 노드에서 상기 두 섹터에 속하는 모든 사용자 노드의 데이터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 노드에서 상기 두 섹터에 속하는 모든 사용자 노드의 평판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점수에 상기 평판이 반영된 계산 결과 값을 검증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노드에서 상기 모든 사용자 노드에 대해 자체 계산한 검증 결과 값과 상기 계산 결과 값을 비교하고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 결과 값과 상기 계산 결과 값이 동일하면 상기 계산 노드에 대해 계산에 따른 보상을 지급하고, 상기 검증 결과 값과 상기 계산 결과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계산이 틀린 상기 검증 노드 및 상기 계산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패널티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노드에 의한 계산은 퍼블릭 블록체인 레이어에서 수행되고, 상기 검증 노드에 의한 계산 및 검증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레이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노드는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레이어에서 타 검증 노드와 검증 결과 값을 비교하여 계산 오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점수 계산 단계는 하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점수(DSNn)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Figure pat00025

    -LD는 위치 입력 수, AD는 행동 입력 수, PIC는 사진 입력 수, TL은 글 입력 수, TAG는 해시태그 입력 수, LIK는 추천 수이고,
    Figure pat00026
    ,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
    Figure pat00029
    ,
    Figure pat00030
    ,
    Figure pat00031
    는 각 맥락 데이터의 데이터 점수 비율(가중치)임-
  13.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노드; 및
    상기 사용자 노드로부터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에 대해 가치를 평가하며,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확정된 블록으로 등록시키고, 상기 가치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 노드에 코인을 지급하는 SNS 플랫폼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맥락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쿼리를 상기 SNS 플랫폼에 전송하는 업체 단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SNS 플랫폼은 상기 쿼리에 상대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사용자 노드를 조회하여 마스킹하고, 상기 쿼리를 보낸 업체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020627A 2018-02-22 2019-02-21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14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2251 WO2019164354A1 (ko) 2018-02-22 2019-02-22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25 2018-02-22
KR20180021125 2018-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299A true KR20190101299A (ko) 2019-08-30
KR102149747B1 KR102149747B1 (ko) 2020-08-31

Family

ID=6777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627A KR102149747B1 (ko) 2018-02-22 2019-02-21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779B1 (ko) * 2020-04-24 2020-10-08 주식회사 미소트리 블록체인을 이용한 보상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636A (ko) * 2010-01-26 2011-08-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네트워크 사용자의 평판도 산출 방법 및 장치
KR101216689B1 (ko) 2012-02-20 2013-02-01 권선우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4746A (ko) * 2012-04-24 2014-12-19 페이스북, 인크.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에서의 클레임의 평가
KR101616064B1 (ko) * 2009-03-03 2016-05-1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소셜 네트워크용 애드히트 광고 모델
KR20180010147A (ko) * 2016-07-20 2018-01-30 안강석 사용자 맞춤식 가치 정보 검색 및 소셜 네트워크 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7314B1 (ko) * 2016-08-04 2018-02-08 이철성 차별적 보상적립방식에 따른 광고 마케팅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064B1 (ko) * 2009-03-03 2016-05-12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소셜 네트워크용 애드히트 광고 모델
KR20110087636A (ko) * 2010-01-26 2011-08-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네트워크 사용자의 평판도 산출 방법 및 장치
KR101216689B1 (ko) 2012-02-20 2013-02-01 권선우 Sns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4746A (ko) * 2012-04-24 2014-12-19 페이스북, 인크.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에서의 클레임의 평가
KR20180010147A (ko) * 2016-07-20 2018-01-30 안강석 사용자 맞춤식 가치 정보 검색 및 소셜 네트워크 구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7314B1 (ko) * 2016-08-04 2018-02-08 이철성 차별적 보상적립방식에 따른 광고 마케팅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cholas McEvily 외 6명, "확실한 보상체계를 가진 블록체인 기반의 멀티미디어 생태계"* *
네이버 블로그, "Steem 스팀코인에 대해 알아보자" *
네이버 블로그, "가상화폐 SNS를 통해 실용화되다" *
네이버 블로그, "드디어 베일을 벗다, 리빈코인(Liveen), 광고 소셜네트워크 플랫폼 최강자 ICO" *
조은원, "암호화폐와 소셜 뉴스 플랫폼의 만남 '사피엔' 주목"*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779B1 (ko) * 2020-04-24 2020-10-08 주식회사 미소트리 블록체인을 이용한 보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747B1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i et al. Informational challenges in omnichannel marketing: Remedies and future research
CN103460235B (zh) 基于社交网络系统中联系人的活动提供社交协约
US10235688B2 (en) Web and mobile device advertising
US20070239527A1 (en) Network-based advertising trading platform and method
CN101589405A (zh) 基于顾客行为的广告目标确定和/或定价
CN101438309A (zh) 用于在线广告的分布式体系结构
CN101661592A (zh) 一种利用真实社交网络发布广告的方法
CN103098084A (zh) 具有cpe折扣的目标营销
US201500394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payments and receiving rebates
US20210133790A1 (en) Marketing Based Privacy Credits Using Conventional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KR102083744B1 (ko) 상품 구매 및 광고 시청에 따른 적립금 분배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상품 판매 시스템
Joo et al. Design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like Blockchain, for advertising markets
US2013018513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mpensating Web Users for Viewing Targeted Ads
WO2019164354A1 (ko)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aoutaris Why online services should pay you for your data? The arguments for a human-centric data economy
Iskoujina et al. Grasping the business value of online communities
KR102149747B1 (ko)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Galhotra Evolution of E-commerce In India: A Review and Its Future Scope
KR102516956B1 (ko) 인플루언서와 업체를 매칭시키는 플랫폼 시스템
KR20200020505A (ko) 가치선택적 마케팅 시스템
Xiao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in Europe
KR101082069B1 (ko) 공동구매 할인상품 구매시 결제 서비스 서버를 통한 클라이언트의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소셜커머스 활성화를 위한 영업 방법 및 시스템
Edelman The design of online advertising markets
Cowgill et al. Optimal segmentation in platform strategy: Evidence from geotargeted advertising
Cowgill et al. Competition and Specificity in Market Design: Evidence from Geotargeted Adverti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