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747A -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747A
KR20090111747A KR1020080120632A KR20080120632A KR20090111747A KR 20090111747 A KR20090111747 A KR 20090111747A KR 1020080120632 A KR1020080120632 A KR 1020080120632A KR 20080120632 A KR20080120632 A KR 20080120632A KR 20090111747 A KR20090111747 A KR 20090111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mold
hollow
projection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조
Original Assignee
임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조 filed Critical 임성조
Priority to KR102008012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1747A/ko
Priority to KR1020090024049A priority patent/KR100932018B1/ko
Priority to PCT/KR2009/002074 priority patent/WO2009131356A2/ko
Publication of KR2009011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저면으로 바닥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금형과, 상면으로 상향 돌출된 돌출면과 상기 돌출면을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를 구획하는 격벽성형홈 그리고 상기 전방공간부 또는 후방공간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성형홈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금형을 이용하여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부금형의 격벽성형홈과 돌기성형홈 내에 발포팽창가능한 쿠션돌기 소재용액을 충진시키는 충진단계, 상부금형의 바닥재 수용홈에 바닥재를 삽입한 후 하부금형과 서로에 대해 완전히 면접시키는 금형 폐쇄단계,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의 격벽성형홈과 돌기성형홈 내에 충진된 상기 쿠션돌기소재용액을 발포시켜 바닥재의 상면에 격벽 및 중공쿠션돌기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된다. 이에 의하여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이 우수한 신발창 및 신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신발창, 중공쿠션돌기, 바닥재, 택숀, 아웃솔, 사출성형

Description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AND THE SOLE OF SHOES WITH VENTILATING FUNCTION ATTACHED HOLLOW-CUSHION-PROTRUSION}
본 발명은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성형된 아웃솔이나 비통기성 택숀의 상면에 재질과 물성이 다른 중공쿠션돌기들을 부착시켜 충격흡수와 복원력이 우수한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신발은 갑피와 중창 및 바닥창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때 갑피는 발등과 발을 감싸면서 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중창은 신발을 신고 걷거나 달리기를 할 때 신발이 지면에 착지되면서 신발이 외력을 받으면 중창이 충격을 흡수하여 몸에 전달되는 충격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바닥창은 지면과 착지될 때 미끄럼 방치와 바닥면이 쉽게 마모가 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구조로 구분되어 결합된 것이 신발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출식 성형방법의 신발들은 불량율이 거의 없고 인건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설치비가 과다하게 비싸 금형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그래도 안전화나 전투화, 등산화, 구두 등의 신발에 사출식 제조방법을 택하는 이유는 주로 사출 성형되는 바닥창의 디자인이 유행을 타지 않고 한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해도 되기 때문에 금형 교체로 인한 원가 부담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출식 성형방법에 의한 신발들은 쿠션기능을 갖춘 부재를 바닥창 내부에 장착되려면 바닥창과 동시 성형이 되면서 내장되어져야 하는데, 사출식 동시 성형방법의 문제점은 장착된 부재가 높은 사출 압력이나 발포팽창되는 팽창력에 의해 압축되어 원형 변형이 발생되어 설치되더라도 쿠션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서 아직까지는 사출식 성형방법에 의해 제조된 신발로서는 쿠션과 통풍기능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없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신발창은 주로 폴리우레탄으로 발포 성형되고, 폴리우레탄의 단점인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나 합성고무를 특정 형상으로 미리 성형하여 갑피 저면에 신발창을 접착제로 부착시켜 제조하고 있는데 일일이 갑피와 신발창을 접착하는 제조공정은 제조시간 및 인건비가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웃솔이나 비통기성 택숀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재의 상면에 충격흡수 효과가 우수한 중공쿠션돌기를 일체화할 수 있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충격흡수 효과가 우수한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비통기성 택숀을 아웃솔과 사출성형으로 신발을 완성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은, 저면으로 바닥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금형과, 상면으로 상향 돌출된 돌출면, 상기 돌출면을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를 구획하는 격벽성형홈, 그리고 상기 전방공간부 또는 후방공간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성형홈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금형을 이용하여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격벽성형홈과 돌기성형홈 내에 발포팽창가능한 쿠션돌기 소재용액을 충진시키는 충진단계, 상기 상부금형의 바닥재 수용홈에 바닥재를 삽입한 후 상기 하부금형과 서로에 대해 완전히 면접시키는 금형 폐쇄단계,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의 격벽성형홈과 돌기성형홈 내에 충진된 상기 쿠션돌기 소재용액을 발포시켜 바닥재의 상면에 격벽 및 중공쿠션돌기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재는 신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아웃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웃솔은 무발포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쿠션돌기 소재용액은 폴리우레탄 발포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은, 저면으로 바닥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금형과, 상면으로 상향 돌출된 돌출면, 상기 돌출면을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를 구획하는 격벽성형홈, 상기 돌출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벽성형홈 그리고 상기 전방공간부 또는 후방공간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성형홈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금형을 이용하여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격벽성형홈, 테두리벽성형홈 및 돌기성형홈 내에 발포팽창가능한 쿠션돌기 소재용액을 충진시키는 충진단계, 상기 상부금형의 바닥재 수용홈에 비통기성 택숀을 삽입한 후 상기 하부금형과 서로에 대해 완전히 면접시키는 금형 폐쇄단계, 상기 하부금형의 격벽성형홈, 테두리벽성형홈 및 돌기성형홈 내에 충진된 상기 쿠션돌기 소재용액을 발포시켜 비통기성 택숀의 상면에 격벽, 테두리 및 중공쿠션돌기를 형성시키는 발포성형단계, 그리고 상기 바닥재의 상면에 발포된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되어 형성된 신발창을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으로부터 탈형시키는 탈형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 제조방법은, 상기 비통기성 택숀의 저면 테두리 가장자리에 신골을 감싸고 있는 갑피 저면의 끝자락을 부착시키는 갑피 결합단계, 상기 갑피의 외측면에 중앙부가 좌우로 개방되는 상부금형을 결합시키는 상부금형 결합단계, 그리고 하부금형에 미리 가공된 아웃솔을 투입하고,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주입 하고, 신골이 결합된 갑피를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위치시켜 상부금형을 결합시킨 후,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발포시켜 비통기성 택숀과 아웃솔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폴리우레탄 발포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중공쿠션돌기들을 별도로 제작하여 아웃솔이나 비통기성 택숀의 상면에 설치하는 별도의 접착공정이 필요 없게 되고 제조시간을 단축하여 저렴한 신발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아웃솔이나 비통기성 택숀은 착지력과 반발탄성력이 우수한 바닥재가 되고, 아웃솔의 상면에 부착된 중공쿠션돌기들에 의해 충격흡수 효과가 있는 신발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출방식의 신발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아웃솔과 일체로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비통기성 택숀이 구비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 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중공쿠션돌기(200)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은 신발금형으로서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10)은 바닥재를 가압하기 위한 금형이고, 하부금형(20)은 바닥재에 중공쿠션돌기(200)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이다.
상기 상부금형(10)은 저면으로 미리 완성된 바닥재를 수용하는 바닥재 수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재 수용홈(12)에는 바닥재(110)의 바닥 무늬와 일치하는 조각홈(12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금형(20)은 바닥재를 수용하는 성형공간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공간부(22)의 내측으로 중공쿠션돌기(200)가 형성될 돌기성형홈(24) 및 격벽수용홈(2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성형홈(24)은 중공쿠션돌기(200)를 발포성형시키기 위하여 원통 형상의 홈(24a)의 가운데로 돌기봉(24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성형홈(24)에 폴리우레탄수지와 같은 쿠션돌기 소재용액(200A)이 충진되고 발포팽창되면 돌기봉(24b)이 있었던 자리에 중공쿠션돌기(200)의 중공이 형성되 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조 금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공쿠션돌기(200)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미리 성형된 아웃솔(110)이나 비통기성 택숀(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먼저 바닥재가 아웃솔(110)인 경우의 신발창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20)의 돌기성형홈(24)에 발포팽창가능한 겔 상태의 쿠션돌기 소재용액(200A)을 충진시킨다.
이후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110)의 상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뒤집어 놓은 후 하부금형(20) 위에 상부금형(10)을 서로에 대해 완전히 면접시켜 금형을 폐쇄한다.
이후 프레스로 금형에 열과 압력을 가해 쿠션돌기 소재용액(200A)을 발포팽창시킨다. 이때 외부에서 금형으로 전달되는 금형의 열은 대개 60℃에서 70℃ 정도이며, 이러한 열은 발포재를 이용하여 신발의 아웃솔(110)을 제작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성형온도이다. 금형 전체에 열과 압력을 가함에 따라 상부금형(10) 및 하부금형(20)의 열과 쿠션돌기 소재용액(200A)의 화학반응으로 가교되어 발포팽창되면서 돌기성형홈(24)과 격벽성형홈(26b)에 빈틈없이 채우게 되고,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팽창된 중공쿠션돌기(200)가 아웃솔(110)의 상면에 한 몸처럼 일체로 접착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아웃솔(110)의 상면에 발포된 중공쿠션돌기(200)가 부착되어 형성된 신발창을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20)으로부터 탈형시켜 신발창을 완성 한다.
여기서, 만약 상기 돌기성형홈(24)에는 발포성 소재의 쿠션돌기 소재용액(200A)이 충진되고 아웃솔(110)은 무발포성 소재로 이루어지면 재질과 물성이 다르면서 아웃솔(110)과 일체화된 중공쿠션돌기(200)들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아웃솔(110)의 재질은 천연고무, 합성고무가 적당한 비율로 배합된 고무재질과 합성수지 계열인 T.P.R, PVC, PU, EVA 등 다양한 종류의 소재로써 신발의 기능과 원가가 맞는 것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솔(110)을 지면과의 착지력, 내마모성 등의 기능이 요구되는 무발포성 소재로 된 고무재질로 한다면 상기 중공쿠션돌기(200)들은 외력이 전달되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외력이 해제되면 압축되었던 중공쿠션돌기(200)들이 일제히 원상복귀되면서 발바닥을 밀어올리는 반발탄성이 발생되어 추진력까지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아웃솔(110)의 상면에 중공쿠션돌기(200)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중공쿠션돌기(200)들을 별도로 제작하여 일일이 아웃솔(110)의 상면에 설치하는 별도의 접착공정이 필요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시간을 단축하게 되는 효과가 있어 신발창의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쿠션돌기(200)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은, 아웃솔(110)의 상면으로 비통기성 코팅막(300)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300)은 아웃솔(110)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쿠션돌기(2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면서 습기에 의해 발생하는 가수분해 현상을 막아주는 차단막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300)은 발포성 소재로서 폴리우레탄수지 재질로 하되 가수분해와 투과성이 거의 없는 에테르 타입의 폴리우레탄수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비통기성 코팅막(300)은 중공쿠션돌기(200)를 덮어씌울 수 있는 규격과 형상으로 미리 진공성형하여 상기 아웃솔(110)의 상면에 접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비통기성 코팅막(300)을 중공쿠션돌기(200)와 같은 소재인 폴리우레탄수지를 용재에 녹여서 안료나 염료를 혼합해서 농도와 점도 조정을 한 액상(이하, '액상'이라고 한다)을 스프레이 방법이나 붓으로 성형이 완성된 상기 중공쿠션돌기(200)의 외부에 도포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액상을 중공쿠션돌기(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도포한 후 액상 자체에 함유된 용재가 건조된 후 피막이 형성된다. 이런 방법으로 비통기성 코팅막(300)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진공성형된 시트를 부착시키는 방법보다 부착공정이 간단하면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같은 재질끼리는 접착력이 뛰어나고 아주 엷은 피막으로 도포되어도 재질 자체의 피막형성력과 인장력, 탄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재(100)가 비통기성 택숀(1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따라서, 상부금형(10)은 비통기성 택숀(120)을 수용하는 바닥재 수용홈(12)에는 조각홈(12a)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또한, 하부금형(20)은 돌기성형홈(24) 및 격벽성형홈(26b) 이외에 비통기성 택숀(120)에 테두리벽(124)을 성형하기 위한 테두리벽성형홈(28)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하부금형(20)의 돌기성형홈(24), 격벽성형홈(26b) 및 테두리벽성형홈(28)에 발포팽창이 가능한 액상의 쿠션돌기 소재용액(200A)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금형(10)의 바닥재 수용홈에 비통기성 택숀(120)을 삽입한 후 상기 하부금형(20)과 서로에 대해 완전히 면접시키는 금형 폐쇄단계, 그리고 쿠션돌기 소재용액(200A)을 발포팽창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금형 내부의 공간을 꽉 메우게 되고 비통기성 택숀(120)의 상면에는 발포팽창된 중공쿠션돌기(200)와 격벽(122) 및 테두리벽(124)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을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중공쿠션돌기(200)들은 비통기성 택숀(120)과의 접착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춰주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에 의해 제작된 비통기성 택숀(120)에 미리 완성된 아웃솔(110)을 사출방식으로 일체화하여 완성된 신발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쿠션돌기(200)가 성형된 상기 비통기성 택숀(120)의 상측에는 체크밸브(410)가 구비된 판상의 보조판재(400)나 인솔(500)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신골(3)을 감싸고 있는 갑피 저면(1)에 부착하여 갑피 저면(1)의 끝자락이 비통기성 택숀(120)의 밑면 테두리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그런 다음,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신골(3)이 결합된 갑피(1)를 중앙부가 절개되는 상부금형(30)과 결합된 형태로 준비한다. 즉, 갑피(1)가 결합되며 중앙부가 좌우로 개방되는 상부금형(30)을 준비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상부금형(30)을 하부금형(20)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금형 내부에 주입된 폴리우레탄 발포액(210A)을 발포시킴에 의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와 아웃솔(110) 사이에 탄성창이 형성된 신발이 완성된다. 여기서, 탄성창은 비통기성 택숀(120)의 중공쿠션돌기(200)들의 압축/팽창이 원활하게 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특히 상기 중공쿠션돌기(200)의 중공 내부의 에어가 공기압을 발생시켜 과다수축을 방지하고 원상회복을 보조하게 된다.
이때, 아웃솔(110)과 갑피 저면(1)과 일체화되게 이루어지는 제조과정이 금형 내부에 주입된 발포액(210A)이 발포팽창될 때 높은 압력이 발생되어 본 발명의 중공쿠션돌기(200)들이 높은 압력에 의해 더욱더 압축이 되면서 신골(3) 저면에 압착되게 되고, 신골(3)을 제거하면 압축되었던 중공쿠션돌기(200)들이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의 신발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비통기성 택숀(120)과 아웃솔(110)을 일체로 한 신발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웃솔에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통기성 택숀에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2에 의해 제작된 비통기성 택숀에 미리 완성된 아웃솔을 사출방식으로 일체화하여 완성된 신발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갑피 3: 신골
10,30: 상부금형 12: 바닥재 수용홈
12a: 조각홈 20: 하부금형
22: 성형공간부 24: 돌기성형홈
24a: 홈 24b: 돌기봉
26a: 격벽수용홈 26b: 격벽성형홈
28: 테두리벽성형홈 110: 아웃솔
120: 비통기성 택숀 122: 격벽
124: 테두리벽 200: 중공쿠션돌기
200A: 쿠션돌기 소재용액 210: 탄성창
210A: 폴리우레탄 발포액 300: 비통기성 코팅막
통기구멍, 개구부를 봉쇄하여 밀패공간이 내장된 중공쿠션돌기.
400: 보조판재 410: 체크밸브
500: 인솔

Claims (6)

  1. 저면으로 바닥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금형과, 상면으로 상향 돌출된 돌출면, 상기 돌출면을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를 구획하는 격벽성형홈, 그리고 상기 전방공간부 또는 후방공간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성형홈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금형을 이용하여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격벽성형홈과 돌기성형홈 내에 발포팽창가능한 쿠션돌기 소재용액을 충진시키는 충진단계,
    상기 상부금형의 바닥재 수용홈에 바닥재를 삽입한 후 상기 하부금형과 서로에 대해 완전히 면접시키는 금형 폐쇄단계,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의 격벽성형홈과 돌기성형홈 내에 충진된 상기 쿠션돌기 소재용액을 발포시켜 바닥재의 상면에 격벽 및 중공쿠션돌기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 .
  2. 제1항에서,
    상기 바닥재는,
    신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아웃솔로 이루어지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 .
  3. 제1항에서,
    상기 아웃솔은,
    무발포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쿠션돌기 소재용액은,
    폴리우레탄 발포액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
  5. 저면으로 바닥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금형과, 상면으로 상향 돌출된 돌출면, 상기 돌출면을 전방공간부와 후방공간부를 구획하는 격벽성형홈, 상기 돌출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테두리벽성형홈 그리고 상기 전방공간부 또는 후방공간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성형홈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금형을 이용하여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의 격벽성형홈, 테두리벽성형홈 및 돌기성형홈 내에 발포팽창 가능한 쿠션돌기 소재용액을 충진시키는 충진단계,
    상기 상부금형의 바닥재 수용홈에 비통기성 택숀을 삽입한 후 상기 하부금형과 서로에 대해 완전히 면접시키는 금형 폐쇄단계,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의 격벽성형홈, 테두리벽성형홈 및 돌기성형홈 내에 충진된 상 기 쿠션돌기 소재용액을 발포시켜 비통기성 택숀의 상면에 격벽, 테두리 및 중공쿠션돌기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발포단계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
  6. 상기 청구항 5의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갑피 및 아웃솔을 구비하여 신발을 완성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통기성 택숀의 저면 테두리 가장자리에 신골을 감싸고 있는 갑피 저면의 끝자락을 부착시키는 갑피 결합단계,
    상기 갑피의 외측면에 중앙부가 좌우로 개방되는 상부금형을 결합시키는 상부금형 결합단계, 그리고
    하부금형에 미리 가공된 아웃솔을 투입하고,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주입하고, 신골이 결합된 갑피를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위치시켜 상부금형을 결합시킨 후, 폴리우레탄 발포액을 발포시켜 비통기성 택숀과 아웃솔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폴리우레탄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 제조방법.
KR1020080120632A 2008-04-22 2008-12-01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KR20090111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632A KR20090111747A (ko) 2008-04-22 2008-12-01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KR1020090024049A KR100932018B1 (ko) 2008-04-22 2009-03-20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09/002074 WO2009131356A2 (ko) 2008-04-22 2009-04-21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253 2008-04-22
KR1020080067620 2008-07-11
KR1020080120632A KR20090111747A (ko) 2008-04-22 2008-12-01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747A true KR20090111747A (ko) 2009-10-27

Family

ID=4153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632A KR20090111747A (ko) 2008-04-22 2008-12-01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17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1042A1 (en) * 2019-08-30 2021-03-04 Shire Hill Partners, Llc Shoe, sole, and insole with foam extending through insole 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1042A1 (en) * 2019-08-30 2021-03-04 Shire Hill Partners, Llc Shoe, sole, and insole with foam extending through insole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8266B1 (en) Overmold direct attach sole
US5992054A (en) Shoe and process for sealing the sole area of a shoe
CN101896087B (zh) 带有流体填充室的鞋类物品及充注流体填充室的方法
KR20090004784A (ko)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CN101896086B (zh) 制造带有流体填充室的鞋类物品的方法
US10362835B2 (en) Strobel lasted injected footwear
US20130192086A1 (en) Injected Footwear
JP2738915B2 (ja) 靴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188844B (zh) 具有插入件的直接装底鞋类制品
KR20130117468A (ko) 완충구조의 신발깔창과 그 제조방법
KR20090108344A (ko) 미끄럼방지와 쿠션기능을 갖춘 신발창
KR20090111747A (ko)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KR20050030196A (ko) 일체형 충격흡수 통기성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7593A (ko) 중공쿠션돌기가 한 금형 속에서 아웃솔과 일체로 성형된신발창과 이 신발창의 제조 금형 그리고 이 신발창의 제조방법
JP2009502228A (ja) 通気ソール
KR100932018B1 (ko)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4568A (ko) 반발탄성을 지닌 중공쿠션돌기가 내장된 바닥창
CN112606306A (zh) 制造鞋的方法
KR20170019952A (ko) 충격 흡수 및 지압기능을 갖춘 신발 제조방법
KR20000063527A (ko) 겉창과 중창의 동시 성형 및 접착으로 이루어진 신발용밑창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36859A (ko) 쿳션부재가 구비되고 내외측 경도가 다른 미드솔을 구비한신발 밑창 및 그 제조방법
KR102005090B1 (ko) 신발용 쿠션재 및 그 제조금형
KR20030051498A (ko) 샌들제조방법
KR200232535Y1 (ko) 탄성을 갖는 (신발, 구두) 밑창
KR20090111746A (ko) 신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