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007A - 힌지 - Google Patents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007A
KR20090112007A KR1020080037658A KR20080037658A KR20090112007A KR 20090112007 A KR20090112007 A KR 20090112007A KR 1020080037658 A KR1020080037658 A KR 1020080037658A KR 20080037658 A KR20080037658 A KR 20080037658A KR 20090112007 A KR20090112007 A KR 20090112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gear
friction
groove
ro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훈
박정욱
최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엑스하이브리드
Priority to KR102008003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007A/ko
Publication of KR2009011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범위는 무부하 회전되고, 다른 일정범위는 단속적인 걸림력이 제공되면서 천천히 회전되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제1구간의 각도까지는 자유회전되며, 제2구간의 각도부터는 단속적인 마찰력과 걸림력이 감쇠력으로 작용되면서 회전되는 힌지가 제공된다.
힌지, 무부하 회전, 마찰

Description

힌지{HINGE}
본 발명은 힌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력이 감쇄되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는 도어등 회전되는 물체의 회전축에 제공되어, 원할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자유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와 같은 힌지는 방 문 또는 차 문의 회전축이나 뚜껑등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힌지는 도어나 뚜껑등이 하측으로 개방되는 경우, 도어나 뚜껑을 열게되면 자중에 의해 도어나 뚜껑등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며, 이는 도어 및 뚜껑이 파손되거나 소음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가 측면으로 열리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과격하게 열었을 때, 완전히 열려졌을 때 충격이 발생하여 파손 및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 각도에 따라 그 회전력이 감쇄되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제1구간의 각도까지는 자유회전되며, 제2구간의 각도부터는 단속적인 마찰력이 작용되면서 회전되는 힌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의 힌지는, 힌지 바디, 힌지 바디의 내부에 상기 힌지 바디와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위치되고, 둘레부의 적어도 일부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고정기어 및 상기 힌지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기어의 둘레를 공전하면서, 적어도 상기 제2구간에서는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되어 자전되며, 상기 자전되는 구간에서는 단속적인 마찰력이 작용 되도록 상기 힌지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고정기어는, 상기 제2구간에 해당하 는 범위만큼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회전기어가 자전할 때 상기 회전기어에 단속적으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마찰부는 상기 회전기어가 자전할 때 상기 회전기어에 단속적으로 탄성적인 걸림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마찰부는, 상기 회전기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회전기어측으로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의 힌지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재와 마주보는 회전기어의 일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되는 제1홈, 상기 제1홈 내부에 위치되며 일부가 상기 제1홈의 외부로 노출되는 마찰구 및 상기 제1홈이 형성된 회전기어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홈의 외부로 노출된 마찰구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제2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의 힌지에 따르면, 상기 마찰구와 접촉하도록 상기 마찰구가 가압부재와 접촉하는 궤적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홈과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레일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마찰구는 상기 제1홈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제1홈의 내주면과 마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의 힌지에 따르면, 상기 고정기어와 힌지 바디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제1제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고정기어에 돌출형성된 제1돌기 및 상기 힌지 바디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돌기와 연접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힌지 바디에 돌출형성된 제2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의 힌지에 따르면, 상기 회전기어와 상기 힌지 바디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제2제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2제한부는, 상기 회전기어에 돌출형성된 제3돌기 및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3돌기와 연접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힌지 바디에 돌출형성된 제4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형태의 힌지에 따르면, 상기 고정기어는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힌지바디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는 회전 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힌지에 따르면, 일정범위는 무부하 회전되고, 다른 일정범위는 단속적인 걸림력이 제공되면서 천천히 회전되는 힌지가 제공되어, 보다 신속하게 회전되며, 소음 및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나 힌지를 완전히 개방하지 않고 어느정도만 개방하여도 상기 힌지에 걸림력이 작용되므로 도어가 어느정도 움직이지 않고 사용자가 개방한 정도를 유지할 수 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힌지는 본체(10)에 고정된 힌지축(128)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본체(10)에 대하여 회전되는 도어등의 회전 대상물(미도시)에 결합 또는 매립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힌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바디(110)와, 고정기어(120), 회전기어(130), 가압부재(140) 및 탄성부재(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 바디(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의 외부를 구성하는 케이스이며, 내부에 상기 고정기어(120)와 회전기어(130) 및 가압부재(140)와 스프링(150)이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기어(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바디(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 때, 고정기어(120)와 힌지 바디(110)는 상대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어(120)의 둘레의 일부분에는 기어치(1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기어(120)의 둘레중 기어치(1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범위를 제1구간(170)이라 하고, 기어치(122)가 형성된 부분의 범위를 제2구간(180)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어(120)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에 고정된 힌지축(128)이 결합되는 힌지축 삽입구(1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기어(12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힌지축(128)과 결합됨으로써 본체(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기어(12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기어(120)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 대상물과 결합된 힌지 바디(110)가 상기 회전 대상물의 회전에 따라 본체(10)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기어(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기어(120)에 치합되도록 상기 힌지 바디(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힌지 바디(110)가 상기 고정기어(120)에 대하여 회전하므로, 상기 힌지 바디(110)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기어(130)는 상기 고정기어(120)의 주위를 상기 힌지 바디(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기어(120)의 주위를 공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130)의 주위에는 고정기어(120)의 기어치(122)와 치합되는 기어치(1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기어(130)의 기어치(132)가 고정기어(120)의 기어치(122)와 치합되면서 자전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기어(120)는 제2구간(180)에서만 기어치(1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기어(130)는 상기 제1구간(170)에서는 자전되지 않으며 공전만 하게된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130)는 상기 제2구간(180)에서 상기 고정기어(120)의 기어치(122)와 치합되면서 공전과 자전을 동시에 하게 된다.
상기 회전기어(130)는 상기 회전기어(130)를 관통하고 상기 힌지 바디(110)의 후면을 이루는 커버(160)에 체결되는 체결너트(16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어(130)가 자전되는 구간에서 상기 회전기어(130)에 단속적인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부는 제1홈(138)이 형성된 플랜지(134), 마찰 구(142), 그리고, 가압부재(140) 및 탄성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제시한다.
상기 플랜지(134)는 상기 회전기어(130)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어(130)의 자전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34)의 일측면에는 소정깊이로 형성된 제1홈(138)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마찰구(142)는 구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홈(138)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구(142)의 일부는 상기 제1홈(138)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가압부재(14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회전기어(130)의 플랜지(134)와 마주보도록 힌지 바디(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기어(130)의 회전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40)의 플랜지(134)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홈(138)의 내부에 삽입된 마찰구(142)의 노출된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2홈(148)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40)의 플랜지(134)에 형성된 제1홈(138)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1홈(138)의 외부로 노출된 마찰구(142)와 접촉되는 궤적을 따라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레일(146)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146)은 상기 제2홈(148)의 사이를 잇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레일(146)은 상기 마찰구(142)와 접촉되는 궤적을 따라 적어도 일부구간에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146)은 상기 제2홈(148)보다는 얕은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40)의 타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부재(140)를 회전기어(130)측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50)가 코일스프링(150)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 바디(110)의 후면을 이루는 커버(160)에 지지되어 상기 가압부재(14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기어(130)가 제1구간(170)에 위치될 경우, 상기 회전기어(130)는 자전하지 않고 공전만 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기어(130)와 가압부재(140)가 상대회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40)와 회전기어(130)의 플랜지(134) 사이에 구비된 마찰구(142)가 회전되지 않아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130)가 제2구간(180)에 위치될 경우, 상기 회전기어(130)는 자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가압부재(140)는 고정되어 있어 상기 회전기어(130)에 따라 회전되지 않으므로, 상기 가압부재(140)와 회전기어(130)의 플랜지(134) 사이에 구비된 마찰구(142)가 그 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마찰구(142)는 제1홈(138)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상기 마찰구(14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마찰구(142)와 제1홈(138)의 내부가 마찰되어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마찰력은 상기 회전기어(130)가 자전하는 것을 방해하는 일종의 감쇄력으로 작용되어 상기 회전기어(130)의 자전이 천천히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회전기어(130)가 천천히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힌지 바디(110) 및 힌지 바디(110)와 결합된 회전 대상물의 회전이 천천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홈(138)은 내부에 수용된 마찰구(142)가 가압부재(140)와 마찰될 때 상기 제1홈(138)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충분하게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40)에는 상기 마찰구(142)의 노출된 일부가 수용되는 제2홈(148)과, 상기 제2홈(148) 보다는 얕은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마찰구(142)가 접촉하는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14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기어(130)가 제2구간(180)에 위치되어 자전하게 되면, 상기 마찰구(142)는 상기 제1홈(138) 내부에 수용된 체 상기 회전기어(130)의 자전에 따라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마찰구(142)는 상기 제2홈(148)에서 탈거되어 상기 레일(146)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인근의 다른 제2홈(148)에 삽입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40)는 상기 코일스프링(150)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마찰구(142)가 제2홈(148)에서 탈거되거나 삽입될 때, 상기 힌지에 탄성적인 걸림력이 작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찰구(142)가 레일(146)을 따라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상기 마찰구(142)가 상기 제1홈(138)의 내주면과 마찰하게 되므로, 상기 힌지에 마찰력이 작용된다.
또한, 상기 레일(146)은 상기 제2홈(148)의 사이에 구비되므로, 상기 마찰력은 단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어(120)와 힌지 바디(110)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전되도 록 제한하는 제1제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제한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돌기(126)와 제2돌기(1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돌기(126)는 상기 고정기어(120)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116)는 상기 힌지 바디(110)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 바디(1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돌기(126)와 연접되어 그 회전이 제한되도록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돌기(126)와 제2돌기(116)는 상기 고정기어(120)와 힌지 바디(110)가 초기위치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회전기어(130)와 상기 힌지 바디(110)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제2제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제한부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3돌기(136)와 제4돌기(11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돌기(136)는 상기 회전기어(130)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4돌기(118)는 상기 힌지 바디(11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기어(13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3돌기(136)와 연접되어 그 회전이 제한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3돌기(136)와 제4돌기(118)는 상기 힌지 바디(110)가 초기위치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힌지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힌지가 초기상태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회전 대상물이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기 전 초기상태일 때의 힌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초기상태일 때에는 상기 회전기어(130)가 상기 고정기어(120)의 제1구간(170)에 구비되도록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기어(120)는 힌지축(128)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기어(120)는 움직이지 않으며, 힌지 바디(110) 및 회전기어(130)가 상기 고정기어(1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기어(130)는 상기 고정기어(120)의 기어치(122)가 형성되지 않은 제1구간(170)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구간(170)내에서는 상기 회전기어(130)가 상기 고정기어(120)와 치합되지 않아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구간(170)에서는 상기 회전기어(13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회전기어(130)의 플랜지(134)에 구비된 마찰구(142)가 가압부재(140)와 상대이동을 하지 않으므로 마찰력 또는 걸림력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힌지 바디(110)가 더욱 회전되면 상기 회전기어(130)는 상기 고정기어(120)의 기어치(122)가 형성된 제2구간(180)에 위치되며, 상기 제2구간(180)에서는 상기 회전기어(130)의 기어치(132)가 고정기어(120)의 기어치(122)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기어(130)가 회전된다.
상기 제2구간(180)에서는 상기 회전기어(130)가 회전하므로, 도 12에 도시된바와같이, 상기 회전기어(130)의 플랜지(134)에 구비된 마찰구(142)가 상기 가압부 재(140)와 상대이동을 하게 되어 단속적인 마찰력과 걸림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회전 대상물의 회전력이 감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힌지는 냉장고의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또는 홈바 도어 및 전자레인지나 세탁기의 도어 등 가전제품의 도어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가옥등의 소형 건축물의 방문이나 현관문 또는, 빌딩등 대형 건축물의 도어 등 어느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대상물의 회전축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예는 본 발명이 보다 잘 이해되도록 예를 든 것이며, 자동차의 도어등 여타 다른 기기 및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힌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힌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힌지 바디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고정기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회전기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가압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힌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힌지가 회전하기전 최초상태일 때의 단면도;
제 9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힌지가 제1구간에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힌지가 제2구간에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회전기어가 자전하지 않을 때의 가압부재와 플랜지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회전기어가 자전될 때의 가압부재와 플랜지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힌지 110: 힌지 바디
116: 제2돌기 118: 제4돌기
120: 고정기어 122: 기어치
124: 회전축 삽입구 130: 회전기어
132: 기어치 134: 플랜지
136: 제3돌기 138: 제1홈
140: 가압부재 142: 마찰구
146: 레일 148: 제2홈
150: 스프링 160: 커버

Claims (14)

  1. 제1구간의 각도까지는 자유회전되며, 제2구간의 각도부터는 단속적인 마찰력이 작용되면서 회전되는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힌지 바디;
    힌지 바디의 내부에 상기 힌지 바디와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위치되고, 둘레부의 적어도 일부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고정기어; 및
    상기 힌지 바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기어의 둘레를 공전하면서, 적어도 상기 제2구간에서는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되어 자전되며, 상기 자전되는 구간에서는 단속적인 마찰력이 작용 되도록 상기 힌지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기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어는,
    상기 제2구간에 해당하는 범위만큼 기어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가 자전할 때 상기 회전기어에 단속적으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회전기어가 자전할 때 상기 회전기어에 단속적으로 탄성적인 걸림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는,
    상기 회전기어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회전기어측으로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와 마주보는 회전기어의 일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되는 제1홈;
    상기 제1홈 내부에 위치되며 일부가 상기 제1홈의 외부로 노출되는 마찰구; 및
    상기 제1홈이 형성된 회전기어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홈의 외부로 노출된 마찰구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제2홈;
    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구와 접촉하도록 상기 마찰구가 가압부재와 접촉하는 궤적을 따라 적어도 일부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제2홈과 단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레일;
    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구는 상기 제1홈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제1홈의 내주면과 마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어와 힌지 바디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제1제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한부는,
    상기 고정기어에 돌출형성된 제1돌기; 및
    상기 힌지 바디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돌기와 연접되게 형성되도록 상 기 힌지 바디에 돌출형성된 제2돌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와 상기 힌지 바디가 소정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제한하는 제2제한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한부는,
    상기 회전기어에 돌출형성된 제3돌기; 및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3돌기와 연접되게 형성되도록, 상기 힌지 바디에 돌출형성된 제4돌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어는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힌지바디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되는 회전 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KR1020080037658A 2008-04-23 2008-04-23 힌지 KR20090112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658A KR20090112007A (ko) 2008-04-23 2008-04-23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658A KR20090112007A (ko) 2008-04-23 2008-04-23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007A true KR20090112007A (ko) 2009-10-28

Family

ID=4155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658A KR20090112007A (ko) 2008-04-23 2008-04-23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20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13B1 (ko) * 2009-10-28 2012-04-06 박수영 도어 힌지
KR20160046692A (ko) * 2014-10-21 2016-04-29 에버시스 주식회사 도어 회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13B1 (ko) * 2009-10-28 2012-04-06 박수영 도어 힌지
KR20160046692A (ko) * 2014-10-21 2016-04-29 에버시스 주식회사 도어 회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077B1 (ko) 힌지장치
KR100562576B1 (ko) 개방형 트레이
EP3112562B1 (en) Safety door lock using door handle
JP5254151B2 (ja) 移動体の作動機構
KR101227851B1 (ko) 도어완충장치 및 이를 갖춘 가전제품
KR100717476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101511807B1 (ko) 래칫 및 래칫을 사용한 밸브체 구동 장치
KR20090112007A (ko) 힌지
WO2014091860A1 (ja) ステー
JP7427101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7133709B2 (ja) ダンパー装置
KR200467758Y1 (ko) 창호용 핸들
KR970076137A (ko) 타이머 캠스택 및 클러치
WO2012137778A1 (ja) ダンパ
JP5836281B2 (ja) ダンパー装置
JP5094157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CN110409133B (zh) 用于盖体的锁闭装置、洗衣设备的上盖结构及洗衣设备
JP2001032823A (ja) チルトヒンジ
KR20100006762A (ko) 힌지 및 그를 이용한 도어 어셈블리
KR20150032922A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개폐장치
KR200180715Y1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KR101383363B1 (ko) 구간완충댐퍼 및 이를 사용한 개폐장치
KR100665996B1 (ko) 가전제품의 도어
KR102061861B1 (ko) 문에 사용되는 잠금장치
JP2018105395A (ja) クラッチ機構およびクラッチ付減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