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996B1 - 가전제품의 도어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996B1
KR100665996B1 KR1020050043523A KR20050043523A KR100665996B1 KR 100665996 B1 KR100665996 B1 KR 100665996B1 KR 1020050043523 A KR1020050043523 A KR 1020050043523A KR 20050043523 A KR20050043523 A KR 20050043523A KR 100665996 B1 KR100665996 B1 KR 100665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ing
hinge
casing
hi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384A (ko
Inventor
윤태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996B1/ko
Publication of KR20060121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케이싱과,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하며 개방되는 도어와, 케이싱과 도어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되, 도어에는 결합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도어연결부가 형성되고, 결합부는 도어연결부의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캠 역할을 하도록 연결되는 힌지부재와, 힌지부재를 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를 제공한다. 구성부품이 매우 간단하고, 차지하는 면적이 적으면서, 조립 또한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도어가 하방으로 개방될수록 개방속도가 줄어들어 부드럽고 완만하게 열리며 소음이 없어 소비자에게 감성적으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전제품의 도어{Door of Home Appli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 개방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케이싱 2 : DVD 투입구
3 : 비디오 투입구 4 : 디스플레이부
5 : 컨트롤부 6 : 도어
7 : 결합부 71 : 지지부재
72 : 힌지부재 73 : 고정부재
74 : 결합부재 61 : 도어연결부
62 : 이격돌기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도어를 부드럽게 개폐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의 도어는 기어에 의하여 열리고 닫히는 구조를 많이 사용하며, 그 일예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1990-000234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기어를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도어는 주로 직립형으로서 하방으로 회전하며 개방되는 구조이다. 가전제품의 본체측에 하나의 기어가 결합되고 도어 측에 다른 하나의 기어를 연결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기어가 사용된다. 또한, 이들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기 위해서 기어와 기어축 등이 함께 설치되어 구성부품이 많고, 조립이 복잡하며 작동공간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자중에 의하여 도어가 열리기 시작할 때보다 대부분 개방되어 도어가 하방에 도달하였을 때의 개방속도가 커지기 때문에 열릴 때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드럽게 개폐되는 가전제품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도어가 하방으로 개방될수록 개방속도가 줄어들어 부드럽고 완만하게 열리므로 소비자에게 감성적으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가전제품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가전제품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하며 개방되는 도어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도어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도어연결부의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캠 역할을 하도록 연결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를 상기 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어연결부의 상기 힌지부재 측에는 돌출된 도어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에는 상기 힌지부재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회동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힌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힌지결합공과, 상기 회동축과 결합되는 캠 형상의 도어결합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부재는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결합공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원통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케이싱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정부재와 결합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힌지결합공은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과, 상기 도어가 천천히 닫힐 수 있도록 마찰력을 더 해주는 오일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는 여러 가지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VD와 VTR기능을 함께 가지는 영상기기에 적용된 가전제품의 도어를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싱(1)은 대략 상자형상으로 구비되며 전면에 DVD와 VTR 테잎을 수납할 수 있는 DVD투입구(2)와 비디오 투입구(3)가 형성된다. 이들은 각각 투입구의 전면에 뚜껑(미도시)을 가져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들 투입구(2, 3)의 하방에는 현재의 동작 상태 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4)가 대략 중간부분에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4)의 좌우에는 가전제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부(5)가 다수의 버튼과 함께 마련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와 컨트롤부(5)의 전면에는 도어(6)가 마련되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이들을 차폐하게 된다. 가전제품에 해로운 먼지와 습기를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어(6)와 케이싱(1)은 결합부(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종래의 연결부는 복수개의 기어를 사용하여 개폐되었으므로 개방시 도어(6)의 자중에 의하여 개방 초기부터 속도가 점점 빨라져서 개방시에는 그 속도가 최고에 달하므로 덜컥 소리가 나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들이 제품이 고급이라는 느낌을 갖지 못하는 감 성적인 문제점도 있다. 부품수가 많고 조립이 복잡한 문제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는 하부에 돌출된 도어 연결부(61)을 가진다. 도어 연결부(61)는 완만한 곡선을 가지는 곡면부(61c)와, 곡면부(61c)내부에 형성되는 돌기홈(61b)을 가진다. 돌기홈(61b)은 대략 원형의 홈으로 후술할 힌지부재(72)의 단부와 저촉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곡면부(61c)의 전방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결합돌기(61a)가 형성된다. 결합돌기(61a)의 일측에는 수평으로 회동축(미도시)이 형성되어 후술할 힌지부재(72)의 홈 내부에서 회동하게 된다. 도어연결부(61)는 도어(6)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어(6)의 내부측에는 양 단부에 이격돌기(62)가 형성되어 도어(6)와 컨트롤부(5) 사이에 소정의 이격을 형성하여 준다. 이는 도어(6)를 닫는 경우 컨트롤부(6)의 버튼들이 눌려서 오작동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케이싱(1)의 내부에는 도어(6)의 도어연결부(61)과 결합되는 힌지부재(72)가 마련된다. 힌지부재는 대략 "U" 자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서, 막힌 측 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공(72a)이 형성된다. 또한, 일정정도의 마찰력을 가지기 위하여 원형이 아닌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힌지결합공(72a)의 내부에는 힌지부재(72)가 지지부재(71)에 대하여 마찰력을 가지면서 천천히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서 오링(O-ring)(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오링의 내부에는 오일이 도 포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에 쓰이는 오일은 윤활 목적의 오일이 아니라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오일이다.
힌지부재(72)의 열린 측 단부 내부에는 캠 형상의 도어결합홈(72b)이 형성된다. 도어결합홈(72b)은 도어 연결부(61)의 결합돌기(61a) 내측으로 형성되는 회동축(61d)과 결합된다. 도어결합홈(72b)는 회동축(61d)과 결합되는 쪽은 완만하게, 결합되지 않는 쪽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회동축(61d)은 캠 형상인 도어결합홈(72b)의 완만한 측 내부 곡면을 따라 운동하면서 도어(6)를 개폐하는 것이다.
힌지부재(72)를 케이싱(1)에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하여 힌지부재(72)와 케이싱(1) 사이에는 지지부재(71)가 설치된다. 지지부재(71)는 그 상하측을 케이싱(1)에 고정하기 위한 판상의 브라켓부(71b)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원통부(71c)가 형성되어 힌지부재(72)의 힌지결합공(72a)과 결합된다.
상하측에 형성된 브라켓부(71b)에는 결합부재(74)가 각각 결합되어 지지부재(71)를 케이싱(1)에 결합시킨다. 결합부재(74)는 주로 볼트나 리벳 등이 될 것이다. 또한, 브라켓부(71b)의 단부에는 각각 반원형의 홈부(71a)가 형성된다. 홈부(71a)에는 고정부재(73)가 결합되어, 지지부재(71)가 정위치에서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도록 한다. 고정부재(7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로서 홈부(71a)에 끼워져 설치될 것이며, 케이싱(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 개방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는 도어(6)이 개방되기 시작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어(6)와 도어연결부(61)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어연결부(61)는 도어(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6)를 개방하면 결합돌기(61a)에 형성된 회동축(61d)이 캠 형상의 도어결합홈(72b)을 따라 회동하면서 도어가 개방되기 시작한다.
결합돌기(61d)는 도어(6)가 닫혀 있을 때 도어 결합홈(72b)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다가, 도어(6)가 열리기 시작하면 도어 결합홈(72b)의 완만한 도어(6) 결합측의 홈을 타고 점점 단부를 향해 움직이기 시작한다. 도어(6)가 개방되므로 결합돌기(61a)와 회동축(61d)에 도어(6)의 자중이 실리기 시작하고 이것이 힌지부재(72)의 도어결합홈(72b) 내부를 압박하게 되므로 힌지부재(72)는 도어 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힌지부재(72)의 힌지결합공(72a) 내부에 마련되는 오링과 오일이 마찰력을 형성하여 힌지부재(72)가 더욱 천천히 회전하도록 한다.
도 3(b)를 보면, 회동축(61d)이 도3(a)보다 하방으로 도어 결합홈(72b)을 타고 내려왔으며 그에 대응되도록 도어(6)가 개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3(c)를 보면 회동축(61d)이 도어 결합홈(72b)을 절반 이상 타고 내려왔으며 도어(6)가 더 많이 개방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3(d)는 도어(6)가 거의 수평으로 모두 개방된 경우를 보여주는데, 회동축(61d)이 도어 결합홈(72d)의 열린 측 단부까지 타고 내려온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러한 도어 결합홈(72d)의 형상으로 인하여 도어(6)는 개방시 자중에 의하여 급격히 개방되지 않고 완만한 도어 결합홈(72d)을 타고 내려오면서 속도가 더욱 감소되어 도어가 매우 부드럽게 열리게 되며, 도어(6)의 개방각이 커질수록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컨트롤부(6)을 조작한 후에는 다시 도어(6)를 수직으로 세워 닫아주면 역동작에 의해 도어(6)는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는 그 구성부품이 매우 간단하고, 차지하는 면적이 적으면서, 조립 또한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는 도어가 하방으로 개방될수록 개방속도가 줄어들어 부드럽고 완만하게 열리므로 소비자에게 감성적으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전제품의 도어는 개방시 충격이 거의 없으므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회전하며 개방되는 도어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가전제품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도어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도어연결부의 일측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캠 역할을 하도록 연결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를 상기 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연결부의 상기 힌지부재 측에는 돌출된 도어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에는 상기 힌지부재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회동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연결부는 상기 힌지부재측으로 돌출된 도어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재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힌지결합공과, 상기 회동축과 결합되는 캠 형상의 도어결합홈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축이 상기 도어결합홈을 따라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결합공이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원통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케이싱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정부재와 결합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공은 내부에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오링과, 상기 도어가 천천히 닫힐 수 있도록 마찰력을 더해주기 위하여 도포되는 오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
KR1020050043523A 2005-05-24 2005-05-24 가전제품의 도어 KR10066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523A KR100665996B1 (ko) 2005-05-24 2005-05-24 가전제품의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523A KR100665996B1 (ko) 2005-05-24 2005-05-24 가전제품의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384A KR20060121384A (ko) 2006-11-29
KR100665996B1 true KR100665996B1 (ko) 2007-01-10

Family

ID=3770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523A KR100665996B1 (ko) 2005-05-24 2005-05-24 가전제품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9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157Y1 (ko) * 1995-02-28 1999-03-20 배순훈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157Y1 (ko) * 1995-02-28 1999-03-20 배순훈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384A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377B1 (ko) 냉장고
CN113790567B (zh) 冰箱
KR101131327B1 (ko) 완충 장치를 구비한 가구용 힌지
JP6736572B2 (ja) 家庭用電気器具及び家庭用電気器具のヒンジ
EP1333118B1 (en) Front-loading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particularly a washing machine or oven
US20060226750A1 (en) Refrigerator having home bar
KR20060129116A (ko) 도어완충장치 및 이를 갖춘 가전제품
KR100753731B1 (ko) 냉장고
EP1826308B1 (en) Device for closing and opening the access to a compartment
EP3441679B1 (en) Cooking apparatus including two-way openable door
KR102583877B1 (ko) 냉장고
JP2006307911A (ja) 作動方向反転機構及びそれを適用した蓋開閉装置
JP2000167290A (ja) 洗濯機
KR100665996B1 (ko) 가전제품의 도어
KR100987904B1 (ko) 좌우 여닫이식 덮개의 연동기구
JP4039672B2 (ja) ソフトクローザ機構
JP6907021B2 (ja) 遮蔽装置
JPH04227421A (ja) 電子レンジのドア開閉装置
CN216741143U (zh) 烤箱的门铰链装置及烤箱
JP4449937B2 (ja) 食器洗い機
KR20090112007A (ko) 힌지
KR200297928Y1 (ko) 김치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100620021B1 (ko) 디브이디 플레이어
KR960000886Y1 (ko) 가구 및 장식장의 자동 미닫이 장치
KR200451274Y1 (ko) 차량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