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018B1 -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018B1
KR100932018B1 KR1020090024049A KR20090024049A KR100932018B1 KR 100932018 B1 KR100932018 B1 KR 100932018B1 KR 1020090024049 A KR1020090024049 A KR 1020090024049A KR 20090024049 A KR20090024049 A KR 20090024049A KR 100932018 B1 KR100932018 B1 KR 100932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outsole
cushion
so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763A (ko
Inventor
임성조
Original Assignee
임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6762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9000478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12063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90111747A/ko
Application filed by 임성조 filed Critical 임성조
Priority to PCT/KR2009/0020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131356A2/ko
Publication of KR2009011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4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th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웃솔 또는 텍숀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한 금형속에서 발포팽창을 통해 쿠션층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쿠션층에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부를 갖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충격흡수기능이 향상되어 착용감을 높여주며 별도의 접착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신발창, 중공쿠션돌기, 충격흡수, 텍숀, 아웃솔, 발포

Description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Shoe sole with hollow cushion protru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성형된 아웃솔이나 텍숀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한 금형속에서 중공쿠션돌기를 발포방식으로 일체로 성형시키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신발은 갑피와 중창 및 바닥창으로 이루어지며 갑피는 발등과 발을 감싸면서 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중창은 보행시 충격흡수를 하는 역할을 하고 바닥창은 미끄럼 방지가 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보행시 발바닥을 통해 몸에 전달되는 충격을 차단하기 위한 충격흡수 부재로는 에어백, 스폰지, 갤주머니, 스프링 등 다양한 것이 있는데, 이러한 부재들은 중창 또는 아웃솔 내부에 별도의 작업공정을 통해서 장착되거나 접착공정으로 완성된 신발창을 이루게 된다.
기존에 알려진 충격흡수 신발창들은 중창이나 바닥창에 충격흡수부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충격흡수부재를 제작 후 별도의 접착 작업공정을 거쳐야 했으므로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출식 성형방법의 신발들은 갑피와 바닥창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 접착불량율이 거의 없고 인건비가 적게든다는 장점이 있으나, 설치비와 금형비가 높게 책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안전화, 전투화, 등산화, 작업화나 구두 등의 신발에 사출식 제조방법이 사용되는 이유는 주로 사출 성형되는 바닥창의 디자인이 유행을 타지 않고 한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해도 되기 때문에 금형교체로 인한 원가부담을 덜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출식 성형방법에 의한 신발들은 쿠션기능을 갖춘 부재를 바닥창 내부에 장착하려면 바닥창 내부에서 동시성형이 될 수 있어야 하는데, 사출식 동시 성형방법의 문제점은 장착된 부재가 높은 사출압력이나 발포팽창되는 높은 팽창력에 의해 압축되어 원형 변형이 발생되어 설치되더라도 쿠션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출식 성형방법에 의하면 신발 내부가 신발창과는 완전히 차단되므로 공기순환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단점으로 신발 내부의 온도상승 때문에 세균번식 및 발냄새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한 금형속에서 미리 가공된 아웃솔이나 텍숀의 상면에 충격흡수 효과가 우수한 중공쿠션돌기를 발포액으로 발포팽창시켜서 중공쿠션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 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신발창에 있어서 아웃솔 또는 텍숀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발포팽창을 통해 쿠션층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쿠션층에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부를 갖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웃솔 또는 텍숀에는 상하로 개구된 하나 이상의 천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에 하나 이상의 중공쿠션돌기가 삽입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텍숀에는 상하로 천공되는 하나 이상의 천공부가 형성되되, 상기 쿠션층에 구비되는 중공쿠션돌기의 개구부가 천공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쿠션층에는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로 돌출되는 아치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아웃솔이나 텍숀에 하나 이상의 천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를 통해서 쿠션층의 일부를 이루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들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되, 발바닥 아치부에 해당되는 영역에 타 부위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압용 중공쿠션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공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3개의 천공부가 형성되되, 중간의 천공부에 지압용 중공쿠션돌기가 돌출형성되고 나머지 천공부에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공부는 발바닥 아치부에 해당되는 부위에 하나가 형성되어 쿠션층의 일부를 이루는 지압용 중공쿠션돌기가 천공부를 통해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쿠션층은 아웃솔 상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쿠션층 상면에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반구형캡이 구비되는 아웃솔과,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발포팽창을 통해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캡에는 지압용 중공쿠션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솔 상면에 텍숀이 설치되는 신발창으로서, 상기 텍숀에는 상하로 천공된 하나 이상의 천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아웃솔에도 상기 천공부와 연결되게 상하로 천공된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텍숀의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발포팽창을 통해 쿠션층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천공부와 노출공을 통해서 상기 쿠션층의 일부를 이루는 일측이 개구되어 빈 공간을 갖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가 하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출공에는 투명한 차단판이 결합되며, 상기 차단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중공쿠션돌기와 동일위치상으로 미끄럼방지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신발창에 있어서 텍숀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발포팽창을 통해 쿠션층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텍숀은 전방텍숀과 후방텍숀으로 분리되어 상기 전방텍숀과 후방텍숀 사이에 탄성을 갖는 판상의 비텍숀부가 구비되고, 상기 비텍숀부와 후방텍숀에는 상하로 개구된 천공부가 마련되어 상기 천공부를 통해서 상기 쿠션층을 이루는 일측이 개구되어 빈 공간을 갖도록 하부로 돌출되는 중공쿠션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솔 상면에 텍숀이 설치되는 신발창으로서, 상기 텍숀에는 상하로 천공된 하나 이상의 천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텍숀의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발포팽창을 통해 쿠션층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천공부를 통해서 상기 쿠션층의 일부를 이루는 중공쿠션돌기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텍숀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아웃솔은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이 투명하여 상기 중공쿠션돌기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웃솔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패드가 결합되되, 상기 중공쿠션돌기가 있는 영역에서는 상기 중공쿠션돌기와 동일위치상으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을 제 안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저면으로 아웃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금형과, 테두리홈을 경계로 돌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에는 함몰된 하나 이상의 돌기성형홈이 구비되되 돌기성형홈 중심에는 코어가 형성되는 하부금형을 이용한 신발창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부금형의 돌기성형홈에 발포팽창 가능한 발포액을 충진시키는 충진단계와;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아웃솔을 상기 상부금형의 아웃솔 수용홈에 삽입한 후 상기 아웃솔의 상면이 발포액과 마주보게 하부금형과 결합시키는 금형 폐쇄단계와; 발포액을 발포시켜서 아웃솔 상면에 중공쿠션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저면으로 텍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금형과, 테두리홈을 경계로 돌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에는 함몰된 하나 이상의 돌기성형홈이 구비되되 돌기성형홈 중심에는 코어가 형성되는 하부금형을 이용한 신발창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부금형의 테두리홈 및 돌기성형홈에 발포팽창 가능한 발포액을 충진시키는 충진단계와;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텍숀을 상기 상부금형의 텍숀 수용홈에 삽입한 후 텍숀의 상면이 발포액과 마주보게 하부금형과 결합시키는 금형 폐쇄단계와; 발포액을 발포시켜서 텍숀 상면에 중공쿠션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저면에 상부로 함몰된 쿠션층 형성홈이 형성되되 상기 쿠 션층 형성홈에는 다수의 돌출된 돌출봉이 구비되는 상부금형과, 상면에 텍숀이나 아웃솔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 내부에 하나 이상의 돌출면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면에는 상기 돌출봉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돌출봉수용홈이 구비되는 하부금형을 이용한 신발창의 제조방법으로서, 돌출면에 끼워지도록 천공된 끼움홀이 형성되는 텍숀이나 아웃솔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금형의 삽입홈에 설치하도록 하는 기재설치단계와; 텍숀이나 아웃솔이 삽입홈에 설치된 후 상기 하부금형 상부로부터 발포팽창 가능한 발포액을 주입하도록 하는 발포액 주입단계와; 하부금형 위로 상부금형을 덮어 밀폐시키도록 하는 금형 밀폐단계와; 주입된 발포액을 발포팽창시켜서 중공쿠션돌기가 일체로 구비되는 쿠션층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금형의 쿠션층 형성홈에는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아치홈이 구비되어 쿠션층 상면에 아치지지돔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은, 텍숀 상면에 중공쿠션돌기가 일체로 성형된 후 신골을 이용하여 갑피를 결합시키도록 하는 갑피 결합단계와; 아웃솔이 삽입된 제2하부금형의 상부에 갑피가 결합된 텍숀이 수용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되고 좌우로 벌어질 수 있는 제2상부금형을 결합시키도록 하는 금형준비단계와; 준비된 금형 내부로 발포액을 주입하도록 하는 발포액 주입단계 와; 발포액 상부로 갑피가 결합된 텍숀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단계와; 발포액을 발포팽창시키도록 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포액의 발포팽창이 이루어지는 금형 내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아웃솔이나 텍숀을 삽입시킨 후 발포액의 발포팽창력을 이용하여 그 상면에 중공쿠션돌기를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접합공정이 생략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시간단축과 인건비도 줄일 수 있어 저렴하면서도 충격흡수력과 반발탄성이 있는 기능성 신발창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신발창은 신발의 용도에 따라 혹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중공쿠션돌기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고 육안으로 신발창에 형성된 중공쿠션돌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기 때문에 특수 목적화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자극하여 우수한 기능성 제품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전개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도면을 참조하는 것으 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하나의 실시가능한 예들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면 자체에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타인에 의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등가적인 구성요소로의 치환과 같은 단순한 변형 실시예들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쿠션돌기가 구비되는 신발창에 대해 설명한 후 대표적인 신발창에 대한 구체적인 제조방법을 제시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완성된 형태의 신발창은 아웃솔, 미드솔, 텍숀 등을 갖추어서 형성되는데 신발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서는 이들 중 별도의 미드솔이 없거나 텍숀이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의 신발창은 최종적으로는 아웃솔이 추가로 결합되거나 텍숀이 결합되거나 미드솔이 더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는 신발창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창은 일반적인 운동화로부터 전투화, 작업화, 등산화, 구두, 하이힐 같은 여성 전용신발 및 당뇨병 환자를 위한 의료용 신발 등 기능성을 갖춘 특수 목적화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첨부되는 도1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으로서 아웃솔 상면에 중공쿠션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2는 텍숀 상면에 중공쿠션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창의 기술적 특징은 아웃솔(100a)이나 텍숀(100b)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금형을 이용하여 발포액을 발포시켜 서 중공쿠션돌기(210)를 갖는 쿠션층(200)이 한 금형속에서 발포팽창되어 성형되어지는 특성을 이용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임을 요지로 하며, 특히 상기 쿠션층(200)은 금형내부에 발생되는 발포팽창력에 의해서 아웃솔(100a)이나 텍숀(100b)의 상면에 일체로 부착이 된다.
아웃솔(100a)은 일반적인 고무재질의 것으로 성형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웃솔(100a)의 상면에 함몰된 챔버(C)를 두어서 상기 챔버(C) 내부에 개구된 중공부를 갖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즉, 쿠션층(200)이라 함은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의 집합을 의미하게 되고 이러한 쿠션층(200)은 발포액을 발포팽창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성형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것처럼 텍숀(100b)의 상면에 중공쿠션돌기(210)를 갖는 쿠션층(200)이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의 텍숀(100b)은 신발업계에서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신발창의 일 구성요소에 해당되는 것으로 면 또는 종이재를 판상으로 압축시켜서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텍숀(100b) 상면에 형성되는 쿠션층(200) 역시 텍숀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위에서 발포액을 발포팽창시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텍숀(100b)은 보통 판상 형태로 전체적으로 매끈한 평면을 이루게 되는데, 그 상면에 중공쿠션돌기(210)를 갖는 쿠션층(200)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텍숀(100b) 상면 전체에 쿠션층(200)이 형성되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테두리벽(201)에 의해 그 내부로 함몰된 챔버(C)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챔버(C)는 격벽(W)에 의해 2개의 챔버로 구분되는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챔버(C)에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가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첨부되는 도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으로서 아웃솔에 쿠션층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4는 이를 이용하여 완성한 신발의 단면도이다. 도5는 텍숀에 쿠션층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솔(100a)이나 텍숀(100b)의 상면에 중공쿠션돌기(210)를 갖는 쿠션층(200)이 형성되는 것이되, 더 나아가 상기 아웃솔(100a)이나 텍숀(100b)에는 상하로 개구된 하나 이상의 천공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천공부(110)에 쿠션층(200)의 일부를 이루는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삽입된 형태로 일체로 성형이 된다.
도3에 보이듯이 아웃솔(100a)의 전족부와 후족부에 독립적인 개구된 천공부(110)가 하나씩 형성되며 이러한 천공부(110)에 쿠션층(200)을 이루는 중공쿠션돌기(210)들이 발포팽창 방식에 의해 일체로 결합을 이루게 된다. 상기 아웃솔(100a)에 형성되는 천공부(110)는 필요에 따라서 전족부나 후족부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쿠션돌기(210)들은 상부로 개구되어 중공내부(211)를 갖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3과 같은 형태로 성형된 아웃솔(100a)에 갑피(10)를 결합시켜서 신발을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아웃솔(100a)의 상면에는 텍숀(100b)과 같은 부재를 더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텍숀(100b)은 중공쿠션돌기(210)와 맞닿는 형태로 하여 설치되며, 갑피(10)의 끝단부가 택숀(100b)의 하부면 테두리를 감싸도록 접착시켜서 최종적으로 아웃솔(100a)과 갑피(10)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상기 텍숀(100b) 상부에는 추가적으로 인솔과 같은 것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텍숀(100b)에는 쿠션층(200)과 연통되는 공기유통로(A)를 두어서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 사이사이에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므로 보행시마다 공간내부가 압축과 원상회복되는 과정에서 펌프기능이 유발되어 원활한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완충작용도 하게 된다. 그리고 텍숀(100b) 저면이 중공쿠션돌기(210) 상면에 접착이 되도록 하여 중공내부(211)가 밀폐공간이 되면 중공내부(211)의 공기가 내장된 채 쉽게 함몰되지 않는다.
도5에서는 텍숀(100b)에 2개의 천공부(110)가 마련되며 이러한 천공부(110)를 통해서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고, 특히 텍숀(100b) 상면 전체에 걸쳐 쿠션층(200)이 발포팽창 방식으로 텍숀(100b)과 일체로 결합을 이루는 것으로 한다. 상기 쿠션층(200)의 일부로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가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중공쿠션돌기(210)들은 천공부(110)를 통해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성형된다. 상기 각 중공쿠션돌기(210)의 상부는 개구되어 빈 공간을 갖는 중공내부(211)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텍숀 상면에 쿠션층을 발포형성시킴에 있어서는 텍숀 상면에 미리 접착제를 도포시키도록 한 후 발포액을 주입하여 발포시킴에 의해 발포시 팽창압력으로 발포체인 쿠션층은 텍숀과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을 구성함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웃솔(100a)이나 텍숀(100b)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쿠션층(200)에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아치부를 받쳐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아치지지돔(220)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아치지지돔(220) 역시 쿠션층(200)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발포팽창을 통해서 동시에 성형된다.
도6은 도5와 같이 성형된 중공쿠션돌기(210)가 결합된 텍숀(100b)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신발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신발의 단면도에 해당된다.
텍숀(100b)에 형성되는 천공부(110)를 통해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삽입된 형태로 쿠션층(200)의 일부로서 일체로 텍숀(100b)과 결합이 된 것의 하부면에 아웃솔(100a)을 부착하고 상기 텍숀(100b)의 하단 가장자리를 감싸고 있는 갑피(10)가 형성되어진 신발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층(200)의 상면에는 별도의 인솔(40)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신발창으로서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7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것처럼 본 제3실시예의 경우는 제2실시예의 변형 형태라 할 수 있으며, 아웃솔(100a)에 하나 이상의 개구된 천공부(110)를 두고 상기 천공부(110)에 쿠션층(200)을 이루게 되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상부가 개구된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집합체를 이루면서 구비되되,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으로 아웃솔 바닥면보다 좀더 돌출되어 상하로 유동되는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의 상부측 역시 개구된 중공내부(2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에 비교하여 하나의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는 그 영역이 넓은 관계로 요철 형태로 여러개의 중공내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아웃솔(100a)에 형성되는 천공부(110)에 일체로 결합되는 중공쿠션돌기(210) 및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 역시 발포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아웃솔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쿠션층의 가장자리가 포개어져 일체로 결합이 되도록 발포형성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제4실시예를 설명하며, 도8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와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100a)에 독립적으로 구분되는 3개의 천공부(110)를 두도록 하고 각 천공부(110)에 쿠션층(200)의 일부를 이루는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일체로 발포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중간에 형성되는 천공부(110)는 발바닥의 아치부 영역에 해당되는 위치이며, 발바닥 아치부에 대한 지압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로 유동이 되는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가 아웃 솔(100a) 바닥면보다 좀더 돌출된 형태로 성형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5실시예를 설명하며 도9는 이에 대한 신발창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사시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아웃솔(100a)에 하나의 천공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110)의 위치는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하고 상기 천공부(110)를 통해서 쿠션층(200)의 일부를 이루고 상하로 유동이 되는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가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와 연결되는 쿠션층(200)은 아웃솔(100a)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는데 아웃솔(100a)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발포팽창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고, 쿠션층(200) 상면에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이 마련된다.
상기 중공쿠션돌기(210) 및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의 상부는 개구되어 중공내부(211)를 형성하게 되며, 특히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큰 관계로 함몰된 여러개의 중공내부(211)를 두는 것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6실시예를 설명하며 도10은 이에 대한 신발창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것처럼 아웃솔(100a)의 상면부에 쿠션층(200)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층(200)은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로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적으로 발바닥의 아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하방으로 볼록한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아웃솔(100a)의 대략 중간 근처에 타 부위에 비해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반구형캡(150)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이와 같은 아웃솔(100a)의 상면에 발포팽창을 통해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 및 발바닥을 자극하는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웃솔(100a) 상면에 중공쿠션돌기(210)와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로 구성되는 쿠션층(200) 상부에 비통기성 판재를 결합시키며, 상기 비통기성판재로는 텍숀(100b)과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상하로 개구되는 유출입구(A)를 두어서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함이 적합하다.
동시에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 상면에는 관통구가 있어 상기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 상면이 상하유동이 자유롭게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7실시예를 설명하며 도11은 이에 따른 신발창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텍숀(100b)의 상면에 쿠션층(200)이 형성되는 것이되, 상기 텍숀(100b)에는 개구된 천공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110)를 통해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발바닥의 아치부에 해당되는 영역에는 다른 중공쿠션돌기(210)들보다 하방으로 좀더 돌출되며 크기가 큰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는 발바닥 아치부를 보다 적극적으로 자극하게 됨으로써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하방으로 좀더 돌출된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 밑면이 지면에 착지될 때 주위의 중공쿠션돌기(210)들과 수평을 이루면서 압축이 되고 압축이 되는 만큼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 상면이 상승하여 발바닥면과 접촉되면서 발바닥을 압박하고 외력이 해지되면 지압용 중공쿠션돌기(210a) 상면이 원위치로 하강한다. 이러한 연속동작에 의해 발바닥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얻게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신발창으로서 제8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며 도12는 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에 해당된다.
본 제8실시예는 텍숀(100b)의 상면에 중공쿠션돌기(210)를 갖는 쿠션층(200)이 형성되는 것을 기본 형태로 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텍숀(100b)에는 다수의 천공부(11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천공부(110)는 텍숀(100b) 전체에 걸쳐 상하로 천공되게 다수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각 천공부(110)는 중공쿠션돌기(210)에 구비되는 개구부인 중공내부(211)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즉, 텍숀(100b)에 형성되는 천공부(110)는 쿠션층(200)의 중공쿠션돌기(210)의 갯수에 상당하는 갯수만큼이 마련된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텍숀(100b)의 상면에 형성되는 쿠션층(200)에는 발바닥의 아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볼록하게 돌출되는 아치지지돔(220)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아치지지돔(220)의 하부의 텍숀부에도 다수의 천공부(1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아치지지돔(220)의 하부면에도 중공쿠션돌기(210)들이 구비되어 상기 중공쿠션돌기(210)의 중공내부(211)는 텍 숀의 천공부(110)와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텍숀(100b) 상면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는 테두리벽(201)에 의해 그 내부로 함몰된 챔버(C)가 형성되고 챔버(C) 내부에 중공쿠션돌기(210)와 아치돔(220)이 형성되어지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13은 이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제9실시예는 텍숀(100b)의 상면에 쿠션층(20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언급된 타 실시예들의 변형 실시예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텍숀(100b) 상면에 쿠션층(200)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층(200)의 일부를 이루는 중공쿠션돌기(210)들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텍숀(100b)과 일체로 결합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텍숀(100b)에는 하나 이상의 천공부(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부(110)의 갯수나 크기 및 위치는 신발의 종류나 용도 및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13의 에이(a)의 경우는 텍숀(100b)의 전족부와 후족부에 하나씩의 천공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쿠션층(200)이 텍숀(100b) 상면에 형성되되 천공부(110)를 통해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 중공쿠션돌기(210)들은 하방으로 개구된 중공내부(211)가 형성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쿠션돌기(210)들 사이에 상하로 개구되는 공기유통로(A)를 두도록 한다. 상기 공기유통로(A)를 통해서 공기순환이 자연스럽게 이루 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층(200)에는 아치지지돔(220)이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있다.
비이(b)의 경우는 텍숀(100b)에 다수의 천공부(110)가 형성되는데 상기 천공부(110)는 에이(a)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방부에만 중공쿠션돌기(210) 하나가 독립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여러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텍숀(100b)의 상면에 쿠션층(200)이 일체로 발포형성되며 상기 천공부(110)를 통해서 중공쿠션돌기(210)가 삽입된 형태로 일체화되게 성형된다. 상기 중공쿠션돌기(210)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중공내부(211)가 형성되며 쿠션층(200)의 상면에는 볼록한 아치지지돔(220)이 형성될 수 있다.
씨이(c)의 경우는 비이(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독립된 중공쿠션돌기(210)가 삽입 형성될 수 있는 다수의 천공부(110)가 구비되는 것이며, 중공쿠션돌기(210)의 상부로 개구된 중공내부(211)가 형성되는 것이다.
디(d)의 경우는 에이(a)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텍숀(100b)의 전족부에만 천공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천공부(110)에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며, 이(e)의 경우는 씨(c)의 변형예로서 텍숀(100b)의 전족부에 천공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110)에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집합체로서 형성되고 각 중공쿠션돌기(210)들은 상부로 개구된 중공내부(211)를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14는 제10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개략적인 단면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은 아웃솔(100a) 상면에 텍숀(100b)이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텍숀(100b)에는 상하로 천공되는 하나 이상의 천공부(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아웃솔(100a)에도 상기 텍숀(100b)의 천공부(110)와 연결되는 천공된 노출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텍숀(100b)의 상면으로는 타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쿠션층(200)이 발포 형성되는데 상기 쿠션층(200)의 일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은 상기 천공부(110)와 노출공(120)을 통해서 삽입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중공쿠션돌기(2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개구되는 중공내부(211)가 형성될 수 있고 본 예의 경우 상부로 개구된 중공내부(21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중공쿠션돌기(210)가 텍숀(100b)의 천공부(110)와 아웃솔(100a)의 노출공(120)을 통해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면 지면과의 접촉시 충격흡수가 중공쿠션돌기(2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미끄럼방지에도 더욱 효과적이다. 신발로의 완성시에는 상기 쿠션층 상부에 인솔(40)과 같은 것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14의 씨(c)는 쿠션층(200)의 일부를 이루는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천공부(110)와 노출공(120)을 통해서 삽입 형성되되 비이(b)의 경우 보다는 그 길이를 짧게 하여 아웃솔(100a)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태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100a) 저면부에는 노출공(120) 내부가 밀폐공간이 되도록 투명한 차단판(130)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차단판(130)으로 투명한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내부의 중공쿠션돌기(210)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130)은 중공쿠션돌기(210)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상태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차단판(130)의 예로는 내한성과 투명성이 좋은 우레탄수지로 된 플렉시블한 투명한 판상체와 같은 것을 활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차단판(130)의 하부면에는 고무재질과 같은 것으로 성형된 미끄럼방지패드(140)가 부착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40)는 얇은 판상형태를 이루며 상기 중공쿠션돌기(210)와 동일위치상으로 각 중공쿠션돌기(210)의 갯수만큼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보행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40)에 의해 슬립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미끄럼방지패드(140)가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그 직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중공쿠션돌기(210)로 하중을 전달시켜서 충격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텍숀(100b)에 일체로 결합되는 쿠션층(200)은 텍숀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발포팽창 방식으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 되며, 쿠션층(200) 상부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아치지지돔(220)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텍숀(100b)에 쿠션층(200), 아치지지돔(220) 및 중공쿠션돌기(210)가 동일 재질로 동시에 발포팽창되어 형성되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설명하며, 도15는 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에 해당된다. 제10실시예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종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임에 비교하여, 제11실시예의 경우는 여성용 하이 힐과 같은 뒷굽이 높은 신발류에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이힐의 경우에는 주로 하중이 전족부에 작용하기 때문에 텍숀(100b)의 전방측에 천공부(110)를 두는 것으로 하며, 동시에 아웃솔(100a)의 전방측에 노출공(120)이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텍숀(100b)의 상면으로 발포형성되는 쿠션층(200)은 텍숀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밀폐된 금형속에서 발포액이 발포팽창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되며, 쿠션층의 일부를 이루는 중공쿠션돌기(210)들은 상기 천공부(110)와 노출공(120)을 통하여 삽입된 형태로 돌출된다. 그리고 중공쿠션돌기(210)에는 개구된 중공내부(211)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중공쿠션돌기(210)들은 아웃솔(100a)과 동일 혹은 조금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 다른 형태로는 아웃솔(100a) 저면에 차단판(130)을 결합시켜서 중공쿠션돌기(21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판(130)은 투명한 것으로 함이 적합하고 이를 통해서 육안으로 내부의 중공쿠션돌기(210)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제6실시예에서도 쿠션층(200)에는 아치지지돔(220)을 두어서 발바닥의 아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판(130)의 하부면에는 제10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미끄럼방지패드(140)를 더 부착시키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설명하며, 도16은 이에 따른 신발창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쿠션돌기(210)를 갖는 텍숀(100b)의 하부에 아웃솔(100a)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신발창으로서 상기 텍숀(100b)에는 상하로 천공된 하나 이상의 천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텍숀의 상면에는 쿠션층(200)이 발포팽창 방식으로 일체로 결합된다. 특히 상기 쿠션층(200)의 일부로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중공쿠션돌기(210)들은 상기 천공부를 통해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중공쿠션돌기(210)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텍숀(100b)의 하부면에 아웃솔(100a)이 결합되며, 특히 상기 아웃솔(100a)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이 투명한 것으로 하여 상기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웃솔(100a)의 일부 영역만을 투명한 것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공쿠션돌기(210)가 있는 영역만을 투명한 재질로 구성함이 좋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100a)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패드(140)를 부착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중공쿠션돌기(210)가 존재하는 영역에는 상기 중공쿠션돌기와 동일 위치상으로서 그 직하부에 하나씩의 중공쿠션돌기(210)와 대응하는 미끄럼방지패드(140)를 설치하도록 한다.
전체 혹은 일부가 투명하도록 형성되는 아웃솔(100a)의 적용으로 시각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미끄럼방지패드(140)를 부착시킴으로서 중공쿠션돌기(210)로 하중을 효과적으로 전달시켜서 충격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17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3실시예에서는 보행시 착용감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교적 경질로서 딱딱한 텍숀(100b)을 분리된 전방텍숀(100b-1)과 후방텍숀(100b-2)으로 구성하고 상기 전방텍숀(100b-1)과 후방텍숀(100b-2)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판상의 비텍숀부(100b-3)를 두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전방텍숀(100b-1)과 후방텍숀(100b-2) 및 비텍숀부(100b-3)는 서로 독립적이며 이들의 상면으로 발포형성되는 쿠션층(200)이 형성되어 일체화된다. 하지만, 전방텍숀(100b-1)과 후방텍숀(100b-2) 사이에 위치되는 비텍숀부(100b-3)는 직접적으로 상기 전방텍숀(100b-1)이나 후방텍숀(100b-2)과 연결되지는 않기 때문에 하나로 된 텍숀인 경우보다 비텍숀부(100b-3)에서 쉽게 굽혀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보행시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텍숀(100b-2)과 비텍숀부(100b-3)에는 상하로 개구되는 천공부(110)를 두도록 하며 상기 천공부(110)를 통해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이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중공쿠션돌기(210)에는 상측 혹은 하측으로 개구되어 빈 공간인 중공내부(211)를 갖도록 성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쿠션층(200)의 상하로 공기순환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공기유통로(A)를 형성시키도록 함이 적합하다. 또한, 아치지지돔(2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18은 이에 대한 개략적 인 사시도를 보여준다.
제14실시예는 텍숀(100b)에 개개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천공부(110)가 형성된 것을 하이힐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하이힐용 텍숀(100b)의 전족부에 원형으로 상하로 천공된 다수의 천공부(110)가 형성되며 이러한 텍숀(100b)의 상면중 전족부 영역에만 상면을 덮는 쿠션층(200)이 형성되고 상기 쿠션층(200)의 일부를 이루는 중공쿠션돌기(210)들은 각 천공부(110)마다 하나씩 독립적으로 삽입된 형태로 결합이 된다.
물론 텍숀(100b) 상면 전체에 걸쳐서 쿠션층(200)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고, 상기 중공쿠션돌기(210)들에는 상측 혹은 하측으로 개구되는 중공내부(211)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를 설명한다.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의 상면에 발포형성되는 쿠션층(200) 및 중공쿠션돌기(210)들은 수분에 접촉되는 경우 가수분해현상으로 취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방수처리를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수시트(미도시)로 쿠션층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거나 색상을 갖는 방수액을 스프레이하여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공통적으로 구비되는 중공쿠션돌기(210)의 경우 그 형상은 중공내부(211)를 갖는 원기둥 형상을 기본으로 하지만, 상기 중공쿠션돌 기(210)의 형상은 자라바형상이나, 하단이 둥근 볼 형상인 것, 혹은 직선형이거나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것 등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쿠션층(200) 및 중공쿠션돌기(210)를 형성하게 되는 발포액은 복원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발포액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한 설명을 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아웃솔(100a) 상면에 중공쿠션돌기(210)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도19는 이에 따른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작업 공정도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금형으로 상부금형(300)과 하부금형(400)이 준비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300)의 저면으로 아웃솔 수용홈(3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성형된 아웃솔(100a)을 준비해두며 상기 아웃솔(100a)을 뒤집어 상기 상부금형(300)의 아웃솔 수용홈(310)에 아웃솔(100a)의 바닥부가 접촉되도록 끼우게 된다. 상기 아웃솔(100a)을 상부금형(300)에 설치하기 전에 아웃솔(100a)의 상면에는 접착제를 적당량 균일하게 도포시켜 두는 것으로 한다.
상기 하부금형(400)의 경우에는 함몰된 테두리홈(410)을 경계로 돌출면(420)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면(420)에는 함몰된 하나 이상의 돌기성형홈(430)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성형홈(430) 중심에는 코어(431)가 돌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금형(300)과 하부금형(400)을 이용하여 미리 준비된 아웃솔(100a) 상면에 중공쿠션돌기(210)를 일체로 형성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본 신발창의 제조방법은 크게 충진단계(Ⅰ), 금형 폐쇄단계(Ⅱ) 및 발포단계(Ⅲ)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충진단계(Ⅰ)에서는 하부금형(400)의 돌기성형홈(430)에 발포팽창될 수 있는 발포액(P)을 채워 넣도록 한다.
액상의 발포액(P)을 각각의 돌기성형홈(430)에 주입한 후에는 상부금형(300)의 아웃솔 수용홈(310)에 준비된 아웃솔(100a)을 삽입한 상태로 아웃솔(100a)의 상면이 발포액(P)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여 하부금형(400)과 결합시키는 금형 폐쇄단계(Ⅱ)가 이어진다.
상기 발포액(P)으로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함이 적합하며 금형을 폐쇄한 후에는 외부에서 금형으로 열을 가하여 수분의 시간동안 발포시키는 발포단계(Ⅲ)가 뒤따른다. 금형 폐쇄한 후 금형 내부의 온도가 대략 60~70℃ 정도로 하면 발포액(P)은 화학반응으로 발포 팽창되면서 가교되어 중공쿠션돌기(210)가 성형되고 동시에 발포압으로 인해 발포체는 아웃솔(100a)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도움으로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텍숀(100b)의 상면에 중공쿠션돌기(210)를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도20은 이에 따른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작업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제조방법 역시 상부금형(300)과 하부금형(400)이 활용되며 상기 상부금형(300)의 저면에는 텍숀 수용홈(32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금형(400)에는 테두리홈(410)을 경계로 돌출면(420)이 구비된다. 상기 돌출면(420)에는 함몰된 하나 이상의 돌기성형홈(430)이 형성되되 각 돌기성형홈(430)의 중심에는 코어(431)가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부금형(300)과 하부금형(400)을 이용하여 중공쿠션돌기(210)가 부착된 신발창을 제조하게 되는데, 먼저 충진단계(Ⅰ)에서는 하부금형(400)의 테두리홈(410) 및 돌기성형홈(430)에 발포팽창될 수 있는 발포액(P)을 채워넣도록 한다. 상기 발포액(P)은 폴리우레탄 재질의 것을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부금형(300)의 텍숀 수용홈(320)에 미리 준비된 텍숀(100b)을 삽입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텍숀(100b)의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텍숀(100b)의 상면이 하부금형(400)에 주입된 발포액(P)과 마주보게 하여 금형을 결합시키도록 하는 금형 폐쇄단계(Ⅱ)가 이어진다.
상부금형(300)과 하부금형(400)을 밀폐되게 폐쇄한 후에는 열을 가하여 발포액(P)이 발포팽창될 수 있게 하는 발포단계(Ⅲ)가 이어진다. 발포가 이루어지면 발포압으로 인해 텍숀(100b)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도움으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와 테두리벽(201)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부금형(400)의 돌출면(420)에 격벽성형홈(440)을 두어서 격벽(W)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또 다른 형태의 신발창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며, 도21은 이에 따른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작업 공정도에 해당된다.
본 제조방법에서는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에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되, 미리 준비된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에는 천공된 하나 이상의 천공부(110)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천공부(110)를 통하여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삽입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부금형(300)과 하부금형(400)이 사용되며 준비된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에는 전족부와 후족부 영역에 하나씩의 천공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이용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상부금형(300)의 저면에 상부로 함몰되는 쿠션층 형성홈(330)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층 형성홈(330)에는 다수의 돌출된 돌출봉(331)들이 구비된다. 상기 돌출봉(331)들은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의 천공부(110)에 해당되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쿠션층 형성홈(330)의 대략 중간 정도에 아치지지돔(220)을 형성시키기 위한 더욱 함몰된 아치홈(332)을 두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금형(400)의 상면에는 준비된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45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홈(450)에는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에 형성되는 천공부(110)가 끼워지는 돌출된 돌출면(420)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면(420)에는 상기 돌출봉(331)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돌출봉수용홈(46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금형(300)과 하부금형(400)을 이용하여 준비된 텍숀(100b)이나 아 웃솔(100a)에 중공쿠션돌기(210)를 일체로 형성시키게 되는데, 먼저 기재설치단계(S1)가 이루어진다.
기재설치단계(S1)라 함은 준비된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기재라 함)을 하부금형(400)의 삽입홈(450)에 설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기재에 형성된 천공부(110)는 돌출면(420)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텍숀이나 아웃솔의 상면에는 적당량의 접착제를 도포시켜 두는 것으로 한다.
하부금형(400)에 기재인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을 설치한 후 발포액 주입단계(S2)가 이루어지는데 하부금형(400)의 상부로부터 발포팽창될 수 있는 발포액(P)을 적정량 붓도록 한다. 이때 발포액(P)은 기재인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 상면 전체에 걸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부금형(300)을 덮어 금형을 밀폐시키는 금형 밀폐단계(S3)가 이어지고, 상부금형(300)의 돌출봉(331)들은 하부금형(400)의 돌출봉수용홈(460)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금형을 밀폐시킨 후 적당한 열을 가하여 발포액(P)을 발포팽창시키는 발포단계(S4)가 뒤따른다. 발포액(P)이 발포팽창되면서 기재의 상면에 쿠션층(200)이 접착제의 도움으로 일체로 결합형성되며 동시에 기재의 천공부(110)에는 금형 내부 형상대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이 쿠션층(200)의 일부로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중공쿠션돌기(210)들의 상부는 개구되어 빈 공간을 이루는 중공내부(211)를 갖게 되는데, 이것은 돌출봉(331)이 돌출봉수용홈(460)에 삽입된 채 발포액(P)이 발포팽창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상부금형(300)의 쿠션층 형성홈(330)에 아치홈(332)을 두는 경우에는 발포팽창에 의해 쿠션층(200)의 상부면에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아치지지돔(220)이 동시에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텍숀(100b)이나 아웃솔(100a)에 중공쿠션돌기(210)가 일체로 부착되어 성형되는 것은 신발창의 일부분을 이루게 되는 것이며, 이후 별도의 아웃솔이나 미드솔등과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서 일반적인 신발창으로 완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20과 같은 방법으로 텍숀 상부에 중공쿠션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신발창을 완성시키는 하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하며, 도22는 이에 대한 개략적인 작업 공정도에 해당된다.
상면으로 중공쿠션돌기(210)가 형성된 텍숀(100b)의 밑면 가장자리를 따라 갑피(10)의 끝자락을 감싸도록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때 신골(20)을 이용하여 갑피(1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중공쿠션돌기(210)의 상면에는 공기유통로(A) 구비된 판상의 보조판재(30)나 인솔(40)등이 설치될 수 있다.
갑피 결합단계 후에는 금형준비단계가 이어지는데, 미리 준비된 아웃솔(100a)이 삽입된 제2하부금형(400a)의 상부에 제2상부금형(300a)을 결합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2상부금형(300a)은 갑피(10)가 결합된 텍숀(100b)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분리된 두개로 이루어져 좌우로 벌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발포액 주입단계가 이어지며 준비된 금형 내부로 발포액(P)을 주입하도록 하며, 이어서는 발포액(P) 상부로 갑피(10)가 결합된 텍숀(100b) 밑면이 금형 상부를 덮어 금형 내부의 발포액이 발포팽창될 때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덮개금형 역할을 하도록 위치를 잡아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발포액(P)을 발포팽창시키게 되는데 발포팽창된 부위는 미드솔(500)의 역할을 하게 되고 그 하면에 아웃솔(100a)이 결합되고 상면에는 갑피(10) 저면 가장자리와 텍숀(100b) 밑면이 일체로 결합되어 최종적인 신발창이 형성되고 동시에 갑피가 결합된 신발로 완성될 수 있다. 즉, 발포팽창되는 부위 상면은 갑피와 하면은 아웃솔(100a)과 일체화된 형태로 신발을 완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텍숀(100b) 상면의 중공쿠션돌기(210)들은 발포액(P)이 발포팽창할 때 높은 압력을 받고 갑피 내부의 신골에 짓눌려 압축이 되었다가 신발이 완성된 후 신골이 탈형되면 원상회복되어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을 지닌 중공쿠션돌기(210)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은 일반적인 운동화로부터 구두, 안전화, 등산화, 전투화, 뒷굽이 높은 여성용 하이힐과 같은 신발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 그 이용 가능성은 매우 높다 할 것이다.
또한, 발포팽창되는 발포층이 한 금형속에서 아웃솔 또는 텍숀과 동시 성형 접착되어 일체화된 신발창을 제공함으로써 제조시간단축, 인건비 및 에너지 등을 절감하여 상품가격을 낮추고 충격흡수력과 반발력이 우수한 기능성 신발창을 제공하게 된다.
또 한편으로는 신발창이 지면에 착지될 때마다 발바닥을 압박하는 자극을 주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장시간 보행을 해도 쉽게 피로해지지 않는 효과도 얻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으로서 아웃솔 상면에 중공쿠션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텍숀 상면에 중공쿠션돌기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으로서 아웃솔에 쿠션층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4는 이를 이용하여 완성한 신발의 단면도.
도5는 텍숀에 쿠션층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
도6은 도5와 같이 성형된 중공쿠션돌기(210)가 결합된 텍숀(100b)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신발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신발의 단면도.
도7은 제3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8은 제4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9는 제5실시예에 대한 신발창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사시도.
도10은 제6실시예에 대한 신발창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11은 제7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12는 제8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13은 제9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14는 제10실시예에 대한 신발창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15는 제11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16은 제12실시예에 따른 신발창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17은 제13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18은 제14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19는 아웃솔 상면에 중공쿠션돌기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작업 공정도.
도20은는 텍숀의 상면에 중공쿠션돌기를 형성시키는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작업 공정도.
도21은 또 다른 형태의 신발창 제조방법에 대한 작업 공정도.
도22는 또 다른 형태의 신발창 제조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작업 공정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a : 아웃솔 100b : 텍숀
110 : 천공부 120 : 노출공
130 : 차단판 100b-1: 전방텍숀
100b-2: 후방텍숀 100b-3: 비텍숀부
200 : 쿠션층 210 : 중공쿠션돌기
211 : 중공내부 201 : 테두리벽
220 : 아치지지돔 300 : 상부금형
310 : 아웃솔 수용홈 320 : 텍숀 수용홈
330 : 쿠션층 형성홈 331 : 돌출봉
332 : 아치홈 400 : 하부금형
410 : 테두리홈 420 : 돌출면
430 : 돌기성형홈 431 : 코어
440 : 격벽성형홈 450 : 삽입홈
460 : 돌출봉수용홈 10 : 갑피
20 : 신골 30 : 보조판재
40 : 인솔 A : 공기유통로
500 : 미드솔 140 : 미끄럼방지패드
C : 챔버 W : 격벽
210a : 지압용 중공쿠션돌기 150 : 반구형캡

Claims (18)

  1. 삭제
  2. 신발창에 있어서,
    아웃솔 또는 텍숀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발포팽창을 통해 쿠션층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쿠션층에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부를 갖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이되, 상기 아웃솔 또는 텍숀에는 상하로 개구된 하나 이상의 천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에 하나 이상의 중공쿠션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에는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로 돌출되는 아치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반구형캡이 구비되는 아웃솔과,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발포팽창을 통해서 다수의 중공쿠션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캡에는 지압용 중공쿠션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
  9. 아웃솔 상면에 텍숀이 설치되는 신발창으로서,
    상기 텍숀에는 상하로 천공된 하나 이상의 천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아웃솔에도 상기 천공부와 연결되게 상하로 천공된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텍숀의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발포팽창을 통해 쿠션층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천공부와 노출공을 통해서 상기 쿠션층의 일부를 이루는 일측이 개구되어 빈 공간을 갖는 다수의 중공쿠션돌기가 하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공에는 투명한 차단판이 결합되며, 상기 차단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중공쿠션돌기와 동일위치상으로 미끄럼방지패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
  11. 신발창에 있어서,
    텍숀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발포팽창을 통해 쿠션층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텍숀은 전방텍숀과 후방텍숀으로 분리되어 상기 전방텍숀과 후방텍숀 사이에 탄성을 갖는 판상의 비텍숀부가 구비되고, 상기 비텍숀부와 후방텍숀에는 상하로 개구된 천공부가 마련되어 상기 천공부를 통해서 상기 쿠션층을 이루는 일측이 개구되어 빈 공간을 갖도록 하부로 돌출되는 중공쿠션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
  12. 아웃솔 상면에 텍숀이 설치되는 신발창으로서,
    상기 텍숀에는 상하로 천공된 하나 이상의 천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텍숀의 상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발포팽창을 통해 쿠션층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천공부를 통해서 상기 쿠션층의 일부를 이루는 중공쿠션돌기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텍숀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아웃솔은 전체 또는 일부 영역이 투명하여 상기 중공쿠션돌기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패드가 결합되되, 상기 중공쿠션돌기가 있는 영역에서는 상기 중공쿠션돌기와 동일위치상으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
  14. 저면으로 아웃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금형과, 테두리홈을 경계로 돌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에는 함몰된 하나 이상의 돌기성형홈이 구비되되 돌기성형홈 중심에는 코어가 형성되는 하부금형을 이용한 신발창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부금형의 돌기성형홈에 발포팽창 가능한 발포액을 충진시키는 충진단계와;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아웃솔을 상기 상부금형의 아웃솔 수용홈에 삽입한 후 상기 아웃솔의 상면이 발포액과 마주보게 하부금형과 결합시키는 금형 폐쇄단계와;
    발포액을 발포시켜서 아웃솔 상면에 중공쿠션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
  15. 저면으로 텍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금형과, 테두리홈을 경계로 돌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에는 함몰된 하나 이상의 돌기성형홈이 구비되되 돌기성형홈 중심에는 코어가 형성되는 하부금형을 이용한 신발창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하부금형의 테두리홈 및 돌기성형홈에 발포팽창 가능한 발포액을 충진시키는 충진단계와;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텍숀을 상기 상부금형의 텍숀 수용홈에 삽입한 후 텍숀의 상면이 발포액과 마주보게 하부금형과 결합시키는 금형 폐쇄단계와;
    발포액을 발포시켜서 텍숀 상면에 중공쿠션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발 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
  16. 저면에 상부로 함몰된 쿠션층 형성홈이 형성되되 상기 쿠션층 형성홈에는 다수의 돌출된 돌출봉이 구비되는 상부금형과, 상면에 텍숀이나 아웃솔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 내부에 하나 이상의 돌출면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면에는 상기 돌출봉이 삽입될 수 있는 다수의 돌출봉수용홈이 구비되는 하부금형을 이용한 신발창의 제조방법으로서,
    돌출면에 끼워지도록 천공된 끼움홀이 형성되는 텍숀이나 아웃솔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금형의 삽입홈에 설치하도록 하는 기재설치단계와;
    텍숀이나 아웃솔이 삽입홈에 설치된 후 상기 하부금형 상부로부터 발포팽창 가능한 발포액을 주입하도록 하는 발포액 주입단계와;
    하부금형 위로 상부금형을 덮어 밀폐시키도록 하는 금형 밀폐단계와;
    주입된 발포액을 발포팽창시켜서 중공쿠션돌기가 일체로 구비되는 쿠션층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쿠션층 형성홈에는,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아치홈이 구비되어 쿠션층 상면에 아치지지돔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의 제조방법은,
    텍숀 상면에 중공쿠션돌기가 일체로 성형된 후 신골을 이용하여 갑피를 결합시키도록 하는 갑피 결합단계와;
    아웃솔이 삽입된 제2하부금형의 상부에 갑피가 결합된 텍숀이 수용될 수 있는 상부가 개방되고 좌우로 벌어질 수 있는 제2상부금형을 결합시키도록 하는 금형준비단계와;
    준비된 금형 내부로 발포액을 주입하도록 하는 발포액 주입단계와;
    발포액 상부로 갑피가 결합된 텍숀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단계와;
    발포액을 발포팽창시키도록 하는 발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쿠션돌기를 갖는 신발창의 제조방법.
KR1020090024049A 2008-04-22 2009-03-20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2074 WO2009131356A2 (ko) 2008-04-22 2009-04-21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7253 2008-04-22
KR1020080037253 2008-04-22
KR1020080067620A KR20090004784A (ko) 2008-04-22 2008-07-11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KR1020080067620 2008-07-11
KR1020080120632 2008-12-01
KR1020080120632A KR20090111747A (ko) 2008-04-22 2008-12-01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KR20090002852 2009-01-14
KR1020090002852 2009-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763A KR20090111763A (ko) 2009-10-27
KR100932018B1 true KR100932018B1 (ko) 2009-12-14

Family

ID=4932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049A KR100932018B1 (ko) 2008-04-22 2009-03-20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0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139B1 (ko) 2011-06-24 2011-12-05 배효용 신발창
KR102001997B1 (ko) * 2018-07-03 2019-07-19 정순구 기능성 신발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225B1 (ko) * 1990-02-09 1998-08-17 하이크레이머 개량된 중간창을 갖는 신발
KR20020077733A (ko) * 2001-04-02 2002-10-14 이소피아 인쇄무늬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100464618B1 (ko) * 2004-06-24 2005-01-03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586694B1 (ko) * 2005-08-16 2006-06-08 (주)해피채널세븐 신발 깔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225B1 (ko) * 1990-02-09 1998-08-17 하이크레이머 개량된 중간창을 갖는 신발
KR20020077733A (ko) * 2001-04-02 2002-10-14 이소피아 인쇄무늬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신발창 및 그 제조방법
KR100464618B1 (ko) * 2004-06-24 2005-01-03 박종회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100586694B1 (ko) * 2005-08-16 2006-06-08 (주)해피채널세븐 신발 깔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139B1 (ko) 2011-06-24 2011-12-05 배효용 신발창
KR102001997B1 (ko) * 2018-07-03 2019-07-19 정순구 기능성 신발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763A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4510B (zh) 具有轮廓的流体填充室
JP3542756B2 (ja)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
US8850718B2 (en) Shoe with support system
US4129951A (en) Air cushion shoe base
US856709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etachable upper and lower designs
KR101008305B1 (ko) 에어백을 갖는 신발 안창
US20180027920A1 (en)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WO2008156228A1 (en) A structure of shoes uppers, a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and a structure of shoes
KR101241343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KR100907740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20090004784A (ko)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을 갖는 신발의제조방법
KR100932018B1 (ko)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1789B1 (ko) 중공쿠션돌기가 구비되는 신발창과 이를 위한 제조금형 및 제조방법
US20200345103A1 (en) Article of footwear
WO2006095996A1 (en) Shoe with the functions of shock absorption and ai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0816534B1 (ko)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 및 교환창이 구비되는 신발 제조를위한 라스트
CN112617349B (zh) 一种减震鞋底、减震鞋底制作方法及减震鞋
JP4788702B2 (ja) 履物およびその中底ならびに中底用クッション材
JP2009502228A (ja) 通気ソール
KR20110034568A (ko) 반발탄성을 지닌 중공쿠션돌기가 내장된 바닥창
CN220174579U (zh) 一种鞋材结构及鞋子
KR200399923Y1 (ko) 방향 및 쿠션기능을 겸한 깔창을 갖는 슬리퍼
KR20090111748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20190010983A (ko) 신발창과 신발창의 제조방법
KR100816279B1 (ko) 지압기능을 가지는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